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667Y1 - A height adjustable chair for waist exercise - Google Patents
A height adjustable chair for waist exerci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6667Y1 KR200476667Y1 KR2020140001895U KR20140001895U KR200476667Y1 KR 200476667 Y1 KR200476667 Y1 KR 200476667Y1 KR 2020140001895 U KR2020140001895 U KR 2020140001895U KR 20140001895 U KR20140001895 U KR 20140001895U KR 200476667 Y1 KR200476667 Y1 KR 2004766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supporting
- support member
- receiving portion
- s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의자 중심축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프링(500)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착석자의 신체움직임에 따라 착석자의 둔부와 접한 의자의 착석할 수 있는 좌판(100), 좌판(100) 저면에 고정나사(202)로 결합된 좌판고정부재(200), 좌판고정부재(200)의 수납부(203)에 피스톤(302) 상단면이 삽입되어 결합된 연결부재(300), 몸통 상부 중앙의 연결부재수용부(401)가 상기 연결부재(300)의 실린더(301) 하단면을 수용하며 결합한 상부지지부재(400), 몸통 상부 말단이 상부지지부재(400)의 스프링상단수용부(406)에 수용되며 상부지지부재(400)와 결합한 스프링(500), 스프링하단수용부(601)가 스프링(500)의 하부 말단을 수용하며 스프링(500)과 결합한 하부지지부재(600), 상부지지부재(400)와 스프링(500) 및 하부지지부재(600)의 축 중심을 관통하며 이들을 결합시켜 전방향 유동성을 가진 하나의 소축을 이루게하는 텐션볼트(700)와 조절너트(800), 지지발(902)이 바닥면과 접하며 중앙의 중심축수용부(901)가 하부지지부재(600)와 결합하여 의자전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해주는 바닥지지부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되었고 조절너트(800)를 조이고 푸는 것과 연결부재의 길이 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취향대로 의자 중심축의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for a waist movemen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chair, and is configured to use a fluidity of a spring (500) constituting a part of a center shaft of a chair, A left plate fixing member 200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100 by a fixing screw 202 and a coup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eat portion 203 of the seat plate fixing member 200 by inserting the top surface of the piston 302, And a connecting member receiving portion 401 at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300 receive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ylinder 301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The upper end of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ing member 400 The spring 500 and the spring lower end receiving portion 601 received in the spring upper receiving portion 406 and coupled to the upper supporting member 400 receive the lower end of the spring 500 and are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ing member 400, (600), the upper support member (400), the spring (500),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The tension bolt 700, the adjusting nut 800, and the supporting foot 902, which make one small shaft having an all-direction fluidity, ar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haft, And a bottom support member 900 for supporting the entire chair from the bottom surface by engaging with the support member 600. By adjusting and loosening the adjustment nut 800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member, Can control fluidity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프링을 사용해 중심축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착석한 후 둔부를 전후좌우 전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여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중심축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여 허리운동의 강도 및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본인의 선출원 실용신안 제 200471162호(등록일자 2014.02.11.)로 등록된 허리운동용 의자를 개량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용 의자의 고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capable of exercising the waist by freely moving the buttocks in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forward directions after the user adjusts the height of the sea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by imparting fluidity to the central axis by using a spring. A chair for a waist exercis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nd the amount of exercise of the waist by adjusting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which is improved by a waist exercise chair registered with the applicant's utility model No. 200471162 (registered on Apr. 2, 2014) .
매일 의자에 장시간 앉아 업무를 수행하다 보면 척추 요통, 척추만곡증 및 복부비만등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인은 또 다른 실용신안 200471162호(등록일자 2014.02.11)로 등록받은 허리운동용의자를 제안한 바 있는데 그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When you sit in a chair for a long time every day, you have health problems such as spinal back pain, spinal curvature and abdominal obesity.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 has proposed a waist motion suspect registered as another utility model 200471162 (registration date 2014.02.11). In brief,
착석할 수 있는 좌판(10), 좌판(10) 밑바닥에 고정나사(80)로 결합한 상부지지부재(20), 상부 말단이 상부지지부재(20)의 스프링상단수용부(20c)에 수용되어 좌판(10)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스프링(30), 스프링(30)의 하부 말단을 수용하며 스프링(30)과 결합한 하부지지부재(40), 상부지지부재(20)와 스프링(30) 및 하부지지부재(40)의 축 중심을 관통하며 이들을 결합시켜 전방향 유동성을 가진 하나의 축을 이루게 하는 텐션볼트(60)와 조절너트(70), 지지발(50a)이 바닥면과 접하며 하부지지부재(40)와 결합하여 의자 전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해주는 바닥지지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었고 조절너트(70)를 조이고 푸는 것을 통해 사용자의 취향대로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용 의자이다.
