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878Y1 - 독서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독서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878Y1
KR200476878Y1 KR2020140003659U KR20140003659U KR200476878Y1 KR 200476878 Y1 KR200476878 Y1 KR 200476878Y1 KR 2020140003659 U KR2020140003659 U KR 2020140003659U KR 20140003659 U KR20140003659 U KR 20140003659U KR 200476878 Y1 KR200476878 Y1 KR 200476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lbow
spring
height adjuster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훈
Original Assignee
손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훈 filed Critical 손정훈
Priority to KR2020140003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8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 가슴이나 배를 지지해주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일단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턱받침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타단 하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00)를 지지해주는 제1 지지대(300); 상기 몸체부(100)의 일단 하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높이 조절부(400); 상기 높이 조절부(4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400) 및 상기 몸체부(100)를 지지하는 한쌍의 제2 지지대(500); 및 상기 제2 지지대(500) 상면에 설치되며, 절곡 형상으로 이루어져 팔꿈치를 지지해주는 팔꿈치 받침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서 보조 기구{ASSISTANAT DEVICE FOR BOOK READING}
본 고안은 사용자가 편안하게 독서하도록 도와주는 독서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엎드린 자세에서 책을 보거나 휴대폰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엎드려서 책을 읽거나 휴대폰을 이용할 때 목과 허리와 팔꿈치 또는 척추 등에 무리가 가서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종래에는 사람들이 책을 읽거나 휴대폰을 보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책 또는 스마트폰을 받쳐 주는 독서 보조 기구(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13-0033245호(발명의 명칭: 독서보조기구, 공개일: 2013.4.3))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경우 책의 위치를 고정시켜 사용자의 자세를 바로 잡아 준다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나, 사용자가 엎드리거나 편안하게 자세를 푼 상태에서 책을 읽거나 휴대폰을 이용할 때 목, 팔꿈치 등을 보조해줄 수 없어 여전히 목, 허리 팔꿈치, 척추 등에 무리를 가도록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누워있는 상태에서 책을 읽는 것을 보조해주는 독서대(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09-0052624호(발명의 명칭: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공개일: 2009.005.26))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책을 지지하고 고정해 주어 사용자가 침대나 요에 누운 상태에서 책을 읽도록 도와 주는 것으로, 사용자의 목, 팔꿈치 등을 지지하고 보조해주어 사용자의 척추 등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는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책이나 휴대폰 등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턱, 팔꿈치, 가슴 등을 받쳐주어 사용자의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도와주는 독서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슴이나 배를 지지해주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턱받침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 하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를 지지해주는 제1 지지대; 상기 몸체부의 일단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높이 조절부; 상기 높이 조절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 상면에 설치되며, 절곡 형상으로 이루어져 팔꿈치를 지지해주는 팔꿈치 받침부를 포함하는 독서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 턱받침부 및 팔꿈치 받침부는 연질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측면에 하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겉통; 상기 겉통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속통; 상기 겉통의 홀 및 상기 속통의 홈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체결 고정구; 상기 체결 고정구에 끼워지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후측에서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 고정링; 및 상기 체결 고정구에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고정링을 수용하는 수용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책이나 휴대폰 등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턱, 팔꿈치, 가슴 등을 받쳐주어 사용자의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도와주는 독서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보조 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보조 기구에 있어서, 높이 조절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보조 기구에 있어서, 높이 조절부를 이루는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도면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은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보조 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보조 기구는, 몸체부(100), 턱받침부(200), 제1 지지대(300), 높이 조절부(400), 제2 지지대(500), 팔꿈치 받침부(60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하, 상기 구성을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상기 몸체부(100)는 가슴이나 배를 지지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00)는 연질 패드로 이루어져 쿠션 기능을 갖도록 하며, 그 형태는 가슴이나 배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원형상, 다각형 형상, 타원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에는 제1 지지대(300) 및 제2 지지대(5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와 제2 지지대(300) 사이에 높이 조절부를 두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몸체부(100)의 경사가 달라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턱받침부(200)는 책이나 휴대폰 이용시 사용자의 턱을 받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일단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턱받침부(200)는 연질 패드로 이루어져 쿠션 기능을 갖도록 하며, 그 형태는 턱을 받치기 유리하도록 반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턱받침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00)의 하면에 높이 조절부(400)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턱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턱을 받치기 좋은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지지대(300)는 상기 몸체부(100)의 타단 하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0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30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부(100)에 가해지는 압력 및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 조절부(4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단 하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보다 상기 몸체부(100)의 지탱을 효과적으로 하며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100)의 일단 하면에 복수개의 높이 조절부(예를 들면, 한쌍의 높이 조절부, 도 1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보조 기구에 있어서, 높이 조절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보조 기구에 있어서, 높이 조절부를 이루는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400)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높이 조절부(400)는, 측면에 하나의 홀(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겉통(410), 상기 겉통(41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홈(421)이 형성되어 있는 속통(420), 상기 겉통(410)의 홀(411) 및 상기 속통(420)의 홈(421)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체결 고정구(430), 상기 체결 고정구(430)에 끼워지는 스프링(440), 상기 스프링(440)의 후측에서 스프링(4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 고정링(450) 및 상기 체결 고정구(450)에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440) 및 상기 스프링 고정링(450)을 수용하는 수용구(4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보다 효율적으로 높이를 조절하고, 높이 조절 후 보다 견고하게 몸체부 등을 지탱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지지대(500)는 상기 높이 조절부(4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400) 및 상기 몸체부(100)를 지지한다. 상기 제2 지지대(500)의 형태는 상기 높이 조절부(400) 및 상기 몸체부(100)를 지탱하기 적합한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400)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400)를 모두 지탱하도록 상기 제2 지지대(500)는 긴 형상으로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부(400)의 수에 따라 조정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의 경우 한쌍의 높이 조절부(400)에 맞게 한쌍의 제2 지지대(500)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팔꿈치 받침부(600)는 상기 제2 지지대(500) 상면에 설치되며, 절곡 형상으로 이루어져 팔꿈치를 지지해 주기 적합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팔꿈치 받침부(600) 연질 패드로 이루어져 쿠션 기능을 갖도록 함이 사용자의 몸에 무리를 가지 않도록 하기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팔꿈치 받침부(600)는 하상기 제2 지지대(500) 상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꿈치 위치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팔꿈치 받침부(600)가 형성된 경우 사용자의 두 팔의 팔꿈치가 받쳐 지도록 상기 몸체부(100) 중심부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한쌍의 팔꿈치 받침부(600)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독서 보조 기구에 따르면, 사용자가 책이나 휴대폰 등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턱, 팔꿈치, 가슴 등을 받쳐주어 엎드린 자세에서 책이나 휴대폰을 이용하더라도 사용자의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게 된다.
100 몸체부
200 턱받침부
300 제1 지지대
400 높이조절부
410 겉통
411 겉통의 홈
420 속통
421 속통의 홈
430 체결 고정구
440 스프링
450 스프링 고정링
460 수용구
500 제2 지지대
600 팔꿈치 받침부

