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264Y1 - 반중력 베개 - Google Patents

반중력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264Y1
KR200476264Y1 KR2020130008387U KR20130008387U KR200476264Y1 KR 200476264 Y1 KR200476264 Y1 KR 200476264Y1 KR 2020130008387 U KR2020130008387 U KR 2020130008387U KR 20130008387 U KR20130008387 U KR 20130008387U KR 200476264 Y1 KR200476264 Y1 KR 200476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head
gravity
pillow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용
Original Assignee
이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용 filed Critical 이대용
Priority to KR2020130008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중력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머리를 받쳐서 지지하는 베개에 있어서, 인체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머리 지지부; 인체의 목 부분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목 지지부;를 포함하며, 인체의 척추 방향을 따라 전후로 절단한 가상의 절단면에서, 상기 머리 지지부가 상기 목 지지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인체의 얼굴 피부가 중력에 의하여 이마 측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가상의 수평선에 대하여 인체의 머리가 미리 정한 경사각만큼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머리 지지부가 목 지지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가상의 수평선에 대하여 인체의 머리가 미리 정한 경사각만큼 경사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인체의 얼굴 피부가 중력에 의하여 이마 측으로 당겨져 주름 방지 및 노화 예방의 효과가 있으며, 특별한 마사지나 화장품의 사용 없이도 소위 "리프팅(lifting) 효과"를 자연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중력 베개 {Antigravity pillow}
본 고안은 반중력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의 얼굴 피부가 중력에 의하여 이마 측으로 당겨져 주름 방지 및 노화 예방의 효과가 있는 반중력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중력에 항상 노출되어 있고, 일상 생활 중 절반 이상의 시간을 서서 또는 앉아서 생활하게 되므로, 중력에 의한 피부와 뼈 및 살의 처짐을 피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중력에 의하여 눈구멍 주변의 뼈, 광대뼈 및 상악골이 아래로 처지게 되며, 중력에 의하여 눈 밑에 고랑이 생기거나 코 옆에 팔자주름이 생기기도 한다.
도 7에는 종래의 베개(1)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베개(1)가 사용자의 체형에 비하여 지나치게 높을 경우, 가상의 수평선(L1)에 대하여 인체의 머리 중심축(L2)이 미리 정한 경사각(β)만큼 경사진 상태가 되며, 수면 중에도 인체의 얼굴 피부가 중력(G)에 의하여 턱 쪽으로 당겨져, 수면 중에도 중력에 의한 피부와 뼈 및 살의 처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우주선에 탑승한 인간은, 중력이 미약한 미세중력 상태 또는 무중력 상태에 놓이거나 피부가 처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중력이 발생하는 반중력 상태에 놓일 수도 있는데, 이러한 반중력 상태에 놓이게 되면 얼굴의 이마와 미간이 높아지고 턱이 작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반중력 상태에 의하여 주름 방지 및 노화 예방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진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인간이 지구상에서 기계에 의하지 아니하고 미세중력이나 무중력 상태를 만드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물구나무서기나 거꾸로 매달리기 등의 방법으로 짧은 시간 동안만 반중력 상태를 만들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반중력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켜 주름 방지 및 노화 예방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할 필요성에 따라 착상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체의 얼굴 피부가 중력에 의하여 이마 측으로 당겨져 주름 방지 및 노화 예방의 효과가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반중력 베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반중력 베개는, 인체의 머리를 받쳐서 지지하는 베개에 있어서, 인체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머리 지지부; 인체의 목 부분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목 지지부;를 포함하며, 인체의 척추 방향을 따라 전후로 절단한 가상의 절단면에서, 상기 머리 지지부가 상기 목 지지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인체의 얼굴 피부가 중력에 의하여 이마 측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가상의 수평선에 대하여 인체의 머리가 미리 정한 경사각만큼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목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머리 지지부의 반대 쪽에 배치되며, 인체의 척추나 근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인체의 척추 중 어깨와 목이 만나는 지점의 척추나 근육을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목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머리 지지부의 반대 쪽에 배치되며, 인체의 등 일부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등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발포 가공됨으로써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미리 정한 형상을 