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121Y1 -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121Y1
KR200477121Y1 KR2020130007354U KR20130007354U KR200477121Y1 KR 200477121 Y1 KR200477121 Y1 KR 200477121Y1 KR 2020130007354 U KR2020130007354 U KR 2020130007354U KR 20130007354 U KR20130007354 U KR 20130007354U KR 200477121 Y1 KR200477121 Y1 KR 200477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antenna
camera module
cable
stag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059U (ko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Priority to KR2020130007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12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0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1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100)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일반적인 다단 안테나(110)가 구성되고,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상단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130)과, 상기 카메라 모듈(130)에 접속되어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케이블(140)과, 상기 케이블(140)에 접속되고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휴대 단말기(T)의 배터리 충전 포트(P)에 연결되는 콘넥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로 동영상 녹화나 스냅 사진을 촬영할 때 카메라 모듈(130)의 렌즈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높이와 회동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T)를 파지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130)의 렌즈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휴대 단말기(T)를 들어올리거나 회동한 후, 이 상태를 유지하는 번거로움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Antenna type camera for mobile terminals}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포트에 접속하여 카메라 모듈의 높이 및 회동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T)는 휴대하면서 통신 및 인터넷 서핑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피처폰,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T)는 선행기술문헌 1에서처럼 화면의 배면에 카메라 모듈(C)이 내장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T)를 사용하여 강의, 회의 시, 영상 기록을 남길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T)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C)이 피사체를 향하도록 한 후, 동영상 내지는 스냅 사진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휴대 단말기(T)의 화면을 통해서 영상을 확인하게 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T)로 강의나 회의 과정을 장시간 동영상 촬영할 경우에는 테이블 위에 휴대 단말기(T)를 올려놓은 후 카메라 모듈(C)이 피사체를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책이나 필통 등으로 휴대 단말기(T)가 쓰러지지 않도록 받치도록 한다.
(문헌 1) 한국 특허등록 10-1149925호 (2012. 05. 18.)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로 동영상 녹화나 스냅 사진을 촬영할 때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카메라 모듈의 높이와 회동 방향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강의를 동영상으로 촬영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잡고 들어올려서 높이가 조정되도록 하고 좌우 측방 또는 기울어짐이 제어되도록 회동한 후, 이 상태가 유지되도록 휴대 단말기를 장시간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언급한 것처럼, 테이블 위에 휴대 단말기를 올려놓고 책이나 필통 등으로 받칠 경우, 휴대 단말기가 금세 쓰러지기 일쑤이고, 높이와 회동 방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일반적인 다단 안테나가 구성되고, 상기 다단 안테나의 상단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접속되어 상기 다단 안테나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다단 안테나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접속되고 상기 다단 안테나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포트에 연결되는 콘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단 안테나의 하단부를 상기 콘넥터에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조인트를 관통하여 상기 콘넥터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다단 안테나의 하단부에 연결된 볼과, 상기 볼이 수용되고 상기 콘넥터에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방을 커버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 관통되어 상기 볼이 끼워지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에서 상기 볼의 최외각 지름에 접하는 접촉면은 상기 볼의 표면에 대응하는 구면이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볼을 관통하여 상기 콘넥터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단 안테나의 상단부에 고정된 블록 형상의 캡과, 상기 캡의 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캡을 관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는, 휴대 단말기로 동영상 녹화나 스냅 사진을 촬영할 때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높이와 회동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휴대 단말기를 들어올리거나 회동한 후, 이 상태를 유지하는 번거로움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배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K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도 2에서 G 지점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K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도 2에서 G 지점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은 카메라 모듈(130)의 높이와 회동이 자유롭도록 구성하여 휴대 단말기(T)의 배터리 충전 포트(P)에 연결하여 피사체의 촬영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길이 조정이 가능한 일반적인 다단 안테나(110)가 구성되고,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상단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1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30)에 접속되어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케이블(140)이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140)에 접속되고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휴대 단말기(T)의 배터리 충전 포트(P)에 연결되는 콘넥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하단부를 상기 콘넥터(150)에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조인트(16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140)은 상기 조인트(160)를 관통하여 상기 콘넥터(150)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상기 다단 안테나(110)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강성을 구비한 지름이 순차적으로 상이한 다수 개의 튜브(a, b, c)를 서로 조합하여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튜브(a, b, c) 중 맨 하방에 가장 지름이 큰 튜브(a)가 구성되고, 상기 튜브(a)보다 지름이 작은 튜브(b)가 맨 하방의 튜브(a)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다수 개의 튜브(a, b, c)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맨 하방의 튜브(a)를 제외한 각 튜브(b, c)는 하단에 단턱(112)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b, c)의 상부에서 끼워져서 상기 단턱(112)에 밀착되는 팽창 스프링(115)이 구성된다. 또한, 맨 하방의 튜브(a)를 제외한 각 튜브(b, c)는 상부에서 끼워져서 팽창 스프링(115)의 상단에 밀착되어 팽창 스프링(115)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링(113)을 포함한다. 상기 링(113)은 억지끼워맞춤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팽창 스프링(115)은 맨 하방의 튜브(a)를 제외한 튜브(b, c)가 끼워지는 링(116)이 상하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양측 링(116)을 연결하며 외측방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맨 상방의 튜브(a)를 제외한 튜브(b, c)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밴드(117)를 포함한다.
