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880Y1 - 일회용 스쿱 - Google Patents

일회용 스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880Y1
KR200476880Y1 KR20130007682U KR20130007682U KR200476880Y1 KR 200476880 Y1 KR200476880 Y1 KR 200476880Y1 KR 20130007682 U KR20130007682 U KR 20130007682U KR 20130007682 U KR20130007682 U KR 20130007682U KR 200476880 Y1 KR200476880 Y1 KR 200476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line
surface portion
line
fol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7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218U (ko
Inventor
셀프제임스 앤드류
박기범
이슬
김수성
권혜리
이훈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07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88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일회용 스쿱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스쿱은 아이스크림을 담고 있는 컨테이너부와, 상기 컨테이너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를 갖는 용기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에 대응한 평면적의 디스크 형상을 갖고, 상기 아이스크림을 상기 컨테이너부로부터 떠내기 위하여, 접어져서 다면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접이선들이 마련된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스쿱{DISPOSABLE SCOOP}
본 고안은 일회용 스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스크림 등의 내용물을 담고 있는 포장 용기의 상부의 커버부에 포함되어 컨테이너부 내의 내용물인 아이스크림을 취식할 때 아이스크림을 떠 먹는데 사용되는 일회용 스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 아이스크림을 담고 있는 컨테이너부의 상부를 덮고 있는 밀폐 비닐과 커버부의 사이에 철제나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작은 스픈 형태로 제작된 도구를 포함하고 있다.
즉, 아이스크림 포장 용기에 포함되어 판매된 더 먹는 수단은 스쿱(scoop)이라기 보다는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은 스푼의 형태로서 강도가 약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었기 대문에 단단하게 얼은 아이스크림을 한번에 많은 양을 떠서 먹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고안의 배경이 되는 종래 기술의 특허문헌1, 2에서도 스쿱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렇게, 아이스크림 제조 판매 회사에서 컵 형태의 컨테이너부에 아이스크림을 담은 상태의 제품을 판매하면서, 컨테이너부 안에 스쿱을 포함시켜 판매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므로, 본 고안과 관련된 도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용신안공개 제20-2009-0010672호 실용신안공개 제20-1999-0000115호
본 실시예는 아이스크림 컨테이너부의 뚜껑 부위에 해당하는 커버부에 포함된 원판을 표시된 접는 선을 따라 접어서 스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스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이스크림을 담고 있는 컨테이너부와, 상기 컨테이너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를 갖는 포장 용기에 포함되는 일회용 스쿱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대응한 평면적의 디스크 형상을 갖고, 상기 아이스크림을 상기 컨테이너부로부터 떠내기 위하여, 접어져서 다면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접이선들이 마련된 본체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스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제 1 접이선과 제 2 접이선에 의해 구획되는 바닥면부; 상기 제 1 접이선에 대하여 이격된 곳에 위치한 제 3 접이선과 상기 제 1 접이선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바닥면부의 일측에서 접어질 수 있는 일측면부; 상기 제 2 접이선에 대하여 이격된 곳에 위치한 제 4 접이선과 상기 제 2 접이선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바닥면부의 타측에서 접어질 수 있는 타측면부; 상기 일측면부의 제 3 접이선과 상기 본체부의 일측 외곽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제 3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어질 수 있는 제 1 상면부; 상기 타측면부의 제 4 접이선과 상기 본체부의 타측 외곽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제 4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어져서 상기 제 1 상면부에 포개질 수 있는 제 2 상면부; 상기 바닥면부에 연접한 곳으로서, 제 5 접이선을 따라 접어져 경사지게 세워질 때, 상기 제 1 상면부 및 상기 제 2 상면부의 내표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면부; 및 상기 서포트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부 및 상기 제 2 상면부가 서로 겹쳐진 곳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서포트면부와 상기 일측면부 및 상기 타측면부와 연접하고, 상기 바닥면부의 전방 위치로서 상기 아이스크림을 뜨는 구역에 해당하는 스쿱 헤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쿱 헤드부는 상기 제 1 