An
이러한 형태의 허리운동용 의자는 중심축이 길이 조절이 불가능한 하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착석자의 신장나 취향에 따라 좌판(10)의 높낮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This type of waist movement chair has a problem in that the height of th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허리운동용 의자의 상부지지부재(20)의 형상을 일부 변형하고, 상기 스프링(30)의 길이를 줄이고, 변형된 상부지지부재와 좌판(10) 사이에 상하조절레버가 장착된 좌판고정부재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추가하여 착석자의 신장이나 취향에 따라 좌판(10)을 적절한 높이로 조절하여 착석한 후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partially deform the shape of th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될 수 있는 좌판(100); 몸통 상부 둘레에 구멍 있는 플랜지(201)가 형성되어 상기 좌판(100)의 저면에 고정나사(202)로 결합되고, 몸통 하부 중앙 내부에 수납부(203)를 구비하고, 몸통 한쪽 측면을 관통해 몸통의 외부와 내부 공간에 걸쳐 장착된 높이조절레버(204)가 구비된 좌판고정부재(200); 원통형의 실린더(301)와 피스톤(302)으로 구성되어 피스톤(302)의 상부가 상기 좌판고정부재(200)의 수납부(203)와 결합해 상기 높이조절레버(204)의 조작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좌판(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연결부재(300); 몸통 상단부 내부에 상기 연결부재(300)의 하단을 수용하는 연결부재수용부(401)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300)와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수용부(401) 바닥에 연결부재지지턱(402)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300) 하단의 바닥면과 접하고, 상기 연결부재지지턱(402) 아래에 스토퍼지지턱(403)을 구비한 요부(404)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404)의 중앙에서 몸통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상단가이드홀(405)이 형성되고, 몸통 하단부 내부에 스프링상단수용부(406)가 형성된 상부지지부재(400); 상단이 상기 상부지지부재(400)의 스프링상단수용부(406)에 수용되어 장착된 스프링(500); 외주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통 상단 내부에 상기 스프링(500)의 하단을 수용하는 스프링하단수용부(601)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00)과 결합하고, 상기 스프링하단수용부(601) 바닥에 지지턱(602)이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하단 바닥면과 접하고, 중앙에서 몸통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단가이드홀(603)이 형성되고, 몸통 하단부 내부에 조절너트수용부(604)가 형성된 하부지지부재(600); 몸통 하단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단에 스토퍼(701)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701)의 저면이 상기 상부지지부재(400)의 스토퍼지지턱(403) 상부와 접하며 상기 상부지지부재(400)의 요부(404)에 수용되고, 몸통이 상기 상부지지부재(400)와 상기 스프링(500)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600)의 축 중심을 관통하며 이들과 몸통 외주면 사이에 유격을 두고 결합한 텐션볼트(700); 상기 하부지지부재(600)의 조절너트수용부(604)에 수용되어 상기 텐션볼트(700) 하단의 수나사와 결합한 몸통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조절너트(800); 내부에 테이퍼가 형성된 중심축수용부(901)가 상기 하부지지부재(600)의 하단을 수용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재(600)와 결합하고, 중심축수용부(901) 외벽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발(902)이 구비된 바닥지지부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 용의자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신장이나 취향에 맞도록 좌판(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동시에 자신의 체중 및 취향에 맞도록 조절너트(800)를 조이거나 풀면서 스프링(500)으로 된 의자 축의 유동성을 조절해가며 장시간에 걸쳐 자연스럽고 안전하게 허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A seat (100) on which a user's buttocks can be seated; A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중심축 자체에 유동성을 부여해 각기 다른 신장이나 취향을 가진 다양한 사용자들이 자신의 신장이나 취향에 맞추어 의자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동시에 조절너트로 중심축의 유동성을 조절해가며 편리하게 허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허리의 통증, 척추측만증 또는 복부비만등을 방지하여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design, various users with different height or taste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of the chair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of the chair by adjusting the fluidity of the central axis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chair,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exercising of the waist, thereby preventing back pain, scoliosis or abdominal obesity and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the public health.
