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440Y1 - 헤어클립 - Google Patents

헤어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440Y1
KR200476440Y1 KR2020130005995U KR20130005995U KR200476440Y1 KR 200476440 Y1 KR200476440 Y1 KR 200476440Y1 KR 2020130005995 U KR2020130005995 U KR 2020130005995U KR 20130005995 U KR20130005995 U KR 20130005995U KR 200476440 Y1 KR200476440 Y1 KR 200476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portion
clip
hair
hol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436U (ko
Inventor
박학
Original Assignee
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학 filed Critical 박학
Priority to KR2020130005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440Y1/ko
Priority to PCT/KR2013/007655 priority patent/WO2015008890A1/ko
Priority to PCT/KR2013/008774 priority patent/WO2015008897A1/ko
Priority to JP2013250223A priority patent/JP2015020061A/ja
Priority to EP13195683.1A priority patent/EP2826397A1/en
Priority to US14/096,705 priority patent/US9032973B2/en
Priority to CN201410016260.8A priority patent/CN104287405A/zh
Publication of KR20150000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4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4Hair clasps, i.e. multi-part clasps with pivotal connection of parts at their end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클립은 일단에 제1 가압부를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제1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클립부, 일단이 상기 상부클립부의 타단에 힌지결합하고, 모발을 집을 시 타단이 상기 제1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중간클립부, 및 제2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클립부의 일단과 힌지결합하는 일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클립부를 지지하는 하부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클립부와 상기 중간클립부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힌지결합 되어 있고, 상기 상부클립부와 상기 하부클립부는 서로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힌지결합 되어 있다.

