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858Y1 -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858Y1
KR200476858Y1 KR2020130002340U KR20130002340U KR200476858Y1 KR 200476858 Y1 KR200476858 Y1 KR 200476858Y1 KR 2020130002340 U KR2020130002340 U KR 2020130002340U KR 20130002340 U KR20130002340 U KR 20130002340U KR 200476858 Y1 KR200476858 Y1 KR 200476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adder
fixing
bel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248U (ko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광 엠 파
김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광 엠 파, 김선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광 엠 파
Priority to KR2020130002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85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6Rail or rope for guiding a safety attachment, e.g. a fall arres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높은 곳을 오르내릴 때 사용하는 사다리를 사람이 자유롭게 이동가능함은 물론 상기 사다리에서 미끄러지는 사람을 안전하게 잡아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좌, 우 프로파일과, 슬롯부가 형성된 중간 프로파일 및, 복수 개의 발판부재가 구비된 사다리; 사다리의 중간 프로파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다리의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안전 이동장치;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의 안전 이동장치는, 중간 프로파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중간 프로파일을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함은 물론 사다리에서 사람이 떨어질 때 사람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중간 프로파일에 고정되는 연결고정부; 연결고정부에 연결 결합되어 사람의 신체를 묶어 고정하도록 하는 안전벨트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safety moving spparatus of ladder}
본 고안은 높은 곳을 오르내릴 때 사용하는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다리에서 사람이 보다 자유롭게 오르내릴 수 있고, 사다리에서 미끄러지는 사람을 안전하게 잡아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높은 곳이나 낮은 곳을 오르내릴 때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만든 기구로서, 상기의 사다리는 건축, 토목, 조경, 전기 공사 등 산업용을 비롯한 일상용 및 화재 대비 등의 비상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사다리를 건물이나 전봇대 등에 세워 놓은 상태로 거치한 다음 사람이 상기 사다리의 발판이나 좌, 우측 프로파일을 손으로 잡음과 함께 상기 사다리의 각 발판을 하나씩 발로 밟으면서 높은 곳으로 오르거나 낮은 곳으로 내려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사다리는 사람이 손으로 잡고 발을 딛으면서 오르거나 내려올 때 상기 사다리의 프로파일에서 손이 미끄러지거나 또는, 상기 사다리의 발판에 발을 잘못 딛거나 미끄러지는 등 실수나 부주의에 의해 사다리에서 떨어져 지상으로 추락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람이 다치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다리를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4795호(2009.05.20.공개) '안전 사다리'가 개재되어 있는바, 상기의 안전 사다리는 프레임에 회전되게 발판을 힌지결합하고, 상기 발판의 움직임을 구속 및 지지하는 스토퍼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발판을 밟았을 때 발판이 회전되면서 스토퍼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어 사람이 발판을 밟고 오르거나 내려올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상기 안전 사다리의 발판을 밟고 오르내릴 때 발판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하는 발판에 의해 사다리를 사용자가 오르내리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안전 사다리에서 발판의 전면을 밟을 경우 상기 발판이 전방 측으로 회전되면서 발판으로부터 발이 미끄러지면서 사람이 사다리에서 낙하, 추락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5590호(2012.12.17.공개) '안전 사다리'가 개재되어 있는바, 상기의 안전 사다리는 수직부재 중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에 사용자의 몸을 묶는 연결부재가 결합된 이동부재를 이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사다리를 오를 때 이동부재를 손으로 잡고 위쪽으로 올려가면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가 실수 등으로 안전 사다리를 놓치면 이동부재가 회전하여 수평부재에 걸림에 따라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나, 상기 안전 사다리를 오르내릴 때마다 이동부재를 잡은 상태에서 수직부재를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함에 따라 상기 사다리를 오르내리기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안전 사다리에서 사용자가 손이나 발이 미끄러지거나 손으로 잡고 있던 안전 사다리를 놓쳤을 때 상기 이동부재가 수평부재에 걸리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무게에 의해 이동부재가 수직부재를 따라 하방 측으로 급속하게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지상으로 낙하, 추락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다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고정부 및, 상기 연결고정부에 사람의 몸을 묶는 안전벨트부로 이루어진 안전 이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고정부가 