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795Y1 -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 Google Patents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795Y1
KR200476795Y1 KR20110001910U KR20110001910U KR200476795Y1 KR 200476795 Y1 KR200476795 Y1 KR 200476795Y1 KR 20110001910 U KR20110001910 U KR 20110001910U KR 20110001910 U KR20110001910 U KR 20110001910U KR 200476795 Y1 KR200476795 Y1 KR 200476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pull
inlet
latch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01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405U (ko
Inventor
장정일
김재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110001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79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7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따르면 전기기기 수납용 지상기기에 있어서, 지상기기를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부 및 인상부가 삽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하되, 인상부는 인입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인상 고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Machinery Box with buried pulled part}
본 고안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생산하는 큰 발전소는 대부분 전력을 공급받는 수요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멀리 떨어져있는 수요지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긴 송전선으로 큰 전력을 수송해야 한다. 발전소와 수요지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발전소의 송전 전압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높은 송전 전압은 너무 높기 때문에 그대로 전기 시설에 사용될 수 없다. 신호등, 가로등과 같은 각종 교통기구 등과 같은 전기 시설에 사용되기 위해서 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변압기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변압기는 캐비닛 등과 같은 지상기기 내부에 설치되어 전압을 수용할 수 있다. 지상기기는 지면 상에 설치되고, 이동 시, 인상 설비에 의해서 인상되어 이동될 수 있다. 지상기기 인상 시, 인상 설비와 연결되는 인상 고리는 탈부착 형태의 구조로 측면에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측면에 돌출된 인상 고리를 부착하기 위한 별도 공간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인상부가 내부에 매립된 형태를 갖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미관이 개선된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기기 수납용 지상기기에 있어서, 지상기기를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부 및 인상부가 삽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하되, 인상부는 인입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인상 고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가 제공된다.
인입부는 인상부를 관통하는 걸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상부는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홈 및 걸쇠를 중심으로 인상부가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걸쇠는 가이드홈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인상부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의 하단면은 매립형 지상기기의 외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인입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은 배출부를 통해서 매립형 지상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인입부 및 인상부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인입부 및 인상부는 지상기기의 상부의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는 인상부가 내부에 매립되어 미관이 개선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는 인상부가 내부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인상부를 항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상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 및 인상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 및 인상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인상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이물질 내지 대체이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130)는 외부의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부가 삽입된다.
지상기기의 인입부(130)는 제1 인입부(110) 및 제2 인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상부 지상기기 상부(101)는 인입부(130)에서 인상부(도 2의 200)가 인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인입부(130)와 접하는 부분의 모서리 따기를 할 수 있다.
제1 인입부(11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상부(101)에 형성된다. 제1 인입부(110)는 상부(101)을 높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인입부(110)는 상부(101) 외측으로부터 임의의 거리가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측면부(102)에 형성된다. 제2 인입부(120)는 측면부(102)에 임의의 높이 방향으로 중공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제1 인입부(11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인입부(120)는 제1 인입부(110)의 하부에 해당하는 측면부(102)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제1 걸쇠(121)를 포함한다. 제1 걸쇠(121)는 제2 인입부(12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걸쇠(121)는 제2 인입부(120) 내부에 위치하여 제2 인입부(120) 내부를 상하로 분리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쇠(121)는 인상부(미도시)를 관통하는 형태로 인상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걸쇠(121)가 인상부(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인상부(미도시)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인입부(110) 및 제2 인입부(120)는 인상부(미도시)가 동시에 관통 및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한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인상부(미도시)는 도2를 통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상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인상부(20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 고리가 장착된다.
도2를 참고하면, 인상부(200)는 인상홈(210) 및 가이드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상부(200)는 제1 인입부(도1의 110) 및 제2 인입부(도1의 120)를 관통 및 삽입될 수 있다.
인상부(200)의 인상홈(210)은 인상부(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인상홈(210)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인상 시, 인상 설비의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인상홈(210)의 형태가 원형이지만, 인상홈(2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인상홈(210)에 장착되는 인상 고리의 모양 또는 크기에 따라 인상홈(210)의 모양 또는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인상부(200)는 상부 양 모서리 근방에 인상고리 구멍을 형성하여 인상홈(210)에 인상고리를 장착하기 위하여 인상부(200)를 인입부(130)에서 인출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다.
인상부(200)의 가이드홈(220)은 인상부(2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홈(220)은 인상홈(210)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은 제2 인입부(도1의 120)의 제1 걸쇠(도3의 121)가 관통되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걸쇠(도3의 121)의 단면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가이드홈(220)의 형태가 직사각형이지만, 가이드홈(22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이드홈(220)의 형태는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다.