도 1은 '선행기술 1'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용 의자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용 의자를 수직으로 절개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2와 도3에 도시된 상부지지부재의 평면도, 저면도가 표시된 반단면도,
도 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하부지지부재의 평면도, 저면도가 표시된 반단면도,
도 6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닥지지부재의 종단면도,
도 7은 상단삽입부가 추가로 형성된 상부지지부재와 하단삽입부가 추가로 형성된 하부지지부재가 스프링과 결합한 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rior Art 1'.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hair for exercising the wa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chair for exercising the height, the height of which is adjustable, shown in FIG. 2,
4 is a plan view of the upper support member shown in Figs. 2 and 3, a half sectional view showing a bottom view,
5 is a plan view of the lower support member shown in Figs. 2 and 3, a half sectional view showing a bottom view,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bottom support member shown in Figs. 2 and 3,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wer support member, in which an upper support member and a lower end insertion member are additionally formed, in which the upper end insertion member is additionally form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 Includes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although not otherwise defined.
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pecifically illustrates an ide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for example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 or specification,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form of the depicted area, but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form, for example, by manufacture. For example, the regions shown or described as being flat may have characteristics that are generally coarse / rough and nonlinear. Also, the portion shown as having a sharp angle may be rounded. Thus, the regions shown in the figures are merely approximate, and their shapes are not intended to depict the exact shape of the regions, nor are they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허리운동용 의자는,
2 to 7, a waist exercising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착석할 수 있는 좌판(100), 좌판(100) 저면에 고정나사(202)로 결합된 좌판고정부재(200), 상부 말단이 좌판고정부재(200)의 수납부(203)에 수용되어 좌판고정부재(200)의 중앙 아랫부분에 위치한 연결부재(300), 몸통 상부의 연결부재수용부(401)가 연결부재(300)의 하부 말단을 수용하며 연결부재(300)와 결합한 상부지지부재(400), 상부 말단이 상부지지부재(400)의 스프링상단수용부(406)에 수용되며 상부지지부재(400)와 결합된 스프링(500), 스프링(500)의 하부 말단을 스프링하단수용부(601)에 수용하며 스프링(500)과 결합한 하부지지부재(600), 상부지지부재(400)와 스프링(500) 및 하부지지부재(600)의 중심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이들을 결합시켜 전후좌우 전방향 유동성을 가진 하나의 소축을 이루게 하는 텐션볼트(700)와 조절너트(800), 지지발(902)이 바닥면과 접하며 중심축수용부(901)가 하부지지부재(600)와 결합하여 의자 전체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바닥지지부재(900)를 포함한다.
A seat
의자의 각 부품이 조립되는 순서를 고려하여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의자의 좌판(100)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좌판(100)의 바닥면에 좌판지지부재(200)를 고정하는 고정나사(202)의 형태가 끝 부분이 뾰족해 좌판(100) 바닥면을 파고들어가 고정할 수 있을 경우 좌판(100) 바닥면에 별도의 구멍을 천공할 필요는 없으나 끝이 무딘 형태의 고정나사(202)일 경우 좌판(100)의 바닥면을 천공해 별도의 삽입너트를 설치할 수 있다.
Let's take a look at the concrete contents for designing considering the order in which the parts of the chair are assembled. The
좌판고정부재(200)는 상기 좌판(100)의 밑바닥에 고정나사(202)로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 상단부 둘레에 나사구멍이 있는 플랜지(201)가 형성되어 상기 좌판(100)과 고정나사(202)로 결합되고, 몸통 하부 중앙 내부에는 연결부재(300)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수납부(203)가 형성되어 있고, 몸통 한쪽의 측면을 관통해 몸통의 외부와 내부 공간에 걸쳐 장착된 높이조절레버(204)를 구비한다.
