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795Y1 -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 Google Patents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6795Y1 KR200476795Y1 KR20110001910U KR20110001910U KR200476795Y1 KR 200476795 Y1 KR200476795 Y1 KR 200476795Y1 KR 20110001910 U KR20110001910 U KR 20110001910U KR 20110001910 U KR20110001910 U KR 20110001910U KR 200476795 Y1 KR200476795 Y1 KR 20047679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pull
- inlet
- latch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따르면 전기기기 수납용 지상기기에 있어서, 지상기기를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부 및 인상부가 삽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하되, 인상부는 인입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인상 고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따르면 전기기기 수납용 지상기기에 있어서, 지상기기를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부 및 인상부가 삽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하되, 인상부는 인입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인상 고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생산하는 큰 발전소는 대부분 전력을 공급받는 수요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멀리 떨어져있는 수요지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긴 송전선으로 큰 전력을 수송해야 한다. 발전소와 수요지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발전소의 송전 전압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높은 송전 전압은 너무 높기 때문에 그대로 전기 시설에 사용될 수 없다. 신호등, 가로등과 같은 각종 교통기구 등과 같은 전기 시설에 사용되기 위해서 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변압기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변압기는 캐비닛 등과 같은 지상기기 내부에 설치되어 전압을 수용할 수 있다. 지상기기는 지면 상에 설치되고, 이동 시, 인상 설비에 의해서 인상되어 이동될 수 있다. 지상기기 인상 시, 인상 설비와 연결되는 인상 고리는 탈부착 형태의 구조로 측면에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측면에 돌출된 인상 고리를 부착하기 위한 별도 공간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인상부가 내부에 매립된 형태를 갖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미관이 개선된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기기 수납용 지상기기에 있어서, 지상기기를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부 및 인상부가 삽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하되, 인상부는 인입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인상 고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가 제공된다.
인입부는 인상부를 관통하는 걸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상부는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홈 및 걸쇠를 중심으로 인상부가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걸쇠는 가이드홈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인상부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의 하단면은 매립형 지상기기의 외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인입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은 배출부를 통해서 매립형 지상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인입부 및 인상부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인입부 및 인상부는 지상기기의 상부의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는 인상부가 내부에 매립되어 미관이 개선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는 인상부가 내부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인상부를 항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상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 및 인상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 및 인상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인상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상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 및 인상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 및 인상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인상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이물질 내지 대체이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130)는 외부의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부가 삽입된다.
지상기기의 인입부(130)는 제1 인입부(110) 및 제2 인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상부 지상기기 상부(101)는 인입부(130)에서 인상부(도 2의 200)가 인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인입부(130)와 접하는 부분의 모서리 따기를 할 수 있다.
제1 인입부(11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상부(101)에 형성된다. 제1 인입부(110)는 상부(101)을 높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인입부(110)는 상부(101) 외측으로부터 임의의 거리가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측면부(102)에 형성된다. 제2 인입부(120)는 측면부(102)에 임의의 높이 방향으로 중공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제1 인입부(11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인입부(120)는 제1 인입부(110)의 하부에 해당하는 측면부(102)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제1 걸쇠(121)를 포함한다. 제1 걸쇠(121)는 제2 인입부(12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걸쇠(121)는 제2 인입부(120) 내부에 위치하여 제2 인입부(120) 내부를 상하로 분리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쇠(121)는 인상부(미도시)를 관통하는 형태로 인상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걸쇠(121)가 인상부(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인상부(미도시)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인입부(110) 및 제2 인입부(120)는 인상부(미도시)가 동시에 관통 및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한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인상부(미도시)는 도2를 통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상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인상부(20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 고리가 장착된다.
도2를 참고하면, 인상부(200)는 인상홈(210) 및 가이드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상부(200)는 제1 인입부(도1의 110) 및 제2 인입부(도1의 120)를 관통 및 삽입될 수 있다.
인상부(200)의 인상홈(210)은 인상부(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인상홈(210)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인상 시, 인상 설비의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인상홈(210)의 형태가 원형이지만, 인상홈(2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인상홈(210)에 장착되는 인상 고리의 모양 또는 크기에 따라 인상홈(210)의 모양 또는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인상부(200)는 상부 양 모서리 근방에 인상고리 구멍을 형성하여 인상홈(210)에 인상고리를 장착하기 위하여 인상부(200)를 인입부(130)에서 인출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다.
인상부(200)의 가이드홈(220)은 인상부(2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홈(220)은 인상홈(210)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은 제2 인입부(도1의 120)의 제1 걸쇠(도3의 121)가 관통되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걸쇠(도3의 121)의 단면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가이드홈(220)의 형태가 직사각형이지만, 가이드홈(22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이드홈(220)의 형태는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다.
