KR200477181Y1 -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 - Google Patents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181Y1
KR200477181Y1 KR2020130008129U KR20130008129U KR200477181Y1 KR 200477181 Y1 KR200477181 Y1 KR 200477181Y1 KR 2020130008129 U KR2020130008129 U KR 2020130008129U KR 20130008129 U KR20130008129 U KR 20130008129U KR 200477181 Y1 KR200477181 Y1 KR 200477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housing
cosmetic
inner case
presen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418U (ko
Inventor
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30008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181Y1/ko
Priority to HK16111303.1A priority patent/HK1223491A2/zh
Priority to CN201490001091.4U priority patent/CN205513067U/zh
Priority to PCT/KR2014/009254 priority patent/WO2015050373A1/ko
Publication of KR20150001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1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0Containers with mov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에 있어서, 특히 화장도구의 하우징 바닥에 화장도구를 수납시키는 공간부를 마련하고, 동시에 화장재료를 탑재하는 내부 케이스가 덮개의 유동에 상응하여 유동하면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함으로서 화장도구의 삽입 공간부의 창출과 더불어 내부 케이스의 경사진 배열이 가능하여 화장품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고 디스플레이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화장도구 및 화장재료 용기를 실장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부가 오픈된 입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하부 하우징(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2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하되 상부에 화장재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갖도록 구성하며, 상기 레일(20)을 따라 유동하도록 구성된 내부 케이스(30)와; 상기 하부 하우징(10)과 제 3 힌지부(41)로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링크(42)를 통하여 내부 케이스(30)와 힌지 결합되며, 하부 하우징(10)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상부 덮개(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A Compact Cosmetic Container}
본 고안은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도구의 하우징 바닥에 화장도구를 수납시키는 공간부를 마련하고, 동시에 화장재료를 탑재하는 내부 케이스가 덮개의 유동에 상응하여 유동하면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함으로서 화장도구의 삽입 공간부의 창출과 더불어 내부 케이스의 경사진 배열이 가능하여 화장품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고 디스플레이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케이스는 그 형상과 모양, 그리고 뚜껑의 개폐구조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보편적이고도 널리 알려진 콤팩트 케이스는 사각 또는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의 내부에는 화장품과 퍼프 등의 화장용구가 수납되는 한쌍의 수납홈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대체적으로 후방의 힌지를 지지점으로 뚜껑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열고 닫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콤팩트 케이스는 그 뚜껑이 힌지를 지지점으로 단순하게 수직방향으로 개폐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소비자들이 콤팩트를 사용시 쉽게 식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고안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0-0393233호, 제20-0393234호, 제20-0393235, 제20-0393380호로 내용물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의 슬라이드 구조 및 힌지구조, 전개각 고정구조를 복합적으로 갖는 콤팩트 케이스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5-29249호, 제2005-30332호로 케이스 본체로부터 뚜껑이 슬라이딩 개폐되는 콤팩트 용기를 착안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한 콤팩트 케이스 중 제20-0393233호, 제20-0393234호, 제20-0393235호, 제20-039338호의 콤팩트 케이스는, 화장료가 수용되면 양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화장료 보관함과, 외부에 거울이 부착되고 내부 양측 벽면에 가이드 홈과 소정 형상의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며, 화장솔과 같은 화장도구 보관함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출몰되도록 일측 벽면이 개방된 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의 선등록 콤팩트 케이스는 별도의 거울을 휴대할 필요없이 언제라도 사용자의 얼굴을 비춰볼 수 있으며, 화장시에는 케이스를 화장료 보관함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잡아당기므로 케이스가 화장료 보관함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케이스의 외부에 부착된 거울을 보면서 화장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들은 화장붓이나 펜슬을 별도로 수납하기 곤란한 구조들이어서 화장품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덮개를 개방하는 동작에 의해서 화장재료용 케이스가 유동되도록하고, 상기 화장재료용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화장도구를 수납하여 화장재료용 케이스가 유동되는 동작에 의해서 화장도구가 외부로 들어나도록 구성함으로서 콤팩트형 화장품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내측에 화장도구 및 화장재료 용기를 실장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부가 오픈된 입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하부 하우징(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2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하되 상부에 화장재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갖도록 구성하며, 상기 레일(20)을 따라 유동하도록 구성된 내부 케이스(30)와; 상기 하부 하우징(10)과 제 3 힌지부(41)로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링크(42)를 통하여 내부 케이스(30)와 힌지 결합되며, 하부 