Description

헤어클립{hair clip}
본 고안은 헤어클립에 관한 것이다.
가정 또는 미용실에서 모발의 커트, 염색 등과 작업을 행할 때, 모발을 집어주기 위하여 헤어클립이 사용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이러한 헤어클립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6은 종래의 헤어클립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은 도 6의 헤어클립으로 모발을 집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종래의 헤어클립은 상부클립부(100)와 하부클립부(200)로 구성되고, 이들 상부클립부(100)와 하부클립부(200)는 서로 오무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힌지결합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클립부(100)와 하부클립부(200)의 힌지결합은 상부클립부(100)의 일단(101)과 하부클립부(200)의 일단(201)을 관통하여 고정된 힌지핀(300)과, 힌지핀(300)을 감싸면서 장착된 코일스프링(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헤어클립은 모발을 집을 경우 상부클립부(100) 및 하부클립부(200)의 타단(102,202) 측은 서로 벌어지게 되므로, 상부클립부(100) 및 하부클립부(200)의 타단(102,202)에 가까운 부분일수록 상부클립부(100) 및 하부클립부(200)의 일단(101,201)에 가까운 부분에 비하여 모발을 집는 힘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어 모발을 제대로 집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모발을 다듬거나 염색하는 등의 헤어 작업 중에 모발의 일부는 헤어클립으로부터 쉽게 빠져나가 사용자가 불편해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헤어클립을 추가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일의 헤어클립으로도 모발을 확고하고도 효과적으로 집을 수 있는 헤어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목적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클립은 일단에 제1 가압부를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제1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클립부, 일단이 상기 상부클립부의 타단에 힌지결합하고, 모발을 집을 시 타단이 상기 제1 관통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중간클립부, 및 제2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클립부의 일단과 힌지결합하는 일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클립부를 지지하는 하부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클립부와 상기 중간클립부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힌지결합 되어 있고, 상기 상부클립부와 상기 하부클립부는 서로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힌지결합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클립부는 저면에 톱니 모양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클립부는 모발을 집을 시 상기 중간클립부의 일단이 통과하는 제2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압력을 가할 때, 상기 중간클립부의 타단이 상기 하부클립부와 접촉한 상태로 상기 헤어클립의 입구 쪽으로 슬라이딩 하여 모발이 상기 상부클립부와 상기 하부클립부의 힌지결합된 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하부클립부의 상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돌출된 한 쌍의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클립부의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레일부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상부클립부와 상기 하부클립부의 힌지결합은 상기 상부클립부의 일단과 상기 하부클립부의 일단을 관통하여 고정된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을 감싸면서 장착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클립부와 상기 중간클립부의 힌지결합은 상기 상부클립부의 타단과 상기 중간클립부의 일단을 관통하여 고정된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을 감싸면서 장착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클립부는 상기 제2 관통구멍에 인접한 지지턱을 구비하여, 상기 중간클립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중간클립부의 일단이 하부클립부의 제2 관통구멍 속으로 삽입되어 모발이 이탈되지 않고 확고하게 집힐 수 있다.
또한, 집히는 모발의 양에 따라 중간클립부의 타단은 상부클립부의 제1 관통구멍을 통과할 수 있으며, 중간클립부는 상부클립부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중간클립부는 모발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작용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모발을 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간클립부의 톱니 모양 돌출부와 하부클립부의 레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모발은 더 확고하게 집히게 된다.
또한, 중간클립부의 타단은 하부클립부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헤어클립의 입구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모발이 상부클립부와 하부클립부의 힌지결합된 부분과 접촉하여 끼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고안의 효과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클립의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어클립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헤어클립을 약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헤어클립을 최대한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헤어클립으로 모발을 집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종래의 헤어클립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헤어클립으로 모발을 집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클립(이하, 본 '헤어클립'이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헤어클립의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헤어클립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헤어클립은 상부클립부(1), 중간클립부(2), 및 하부클립부(3)로 구성된다.
먼저, 상부클립부(1)는 일단(11)에 사용자가 손으로 집어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제1 가압부(13)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관통구멍(14)을 구비한다. 그리고 도 1 기준으로 상부클립부(1)의 단면 형상은 대략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량의 모발을 집을 수 있도록 크게 굴곡되어 있다.
중간클립부(2)는 일단(21)이 상부클립부(1)의 타단(12)에 힌지결합하고, 모발을 집을 시 특히, 다양의 모발을 집을 시 타단(22)이 상부클립부(1)의 제1 관통구멍(14)을 통과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간클립부(2)의 타단(22)의 폭은 상부클립부(1)의 제1 관통구멍(14)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고하면, 중간클립부(2)의 타단(22)이 상부클립부(1)의 제1 관통구멍(14)에 삽입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집히는 모발이 양에 따라 중간클립부(2)의 타단(22)이 상부클립부(1)의 제1 관통구멍(14)을 관통하는 정도가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상부클립부(1)와 중간클립부(2)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힌지결합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클립부(1)와 중간클립부(2)의 힌지결합은 상부클립부(1)의 타단(12)과 중간클립부(2)의 일단(21)을 관통하여 고정된 힌지핀(10)과, 힌지핀(10)을 감싸면서 장착되어 상부클립부(1)와 중간클립부(2)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간클립부(2)의 저면에는 톱니 모양의 돌출부(23)가 길이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하나의 돌출부(23)만 도시되어 있고, 지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한 나머지 하나의 돌출부(23)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
하부클립부(3)는 제2 가압부(33)를 구비하고 상부클립부(1)의 일단(11)과 힌지결합하는 일단(31)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부클립부(3)는 중간클립부(2)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부클립부(1)와 하부클립부(3)는 서로 오므려지는 방향 즉, 헤어클립의 입구(A)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힌지결합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부클립부(1)와 하부클립부(3)의 힌지결합은 상부클립부(1)의 일단(11)과 하부클립부(3)의 일단(31)을 관통하여 고정된 힌지핀(20)과, 힌지핀(20)을 감싸면서 상부클립부(1)와 하부클립부(3)가 서로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클립부(3)는 모발을 집을 시 중간클립부(2)의 일단(21)이 통과하는 제2 관통구멍(34)을 구비한다. 집는 모발의 양에 따라서는, 서로 힌지결합되어 있는 중간클립부(2)의 일단(21)과 상부클립부(1)의 타단(12) 모두가 제2 관통구멍(34) 쪽으로 삽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하부클립부(3)에는 중간클립부(2)의 지지를 위하여 제2 관통구멍(34)에 인접하여 지지턱(3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클립부(3)의 상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돌출된 한 쌍의 레일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한 쌍의 레일부(35) 간의 거리는 중간클립부(2)의 돌출부(23)가 한 쌍의 레일부(35)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모발이 단단히 집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클립부(2)의 타단(22)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제1 가압부(13) 및 제2 가압부(33)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압력을 가할 때, 중간클립부(2)의 타단(22)이 하부클립부(3)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헤어클립의 입구(A)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모발이 상부클립부(1)와 하부클립부(3)이 힌지결합된 부분과 접촉하는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중간클립부(2)의 타단(22)의 슬라이딩을 돕기 위하여, 하부클립부(3)의 상면에는 중간클립부(2)의 타단(22)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벽(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클립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3은 헤어클립을 약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헤어클립을 최대한 가압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헤어클립의 가압을 해제하여 모발을 집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모발을 집기 위하여 상부클립부(1)의 가압부(13)와 하부클립부(3)의 가압부(33)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필요한 만큼 헤어클립의 입구(A)를 벌린다.
이때, 중간클립부(2)도 상부클립부(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중간클립부(2)의 타단(22)은 하부클립부(3)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헤어클립의 입구(A)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모발이 상부클립부(1)와 하부클립부(3)의 힌지결합된 부분과 접촉하여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필요한 만큼 모발을 중간클립부(2)와 하부클립부(3) 사이에 넣은 상태에서, 상부클립부(1)의 가압부(13) 및 하부클립부(3)의 가압부(33)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모발은 중간클립부(2)와 하부클립부(3) 사이에서 집히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클립부(2)의 일단(21)은 하부클립부(3)의 제2 관통구멍(34) 속으로 삽입되어 모발이 헤어클립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더 확고하게 집힐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집히는 모발의 양에 따라 중간클립부(2)의 타단(22)은 상부클립부(1)의 제1 관통구멍(14)을 통과할 수 있으며, 중간클립부(2)는 상부클립부(1)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중간클립부(2)는 모발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작용하고 이를 통해 모발을 효과적으로 집을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중간클립부(2)의 톱니 모양 돌출부(23)와 하부클립부(3)의 레일부(35)의 상호 작용에 의해 모발은 더 확고하게 집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어클립은 다량의 모발을 한 번에 집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부클립부와 중간클립부 간의 힌지결합 및 상부클립부와 하부클립부 간의 힌지결합을 통하여 집은 모발이 흘러내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상부클립부
12. 상부클립부의 타단, 11. 상부클립부의 일단
13. 제1 가압부, 14. 제1 관통구멍
2. 중간클립부
21. 중간클립부의 일단, 22. 클립부의 타단
23. 돌출부
3. 하부클립부
31. 하부클립부의 일단, 32. 하부클립부의 타단
33. 제2 가압부, 34. 제2 관통구멍
35. 한 쌍의 레일부, 36. 가이드벽
37. 지지턱
10, 20. 힌지핀, 30, 40. 코일스프링
A. 헤어클립의 입구