The seat
연결부재(300)는 실린더(301)와 피스톤(302)으로 구성되어 피스톤(302)의 상부 외주면이 상기 좌판고정부재(200) 수납부(203)의 내주면과 접하며 좌판고정부재(200)와 결합하고, 좌판고정부재(200) 높이조절레버(204)의 조작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다. 의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스스프링은 연결부재의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상부지지부재(400)의 몸통 상단부 내부에 형성된 연결부재수용부(401)의 내주면이 연결부재(300) 하단의 외주면을 수용하며 연결부재(300)와 결합하고, 연결부재수용부(401)의 바닥에 연결부재지지턱(402)이 구비되어 연결부재(300) 하부 바닥면 둘레를 지지한다. 연결부재지지턱(402) 아래 텐션볼트(700) 상단의 스토퍼(701)를 수용하는 공간인 요부(404)가 구비된다. 상부지지부재(400)가 연결부재(300)와 결합한 상태에서 요부(400)에 수용된 텐션볼트(700) 상단의 스토퍼(701)가 텐션볼트(700) 몸통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때 요부(404)의 벽면이나 연결부재(300) 밑바닥 면의 간섭을 받지않아야 하므로 요부(404)는 텐션볼트(700) 상단의 스토퍼(701)를 수용한 상태에서 수용된 스토퍼(701)가 움직일 때 요부(404)의 벽면이나 연결부재(300) 밑바닥 면의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히 깊고 넓은 여유 공간을 구비하여야 한다. 상부지지부재(400)에 텐션볼트(7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요부(404)의 중앙에 상부지지부재(400)의 몸통 내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단가이드홀(405)이 형성되고 이 상단가이드홀(405)에 텐션볼트(700)가 삽입되는데 이때 상단가이드홀(405)은 텐션볼트(700) 상단 스토퍼(701)의 지름보다는 좁고 텐션볼트(700) 몸통의 지름보다는 넓어 상단가이드홀(405)과 텐션볼트(700) 몸통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여 텐션볼트(700)가 스프링(500)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좌우 전방향으로 일정하게 정해진 각도 내에서 움직일 경우 텐션볼트(700)의 몸통과 상단가이드홀(405)의 벽면 사이에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스프링(500)과 텐션볼트(700)의 움직임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커지며 정해진 각도를 벗어나려 할 경우 텐션볼트(700)의 몸통과 상단가이드홀(405)의 벽면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 더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되어 스프링(500)과 텐션볼트(700)의 움직임은 일정한 각도 내에서 통제된다. 스프링(500)과 텐션볼트(700)가 움직일 수 있는 유동각도의 한계는 상단가이드홀(405)의 벽면과 텐션볼트(700) 몸통 사이의 유격 거리에 의해 결정되고 이 유격 거리와 유동각도는 정비례 관계에 있다. 상부지지부재(400) 요부(404)의 둘레가 상단가이드홀(405)의 둘레보다 넓기 때문에 요부(404) 하단의 경계와 상단가이드홀(405) 상단의 경계 사이에 스토퍼지지턱(403)이 형성되고 이 스토퍼지지턱(403)은 텐션볼트(700) 상단 스토퍼(701)의 바닥면을 지지하여 텐션볼트(700) 상부의 스토퍼(701)가 상단가이드홀(405)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부지지부재(400) 몸통 하부 내부에는 스프링(500)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스프링상단수용부(406)가 형성되어 스프링(500)의 상부 말단이 스프링상단수용부(406)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스프링(500)은 인장력이 강한 둥근 코일형태의 압축스프링을 사용한다.
The
하부지지부재(600)는 몸통 외주면에 아래로 갈수록 몸통의 지름이 줄어드는 테이퍼가 형성되고, 몸통 상부 내부에 스프링하단수용부(601)가 형성되어 스프링(500)과 결합하고, 스프링하단수용부(601) 바닥에 지지턱(602)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00)의 하부 바닥면과 접한다. 또한 몸통 하부 내부에 조절너트(800)를 수용하는 조절너트수용부(604)가 형성되어 있고, 몸통의 중심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단가이드홀(603)이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하단수용부(601)와 조절너트수용부(604)는 지지턱(602)을 공유하고 있다. 상부지지부재(400)를 축 방향으로 관통함과 동시에 스프링(500)을 축 방향으로 관통한 텐션볼트(700)의 몸통이 다시 하부지지부재(600)를 축 방향으로 관통한 후 조절너트(800)와 결합하여 이들 모두를 결합시켜 유동성이 있는 하나의 소축을 형성한다. 이때 하부지지부재(600)의 하단가이드홀(603)과 텐션볼트(700) 몸통 외부 사이에 유격이 있어 텐션볼트(700)가 스프링(500)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좌우 전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내에서 움직일 때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않는다. 상부지지부재(400)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스프링(500)과 텐션볼트(700)의 움직임이 일정범위 이상으로 커지며 정해진 각도를 벗어나려 할 경우 텐션볼트(700)의 몸통과 하단가이드홀(603)의 벽면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 스프링(500)과 텐션볼트(700)의 움직임은 일정한 각도내에서 통제된다. 스프링(500)과 텐션볼트(700)가 움직일 수 있는 유동각도의 한계는 하단가이드홀(603)의 벽면과 텐션볼트(700) 몸통 사이의 유격 거리에 의해 결정되고 이 유격 거리와 유동각도는 정비례 관계에 있다.