하우징(10)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상부 덮개(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30)는, 상기 레일(20)과 결합되는 제 1 힌지부(31)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레일은 단면이 디긋자 형태인 C자형 패널을 쌍으로 2개 구비하여 하부 하우징(10)의 바닥면에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덮개를 개방하는 동작에 의해서 화장재료용 케이스가 유동되도록하고, 상기 화장재료용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화장도구를 수납하여 화장재료용 케이스가 유동되는 동작에 의해서 화장도구가 외부로 들어나도록 구성함으로서 콤팩트형 화장품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하우징과 내부 케이스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내부케이스와 상부 덮개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상부 덮개를 펼쳤을때의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상부 덮개를 닫았을때의 동작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고안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고안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하우징과 내부 케이스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내부케이스와 상부 덮개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상부 덮개를 펼쳤을때의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상부 덮개를 닫았을때의 동작 상태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는 크게 하부 하우징(10)과, 레일(20)과, 내부 케이스(30)와, 상부 덮개(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하우징(10)은 내측에 화장도구 및 화장재료 용기를 실장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부가 오픈된 입체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20)은 하부 하우징(1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디긋자 형태인 C자형 패널을 쌍으로 2개 구비하여 하부 하우징(10)의 바닥면에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내부 케이스(30)는 하부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하되 상부에 화장재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갖도록 구성하며, 상기 레일(20)을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제 1 힌지부(31)를 구비하고, 타측에 제 2 힌지부(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덮개(40)는 하부 하우징(10)과 제 3 힌지부(41)로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링크(42)를 통하여 내부 케이스(30)의 제 2 힌지부(32)와 힌지 결합되며, 하부 하우징(10)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하부 하우징(10)과, 레일(20)과, 내부 케이스(30)와, 상부 덮개(40)로 이루어지는바, 하부 하우징(10)의 내부에 레일(20)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20)을 통하여 내부 케이스(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30)와 하부 하우징(10)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부에는 화장도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20)과 내부 케이스(30)는 내부 케이스(3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힌지부(31)에 의해서 슬라이딩 결합되어 레일(20)을 따라서 내부 케이스(30)가 좌우로 유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30)와 상부 덮개(40)는 링크(42) 및 제 2 힌지부(3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상부 덮개(40)를 움직이게 되면 링크(42)의 작용에 의해서 내부 케이스(30)가 유동되면서 경사면을 이루게 되고, 이때 하부 하우징(10)의 내측 공간부가 들어나서 화장도구(1)를 사용자가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도 5 및 도 6을 통해 사용방법 및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는 크게 하부 하우징(10)과, 레일(20)과, 내부 케이스(30)와, 상부 덮개(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케이스(30)의 하부에는 제 1 힌지부(31) 및 제 2 힌지부(32)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 덮개(40)의 일측에는 제 3 힌지부(41)와 링크(4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본 고안은 상부 덮개(40)와 하부 하우징(10)이 제 3 힌지부(41)를 통해 조립된 상태여서 상기 상부 덮개(40)를 닫으면 하부 하우징(10)이 폐쇄되고, 상부 덮개(40)를 열면 하부 하우징(10)의 공간부가 외부로 들어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사용되는 화장도구는 하부 하우징(10)의 공간부에 미리 탑재된 상태이고, 상기 화장도구(1) 상부로 내부 케이스(30)가 실장되어 있다.
이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 덮개(40)를 개방하게 되면 상부 덮개(40)가 제 3 힌지부(4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서서히 개방된다.
그러면, 상기 상부 덮개(40)의 제 3 힌지부(41)를 통해 연결되는 링크(42)가 움직이게 되고, 상기 링크(42)의 움직임에 따라 제 2 힌지부(32)가 움직이면서 내부 케이스(30)가 좌측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때, 내부 케이스(30)의 다른 일측은 제 1 힌지부(31)가 레일(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레일(20)을 따라 힌지부(31)가 유동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 상부 덮개(40)를 움직이게 되면 내부 케이스(30)가 경사지게 들어올려지게 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30)가 들어 올려짐으로서 하부 하우징(10)의 공간부에 탑재된 화장도구(1)가 들어나게 되어 사용자는 상기 화장도구(1)를 이용하여 화장을 한다.
그리고, 화장이 모두 마무리되어 상부 덮개(40)를 닫게 되면 링크(42)가 제 3 힌지부(41)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내부 케이스(30)를 일방향으로 밀치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 케이스(30)의 제 3 힌지부(41)가 레일(20)을 따라 유동하면서 하부 하우징(10)의 공간부로 원위치되어 돌아간다.
그러면, 하부 하우징(10)의 공간부에 탑재되는 화장도구(1)의 상부를 덮으면서 결합되고 동시에 상부 덮개(40)가 하부 하우징(10)을 덮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 하우징(10)의 공간부에 존재하는 화장도구(1)는 내부 케이스(30)에 의해서 폐쇄되므로 달그락 거리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본 고안은 상부 덮개(40)를 유동하는 동작에 의해서 화장도구(1)가 들어나거나 폐쇄되게 되어 보다 화장도구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화장재료를 사용할 시에도 경사진 상태로 사용하므로 퍼프 또는 화장솔로 화장을 뭍히는 작업이 용이하여 보다 편리하게 화장할 수 있게 된다.