Claims (8)

  1. 일단에 제1 가압부를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제1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클립부,
    일단이 상기 상부클립부의 타단에 힌지결합하고, 모발을 집을 시 타단이 상기 제1 관통구멍을 삽입될 수 있는 중간클립부, 및
    제2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클립부의 일단과 힌지결합하는 일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클립부를 지지하는 하부클립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클립부와 상기 중간클립부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힌지결합 되어 있고, 상기 상부클립부와 상기 하부클립부는 서로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힌지결합 되어 있는
    헤어클립.
  2. 제1항에서,
    상기 중간클립부는 저면에 톱니 모양의 돌출부가 형성된 헤어클립.
  3. 제1항에서,
    상기 하부클립부는 모발을 집을 시 상기 중간클립부의 일단이 통과하는 제2 관통구멍이 형성된 헤어클립.
  4. 제1항에서,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압력을 가할 때, 상기 중간클립부의 타단이 상기 하부클립부와 접촉한 상태로 상기 헤어클립의 입구 쪽으로 슬라이딩 하여 모발이 상기 상부클립부와 상기 하부클립부의 힌지결합된 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헤어클립.
  5. 제2항에서,
    상기 하부클립부의 상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돌출된 한 쌍의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클립부의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레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헤어클립.
  6. 제1항에서,
    상기 상부클립부와 상기 하부클립부의 힌지결합은 상기 상부클립부의 일단과 상기 하부클립부의 일단을 관통하여 고정된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을 감싸면서 장착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헤어클립.
  7. 제1항에서,
    상기 상부클립부와 상기 중간클립부의 힌지결합은 상기 상부클립부의 타단과 상기 중간클립부의 일단을 관통하여 고정된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을 감싸면서 장착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헤어클립.
  8. 제3항에서,
    상기 하부클립부는 상기 제2 관통구멍에 인접한 지지턱을 구비하여, 상기 중간클립부를 지지할 수 있는 헤어클립.
KR2020130005995U 2013-07-18 2013-07-18 헤어클립 KR200476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995U KR200476440Y1 (ko) 2013-07-18 2013-07-18 헤어클립
PCT/KR2013/007655 WO2015008890A1 (ko) 2013-07-18 2013-08-27 헤어클립
PCT/KR2013/008774 WO2015008897A1 (ko) 2013-07-18 2013-10-01 헤어클립
JP2013250223A JP2015020061A (ja) 2013-07-18 2013-12-03 ヘアクリップ
EP13195683.1A EP2826397A1 (en) 2013-07-18 2013-12-04 Hair clip
US14/096,705 US9032973B2 (en) 2013-07-18 2013-12-04 Hair clip
CN201410016260.8A CN104287405A (zh) 2013-07-18 2014-01-14 发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995U KR200476440Y1 (ko) 2013-07-18 2013-07-18 헤어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36U KR20150000436U (ko) 2015-01-28
KR200476440Y1 true KR200476440Y1 (ko) 2015-03-02

