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83Y1 - Separable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 Google Patents

Separable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83Y1
KR200476183Y1 KR2020130007461U KR20130007461U KR200476183Y1 KR 200476183 Y1 KR200476183 Y1 KR 200476183Y1 KR 2020130007461 U KR2020130007461 U KR 2020130007461U KR 20130007461 U KR20130007461 U KR 20130007461U KR 200476183 Y1 KR200476183 Y1 KR 200476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wiring box
frame
box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4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to KR2020130007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8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8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박스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상기 배선박스 내부에 위치하는 배선단자본체와 외부의 전선과의 결선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분리형 배선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측 끝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측면 양측에 구비되는 제1 측면프레임 및 제2 측면프레임을 갖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 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는 후면프레임을 갖는 제1 배선박스유닛;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의 내부공간상에 설치되는 배선단자본체; 상기 배선단자본체와 배선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에 설치되는 리셉터클유닛; 상기 배선단자본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전선이 관통하는 전선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후면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배선박스유닛;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상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덮는 상부커버;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전선을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에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고정유닛을 포함하는 분리형 배선분기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wiring branching apparatus which can reduce the volume of a wiring box and make it possible to connect the wiring terminal body located inside the wiring box to an external electric wire with eas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bottom frame forming a bottom surface, a front frame extending upward from one end of the bottom frame, a first side frame and a second side fram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A first wiring box unit having a rear frame connecting the first side frame and the second side frame; A wiring terminal main body provided on an inner space of the first wiring box unit; A receptacle unit connected to the wiring terminal main body through a wiring line and installed in the first wiring box unit so that one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 A second wiring box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frame with a wire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ower supply wi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ing terminal body passes; An upper cover which is fastened to the first wiring box unit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and covers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wiring box unit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And a wire fixing unit for fixing the power supply wire to the second wiring box unit.

Description

분리형 배선분기장치{Separable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ble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본 고안은 분리형 배선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박스 내부공간에서의 결선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분리형 배선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e wiring branc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e wiring branching apparatus for facilitating wiring in a space inside a wiring box.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 기구들에 소요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 분기장치는 통상적으로 상기 건물의 천장이나 바닥에 설치된다.A wiring branching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devices disposed inside the building is usually installed on the ceiling or floor of the building.

상기 배선 분기장치는 상기 건물의 천장 내부 또는 바닥 내부에 설치되는 배선박스와, 상기 배선 박스에 내부에 설치되는 배선단자본체와, 상기 배선단자본체로 전원을 공급하기 전선을 포함한다.The wiring branching device includes a wiring box installed in a ceiling or bottom of the building, a wiring terminal body installed inside the wiring box, and a wi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ing terminal main body.

종래에는 상기 전선이 상기 배선박스 내부공간에서 수작업을 통하여 상기 배선단자본체와 연결되었다.Conventionally,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to the wiring terminal body through manual operation in the space inside the wiring box.

그러나, 상기 배선박스 내부공간은 협소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전선과 상기 배선단자본체를 연결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space inside the wiring box is narrow, it is difficult for an operator to connect the electric wire and the wiring terminal main bod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배선박스의 부피를 크게 제작하게 되면, 상기 배선박스 내부에는 비어 있는 공간이 많아지게 되므로 배선박스의 제작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f the volume of the wiring box is made large, an empty space becomes large in the wiring box, thus increasing manufacturing cost for manufacturing the wiring box.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30579(발명의 명칭: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공개일: 1999.05.06)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30579 (entitled "Electrical Piping Box for Ceiling Slab", published on May 28, 1999)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선박스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상기 배선박스 내부에 위치하는 배선단자본체와 외부의 전선과의 결선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분리형 배선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e wiring branching apparatus which can facilitate wiring between a wiring terminal body located inside the wiring box and an external electric wire while reducing the volume of the wiring box.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측 끝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측면 양측에 구비되는 제1 측면프레임 및 제2 측면프레임을 갖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 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는 후면프레임을 갖는 제1 배선박스유닛;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의 내부공간상에 설치되는 배선단자본체; 상기 배선단자본체와 배선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에 설치되는 리셉터클유닛; 상기 배선단자본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전선이 관통하는 전선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후면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배선박스유닛;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상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덮는 상부커버;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전선을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에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고정유닛을 포함하며,상기 후면프레임에는 상기 전원공급전선과 상기 배선단자본체의 결합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후면프레임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결합으로 인하여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배선분기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bottom frame defining a bottom surface, a front frame extending upward from one end of the bottom frame, a first side fram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A first wiring box unit having a side frame having a second side frame and a rear frame connecting the first side frame and the second side frame; A wiring terminal main body provided on an inner space of the first wiring box unit; A receptacle unit connected to the wiring terminal main body through a wiring line and installed in the first wiring box unit so that one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 A second wiring box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frame with a wire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ower supply wi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ing terminal body passes; An upper cover which is fastened to the first wiring box unit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and covers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wiring box unit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And a wire fixing unit for fixing the power supply wire to the second wiring box unit, wherein the rear frame is provided with an upper opening for securing a space for coupling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wire and the wiring terminal body, And the opening is closed by the combination of the rear frame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상기 후면프레임은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 후면프레임 및 제2 후면프레임과,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후면프레임과 상기 제2 후면프레임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3 후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면프레임에는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제1 걸림홀에 삽입되는 제1 걸림편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후면프레임에는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제2 걸림홀에 삽입되는 제2 걸림편이 돌출될 수 있다.The rear frame includes a first rear frame and a second rear fram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a second rear frame disposed below the opening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first rear frame and the second rear frame, Wherein the first rear frame is provided with a first latching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latching hole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protrudes and a second latching part protruding from the second rear box frame of the second latching box unit, The second latching part inserted into the second latching part can be protruded.