사다리의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사다리룰 사림이 보다 자유롭게 오르내리면서 용이하게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사다리에서 사람의 발을 미끄러졌을 때 사람의 하중에 의해 연결고정부는 기울어지면서 사다리에 밀착되면서 이동이 멈춰짐과 함께 상기 안전벨트부가 사람을 안전하게 잡아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 우 프로파일과, 좌, 우 프로파일 사이에 설치되어 전면에 길이방향의 슬롯을 갖는 슬롯부가 형성된 중간 프로파일 및, 각 프로파일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발판부재가 구비된 사다리; 상기 사다리의 중간 프로파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다리의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안전 이동장치;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의 안전 이동장치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의 슬롯부를 통해 삽입되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중간 프로파일을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함은 물론 상기 사다리에서 사람이 떨어질 때 사람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중간 프로파일에 고정되는 연결고정부; 상기 연결고정부에 연결 결합되어 사다리를 오르내리는 사람의 신체를 묶어 고정하도록 하는 안전벨트부;로 구성됨은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사다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본체부와 고정부 및 연결부와 탄성부재 등이 구비되어 상기 사다리에서 이동하는 연결고정부 및, 상기 연결고정부에 연결 결합되도록 연결벨트와 고정벨트 및 제1,2이탈방지부재와 길이조절버클부 등이 구비되어 사람의 몸을 묶는 안전벨트부로 구성된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고정부와 안전벨트부를 연결 결합한 안전 이동장치를 사다리에 결합하여 상기 사다리를 사람이 오르내릴 때 상기 연결고정부가 사다리의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사다리를 매우 편하면서도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사다리를 오르내리는 사람의 실수나 부주의에 의해 상기 사다리로부터 사람의 발이 미끄러지면서 낙하 및 추락할 경우 상기 사람의 하중에 의해 연결고정부가 기울어지면서 상기 연결고정부의 고정부가 사다리에 밀착 고정됨에 따라 상기 연결고정부의 이동이 멈춰짐 즉, 사다리의 하방 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정지됨과 함께 상기 사람의 몸을 묶운 안전벨트부가 사람을 안전하게 잡아주므로 인해 상기 사다리로부터 사람이 지상으로 낙하,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사다리에 안전 이동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의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안전 이동장치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안전 이동장치의 연결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안전 이동장치가 사다리의 슬롯부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안전 이동장치가 슬롯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안전 이동장치가 슬롯부에서 기울어진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사람이 높은 곳이나 낮을 곳을 오르내릴 때 손으로 잡거나 발로 딛으면서 오르거나 내려올 수 있도록 한 사다리(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의 사다리(10)에 분리 가능하게 즉,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다리(10)를 오르내리는 사람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사다리(10)에 낙하 및 추락하는 사람을 안전하게 잡아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 이동장치(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사다리(1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사다리(10)의 좌,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좌, 우 프로파일(11,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 우 프로파일(11,12) 사이에는 상기 좌, 우 프로파일(11,12)과 같이 위치하는 중간 프로파일(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 우 프로파일(11,12)과 상기 중간 프로파일(13) 사이에는 상기 사다리(10)를 오르내릴 때 발을 디딜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발판부재(1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전면에는 내부가 빈 공간을 갖는 슬롯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롯부(15)에는 후술할 안전 이동장치(20)의 연결고정부(30)가 삽입 고정됨은 물론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을 따라 안전 이동장치(20)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 슬롯(16)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안전 이동장치(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슬롯부(15)에 형성된 슬롯(16)을 따라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사다리(10)의 발판부재(14)에서 사람의 발이 미끄러지거나 헛 딛는 실수 및 부주의에 의해 사다리(10)로부터 떨어질 때 사람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이동이 멈춰진 상태로 고정되는 연결고정부(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고정부(30)에는 사다리(10)에서 낙하, 추락하는 사람의 안전사고에 대비하도록 상기 사다리(10)를 오르내리는 사람의 신체를 묶어 고정하도록 하는 안전벨트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정부(30)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슬롯부(15)에 형성된 슬롯(16)를 통해 후술할 상기 연결고정부(30)의 각 구성 중 하나인 고정부(320)가 삽입 및 탈거되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연결고정부(30)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외면에 