기억하여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원형으로 복원될 수 있는 메모리폼; 상기 메모리폼의 표면에 도포되는 유연한 재질의 외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머리 지지부가 목 지지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가상의 수평선에 대하여 인체의 머리가 미리 정한 경사각만큼 경사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인체의 얼굴 피부가 중력에 의하여 이마 측으로 당겨져 주름 방지 및 노화 예방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반중력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중력 베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중력 베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중력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반중력 베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반중력 베개에 의하여 지지되거나 가압되는 인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베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반중력 베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중력 베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중력 베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중력 베개(100)는, 인체의 머리(H)를 받쳐서 지지하는 베개(pillow)로서, 머리 지지부(10)와, 목 지지부(20)와, 돌출부(30)와 등 지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머리 지지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체의 뒷 머리(H) 부분을 지지하도록, 뒷 머리(H) 형상에 대응하여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머리 지지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중력 베개(100)의 상면 상단부에, 타원형 평면 형상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목 지지부(20)는, 인체의 목(N) 부분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리 지지부(10)에 인접한 상태로 연이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목 지지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중력 베개(100)의 상면 중앙부의 평면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머리 지지부(10)는, 인체의 척추(vertebra) 방향(L1)을 따라 전후로 절단한 가상의 절단면(A-A선 단면)에서, 상기 목 지지부(2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반중력 베개(100)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얼굴 피부가 중력(G)에 의하여 이마 측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가상의 수평선(L1)에 대하여 사용자의 머리(H) 중심축(L2)이 미리 정한 경사각(α)만큼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머리 지지부(10)의 내측 단부가 상기 목 지지부(20)의 일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 지지부(10)의 외측 단부가 상기 머리 지지부(10)의 내측 단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내측 단부에서 상기 외측 단부로 갈수록 상기 머리 지지부(10)가 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머리 지지부(10)와 상기 목 지지부(20)가 유선형으로 부드럽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0)는, 인체의 척추 상단부, 예컨대 뒷목(N)의 하단부 또는 등의 상단부(M)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압부로서, 상기 목 지지부(20)를 기준으로 상기 머리 지지부(10)의 반대 쪽에 배치된 상기 등 지지부(4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각형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30)가 인체의 척추 중 어깨와 목(N)이 만나는 지점의 역삼각형 영역(M)에 위치한 척추나 근육을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정확히는 제6 경추(목뼈, cervical vertebra) 내지 제2 흉추(등뼈, thoracic vertebra) 사이 지점을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참고로, 척추(vertebra)는, 7개의 경추와, 12개의 흉추, 5개의 요추(허리뼈, lumbar vertebr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척추의 상단으로부터 제1 경추, 제2 경추,... 제1 흉추, 제2 흉추,...제4 요추, 제5 요추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등 지지부(40)는, 인체의 등의 상단부(M)의 일부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지지되는 인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등 지지부(40)는, 상기 목 지지부(20)를 기준으로 상기 머리 지지부(10)의 반대 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 지지부(40)가, 인체의 목(N) 하단부 및 등의 상단부(M)의 일부를 동시에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정확히는 제4 경추 내지 제3 흉추 사이의 척추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반중력 베개(100)는, 메모리폼(11)과 상기 메모리폼(11)의 표면을 둘러감싸도록 배치되는 외피(12)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각 구성요소(10, 20, 30, 40)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메모리폼(11)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발포 가공됨으로써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미리 정한 형상을 기억하여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원형으로 복원될 수 있는 소위 "메모리폼(memory foam) 소재이다.