The
텐션볼트(700)는 몸통 하단 외부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통보다 지름 The tension bolt (700) has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has a diameter
이 큰 스토퍼(701)가 상단부에 구비된 볼트로 몸통 외부 표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나 하단부는 몸통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조절너트(8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반드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이어야한다.
The
몸통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볼트(800)는 하부지지부재(600)의 조절너트수용부(604)에 수용되어 텐션볼트(700)와 결합한다.
The
몸통 외주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하부지지부재(600)의 하단 외주면이 내부에 테이퍼가 형성된 바닥지지부재(900)의 중심축수용부(901) 내주면과 접하며 결합된다.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지지발(902)의 각 바닥면이 지면을 지지하면서 의자 전체를 지지한다.
The lower end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상부지지부재(400)의 스프링상단수용부(406) 중앙에 상단가이드홀(405)의 경계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원통형의 상단삽입부(407)를 추가로 형성시켜 스프링(500)의 상단 내주면에 삽입시키고, 하부지지부재(600)의 스프링하단수용부(601) 중앙에 하단가이드홀(603)의 경계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원통형의 하단삽입부(605)가 추가로 형성시켜 스프링(500)의 하단 내주면에 삽입시켜 상부지지부재(400)와 하부지지부재(600)의 스프링(500)으로부터의 이탈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는 동시에 상단삽입부(407)와 하단삽입부(605)의 높낮이를 각각 적절히 설정하여 중심축의 유동각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이 가능하다.
A cylindrical upper
좌판(100), 좌판고정부재(200), 연결부재(300), 상부지지부재(400), 스프링(500), 하부지지부재(600), 텐션볼트(700), 조절너트(800), 바닥지지부재(90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중심축의 유동성을 가진 본 고안품의 하부지지부재(600) 내부의 조절너트수용부(604)에 위치한 조절너트(800)를 조이면 스프링(500)에 가하지는 중량부하가 증대하는 효과가 발생해 중심축의 유동성이 증대하게 되고 반대로 조였던 조절너트(800)를 풀면 중량부하가 감소해 중심축의 유동성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300)의 길이가 길어지면 지렛대 효과에 의해 중량부하가 증대해 중심축의 유동성이 증대하고 반대로 짧아지면 중심축의 유동성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기설명한 바와 같이 중심축의 유동성은 상부지지부재(400)의 상단가이드홀(405) 벽면 및 하부지지부재(600)의 하단가이드홀(603)의 벽면과 텐션볼트(700) 몸통 사이의 유격 거리에 비례하고 상단삽입부(407)와 하단삽입부(605)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본 고안품의 사용자는 자신의 체중이나 취향에 맞추어 조절너트(800) 조정과 연결부재(300)의 길이 조정을 통해 축의 유동성을 조절해가며 사용할 수 있다.
The
근로자들이 작업시간 내내 주로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하는 공장들이나 또는 하루종일 서서 일하는 마트 등에서 사용할 경우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근골격계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무실, 학교, 학원 및 가정에서 사용할 경우 척추관련 질환 예방, 학습능력, 업무능력 및 생산성 향상이 기대된다.
Workers can work in factories that work mainly in chairs throughout the day, or in marts working all day, to increase industrial productivity and prevent musculoskeletal diseases. When used in offices, schools, academies and homes, prevention of spine-related diseases, learning skills, job skills and productivity are expected to improve.