위치하는 본체부(3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310)의 후면에는 상기 슬롯부(15)의 슬롯(16)을 통해 중간 프로파일(13) 내로 삽입 및 탈거됨은 물론 상기 연결고정부(3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슬롯부(15) 내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연결고정부(30)의 미끄러짐을 방지 즉,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3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1310)의 전면 측에 위치하여 안전벨트부(40)가 연결됨은 물론 후술할 착탈링크(334)가 본체부(310)에 탈부착되면서 상기 연결고정부(30)의 이동 및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연결부(3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10)의 전면과 상기 연결부(330)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중간 프로파일(13) 측으로 이동한 고정부(3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후술할 고정부(320)의 체결리브(321) 외면을 감싸는 일정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3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330) 측인 탄성부재(340)의 측방에는 체결리브(3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부(330) 측으로 탄성부재(340)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3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부(310)의 일면에는 상기 탄성부재(34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부(3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부(311) 측인 본체부(310)에는 상기 본체부(310)를 관통하는 결합공(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310)의 외면에는 상기 연결고정부(30)의 이동 및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후술할 연결부(330)의 착탈링크(334) 중 자석(335)가 결합된 제2링크(3342)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 접촉면부(313)가 편평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310)의 저면에는 중간 프로파일(13)의 외면에 접촉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공(312)의 외방 측에 위치하는 밀착돌부(3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310)는 원형이나 타원형은 물론 삼각, 사각, 육각, 팔각 등과 같은 다각형상으로 형성가능하고, 상기 본체부(310)의 외면은 전면과 후면의 외경을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본체부(310)의 전면과 후면 외경을 서로 다르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공(312)은 삼각이나 사각, 육각, 팔각 등과 같은 다각형상 또는, 원형이나 타원형 등과 같은 원형형상 그리고, 불규칙 형상으로 형성가능한데, 이는 후술할 고정부(320)의 체결리브(321)가 결합공(312)에 원활하게 삽입 및 탈거됨은 물론 결합공(312)에 체결리브(321)가 헛돌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부(310)의 전면측인 접촉면부(313)에는 후술할 연결부(330)의 착탈링크(334) 중 하나인 제2링크(3342)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면서 상기 제2링크(3342)에 결합된 자석(335)이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3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314)에는 상기 제2링크(3342)의 외면으로 돌출된 부분의 자석(335)이 경사면(314)에 부착될 때 상기 자석(335)의 결합 위치를 잡아줌은 물론 경사면(314)으로부터 자석(335)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자석위치홈(315)이 내측으로 파여 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접촉면부(313)는 상기 본체부(310)의 일측면에만 형성하거나 또는 도면에서와 같이 본체부(310)를 삽입홈부(311)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응되는 위치인 양측면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310)의 일측면에만 접촉면부(313)를 형성하면 후술할 연결부(330)의 착탈링크(334) 중 하나인 제2링크(3342)에 결합된 자석(335)에 의해 상기 제2링크(3342)는 상기 일측면의 접촉면부(313)에만 탈부착되나, 상기 본체부(310)의 양측면에 접촉면부(313)를 각각 형성하면 후술할 연결부(330)의 착탈링크(334)가 회전하면서 접촉면부(313) 중 어느 하나의 접촉면부(313)에 위치하여 자석(335)에 의해 착탈링크(334)의 제2링크(3342)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접촉면부(313)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상기 안전 이동장치(2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의 고정부(320)는 상기 본체부(310)의 결합공(312) 내로 삽탈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상기 결합공(312)에서 이동가능한 체결리브(3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체결리브(321)의 단부에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슬롯(16)을 통해 중간 프로파일(13) 내로 삽입 및 탈거됨은 물론 상기 연결고정부(30)가 기울어지면 상기 연결고정부(30)와 함께 기울어지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내면 또는, 중간 프로차링(13)의 슬롯부(15) 내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돌부(3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결리브(321)에는 후술할 연결부(330)의 결합돌부(333)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3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리브(321)의 외면은 상기 결합공(312)에 체결리브(321)가 원활하게 삽탈 