접이선 및 상기 제 2 접이선의 전방 위치의 사이 간격이 상기 제 1 접이선 및 상기 제 2 접이선의 후방 위치의 사이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상기 서포트면부의 제 5 접이선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 외곽까지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접이선 내지 상기 제 4 접이선을 따라 접어져서 상기 다면체를 이룰 때, 상기 스쿱 헤드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의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절취선에 의해 상기 끼움부의 일부가 분리되어 후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아이스크림을 담고 있는 포장 용기로서 커버부에 포함된 원판을 접어서 스쿱으로 사용함에 따라, 아이스크림 제조 판매 회사에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품 판매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종이보다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의 원판부를 접어 만든 일회용 스쿱에 의해 단단하게 얼은 아이스크림을 한번에 많은 양을 떠서 먹거나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컵 형태의 컨테이너부를 갖는 아이스크림 제품이 꾸준히 판매되고 있으므로, 그 제품을 손쉽게 취식할 수 있고 제품에 일체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스쿱을 포함한 아이스크림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스쿱을 포함한 아이스크림 포장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회용 스쿱의 본체부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일회용 스쿱의 본체부의 사용 양태를 보인 사시도들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스쿱을 포함한 아이스크림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일회용 스쿱은 아이스크림을 떠서 취식 또는 다른 용기에 옮겨 담는데 사용될 수 있는 도구로서, 아이스크림을 담고 있는 포장 용기(10)에 포함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는 아이스크림을 담고 있는 컨테이너부(B)와, 상기 컨테이너부(B)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T)를 갖는 포장 용기(10)에 포함될 수 있는 일회용 스쿱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커버부(T)에 대응한 평면적의 디스크 형상을 갖고, 아이스크림을 상기 컨테이너부(B)로부터 떠내기 위하여, 접어져서 다면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접이선들이 마련된 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손가락 등이 베이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테두리는 모따기 가공 등이 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부(B)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아이스크림을 담고 있는 용기 몸체(12)와, 상기 용기 몸체(12)의 상부 테두리에 점착되어서, 상기 용기 몸체(12)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필름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버부(T)는 필름부(14)와 광고지(13)의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광고지(13)의 테두리 및 상기 컨테이너부(B)의 상부 테두리의 외측을 감싸고, 사용자의 손에 의해 절취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테두리 절취부(11)(pealing circle 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부(100)는 원판 형태의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되, 예컨대, 두께 1미리의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아이스크림 포장 용기(10) 등이 원통형이 아닌, 직육면체 또는 다면체 등으로 설계 변경될 경우, 그 직육면체 또는 다면체에 각각 대응하게, 본체부(100)도 사각판 또는 다각판 형태 등으로도 설계 변경될 수 도 있다.
이하, 본체부(1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회용 스쿱의 본체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통상의 절취 가공 또는 접이 가공(예: 접이선에 대응한 홈 가공)된 곳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00)에서 절취 가공된 곳은 절개공(120, 121) 및 결합공(122, 123)이 형성되도록, 분리편(130, 131, 132, 133)의 외곽에 해당하는 곳으로서, 부분 연결 미세 지점을 제외한 커팅라인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에서 접이 가공된 곳은 제 1 접이선 내지 제 5 접이선(110, 111, 112, 113, 107a)을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00)는 본체부(100)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확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1 접이선(110)과 제 2 접이선(1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이러한 제 1 접이선(110)과 제 2 접이선(111)에 의해 구획될 수 있고, 제 1 접이선(110)과 제 2 접이선(111)의 사이 영역에 해당하는 바닥면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제 1 접이선(110)에 대하여 이격된 곳에 위치한 제 3 접이선(113)과 상기 제 1 접이선(110)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바닥면부(103)의 일측에서 접어질 수 있는 일측면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제 2 접이선(111)에 