Claims (4)

  1. 가슴이나 배를 지지해주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일단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턱받침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타단 하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00)를 지지해주는 제1 지지대(300);
    상기 몸체부(100)의 일단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높이 조절부(400);
    상기 높이 조절부(4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400) 및 상기 몸체부(10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대(500); 및
    상기 제2 지지대(500) 상면에 설치되며, 절곡 형상으로 이루어져 팔꿈치를 지지해주는 팔꿈치 받침부(600)를 포함하는 독서 보조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 턱받침부(200) 및 팔꿈치 받침부(600)는 연질 패드로 이루어진 것인 독서 보조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30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인 독서 보조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400)는,
    측면에 하나의 홀(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겉통(410);
    상기 겉통(41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홈(421)이 형성되어 있는 속통(420);
    상기 겉통(410)의 홀(411) 및 상기 속통(420)의 홈(421)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체결 고정구(430);
    상기 체결 고정구(430)에 끼워지는 스프링(440);
    상기 스프링(440)의 후측에서 스프링(4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 고정링(450); 및
    상기 체결 고정구(450)에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440) 및 상기 스프링 고정링(450)을 수용하는 수용구(460)를 포함하는 독서 보조 기구.
KR2020140003659U 2014-05-12 2014-05-12 독서 보조 기구 KR200476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659U KR200476878Y1 (ko) 2014-05-12 2014-05-12 독서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659U KR200476878Y1 (ko) 2014-05-12 2014-05-12 독서 보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878Y1 true KR200476878Y1 (ko) 2015-04-16

Family

ID=5343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659U KR200476878Y1 (ko) 2014-05-12 2014-05-12 독서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765B1 (ko) * 2015-10-28 2016-10-14 남기열 마스크와 안장이 구성된 휴대용 인체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8298U (ko) * 1989-10-12 1991-06-06
KR970050809U (ko) * 1996-02-17 1997-09-08 옥유찬 상반신 받침대
JP3058298B2 (ja) 1991-08-30 2000-07-04 オムロン株式会社 変位センサ
KR20080084876A (ko) * 2007-03-17 2008-09-22 김형오 π형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8298U (ko) * 1989-10-12 1991-06-06
JP3058298B2 (ja) 1991-08-30 2000-07-04 オムロン株式会社 変位センサ
KR970050809U (ko) * 1996-02-17 1997-09-08 옥유찬 상반신 받침대
KR20080084876A (ko) * 2007-03-17 2008-09-22 김형오 π형 책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765B1 (ko) * 2015-10-28 2016-10-14 남기열 마스크와 안장이 구성된 휴대용 인체받침대
WO2017073994A1 (ko) * 2015-10-28 2017-05-04 남기열 마스크와 안장이 구성된 휴대용 인체받침대
US10925408B2 (en) 2015-10-28 2021-02-23 Ki Yeal NAM Portable body support comprising mask and sad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516761T1 (de) Dornfortsatzspreizer
EP1577157A3 (en) Cushion for seat
USD756529S1 (en) Massage tool
WO2008051484A3 (e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a breast shield
IL198049A (en) Gradient facility for a patient with central spine support
US20140196213A1 (en) Height adjustable pillow
NO20052205D0 (no) Madrass med integrert skumdel
US20160182698A1 (en) Hands-Free Electronic Device Holder
US9220662B2 (en) Mouth-holdable bottle holder
US10010188B2 (en) Adjustable mattress structure
KR200476878Y1 (ko) 독서 보조 기구
US8968183B2 (en) Support apparatus
EP3305135A1 (en) Adjustable mattress structure
TW201611702A (zh) 電子裝置保護套
US10765223B2 (en) Multi-purpose portable mattress extender
US20160058174A1 (en) Hands-Free Reading Holder
AU2015203101B2 (en) Nursing supplementer
US20100101025A1 (en) Foot support assembly for bed
KR101675979B1 (ko) 목운동 기구
JP2016073619A (ja) 健康器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130283536A1 (en) Infant Support Device
US20200245774A1 (en) Mobile phone holder
GB202304924D0 (en) Device for supporting the spine of a user and improving posture
TW201825053A (zh) 下顎可調式護頸圈
US20220408934A1 (en) Knee Pillow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