및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결합공(312)과 동일한 형상 즉, 삼각이나 사각, 육각, 팔각 등과 같은 다각형상 또는, 원형이나 타원형 등과 같은 원형형상 그리고, 불규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부(322)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슬롯(16) 내로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함은 물론 상기 연결고정부(30)가 회전(90°)되었을 때 상기 중간 프로파일(13)로부터 고정돌부(322)가 탈거되지 않고 중간 프로파일(13)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삼각각형이나 사각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상은 물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의 연결부(330)는 판형의 연결몸체(3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몸체(331)의 상부에는 후술할 착탈링크(334)의 제1링크(3341)가 힌지 결합하도록 힌지공(332a)을 갖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힌지고정편(3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몸체(331)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부(320)의 체결리브(321)에 형성된 체결공(321a)으로 삽입되어 볼트 체결되도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힌지고정편(332)에는 상기 사다리(10)의 중간 프로파일(13)에서 연결고정부(30)가 이동 및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310)의 외면에 형성된 접촉면부(313) 또는 접촉면부(313)의 경사면(314)에 탈부착되는 착탈링크(33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착탈링크(334)에는 상기 본체부(310)의 접촉면부(313) 또는 접촉면부(313)의 경사면(314)에 형성된 자석위치홈(315)으로 삽입 위치하면서 상기 착탈링크(334)의 단부를 상기 접촉면부(313) 또는 경사면(314)에 부착시키도록 하는 자석(335)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착탈링크(334)는 상기 한 쌍의 힌지고정편(332)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공(3341a)을 갖는 제1링크(334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링크(3341)의 타단 즉, 한 쌍의 힌지고정편(332)과 반대방향인 제1링크(3341)에는 상기 제1링크(3341)과 함께 회전함은 물론 상기 제1링크(3341)의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2링크(3342)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3342)에는 후술할 안전벨트부(40)의 연결벨트(410)가 연결 결합되는 벨트결합공(33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링크(3342)의 중앙부에는 자석(335)이 삽입되어 상기 제2링크(3342)의 양면으로부터 자석(335)의 양단부가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상기 자석(335)이 삽입되는 자석삽입공(3344)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삽입공(3344)이 형성된 위치인 제2링크(3342)의 측면에는 상기 자석삽입공(3344)으로 삽입된 자석(335)을 결합고정하도록 고정볼트(3346)가 삽입 체결되는 볼트체결공(33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석(335)는 자석삽입공(3344)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체결공(3345)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고정볼트(3346)의 고정력에 의해 제2링크(3342)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볼트체결공(3345)과 동일한 형상으로 자석(335)을 관통하는 나사공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체결공(3345)와 나사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무두나사인 고정볼트(3346)을 삽입 체결하도록 하여 상기 제2링크(3342)에 자석(335)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331)는 상기 회동되는 착탈링크(334)가 상기 연결부(330)의 하부 측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됨은 물론 원형이나 타원형 및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다.
상기의 안전벨트부(4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고정부(30)의 연결부(330)에 구비된 착탈링크(334)의 제2링크(3342)에 형성된 벨트결합공(3343)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고정부(30)에 안전벨트부(40)를 연결하는 연결벨트(4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벨트(410)에는 사다리(10)를 오르내리는 사람을 잡아주도록 상기 사람의 신체를 묶는 고정벨트(420)가 연결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벨트(420)에는 상기 고정벨트(420)의 길이를 조절함은 물론 상기 길이가 조절된 고정벨트(42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길이조절버클부(4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벨트(41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링크(3342)의 벨트결합공(3343)으로부터 빠지지않도록 연결벨트(410)를 여러 번 감아서 박음질한 제1박음부(4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박음부(411)가 형성된 상기 연결벨트(410)의 일단에는 상기 제2링크(3342)의 벨트결합공(3343)으로 상기 연결벨트(410)가 겹쳐진 상태로 삽입되어 끼워지면서 후술할 제1이탈방지고리(430)에 의해 제2링크(3342)에 결합되는 제1연결형성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벨트(410)의 타단부에는 상기 연결벨트(410)를 말은 상태에서 연결벨트(410)에 겹치는 부분을 박음질한 제2박음부(4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형성부(413)의 반대 측인 상기 연결벨트(410)의 타단에는 후술할 고정벨트(420)의 제4연결형성부(424)와 연결 결합되는 제2연결형성부(4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벨트(420)의 일단부에는 길이조절버클부(440)로부터 