상기 메모리폼(11)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이나 폴리올(polyol) 등으로 발포 가공되며, 형상 메모리 또는 저속 회복 소재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스펀지(sponge)의 한 종류로서, 1960년대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개발한 것으로, 밀도는 높지만 탄성이 비교적 낮아서 아무리 강한 충격도 95% 이상 흡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메모리폼 소재는, 일반적인 스펀지와 달리 원래 상태로의 복원 시간이 긴 단점이 있으나, 접촉하는 인체의 온도와 압력에 반응하여 인체 접촉 부위의 형상대로 수축 변형하는 특징이 있으며, 따라서 체중을 분산시켜 착용감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외피(12)는, 상기 메모리폼(11) 소재를 보호하기 위한 부재로서, 합성 고무 또는 천연 고무와 같이 얇고 유연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피(12)는 상기 메모리폼(11)의 표면에 라텍스 고무를 미리 정한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중력 베개(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반중력 베개(100)는, 인체의 머리(H) 부분을 지지하도록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머리 지지부(10)와, 인체의 목(N) 부분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목 지지부(20)를 포함하며, 인체의 척추 방향을 따라 전후로 절단한 가상의 절단면(A-A절단면)에서, 가상의 수평선(L1)에 대하여 인체의 머리(H)의 중심축(L2)이 미리 정한 경사각(α)만큼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 지지부(10)가 상기 목 지지부(2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면 중에 중력(G)에 의해 얼굴 피부와 뼈 및 살의 처짐이 발생하는 종래의 베개(1)와는 달리, 수면 중에 인체의 얼굴 피부가 중력(G)에 의하여 이마 측으로 당겨지는 소위 "리프팅(lifting) 효과"를 자연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반중력 베개(100)는, 단순히 베개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이러한 반중력 상태를 수면 중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특별한 마사지나 화장품의 사용 없이도, 상기 리프팅(lifting) 효과에 의하여 주름 방지 및 노화 예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턱 선이 V라인으로 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중력 베개(100)는, 인체의 머리(H) 부분을 지지하도록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머리 지지부(1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면 중에 좌우로 뒤척이더라도 머리(H)가 상기 머리 지지부(10)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반중력 베개(100)는, 인체의 목(N) 부분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목 지지부(2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목(N)이 "C"자 형태로 건강하게 굽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수면 중 목의 주름 발생이 방지되고 목 디스크나 목의 결림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중력 베개(100)는, 상기 목 지지부(20)를 기준으로 상기 머리 지지부(10)의 반대 쪽에 배치되며, 인체의 척추 상단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0)를 더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경사각(α)만큼 기울어진 상태의 머리(H)로 인하여 사용자의 입이 벌어지는 부작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역삼각형 영역(M)에 위치한 척추나 근육을 가압하는 지압 효과에 의하여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어깨가 펴짐으로써 자세 교정이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반중력 베개(100)는, 상기 돌출부(30)가, 인체의 척추 중 어깨와 목(N)이 만나는 지점의 역삼각형 영역(M)에 위치한 척추나 근육을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경추와 흉추의 경계를 포함하는 지점(M)을 효율적으로 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중력 베개(100)는, 상기 목 지지부(20)를 기준으로 상기 머리 지지부(10)의 반대 쪽에 배치되며, 인체의 등 일부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등 지지부(40)를 더 포함하므로, 사용자의 등이나 어깨가 베개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사용자가 수면 중에 좌우로 뒤척이더라도 사용자의 어깨나 등이 수면 중에 베개로부터 이탈하여 분리되지 않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반중력 베개(10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발포 가공됨으로써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미리 정한 형상을 기억하여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원형으로 복원될 수 있는 메모리폼(11)과, 상기 메모리폼(11)의 표면에 도포되는 유연한 재질의 외피(12)를 포함하므로, 상기 메모리폼(11)이 인체의 압력에 반응하여 인체와의 접촉 부위의 형상대로 수축 변형함으로써 체중을 분산시켜 착용감을 높여주며, 금형에 의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10, 20, 30, 40)들을 일체로 형성하기 용이하여 대량 생산에 유리하고, 상기 외피(12)에 의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메모리폼(11)의 파손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반중력 베개 10 : 머리 지지부