10: 하부 하우징
20: 레일
30: 내부 케이스
31: 제 1 힌지부
32: 제 2 힌지부
40: 상부 덮개
41: 제 3 힌지부
42: 링크

Claims (3)

  1. 내측에 화장도구 및 화장재료 용기를 실장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부가 오픈된 입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하부 하우징(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2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하되 상부에 화장재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갖도록 구성하며, 상기 레일(20)을 따라 유동하도록 구성된 내부 케이스(30)와;
    상기 하부 하우징(10)과 제 3 힌지부(41)로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링크(42)를 통하여 내부 케이스(30)와 힌지 결합되며, 하부 하우징(10)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상부 덮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레일(20)은 단면이 디긋자 형태인 C자형 패널을 쌍으로 2개 구비하여 하부 하우징(10)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기 화장도구(1)는 내부 케이스(30)와 하부 하우징(10)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하우징(10)의 공간부에 존재하는 화장도구(1)는 내부 케이스(30)에 의해서 폐쇄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30)는,
    상기 레일(20)과 결합되는 제 1 힌지부(31)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
  3. 삭제
KR2020130008129U 2013-10-02 2013-10-02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 KR200477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29U KR200477181Y1 (ko) 2013-10-02 2013-10-02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
HK16111303.1A HK1223491A2 (zh) 2013-10-02 2014-10-01 內置有化妝工具的緊湊型化妝品容器
CN201490001091.4U CN205513067U (zh) 2013-10-02 2014-10-01 内置有化妆工具的紧凑型化妆品容器
PCT/KR2014/009254 WO2015050373A1 (ko) 2013-10-02 2014-10-01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29U KR200477181Y1 (ko) 2013-10-02 2013-10-02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18U KR20150001418U (ko) 2015-04-13
KR200477181Y1 true KR200477181Y1 (ko) 2015-05-15

Family

ID=5277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129U KR200477181Y1 (ko) 2013-10-02 2013-10-02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477181Y1 (ko)
CN (1) CN205513067U (ko)
HK (1) HK1223491A2 (ko)
WO (1) WO20150503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2123A (zh) * 2018-12-24 2019-03-26 中山市美全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可自动开启的粉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512U (ko) * 1996-10-31 1998-07-25 성재갑 화장품 용기
KR200225143Y1 (ko) * 1998-09-04 2001-06-01 서경배 콤팩트 케이스 뚜껑의 개폐구조
WO2012089483A1 (en) * 2010-12-28 2012-07-05 Albea Services Casing for a cosmetic article
KR101229043B1 (ko) * 2011-02-01 2013-02-01 황인간 접이식 거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512U (ko) * 1996-10-31 1998-07-25 성재갑 화장품 용기
KR200225143Y1 (ko) * 1998-09-04 2001-06-01 서경배 콤팩트 케이스 뚜껑의 개폐구조
WO2012089483A1 (en) * 2010-12-28 2012-07-05 Albea Services Casing for a cosmetic article
KR101229043B1 (ko) * 2011-02-01 2013-02-01 황인간 접이식 거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513067U (zh) 2016-08-31
WO2015050373A1 (ko) 2015-04-09
HK1223491A2 (zh) 2017-07-28
KR20150001418U (ko) 201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7022B2 (ja) 内容物ケースがスライド自在に挿脱される構造を持つコンパクト容器
KR200477181Y1 (ko) 화장도구 내장형 콤팩트 화장용기
KR101222088B1 (ko) 자동 슬라이드 개폐형 화장품 용기
KR20130005394U (ko) 메이컵 팔레트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0987229B1 (ko) 슬라이드 개폐방식의 화장품 케이스
KR102092204B1 (ko)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수평 회전식 화장품용기
RU2008130850A (ru) Компакт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косметики
KR200449508Y1 (ko) 콤팩트 케이스
KR101478294B1 (ko) 화장품 용기
KR200438023Y1 (ko) 아이새도우 용기
KR101455529B1 (ko) 화장대
US10477939B2 (en) Cushion compact container
US1890068A (en) Lip stick, eyebrow pencil, and the like
KR101474410B1 (ko) 화장품 용기
KR102130277B1 (ko) 슬라이드식 화장품 콤팩트 케이스
USD915879S1 (en) Box for cosmetics
JP3169133U (ja) 透明窓を備えた化粧品用容器
KR200455006Y1 (ko) 거울 개폐형 슬림형 슬라이딩 화장품 용기
KR200477196Y1 (ko) 틸팅되는 거울을 포함한 아이새도우 용기
KR20150069605A (ko) 콤팩트 용기
KR200404623Y1 (ko) 아이새도우 용기
KR200476596Y1 (ko) 자동펼침이 가능한 화장용 콤팩트 용기
KR20200005140A (ko) 이중 수납형 화장품 수납용기
KR200438507Y1 (ko) 립글로스 용기
KR102168128B1 (ko) 슬라이드형 수납모듈을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