고정벨트(420)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벨트(420)를 여러 번 감아서 박음질한 제3박음부(4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박음부(421)가 형성된 상기 고정벨트(420)의 일단에는 상기 길이조절버클부(440)에 상기 고정벨트(420)가 겹쳐진 상태로 삽입되어 끼워지면서 후술할 제2이탈방지고리(431)에 의해 길이조절버클부(440)에 결합되는 제3연결형성부(4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벨트(420)의 타단부에는 상기 고정벨트(420)를 말은 상태에서 고정벨트(420)에 겹치는 부분을 박음질한 제4박음부(4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형성부(423)의 반대 측인 상기 고정벨트(420)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벨트(410)의 제2연결형성부(414)가 연결 결합됨은 물론 길이조절버클부(440)에 끼움 결합되는 제4연결형성부(4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연결형성부(423)과 상기 제4연결형성부(424) 사이에는 사다리(10)를 오르내리는 사람의 신체를 잡아주기 위한 고정형성부(4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버클부(440)는 고정벨트(42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형성부(425)의 사이즈를 조절함은 물론 길이가 조절된 고정벨트(42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벨트(420)의 제3,4연결형성부(423,424)가 연결 결합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버클부(440)는 상기 고정벨트(420)의 일단과 타단 즉, 제3,4연결형성부(423,424)가 각각 연결 결합되어 상기 고정벨트(420)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버클판(44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버클판(441)의 측방에는 상기 고정벨트(42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버클판(4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버클판(441)에는 상기 고정벨트(420)의 일단 즉, 제3연결형성부(423)을 형성하도록 고정벨트(42)가 겹쳐진 상태에서 삽입되는 제1형성공(44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형성공(4411)의 측방에는 고정벨트(420)의 타단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벨트(420)의 제4연결형성공(424) 형성 및 상기 제4연결형성공(424)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벨트(420)의 타단이 삽입 통과한 후 제1형성공(441)으로 다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형성공(44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버클판(442)에는 상기 제1형성공(4411)으로 삽입되는 고정벨트(420)의 일단이 삽입되어 제2버클판(442)의 외면을 돌아 상기 제1형성공(4411)을 통과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1형성공(4411)을 통과하도록 삽입됨과 함께 상기 제2형성공(4412)으로 삽입되는 고정벨트(420)의 타단부가 상기 연결벨트(410)의 제2연결형성부(414)를 통과하여 제2버클판(442)의 외면을 돌아서 삽입 통과한 후 제1형성공(4411)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3형성공(44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버클부(440)의 제2버클판(442) 외면 즉, 고정벨트(420)의 일단이 제3형성공(4421)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버클판(442)의 외면을 돌아 제1버클판(441)의 제1형성공(4411)으로 삽입되는 고정벨트(420)가 접촉되는 상기 제2버클판(442)의 외면에는 상기 길이조절버클부(440)에 의해 고정벨트(420)의 길이 조절이 용이함은 물론 길이가 조절된 상태의 고정벨트(420)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고정벨트(42)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하는 풀림방지형상부(44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풀림방지형상부(4422)는 고정벨트(42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 외면을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부면에 반원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연결벨트(410)의 일단 측에는 상기 착탈링크(334)의 제2링크(3342)에 연결 결합된 연결벨트(410)가 상기 제2링크(334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벨트(410)의 제1연결형성부(413)에 결합되는 제1이탈방지고리(4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벨트(420)의 일단 측에는 상기 길이조절버클부(440)에 연결 결합된 고정벨트(410)가 상기 길이조절버클부(4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길이조절버클부(44))에 끼워지면서 형성되는 고정벨트(420)의 제4연결형성부(424)에 결합되는 제2이탈방지고리(43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건물 위로 올라가서 작업을 하기 위해 좌, 우 프로파일(11,12)과 중간 프로파일(13) 및 복수 개의 발판부재(14)가 구비된 사다리(10)를 거치한다.
그런 다음, 사람(작업자)의 신체에 안전 이동장치(20)의 안전벨트부(40)를 묶어 고정하고 나서 상기 안전 이동장치(20)의 연결고정부(30)를 상기 사다리(10)의 중간 프로파일(13)에 연결 결합한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고정부(30)의 본체부(310)에 결합된 연결부(330)에 힘을 가해 본체부(310) 측으로 누르면, 상기 연결부(330)와 체결 결합된 고정부(320)는 본체부(310)의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즉, 상기 본체부(31)의 결합공(312) 내에 삽입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320)의 체결리브(321)은 상기 결합공(312)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리브(321)에 결합된 고정돌부(322)로 중간 프로파일(13)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하는 고정돌부(322)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에 구비된 슬롯부(15)의 슬롯(16)으로 삽입하여 도 5에서와 같은 상태로 위치된다.