Family

ID=5234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995U KR200476440Y1 (ko) 2013-07-18 2013-07-18 헤어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6440Y1 (ko)
WO (1) WO201500889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40B1 (ko) * 2006-10-26 2007-10-09 김찬수 미용실용 헤어클립
KR20080043728A (ko) * 2006-11-14 2008-05-19 김찬수 헤어 클립
JP2009189618A (ja) * 2008-02-15 2009-08-27 Kai R & D Center Co Ltd ヘアクリップ
JP2011120895A (ja) * 2009-11-13 2011-06-23 Koei:Kk ヘア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4658B1 (ko) * 1996-07-12 1999-02-18 마사히로 야수다 헤어클립
KR20020082088A (ko) * 2001-04-23 2002-10-30 이동주 헤어클립
JP2009082690A (ja) * 2007-10-02 2009-04-23 Jei Suru Lee ヘアークリップ
KR200455771Y1 (ko) * 2009-07-31 2011-09-27 민해정 헤어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40B1 (ko) * 2006-10-26 2007-10-09 김찬수 미용실용 헤어클립
KR20080043728A (ko) * 2006-11-14 2008-05-19 김찬수 헤어 클립
JP2009189618A (ja) * 2008-02-15 2009-08-27 Kai R & D Center Co Ltd ヘアクリップ
JP2011120895A (ja) * 2009-11-13 2011-06-23 Koei:Kk ヘア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8890A1 (ko) 2015-01-22
KR20150000436U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771Y1 (ko) 헤어클립
JP2015020061A (ja) ヘアクリップ
KR100764540B1 (ko) 미용실용 헤어클립
CN203424519U (zh) 头发夹持装置
WO2007002165A3 (en) Hair accessory and method of styling hair
US20150359309A1 (en) Hair pin
KR200476931Y1 (ko) 미용용 머리핀
KR200476440Y1 (ko) 헤어클립
KR101846272B1 (ko) 모발 파지력에 의해 모발 빠짐이 방지되는 헤어클립
JP2009082690A (ja) ヘアークリップ
KR200473796Y1 (ko) 머리카락의 고정력이 우수한 헤어클립
KR100898865B1 (ko) 머리 핀
US20160213082A1 (en) Wig clip
KR200471760Y1 (ko) 헤어클립
KR20090002392U (ko) 붙임 머리
JP2019520124A (ja) 髪留
US20160051024A1 (en) Hair clip assembly
US3090389A (en) Hair roller and clip assembly
KR200462419Y1 (ko)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헤어핀셋
US7258123B2 (en) Claw clip hair fastener
RU131578U1 (ru) Аксессуар для волос
KR200297655Y1 (ko) 웨이브 셋팅퍼머장치의 롯드행거
KR20170002064U (ko) 유인 집게
KR200484032Y1 (ko) 머리핀 어셈블리
JP2008055069A (ja) フィンガー付きヘア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