가이드홈(220)은 제2 인입부(도1의 120)의 제1 걸쇠(도3의 121)가 이동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홈(22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상부(200)는 제1 걸쇠(도3의 121)를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인상부(200)는 가이드홈(220)에 삽입된 제1 걸쇠(도3의 121)에 의해서 인상부(200)가 제1 인입부(도1의 110) 또는 제2 인입부(도1의 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의 높이는 제1 걸쇠(도3의 121)가 가이드홈(220) 하단에 위치할 경우, 인상홈(21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상부(도1의 101) 위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가 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220)의 높이는 제1 걸쇠(도3의 121)가 가이드홈(220) 상단에 위치할 경우, 인상부(200)가 완전히 제1 인입부(도1의 110) 및 제2 인입부(도1의 120) 삽입될 수 있을 정도가 될 수 있다.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 및 인상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에 인상부가 삽입된 예시도이다.
도3을 참고하면, 인상부(200)가 제1 인입부(110) 및 제2 인입부(120)에 완전 삽입됐을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인상부(200)는 제1 인입부(110) 및 제2 인입부(120)를 관통 및 삽입된다. 즉, 인상부(200)는 제1 인입부(110)를 관통한 형태로 제2 인입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인입부(120)의 제1 걸쇠(121)는 가이드홈(2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로부터 인상부가 돌출된 예시도이다.
도4를 참고하면, 인상부(200)가 상부(101) 위로 끌어 올려졌을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인상부(200)는 외부의 힘에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상부(101) 위로 끌어올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상부(20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인상하는 인상장비에 의해서 위로 끌어 올려질 수 있다. 이때, 인상부(200)가 완전히 끌어올려지면, 제2 인입부(120)의 제1 걸쇠(121)는 가이드홈(22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5를 참고하면,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는 인입부(130), 배출부(140) 및 인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130)는 제1 인입부(110), 제2 인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입부(11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상부(101)에 형성된다. 제1 인입부(110)는 상부(101)을 높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측면부(102)에 형성된다. 제2 인입부(120)는 측면부(102)에 임의의 높이 방향으로 중공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제1 인입부(110)의 하부에 해당하는 측면부(102)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의 내부에는 제1 걸쇠(1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걸쇠(121)는 제2 인입부(120) 내부에 위치하여 제2 인입부(120) 내부를 상하로 분리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의 하단은 임의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입부(120)의 하단은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40)는 제2 인입부(120)의 하단과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측면부(102)의 외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부(140)는 제2 인입부(120)의 하단과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140)는 제2 인입부(120)의 하단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부(140)의 형태는 제2 인입부(120) 하단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배출부(140)는 제2 인입부(120)에 유입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출부(140)를 통해서 제2 인입부(120)로 유입된 빗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인상부(200)는 인상홈(210) 및 가이드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상홈(210)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인상 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인상부(20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은 인상홈(2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은 제2 인입부(120)의 제1 걸쇠(121)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인상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6을 참고하면,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는 인입부(130), 배출부(140) 및 인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130)는 제1 인입부(110), 제2 인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입부(11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상부(101)에 형성된다. 제1 인입부(110)는 상부(101)을 높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측면부(102)에 형성된다. 제2 인입부(120)는 측면부(102)에 임의의 높이 방향으로 중공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제1 인입부(110)의 하부에 해당하는 측면부(102)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의 내부에는 제2 걸쇠(1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걸쇠(122)는 제2 인입부(120) 내부에 위치하여 제2 인입부(120) 내부를 상하로 분리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쇠(122)는 'ㄷ'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쇠(122)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인상부 삽입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인상부 삽입홈(123)의 높이는 인상부(20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걸쇠(122)의 하단에는 인상부 삽입홈(123)과 제2 인입부(120)의 내부와 연결되는 인상부 삽입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인상부 삽입구(124)의 너비는 인상부(2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인상부 삽입구(124)를 통해서 인상부(200)가 인상부 삽입홈(123)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걸쇠(122)에 인상부(200)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 걸쇠(122)의 상부는 제2 인입부(120)의 내부를 상하로 분리하도록 형성되고, 제2 걸쇠(122)의 하부는 제2 걸쇠(122)의 상부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의 하단은 임의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입부(120)의 하단은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40)는 제2 인입부(120)의 하단과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측면부(102)의 외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부(140)는 제2 인입부(120)의 하단과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출부(140)를 통해서 제2 인입부(120)로 유입된 빗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인상부(200)는 인상홈(210) 및 가이드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상홈(210)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인상 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인상부(20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은 인상홈(2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은 제2 인입부(120)의 제1 걸쇠(121)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상부(200)는 제2 걸쇠(122)에 장착될 수 있다. 