상기 슬롯(16)을 통해 슬롯부(15) 내로 삽입된 고정돌부(322)가 중간 프로파일(13)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고정부(30)를 회전 즉, 90°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6에서와 같은 상태로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33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340)에 의해 연결부(330) 및 고정부(32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돌부(322)는 중간 프로파일(13)의 내면 또는 슬롯부(15)의 내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310)의 저면에 형성된 밀착돌부(316)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외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연결고정부(30)는 중간 프로파일(13)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고정부(30)의 본체부(310) 외면에 형성된 접촉면부(313)에는 연결부(33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착탈링크(334)의 제2링크(3342)가 부착 즉, 제2링크(3342)에 결합된 자석(335)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접촉면부(313) 또는 접촉면부(313)의 경사면(314)에 상기 제2링크(3342)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사다리(10)의 중간 프로파일(13)에 상기 안전 이동장치(20)의 연결고정부(30)가 연결 결합됨과 함께 상기 사람의 신체를 묶어 고정하는 안전벨트부(40)가 연결고정부(30)에 연결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사다리(10)를 오르내릴 때 상기 사람이 연결고정부(30)를 잡고 중간 프로파일(13)의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안전하게 사다리(10)를 오르내린다.
한편, 상기 안전 이동장치(20)는 상기의 사다리(10)를 사람이 오르내릴 때 상기 사람의 실수나 부주의에 의해 상기 사다리(10)의 각 프로파일(11,12,13) 및 각 발판부재(14)를 잡거나 밟고 있던 사람의 손이나 발이 미끄러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한다.
상기 안전 이동장치(20)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사다리(10)로부터 사람이 떨어지게 되면 상기 떨어지는 사람의 하중에 의해 상기 사람의 신체를 묶어 고정하는 안전벨트부(40)와 연결 결합되어 있던 상기 연결고정부(30)의 착탈링크(334)의 제2링크(3342)가 당겨진다.
그러면, 자석(335)의 자력에 의해 상기 연결고정부(30)의 본체부(310) 외면에 형성된 접촉면부(313)에 부착되어 있던 상기 착탈링크(334)의 제2링크(3342)는 제1링크(3341)의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접촉면부(313)로부터 떨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동된느 제2링크(3342)에 의해 상기 연결부(330)와 고정부(320) 및 본체부(310) 즉, 연결고정부(20) 전체가 당겨지면서 상기 사다리(10)의 중간 프로파일(13)로부터 연결고정부(20)가 도 7에서와 같은 상태로 기울어진다.
상기 기울어지는 연결고정부(20)의 고정부(320)의 고정돌부(322)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내면 또는 슬롯부(15)의 내면에 밀착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외면에 상기 본체부(310)의 저면 또는 본체부(310)의 저면에 형성된 밀착돌부(316)가 밀착 접촉됨에 따라 상기 연결고정부(20)는 중간 프로파일(13)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벨트부(40)의 고정벨트(420)는 사람의 신체가 묶어 고정함은 물론 제1,2버클판(441,442)로 구성된 길이조절버클부(440)에 고정벨트(420)가 길이 조절 및 고정벨트(420)의 풀림이 방지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사다리(10)로부터 떨어지는 사람은 안전벨트부(40)에 의하여 지상으로 낙하, 추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중간 프로파일(13)에 연결고정부(3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됨은 물론 상기 안전벨트부(40)가 사람의 신체를 묶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사다리(10)에서 미끄러지는 사람은 연결고정부(30)와 안전벨트부(40)에 의해 사다리(10)에 매달려짐에 따라 지상으로 낙하, 추락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사다리(10)의 중간 프로파일(13)로부터 안전 이동장치(2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연결고정부(30)의 연결부(330)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연결고정부(30) 전체를 회전 즉, 90°으로 회전시켜 도 6에서와 같은 상태의 고정부(320)의 고정돌부(322)를 도 5에서와 같은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상기 중간 프로파일(13)의 슬롯부(15)에 형성된 슬롯(16)을 통해 고정돌부(322)를 빼내어 상기 사다리(10)로부터 안전 이동장치(20)를 분리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0: 사다리 11,12,13: 좌,우,중간 프로파일
14: 발판부재 15: 슬롯부
16: 슬롯 20: 안전 이동장치
30: 연결고정부 40: 안전벨트부
310: 본체부 311: 삽입홈부
312: 결합공 313: 접촉면부
314: 경사면 315: 자석위치홈
316: 밀착돌부 320: 고정부
321: 체결리브 322: 고정돌부
330: 연결부 331: 연결몸체
332: 힌지편 333: 결합돌부
334: 착탈링크 335: 자석
340: 탄성부재 350: 와셔
410: 연결벨트 411,412: 제1,2박음부
413,414: 제1,2연결형성부 420: 고정벨트
421,422: 제3,4박음부 423,424: 제3,4연결형성부