100 : 좌판
200 : 좌판고정부재, 201 : 플랜지, 202 : 고정나사, 203 : 수납부, 204 : 높이조절레버
300 : 상부지지부재, 301 : 실린더, 302 : 피스톤
400 : 상부지지부재, 401 : 연결부재수용부, 402 : 연결부재지지턱, 403 : 스토퍼지지턱, 404 : 요부, 405 : 상단가이드홀, 406 : 스프링상단수용부, 407 : 상단삽입부
500 : 스프링
600 : 하부지지부재, 601 : 스프링하단수용부, 602 : 스프링하단수용부, 603 : 하단가이드홀, 604 : 조절너트수용부, 605 : 하단삽입부
700 : 텐션볼트, 701 : 스토퍼
800 : 조절너트
900 : 바닥지지부재, 901 : 중심축수용부, 902 : 지지발100:
200: a seat fixing member, 201: a flange, 202: a fixing screw, 203: a storage portion, 204:
300: upper support member, 301: cylinder, 302: pist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end supporting member and a lower end supporting member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upper end insertion portion
500: spring
A lower spring receiving portion; 603: a lower guide hole; 604: an adjusting nut receiving portion; 605: a lower end insertion portion;
700: tension bolt, 701: stopper
800: Adjustable nut
900: bottom support member, 901: center shaft receiving portion, 902: support foot
Claims (2)
몸통 상부 둘레에 구멍 있는 플랜지(201)가 형성되어 상기 좌판(100)의 저면에 고정나사(202)로 결합되고, 몸통 하부 중앙 내부에 수납부(203)를 구비하고, 몸통 한쪽 측면을 관통해 몸통의 외부와 내부 공간에 걸쳐 장착된 높이조절레버(204)가 구비된 좌판고정부재(200);
원통형의 실린더(301)와 피스톤(302)으로 구성되어 피스톤(302)의 상부가 상기 좌판고정부재(200)의 수납부(203)와 결합해 상기 높이조절레버(204)의 조작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좌판(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연결부재(300);
몸통 상단부 내부에 상기 연결부재(300)의 하단을 수용하는 연결부재수용부(401)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300)와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수용부(401) 바닥에 연결부재지지턱(402)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300) 하단의 바닥면과 접하고, 상기 연결부재지지턱(402) 아래에 스토퍼지지턱(403)을 구비한 요부(404)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404)의 중앙에서 몸통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상단가이드홀(405)이 형성되고, 몸통 하단부 내부에 스프링상단수용부(406)가 형성된 상부지지부재(400);
상단이 상기 상부지지부재(400)의 스프링상단수용부(406)에 수용되어 장착된 스프링(500);
외주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통 상단부 내부에 상기 스프링(500)의 하단을 수용하는 스프링하단수용부(601)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00)과 결합하고, 상기 스프링하단수용부(601) 바닥에 지지턱(602)이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500) 하단 바닥면과 접하고, 중앙에서 몸통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단가이드홀(603)이 형성되고, 몸통 하단부 중앙 내부에 조절너트수용부(604)가 형성된 하부지지부재(600);
몸통 하단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단에 스토퍼(701)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701)의 저면이 상기 상부지지부재(400)의 스토퍼지지턱(403) 상부와 접하며 상기 상부지지부재(400)의 요부(404)에 수용되고, 몸통이 상기 상부지지부재(400)와 상기 스프링(500)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600)의 축 중심을 관통하며 이들과 몸통 외주면 사이에 유격을 두고 결합한 텐션볼트(700);
상기 하부지지부재(600)의 조절너트수용부(604)에 수용되어 상기 텐션볼트(700) 하단의 수나사와 결합한 몸통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조절너트(800);
내부에 테이퍼가 형성된 중심축수용부(901)가 상기 하부지지부재(600)의 하단을 수용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재(600)와 결합하고, 중심축수용부(901) 외벽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발(902)이 구비된 바닥지지부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용 의자.
A seat (100) on which a user's buttocks can be seated;
A flange 201 having an opening around the upper part of the body is formed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100 by a fixing screw 202 and a receiving part 203 is provided inside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A seat plate fixing member 200 having a height adjustment lever 204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and an inner space;
The upper part of the piston 302 is coupled with the receiving part 203 of the seat plate fixing member 200 and is operated by the height adjusting lever 204 so as to have a length A connecting member 300 which is adjus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100;
A connecting member receiving portion 401 for receiving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is formed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ody so as to engage with the connecting member 300 and a connecting member supporting jaw And a recessed portion 404 having a stopper supporting step 403 below the connecting member supporting step 40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An upper support member 400 having an upper guide hole 405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in the axi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ody and having a spring upper end receiving portion 406 form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body;
A spring (500) having an upper end received in the spring upper receiving portion (406) of the upper support member (400);
A spring lower end receiving portion 601 for receiving a lower end of the spring 5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body upper end portion having a tapered surfac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spring 500, A lower end guide hole 60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spring 500 to penetrate the body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control nut accommodating portion 60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 lower support member 600 having a lower portion formed thereon;
A stopper 70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topper 701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pper 701 contacts the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supporting step 403 of the upper supporting member 4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ing member 400 The body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404 and the body is pass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haft of the upper support member 400, the spring 500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600, and a tension bolt 700);
An adjusting nut 800 housed in the adjusting nut receiving portion 604 of the lower supporting member 600 and having a female screw formed inside the body coupled with the male screw at the lower end of the tension bolt 700;
A central shaft receiving portion 901 having a tapered portion formed therein receives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pporting member 600 and engages with the lower supporting member 600 and extends radially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entral shaft receiving portion 901 And a floor supporting member (900) having a supporting foot (902) for supporting the floor (902).