인상부(200)가 상 방향으로 이동 시, 가이드홈(220)의 하부와 인상부(200) 밑단이 제2 걸쇠(122)의 인상부 삽입홈(123)에 고정될 수 있다.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7을 참고하면,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는 다수개의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의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의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는 각 모서리에 형성 될 수 있다.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됨으로써,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가 인상 시, 안정적으로 인상 되도록 할 수 있다.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가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일뿐,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에 형성된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에 형성되는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의 개수 또는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가 형성되는 위치는 당업자에 의해서 변경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101: 상부
102: 측면부 110: 제1인입부
120: 제2 인입부 121: 제1 걸쇠
122: 제2 걸쇠 123: 인상부 삽입홈
124: 인상부 삽입구 130: 인입부
140: 배출부 200: 인상부
210: 인상홈 220: 가이드홈
102: 측면부 110: 제1인입부
120: 제2 인입부 121: 제1 걸쇠
122: 제2 걸쇠 123: 인상부 삽입홈
124: 인상부 삽입구 130: 인입부
140: 배출부 200: 인상부
210: 인상홈 220: 가이드홈
Claims (7)
- 전기기기 수납용 지상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상기기를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부; 및
상기 인상부가 삽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상부는 상기 인입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인상 고리에 장착되고,
상기 인입부는 상기 인상부를 관통하는 걸쇠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상부는
상기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홈; 및
상기 걸쇠를 중심으로 상기 인상부가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 기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인상부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 전기기기 수납용 지상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상기기를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부; 및
상기 인상부가 삽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상부는 상기 인입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인상 고리에 장착되고,
상기 인입부의 하단면은 상기 지상기기의 외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입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은 상기 배출부를 통해서 상기 지상기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 및 상기 인상부는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 및 상기 인상부는 상기 지상기기의 상부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01910U KR200476795Y1 (ko) | 2011-03-08 | 2011-03-08 |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01910U KR200476795Y1 (ko) | 2011-03-08 | 2011-03-08 |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6405U KR20120006405U (ko) | 2012-09-18 |
KR200476795Y1 true KR200476795Y1 (ko) | 2015-04-14 |
Family
ID=5303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10001910U KR200476795Y1 (ko) | 2011-03-08 | 2011-03-08 |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6795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1225U (ko) * | 1993-06-11 | 1995-01-04 | 매입형 고리 개방식 로프 훅(rope hook) | |
KR200194780Y1 (ko) | 2000-04-04 | 2000-09-01 | 서한전기주식회사 | 배전반의 차단기 체결구조 |
KR100754769B1 (ko) | 2007-04-03 | 2007-09-04 | 홍정애 | 특고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수변전 장치 |
KR20090119539A (ko) * | 2008-05-16 | 2009-11-19 | 이한신 | 변전실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형 수배전반 |
-
2011
- 2011-03-08 KR KR20110001910U patent/KR20047679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1225U (ko) * | 1993-06-11 | 1995-01-04 | 매입형 고리 개방식 로프 훅(rope hook) | |
KR200194780Y1 (ko) | 2000-04-04 | 2000-09-01 | 서한전기주식회사 | 배전반의 차단기 체결구조 |
KR100754769B1 (ko) | 2007-04-03 | 2007-09-04 | 홍정애 | 특고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수변전 장치 |
KR20090119539A (ko) * | 2008-05-16 | 2009-11-19 | 이한신 | 변전실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형 수배전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6405U (ko) | 2012-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202008012002U1 (de) | Leuchte mit LED-Einheiten | |
CN104242189A (zh) | 电气接线盒 | |
KR200476795Y1 (ko) |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 |
US20160097482A1 (en) | Generator stand | |
AU2012100075A4 (en) | Solar tile structure | |
CN103711359B (zh) | 栅栏组装用弹性非金属卡接圈 | |
KR101454188B1 (ko) | 지중배전설비 매립형 맨홀 | |
KR100539704B1 (ko) | 조립접이식 피뢰침 | |
CN218959555U (zh) | 一种集水托盘 | |
CN205756741U (zh) | 一种具有自动清理功能的灭虫装置 | |
KR101056169B1 (ko) |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급전장치용 페라이트코어 모듈 | |
CN212129669U (zh) | 一种人造石墙板 | |
CN107002455B (zh) | 通风格栅 | |
CN209104649U (zh) | 一种组装式户外箱 | |
KR101732410B1 (ko) | 해상구조물용 지지기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 |
CN201146354Y (zh) | 埋入式多功能墙壁专用暗装插座 | |
CN110424301A (zh) | 一种用于农村公路的便拆装稳固护栏设备 | |
CN220068355U (zh) | 一种组合式横梁花箱 | |
CN208502111U (zh) | 一种仿木护栏用连接件 | |
CN204456198U (zh) | 一种有序型检查井 | |
CN203102209U (zh) | 红外触摸屏框架 | |
CN106356795A (zh) | 线缆保护组件及线缆保护装置 | |
CN203094656U (zh) | 一种可调节高度的花卉运输台车 | |
CN204166174U (zh) | 一种光缆接线盒 | |
CN209386902U (zh) | 一种射击训练用起倒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