425: 고정형성부 430,431: 제1,2이탈방지고리
440: 길이조절버클부 441,442: 제1,2버클판
3341,3342: 제1,2링크 3341a: 힌지공
3343: 벨트결합공 3344: 자석삽입공
3345: 볼트체결공 3346: 고정볼트
4411,4412,4421: 제1,2,3형성공 4422: 풀림방지형상부

Claims (6)

  1. 좌, 우 프로파일과, 좌, 우 프로파일 사이에 설치되어 전면에 길이방향의 슬롯을 갖는 슬롯부가 형성된 중간 프로파일 및, 각 프로파일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발판부재가 구비된 사다리; 상기 사다리의 중간 프로파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다리의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안전 이동장치;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의 안전 이동장치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의 슬롯부를 통해 삽입되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중간 프로파일을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함은 물론 상기 사다리에서 사람이 떨어질 때 사람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중간 프로파일에 고정되는 연결고정부; 상기 연결고정부에 연결 결합되어 사다리를 오르내리는 사람의 신체를 묶어 고정하도록 하는 안전벨트부;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고정부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일면에 형성되는 삽입홈부와, 상기 삽입홈부에서부터 관통된 다각형상의 결합공 및, 외면에 편평한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면부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결합공 내로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체결공을 갖는 다각형상의 체결리브와, 상기 체결리브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 프로파일의 슬롯을 통해 상기 중간 프로파일 내로 삽입 및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중간 프로파일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돌부가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공을 갖는 한 쌍의 힌지고정편과, 상기 연결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고정부의 체결리브에 볼트 체결되는 결합돌부와, 상기 한 쌍의 힌지고정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의 접촉면부에 탈부착되는 착탈링크와, 상기 착탈링크에 결합되어 접촉면부에 착탈링크의 단부를 부착시키는 자석이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본체부의 삽입홈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의 연결몸체에 타단이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체결리브 외면을 감싸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의 착탈링크는, 연결부의 연결몸체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고정편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공을 갖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중앙부에 자석이 삽입되는 자석삽입공과, 측면에는 자석삽입공으로 삽입된 자석을 결합고정하도록 고정볼트가 삽입 체결되는 볼트체결공과, 안전벨트부가 연결 결합되는 벨트결합공이 형성되는 제2링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부의 접촉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만 연결부의 착탈링크가 자석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회전한 착탈링크가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에 자석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안전벨트부는, 일단에 형성되어 연결고정부의 연결부에 구비된 착탈링크에 연결 결합되는 제1연결형성부와, 상기 제1연결형성부의 반대 측인 타단에 형성되는 제2연결형성부가 구비되는 연결벨트;
    상기 연결벨트에 연결 결합되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제3연결형성부와, 상기 제3연결형성부의 반대 측인 타단에 형성되어 길이조절버클부에 결합됨은 물론 제2연결형성부가 연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4연결형성부와, 상기 제3연결형성부와 제4연결형성부 사이에 형성되어 사다리를 오르내리는 사람의 신체를 잡아주도록 고정형성부가 구비되는 고정벨트;
    상기 고정벨트의 일단이 제3연결형성부를 형성한 상태로 결합됨과 함께 고정벨트의 제4연결형성부가 연결 결합되어 상기 고정벨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형성부의 사이즈를 조절함은 물론 상기 길이가 조절된 고정벨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길이조절버클부;
    상기 연결벨트의 일단 측에 설치되어 착탈링크로부터 연결벨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벨트의 제1연결형성부에 결합되는 제1이탈방지고리;