대하여 이격된 곳에 위치한 제 4 접이선(112)과 상기 제 2 접이선(111)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바닥면부(103)의 타측에서 접어질 수 있는 타측면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일측면부(104)의 제 3 접이선(113)과 본체부(100)의 일측 외곽(105a)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제 3 접이선(113)을 기준으로 접어질 수 있는 제 1 상면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타측면부(102)의 제 4 접이선(112)과 본체부(100)의 타측 외곽(101a)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제 4 접이선(112)을 기준으로 접어져서 상기 제 1 상면부(105)에 포개질 수 있는 제 2 상면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바닥면부에 연접한 곳으로서, 제 5 접이선(107a)을 따라 접어져 경사지게 세워질 때, 상기 제 1 상면부(105) 및 상기 제 2 상면부(101)의 내표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면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트면부(107)는 스쿱 헤드부(106)에 대하여 경계선이 될 수 있는 제 5 접이선(107a)과, 서포트면부(107)의 양측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제 1 접이선(110)과 제 2 접이선(111) 상에 위치한 커팅라인(107b, 107c)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서포트면부(107)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부(105) 및 상기 제 2 상면부(101)가 서로 겹쳐진 곳에 형성된 결합공(122, 123)에 끼워지는 끼움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끼움부(108)는 절취선(108a)을 따라서 상기 끼움부(108)의 일부를 분리시킬 경우 후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끼움부(108)도 서포트면부(107)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 부위를 꺾듯이 접어서 상기 결합공(122, 123)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서포트면부(107)와 일측면부(104) 및 타측면부(102)와 연접한 구역, 예컨대, 상기 바닥면부(103)의 전방 위치로서 아이스크림을 뜨는 구역에 해당하는 스쿱 헤드부(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쿱 헤드부(106)는 제 1 접이선(110) 및 제 2 접이선(111)의 전방 위치의 사이 간격(W2)이 제 1 접이선(110) 및 제 2 접이선(111)의 후방 위치의 사이 간격(W1)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상기 서포트면부(107)의 제 5 접이선(107a)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 외곽(106a)까지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제 3 접이선(113) 및 제 4 접이선(112)의 전방 위치의 사이 간격(W4)도 제 3 접이선(113) 및 제 4 접이선(112)의 후방 위치의 사이 간격(W3)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제 1 접이선(110) 내지 제 4 접이선(112)을 따라 접어져서 도 6과 같은 다면체를 이룰 때, 상기 스쿱 헤드부(106)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의 손잡이부(Q)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사용 양태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일회용 스쿱의 본체부의 사용 양태를 보인 사시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아이스크림을 담고 있는 용기로부터 본체부(100)를 분리한 후, 손가락의 손톱 끝 등을 이용하여, 분리편을 제거하여 결합공(122, 123)을 분체부(100)에 형성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서포트면부(107)에 힘을 전달하고, 그 결과, 제 5 접이선(107a)을 기준으로 서포트면부(107)가 돌출되어서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접이선 내지 제 4 접이선(110, 111, 112, 113)을 기준으로 본체부(100)를 접어서 스쿱 헤드부(106) 쪽의 폭이 넓고, 손잡이부(Q)의 끝단 쪽의 폭이 좁은 구조의 다면체를 형성시킨다.
또한, 결합공(122, 123)에는 서포트면부(107)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끼움부(108)가 삽입될 수 있다.
끼움부(108)는 사용자에 의해서 꺾여서, 결합공(122, 123)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다면체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끼움부(108)의 절취선(108a)을 따라서 상기 끼움부(108)의 일부를 분리시켜 후크 형상을 만들 수 있고, 이 경우 더욱더, 후크 형상의 끼움부(108)가 결합공(122, 123)에 결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면체 형상의 본체부(100)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재질, 예컨대 두께 1미리의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제작되어, 냉동된 상태의 아이스크림을 떠낼 수 있을 정도의 구조적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재질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뿐, 상기 본체부(100)가 반드시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상면부(105)에 포개진 상태의 제 2 상면부(101), 타측면부(102), 바닥면부(103), 일측면부(104) 등으로 이루어진 다면체의 손잡이부(Q)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아이스크림(C)를 떠서 취식하거나, 미 도시된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수 있다.