또한, 맨 상방의 튜브(a)를 제외한 튜브(b, c)는 상단이 내측으로 오므려져서 상기 멈춤링(113)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튜브(a, b, c)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맨 하방의 튜브(c)를 잡고 맨 상방의 튜브(a)를 잡아당기게 되면 길이가 신장되고, 맨 하방의 튜브(c)를 잡고 맨 상방의 튜브(a)를 누르게 되면 수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팽창 스프링(115)으로 인해서 맨 상방의 튜브(a)를 제외한 튜브(b, c)에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다단 안테나(110)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다단 안테나(110)는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구성과 상이하더라도 다수의 튜브(a,b,c)가 조합된 상태에서 신축이 가능하고 내측으로 케이블(140)이 통과할 수 있는 것도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 카메라 모듈(130)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140)로부터 휴대 단말기(T)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작동하고 영상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케이블(140), 컨넥터 (150)를 통해서 휴대 단말기(T)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조인트(160)는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하단부에 연결된 볼(161)이 구성되고, 상기 볼(161)이 수용되고 상기 콘넥터(150)에 연결되는 하우징(1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65)은 판상의 바닥판(166)과, 상기 바닥판(166)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판(167)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판(167)의 상방을 커버하는 상판(168)이 구성되고, 상기 상판(168)에 관통되어 상기 볼(161)이 끼워지는 관통구(16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통구(169)에서 상기 볼(161)의 최외각 지름에 접하는 접촉면(L)은 상기 볼(161)의 표면에 대응하는 구면이이므로 볼(161)이 관통구(169)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회동이 자유롭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볼(161)에는 케이블(140)이 관통하는 케이블 홀(163)이 구성되므로 케이블(140)은 케이블 홀(163)을 관통하여 상기 콘넥터(150)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단 안테나(110)이 상단부 즉, 맨 상부의 튜브(c)의 상단부에 카메라 모듈(130)을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튜브(c)의 상단부에 고정된 블록 형상의 캡(12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120)의 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30)이 삽입되는 삽입구(1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140)은 상기 캡(120)을 관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30)에 접속되도록 상기 삽입구(121)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튜브(c)의 내측과 연결되는 케이블 홀(123)이 구성된다.
상기 캡(120)이 튜브(c)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일례로서는 캡(120)의 하단에 홈(125)이 형성되고 상기 홈(125)에 상기 튜브(c)가 삽입되는 것으로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T)에 상기 카메라 모듈(130)을 작동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깔려 있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T)의 배터리 충전 포트(P)에 상기 콘넥터(15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맨 상부의 튜브(c)를 상방으로 인출하여 카메라 모듈(130)의 렌즈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높이를 조정한다.
그리고, 전방에 장애물이 있다면 상기 조인트(160)에 의해서 다단 안테나(110)를 전후좌우로 회동하든지 측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렌즈가 피사체를 정확하게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켜서 피사체의 상이 휴대 단말기(T)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 후, 스냅 촬영 또는 동영상 녹화를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하면, 손으로 휴대 단말기(T)를 테이블에 놓은 상태에서 다단 안테나(110)를 상방으로 인출하여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자유자재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30)이 정확하게 피사체를 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스냅 촬영 또는 동영상 녹화를 할 수 있다.