    상기 길이조절버클부에 끼워지면서 형성되는 고정벨트의 제3연결형성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벨트가 길이조절버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2이탈방지고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길이조절버클부는, 고정벨트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 결합되어 상기 고정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버클판; 상기 제1버클판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벨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버클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버클판은, 상기 고정벨트의 일단이 겹쳐진 상태에서 삽입되는 제1형성공과, 상기 제1형성공의 측방에 형성되어 고정벨트의 타단이 삽입 통과한 후 제1형성공으로 다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형성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버클판에는 상기 제1형성공으로 삽입되는 고정벨트의 일단이 삽입되어 제2버클판의 외면을 돌아 제1형성공으로 삽입됨과 함께 상기 제2형성공으로 삽입되는 고정벨트의 타단이 연결벨트의 제2연결형성부를 통과하여 제2버클판의 외면을 돌아서 삽입 통과한 후 제1형성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3형성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
KR2020130002340U 2013-03-28 2013-03-28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 KR200476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40U KR200476858Y1 (ko) 2013-03-28 2013-03-28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40U KR200476858Y1 (ko) 2013-03-28 2013-03-28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48U KR20140005248U (ko) 2014-10-08
KR200476858Y1 true KR200476858Y1 (ko) 2015-04-17

Family

ID=5245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340U KR200476858Y1 (ko) 2013-03-28 2013-03-28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3369A (zh) * 2019-01-07 2019-05-07 河南嘉瑞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登杆作业装置及其登杆方法
CN110952912B (zh) * 2019-12-19 2021-05-04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无极县供电分公司 一种用于电力检修的攀爬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325B2 (ja) * 1988-11-04 1994-08-10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ロープ引込み装置付安全帯
JPH11333012A (ja) * 1998-05-27 1999-12-07 Sankoo Kk ハーネスの長さ調節用バックル
JP2010119656A (ja) * 2008-11-20 2010-06-03 Fujii Denko Co Ltd 墜落防止用安全装置
KR20120005546U (ko) *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선광 엠 파 사다리용 추락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325B2 (ja) * 1988-11-04 1994-08-10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ロープ引込み装置付安全帯
JPH11333012A (ja) * 1998-05-27 1999-12-07 Sankoo Kk ハーネスの長さ調節用バックル
JP2010119656A (ja) * 2008-11-20 2010-06-03 Fujii Denko Co Ltd 墜落防止用安全装置
KR20120005546U (ko) *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선광 엠 파 사다리용 추락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48U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2002C (en) Suspended anchored climbing device with safety features
US8381876B1 (en) Tree climbing tree stand
US7849964B2 (en) Climbing tree stand and game cart
US2920714A (en) Safety device for pole climbers
US20100051382A1 (en) Fall arrest system for climbers of a wooden structure
US20110290586A1 (en) Fall Restrict Device
CA2764810A1 (en) Safety device
KR200476858Y1 (ko) 사다리용 안전 이동장치
US20210196995A1 (en) Suspension cable wall anchoring device
US10895109B2 (en) Step extension assembly for tree stand and kit including the same
KR101562227B1 (ko) 맨홀의 안전한 출입과 보행자 추락보호를 위한 다기능 맨홀 안전대
KR200465639Y1 (ko) 사다리용 추락방지구조
KR200475244Y1 (ko) 사다리용 안전이동장치
US6286625B1 (en) Rope climbing device
US20050161284A1 (en) Safety device
US7287623B2 (en) Adjustable tree stand with power drive
AU2020234999B2 (en) System for securing an upright ladder
WO2014133879A1 (en) Platforms, exercise devices, and methods for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US10583064B1 (en) Stairway descending assistance device
KR20150000916U (ko) 절첩식 사다리의 절첩장치
EP2194224A1 (en) Protection device for ladders
JP7033890B2 (ja) 高所作業用三脚における閉脚防止装置
US10925278B1 (en) Stabilized, collapsible portable support platform
CA2676507A1 (en) Fall arrest system for climbers of a wooden structure
EP2814442A1 (en) Physical aid device with a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