상기 상부지지부재(400)의 스프링상단수용부(406) 중앙에 상기 상단가이드홀(405)의 경계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원통형의 상단삽입부(407)가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00)의 상단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600)의 스프링하단수용부(601) 중앙에 상기 하단가이드홀(603)의 경계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원통형의 하단삽입부(605)가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00)의 하단 내주면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운동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ylindrical upper end insertion portion 407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pring upper end receiving portion 406 of the upper support member 400 so as to for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guide hole 405, A cylindrical lower end inserting portion 60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pring lower end receiving portion 601 of the lower supporting member 600 so as to for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guide hole 603,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5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895U KR200476667Y1 (en) | 2014-03-10 | 2014-03-10 | A height adjustable chair for waist exerci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895U KR200476667Y1 (en) | 2014-03-10 | 2014-03-10 | A height adjustable chair for waist exerci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6667Y1 true KR200476667Y1 (en) | 2015-03-19 |
Family
ID=5305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1895U KR200476667Y1 (en) | 2014-03-10 | 2014-03-10 | A height adjustable chair for waist exerci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6667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9748B1 (en) * | 2017-02-20 | 2017-10-25 | 박용호 | Bench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2237Y1 (en) | 2003-07-30 | 2004-02-18 | 고영환 | The WAIST MOVEMENT A CHAIR |
KR100829180B1 (en) | 2006-11-16 | 2008-05-13 | 이민정 | Chair with assistant apparatus for the movement of waist |
KR200471162Y1 (en) | 2013-02-15 | 2014-02-26 | 구자홍 | A chair for waist exercise |
-
2014
- 2014-03-10 KR KR2020140001895U patent/KR200476667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2237Y1 (en) | 2003-07-30 | 2004-02-18 | 고영환 | The WAIST MOVEMENT A CHAIR |
KR100829180B1 (en) | 2006-11-16 | 2008-05-13 | 이민정 | Chair with assistant apparatus for the movement of waist |
KR200471162Y1 (en) | 2013-02-15 | 2014-02-26 | 구자홍 | A chair for waist exercis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9748B1 (en) * | 2017-02-20 | 2017-10-25 | 박용호 | Bench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4259254B2 (en) | Dynamic pendula stool | |
US9763520B1 (en) | Reclinable office chair | |
WO2011110877A3 (en) | Exercise chair | |
CN103932520B (en) | There is the chair of the backboard unit of integration | |
KR200476667Y1 (en) | A height adjustable chair for waist exercise | |
US9700143B2 (en) | Adjustable lumbar support apparatus for seat back | |
KR102210396B1 (en) | Desk and chair height adjustment device | |
KR101659662B1 (en) | Adjustable height stool table | |
JP2018079324A (en) | Angle adjustable cane | |
KR101123435B1 (en) | Crutches | |
JP3195836U (en) | Multi-point support cane | |
KR200471162Y1 (en) | A chair for waist exercise | |
CN205321637U (en) | High adjusting yoke of furniture | |
KR101584940B1 (en) | Table legs for adjust the height | |
KR20150101250A (en) | heigh change chair | |
CN205053434U (en) | Novel piano exercise bench | |
KR101678567B1 (en) | Chair for waist exercise | |
KR200473767Y1 (en) | Tension finishing cap for furniture legs | |
CN217339242U (en) | Exoskeleton robot leg adjusting mechanism and exoskeleton robot | |
KR20160063727A (en) | height control chair | |
CN204838688U (en) | Manual stretching device of sofa | |
CN204617618U (en) | A kind of Lumbar chair | |
KR200320254Y1 (en) | High and low and horizontal angle of furniture control system | |
RU2755119C1 (en) | Office chair | |
KR101347784B1 (en) | Chair le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