이때, 스쿱 헤드부(106)의 위쪽으로 본체부(100)의 내측 공간에 들어온 아이스크림(C)은 서포트면부(107)에 의해 가로 막혀서 사용자의 손 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쿱 헤드부(106)의 폭이 손잡이부(Q)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용이하게 다면체 형상의 본체부(100)를 잡고 사용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대량의 아이스크림(C)을 떠 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 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01 : 제 2 상면부
102 : 타측면부 103 : 바닥면부
104 : 일측면부 105 : 제 1 상면부
106 : 스쿱 헤드부 107 : 서포트면부
108 : 끼움부 122, 123 : 결합공

Claims (6)

  1. 아이스크림을 담고 있는 컨테이너부와, 상기 컨테이너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를 갖는 용기에 포함되는 일회용 스쿱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대응한 평면적의 디스크 형상을 갖고, 상기 아이스크림을 상기 컨테이너부로부터 떠내기 위하여, 접어져서 다면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접이선들이 마련된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제 1 접이선과 제 2 접이선에 의해 구획되는 바닥면부;
    상기 제 1 접이선에 대하여 이격된 곳에 위치한 제 3 접이선과 상기 제 1 접이선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바닥면부의 일측에서 접어질 수 있는 일측면부;
    상기 제 2 접이선에 대하여 이격된 곳에 위치한 제 4 접이선과 상기 제 2 접이선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바닥면부의 타측에서 접어질 수 있는 타측면부;
    상기 일측면부의 제 3 접이선과 상기 본체부의 일측 외곽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제 3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어질 수 있는 제 1 상면부;
    상기 타측면부의 제 4 접이선과 상기 본체부의 타측 외곽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제 4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어져서 상기 제 1 상면부에 포개질 수 있는 제 2 상면부;
    상기 바닥면부에 연접한 곳으로서, 제 5 접이선을 따라 접어져 경사지게 세워질 때, 상기 제 1 상면부 및 상기 제 2 상면부의 내표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면부; 및
    상기 서포트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부 및 상기 제 2 상면부가 서로 겹쳐진 곳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워지는 끼움부 및
    상기 서포트면부와 상기 일측면부 및 상기 타측면부와 연접하고, 상기 바닥면부의 전방 위치로서 상기 아이스크림을 뜨는 구역에 해당하는 스쿱 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면부가 상기 제 5 접이선을 따라 접어져 경사지게 세워질 때 상기 스쿱 헤드부의 내측 공간으로 들어온 상기 아이스크림의 이동을 가로막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접이선 내지 상기 제4 접이선을 따라 접어져서 다면체를 이룰 때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일회용 스쿱.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쿱 헤드부는 상기 제 1 접이선 및 상기 제 2 접이선의 전방 위치의 사이 간격이 상기 제 1 접이선 및 상기 제 2 접이선의 후방 위치의 사이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상기 서포트면부의 제 5 접이선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 외곽까지 확장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스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스쿱 헤드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스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절취선에 의해 상기 끼움부의 일부가 분리되어 후크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스쿱.
KR20130007682U 2013-09-12 2013-09-12 일회용 스쿱 KR200476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7682U KR200476880Y1 (ko) 2013-09-12 2013-09-12 일회용 스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7682U KR200476880Y1 (ko) 2013-09-12 2013-09-12 일회용 스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218U KR20150001218U (ko) 2015-03-23
KR200476880Y1 true KR200476880Y1 (ko) 2015-04-14

Family

ID=5303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7682U KR200476880Y1 (ko) 2013-09-12 2013-09-12 일회용 스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8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1925A (en) * 1974-04-05 1976-01-13 Ruff Stanley L Paperboard container lid convertible into a spoon
US4251097A (en) * 1979-02-16 1981-02-17 Whitten Ii William B Disposible scoop and container for cleaning up offensive material
KR19990015264U (ko) * 1997-10-14 1999-05-15 성재갑 분말세제 계량용 종이 스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1925A (en) * 1974-04-05 1976-01-13 Ruff Stanley L Paperboard container lid convertible into a spoon
US4251097A (en) * 1979-02-16 1981-02-17 Whitten Ii William B Disposible scoop and container for cleaning up offensive material
KR19990015264U (ko) * 1997-10-14 1999-05-15 성재갑 분말세제 계량용 종이 스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218U (ko) 201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28884S1 (en)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
CN102470958B (zh) 夹片勺
US8128287B2 (en) Storage bag
US7878493B2 (en) Cutting board scoop
AU763170B2 (en) Case and cardboard blank with tearaway wall
US20140202917A1 (en) Scoop holder
KR200476880Y1 (ko) 일회용 스쿱
US11225364B2 (en) Foldable serving utensils
CA2924852A1 (en) Food container with integral condiment cup
CN208531034U (zh) 一种一纸成型的玻璃杯缓冲包装
CN201777458U (zh) 一种硬纸材料制的医用手套包装盒
KR101543513B1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KR102522604B1 (ko) 상하가 분리되는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GB2547098A (en) Utensil or cutlery item
CN100473586C (zh) 一种低平式倾倒口封闭件
US10507963B2 (en) Resealable opening device and package comprising such an opening device
KR101661812B1 (ko) 다용도 식도구 포장대
KR100718599B1 (ko) 소스수용구조를 갖는 위생적인 튀김수용용기
KR20160064708A (ko) 젓가락 포장 용지
KR200450062Y1 (ko) 제품의 뚜껑을 스푼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산균 제품 보관 용기
TWI826143B (zh) 紙容器結構
KR102536840B1 (ko) 스푼일체형 우유팩
JP3171453U (ja) 組立式漏斗
KR101264746B1 (ko) 피자용 다용도 칼
JP7497039B2 (ja) 食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