가이드홈(220)은 제2 인입부(도1의 120)의 제1 걸쇠(도3의 121)가 이동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홈(22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상부(200)는 제1 걸쇠(도3의 121)를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인상부(200)는 가이드홈(220)에 삽입된 제1 걸쇠(도3의 121)에 의해서 인상부(200)가 제1 인입부(도1의 110) 또는 제2 인입부(도1의 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의 높이는 제1 걸쇠(도3의 121)가 가이드홈(220) 하단에 위치할 경우, 인상홈(21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상부(도1의 101) 위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가 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220)의 높이는 제1 걸쇠(도3의 121)가 가이드홈(220) 상단에 위치할 경우, 인상부(200)가 완전히 제1 인입부(도1의 110) 및 제2 인입부(도1의 120) 삽입될 수 있을 정도가 될 수 있다.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 및 인상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에 인상부가 삽입된 예시도이다.
도3을 참고하면, 인상부(200)가 제1 인입부(110) 및 제2 인입부(120)에 완전 삽입됐을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인상부(200)는 제1 인입부(110) 및 제2 인입부(120)를 관통 및 삽입된다. 즉, 인상부(200)는 제1 인입부(110)를 관통한 형태로 제2 인입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인입부(120)의 제1 걸쇠(121)는 가이드홈(2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인입부로부터 인상부가 돌출된 예시도이다.
도4를 참고하면, 인상부(200)가 상부(101) 위로 끌어 올려졌을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인상부(200)는 외부의 힘에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상부(101) 위로 끌어올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상부(20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인상하는 인상장비에 의해서 위로 끌어 올려질 수 있다. 이때, 인상부(200)가 완전히 끌어올려지면, 제2 인입부(120)의 제1 걸쇠(121)는 가이드홈(22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5를 참고하면,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는 인입부(130), 배출부(140) 및 인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130)는 제1 인입부(110), 제2 인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입부(11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상부(101)에 형성된다. 제1 인입부(110)는 상부(101)을 높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측면부(102)에 형성된다. 제2 인입부(120)는 측면부(102)에 임의의 높이 방향으로 중공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제1 인입부(110)의 하부에 해당하는 측면부(102)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의 내부에는 제1 걸쇠(1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걸쇠(121)는 제2 인입부(120) 내부에 위치하여 제2 인입부(120) 내부를 상하로 분리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의 하단은 임의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입부(120)의 하단은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40)는 제2 인입부(120)의 하단과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측면부(102)의 외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부(140)는 제2 인입부(120)의 하단과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140)는 제2 인입부(120)의 하단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부(140)의 형태는 제2 인입부(120) 하단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배출부(140)는 제2 인입부(120)에 유입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출부(140)를 통해서 제2 인입부(120)로 유입된 빗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인상부(200)는 인상홈(210) 및 가이드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상홈(210)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인상 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인상부(20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은 인상홈(2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은 제2 인입부(120)의 제1 걸쇠(121)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인상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6을 참고하면,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는 인입부(130), 배출부(140) 및 인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130)는 제1 인입부(110), 제2 인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입부(11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상부(101)에 형성된다. 제1 인입부(110)는 상부(101)을 높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측면부(102)에 형성된다. 제2 인입부(120)는 측면부(102)에 임의의 높이 방향으로 중공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는 제1 인입부(110)의 하부에 해당하는 측면부(102)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의 내부에는 제2 걸쇠(1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걸쇠(122)는 제2 인입부(120) 내부에 위치하여 제2 인입부(120) 내부를 상하로 분리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쇠(122)는 'ㄷ'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쇠(122)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인상부 삽입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인상부 삽입홈(123)의 높이는 인상부(20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걸쇠(122)의 하단에는 인상부 삽입홈(123)과 제2 인입부(120)의 내부와 연결되는 인상부 삽입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인상부 삽입구(124)의 너비는 인상부(2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인상부 삽입구(124)를 통해서 인상부(200)가 인상부 삽입홈(123)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걸쇠(122)에 인상부(200)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 걸쇠(122)의 상부는 제2 인입부(120)의 내부를 상하로 분리하도록 형성되고, 제2 걸쇠(122)의 하부는 제2 걸쇠(122)의 상부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120)의 하단은 임의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입부(120)의 하단은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40)는 제2 인입부(120)의 하단과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측면부(102)의 외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부(140)는 제2 인입부(120)의 하단과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출부(140)를 통해서 제2 인입부(120)로 유입된 빗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인상부(200)는 인상홈(210) 및 가이드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상홈(210)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를 인상 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인상부(20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은 인상홈(2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은 제2 인입부(120)의 제1 걸쇠(121)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상부(200)는 제2 걸쇠(122)에 장착될 수 있다. 