100: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 110: 다단 안테나
a, b, c: 튜브 112: 단턱
113: 링 115: 팽창 스프링
116: 링 117: 탄성 밴드
120: 캡 121: 삽입구
123: 케이블 홀 125: 홈
130: 카메라 모듈 140: 케이블
150: 컨넥터 160: 조인트
161: 볼 163: 케이블 홀
165: 하우징 166: 바닥판
167: 측판 168: 상판
169: 관통구 L: 접촉면

Claims (4)

  1. 길이 조정이 가능한 일반적인 다단 안테나(110)가 구성되고,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상단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130)과,
    상기 카메라 모듈(130)에 접속되어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케이블(140)과,
    상기 케이블(140)에 접속되고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휴대 단말기(T)의 배터리 충전 포트(P)에 연결되는 콘넥터(150)와;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하단부를 상기 콘넥터(150)에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조인트(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160)는 상기 다단 안테나(110)의 하단부에 연결된 볼(161)과,
    상기 볼(161)이 수용되고 상기 콘넥터(150)에 연결되는 하우징(165)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65)은 바닥판(166)과,
    상기 바닥판(166)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판(167)과,
    상기 측판(167)의 상방을 커버하는 상판(168)과,
    상기 상판(168)에 관통되어 상기 볼(161)이 끼워지는 관통구(169)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169)에서 상기 볼(161)의 최외각 지름에 접하는 접촉면(L)은 상기 볼(161)의 표면에 대응하는 구면이고,
    상기 케이블(140)은 상기 볼(161)을 관통하여 상기 콘넥터(150)에 접속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30007354U 2013-09-02 2013-09-02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 KR200477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354U KR200477121Y1 (ko) 2013-09-02 2013-09-02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354U KR200477121Y1 (ko) 2013-09-02 2013-09-02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59U KR20150001059U (ko) 2015-03-11
KR200477121Y1 true KR200477121Y1 (ko) 2015-05-11

Family

ID=5303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354U KR200477121Y1 (ko) 2013-09-02 2013-09-02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1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477B1 (ko) * 2016-09-06 2018-02-05 샘온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다축 회전이 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650A (ko) * 2003-10-27 2005-05-03 김세환 카메라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KR20050083231A (ko) * 2004-02-21 200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일체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63933A (ko) * 2005-12-16 2007-06-20 주식회사 메닉스 절곡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650A (ko) * 2003-10-27 2005-05-03 김세환 카메라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KR20050083231A (ko) * 2004-02-21 200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일체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63933A (ko) * 2005-12-16 2007-06-20 주식회사 메닉스 절곡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477B1 (ko) * 2016-09-06 2018-02-05 샘온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다축 회전이 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59U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1476B2 (en) Mobile terminal
US20130044257A1 (en) Mobile device with side-mounted camera module
US20150085184A1 (en) Smartphone and tablet having a side-panel camera
US912479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image capturing assembly
US20160073023A1 (en) Panoramic camera systems
US9826144B2 (en) Peripheral equipment for controlling camera arranged in a termina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70162230A1 (en) Interactive digital camera for live crop editing and recording of video streams
KR200475741Y1 (ko) 셀카 스틱
US20170366746A1 (en) Peripheral equipment for controlling camera arranged in a terminal, system and method thereof
TWM546639U (zh) 環景影像捕捉裝置
CN104301593A (zh) 一种具有全景拍照功能的移动终端及全景图拍摄方法
WO2017005099A1 (zh) 拍摄装置及移动终端
CN204859235U (zh) 一种手机
US876739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3952655U (zh) 带蓝牙自拍器手柄的登山杖
US847723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djustable camera
US20160248962A1 (en) Handle-Type Photo Shooting Remote Control Device
KR200477121Y1 (ko)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형 카메라
US20210195004A1 (en) Foldable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KR101633865B1 (ko) 스마트폰용 셀프 카메라 촬영장치
CN104254220A (zh) 便携式电子装置
CN204886937U (zh) 移动终端
CN104469125A (zh) 自行车用拍照系统
US20160349597A1 (en) Support device
CN105024718A (zh) 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