11 : 메모리폼 12 : 외피
20 : 목 지지부 30 : 돌출부
40 : 등 지지부 G : 중력
H : 머리 N : 목
L1 : 가상의 수평선 L2 : 머리 중심축

Claims (5)

  1. 인체의 머리를 받쳐서 지지하는 베개에 있어서,
    인체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머리 지지부;
    인체의 목 부분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목 지지부;
    를 포함하며,
    인체의 척추 방향을 따라 전후로 절단한 가상의 절단면에서, 상기 머리 지지부가 상기 목 지지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인체의 얼굴 피부가 중력에 의하여 이마 측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가상의 수평선에 대하여 인체의 머리가 미리 정한 경사각만큼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목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머리 지지부의 반대 쪽에 배치되며, 인체의 등 일부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등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 지지부의 상면에 배치되며, 인체의 척추나 근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중력 베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인체의 척추 중 어깨와 목이 만나는 지점의 척추나 근육을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중력 베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발포 가공됨으로써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미리 정한 형상을 기억하여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원형으로 복원될 수 있는 메모리폼;
    상기 메모리폼의 표면에 도포되는 유연한 재질의 외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중력 베개
KR2020130008387U 2013-10-11 2013-10-11 반중력 베개 KR200476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387U KR200476264Y1 (ko) 2013-10-11 2013-10-11 반중력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387U KR200476264Y1 (ko) 2013-10-11 2013-10-11 반중력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264Y1 true KR200476264Y1 (ko) 2015-02-11

Family

ID=5259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387U KR200476264Y1 (ko) 2013-10-11 2013-10-11 반중력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2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882B1 (ko) * 2017-07-05 2018-02-06 강석종 베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169Y1 (ko) * 2004-01-12 2004-04-17 이홍렬 지압용 베개
KR20090006441A (ko) * 2007-07-11 2009-01-15 강직원 경추 받침 베개
KR20090009745U (ko) * 2008-03-24 2009-09-29 김태산 땀 흡수 방지용 위생 베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169Y1 (ko) * 2004-01-12 2004-04-17 이홍렬 지압용 베개
KR20090006441A (ko) * 2007-07-11 2009-01-15 강직원 경추 받침 베개
KR20090009745U (ko) * 2008-03-24 2009-09-29 김태산 땀 흡수 방지용 위생 베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882B1 (ko) * 2017-07-05 2018-02-06 강석종 베개
WO2019009529A1 (ko) * 2017-07-05 2019-01-10 강석종 베개
CN110809419A (zh) * 2017-07-05 2020-02-18 姜锡钟 枕头
US11051640B2 (en) 2017-07-05 2021-07-06 Suk-Jong KANG Pillow
CN110809419B (zh) * 2017-07-05 2021-07-23 姜锡钟 枕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68810C (en) Pillow
KR101381423B1 (ko) 기능성 베개
US11627822B2 (en) Anti-wrinkle anatomic pillow
KR100982080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US20180317678A1 (en) Portable Headrest for the Prone Body Position, for Personal Use and as an Aid to Therapy
KR20180080808A (ko) 라운드형 베개
KR101635472B1 (ko) 기능성 베개
KR200476264Y1 (ko) 반중력 베개
KR101684211B1 (ko) 취침중 후두의 자유운동과 뇌척수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면베개
KR20180001158A (ko) 수면자세에 의한 인체맞춤형 기능성 베개
KR101453941B1 (ko) 건강 베개
KR101418696B1 (ko) 베개
KR200469631Y1 (ko) 안면 주름방지용 베개
CN201948583U (zh) 生理睡姿护颈枕
KR102563803B1 (ko) 베개
JP3126441U (ja)
KR20180000455A (ko) 다기능 허리베개
KR200425981Y1 (ko) 자석이 구비된 메모리폼 베개
KR200441285Y1 (ko) 경추베개
KR20210022484A (ko) 기능성 베개
KR101042100B1 (ko) 머리 받침구
KR102629541B1 (ko) 수면자세 맞춤기능 교정 베개
JP6230035B2 (ja) 美容具
KR102326030B1 (ko)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한 쿠션
KR102102538B1 (ko)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