인상부(200)가 상 방향으로 이동 시, 가이드홈(220)의 하부와 인상부(200) 밑단이 제2 걸쇠(122)의 인상부 삽입홈(123)에 고정될 수 있다.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7을 참고하면,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는 다수개의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의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의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는 각 모서리에 형성 될 수 있다.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가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됨으로써,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가 인상 시, 안정적으로 인상 되도록 할 수 있다.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가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일뿐,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에 형성된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100)에 형성되는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의 개수 또는 인입부(130) 및 인상부(200)가 형성되는 위치는 당업자에 의해서 변경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101: 상부
102: 측면부 110: 제1인입부
120: 제2 인입부 121: 제1 걸쇠
122: 제2 걸쇠 123: 인상부 삽입홈
124: 인상부 삽입구 130: 인입부
140: 배출부 200: 인상부
210: 인상홈 220: 가이드홈

Claims (7)

  1. 전기기기 수납용 지상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상기기를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부; 및
    상기 인상부가 삽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상부는 상기 인입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인상 고리에 장착되고,
    상기 인입부는 상기 인상부를 관통하는 걸쇠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상부는
    상기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홈; 및
    상기 걸쇠를 중심으로 상기 인상부가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 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인상부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5. 전기기기 수납용 지상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상기기를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 고리가 장착되는 인상부; 및
    상기 인상부가 삽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상부는 상기 인입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인상 고리에 장착되고,
    상기 인입부의 하단면은 상기 지상기기의 외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입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은 상기 배출부를 통해서 상기 지상기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 및 상기 인상부는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 및 상기 인상부는 상기 지상기기의 상부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KR20110001910U 2011-03-08 2011-03-08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KR200476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1910U KR200476795Y1 (ko) 2011-03-08 2011-03-08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1910U KR200476795Y1 (ko) 2011-03-08 2011-03-08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05U KR20120006405U (ko) 2012-09-18
KR200476795Y1 true KR200476795Y1 (ko) 2015-04-14

Family

ID=5303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01910U KR200476795Y1 (ko) 2011-03-08 2011-03-08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79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225U (ko) * 1993-06-11 1995-01-04 매입형 고리 개방식 로프 훅(rope hook)
KR200194780Y1 (ko) 2000-04-04 2000-09-01 서한전기주식회사 배전반의 차단기 체결구조
KR100754769B1 (ko) 2007-04-03 2007-09-04 홍정애 특고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수변전 장치
KR20090119539A (ko) * 2008-05-16 2009-11-19 이한신 변전실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형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225U (ko) * 1993-06-11 1995-01-04 매입형 고리 개방식 로프 훅(rope hook)
KR200194780Y1 (ko) 2000-04-04 2000-09-01 서한전기주식회사 배전반의 차단기 체결구조
KR100754769B1 (ko) 2007-04-03 2007-09-04 홍정애 특고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수변전 장치
KR20090119539A (ko) * 2008-05-16 2009-11-19 이한신 변전실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형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05U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02008012002U1 (de) Leuchte mit LED-Einheiten
CN104242189A (zh) 电气接线盒
KR200476795Y1 (ko) 인상부 매립형 지상기기
US20160097482A1 (en) Generator stand
AU2012100075A4 (en) Solar tile structure
CN103711359B (zh) 栅栏组装用弹性非金属卡接圈
KR101454188B1 (ko) 지중배전설비 매립형 맨홀
KR100539704B1 (ko) 조립접이식 피뢰침
CN218959555U (zh) 一种集水托盘
CN205756741U (zh) 一种具有自动清理功能的灭虫装置
KR101056169B1 (ko)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급전장치용 페라이트코어 모듈
CN212129669U (zh) 一种人造石墙板
CN107002455B (zh) 通风格栅
CN209104649U (zh) 一种组装式户外箱
KR101732410B1 (ko) 해상구조물용 지지기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CN201146354Y (zh) 埋入式多功能墙壁专用暗装插座
CN110424301A (zh) 一种用于农村公路的便拆装稳固护栏设备
CN220068355U (zh) 一种组合式横梁花箱
CN208502111U (zh) 一种仿木护栏用连接件
CN204456198U (zh) 一种有序型检查井
CN203102209U (zh) 红外触摸屏框架
CN106356795A (zh) 线缆保护组件及线缆保护装置
CN203094656U (zh) 一种可调节高度的花卉运输台车
CN204166174U (zh) 一种光缆接线盒
CN209386902U (zh) 一种射击训练用起倒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