상기 상부커버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후면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 일단의 상면을 동시에 잡아주는 제1 커버결합부와, 상기 커버본체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후면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타단의 상면을 동시에 잡아주는 제2 커버결합부와, 상기 커버본체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면프레임에 결합되는 제3 커버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includes a cover body, a first cover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rim of the cover body to simultaneously hol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ar frame and an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A second cover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ar box frame to hol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ar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at the same time, and a third cover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im of the cover main body, .

상기 바닥프레임에는 상기 바닥프레임을 외부의 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바닥면 결합부가 측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frame may be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bottom frame to an external structure in a lateral direction.

상기 전선고정유닛은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을 관통하면서 설치되는 고정유닛본체와, 상기 고정유닛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유닛본체와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유닛본체를 관통하는 상기 전원공급전선을 고정시키는 후방체결부재와, 상기 고정유닛본체의 전방에서 상기 고정유닛본체와 체결되는 전방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electric wire fixing unit comprises: a fixed unit body which is installed while penetrating the second wiring box unit; a rear fixing unit body which is fastened to the fixed unit body at the rear of the fixed unit body and fixes the power supply electric wire penetrating the fixed unit body A fastening member, and a front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ixed unit main body in front of the fixed unit main body.

상기 고정유닛본체는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의 내부공간상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전방체결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후방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후방체결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후방체결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수축되면서 상기 전원공급전선을 고정시키는 탄성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body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terconnection box unit and being positioned o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interconnection box unit and screwed to the front fastening member, A second engaging portion disposed in a region of the rear fastening member and screwed to the rear fastening member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being contracted to have a reduced diameter in a process of coupling the rear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an elastic coupling portion for fixing the electric wire.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배선분기장치는 제1 배선박스유닛과 제2 배선박스유닛으로 분할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배선박스를 구성하고,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이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전원공급전선을 배선단자본체와 결함으로써 배선박스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배선단자본체와 전선을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 separate wiring bran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wiring box box unit and a second wiring box box unit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iring box box unit and the second wiring box box unit, The electric power supply wire disposed before the second wiring box unit is disassembled with the wiring terminal body so that the wiring terminal body and the electric wire can be conveniently combined while reducing the volume of the wiring box.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배선분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형 배선분기장치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분리형 배선분기장치에 구비된 제1 배선박스유닛의 후방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분리형 배선분기장치에 구비된 제2 배선박스유닛과 전선고정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parate type wiring bran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the separate type wiring branching device of Fig. 1 separate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area of the first wiring box unit provided in the separate wiring-type branching apparatus of Fig. 1.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econd wire box unit and a wire fixing unit provided in the separate wire branching apparatus of FIG. 1 are combined.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배선분기장치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of the separate wire bran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배선분기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to 4, an embodiment of the separate type wire bran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분리형 배선분기장치는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상부가 개방된 배선박스를 형성하는 제1 배선박스유닛(100) 및 제2 배선박스유닛(200)과,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 및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의 상면을 덮는 상부커버(300)와, 배선단자본체(20), 리셉터클유닛 및 전선고정유닛(400)을 포함한다.The separate wiring branching device includes a first wiring box unit 100 and a second wiring box unit 200 which are sel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upper opened wiring box, An upper cover 30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a wiring terminal main body 20, a receptacle unit, and a wire fixing unit 40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170)과, 상기 바닥프레임(170)의 일측 끝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프레임(110)과,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측면 양측에 구비되는 제1 측면프레임(130) 및 제2 측면프레임(120)을 갖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 측면프레임(130)과 상기 제2 측면프레임(120)을 연결하는 후면프레임(15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includes a bottom frame 170 forming a bottom surface, a front frame 110 extending upward from one end of the bottom frame 170, A side frame having a first side frame 130 and a second side frame 120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side frame 130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 and connecting the first side frame 130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 And a rear frame 150.

상기 바닥프레임(170)에는 상기 바닥프레임(170)을 외부의 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바닥면 결합부(171)가 측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The bottom frame 170 is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coupling portion 171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or coupling the bottom frame 170 to an external structure.

또한, 상기 바닥프레임(170)에는 상기 배선단자본체(20)가 고정되어, 상기 배선단자본체(20)가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게 된다.The wiring terminal main body 20 is fixed to the bottom frame 170 so that the wiring terminal main body 20 is disposed o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상기 전면프레임(110)은 상기 바닥프레임(170)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전면프레임(110)에는 상기 상부커버(300)와의 결합을 위한 전면 결합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전면결합홀(111)이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frame 110 extends from the bottom frame 170 and the front frame 110 has a front engagement hole 111 (not shown) in which a front engagement member (not shown) Is formed.

상기 제1 측면프레임(130)은 상기 바닥프레임(170)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프레임(130)에는 상기 리셉터클유닛 중 제1 리셉터클(30)이 설치되는 제1 리셉터클 설치용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side frame 130 extends from the bottom frame 170 and the first side frame 130 is provided with a first receptacle mounting opening (not shown) in which the first receptacle 30 of the receptacle unit is installed, Is formed.

또한, 상기 제1 측면프레임(130)에는 상기 상부커버(300)와의 결합을 위한 측면 결합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측면 결합홀(131)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side frame 130 is formed with a side coupling hole 131 into which a side coupling member (not shown) for coupling with the upper cover 300 is inserted.

상기 제2 측면프레임(120)은 상기 제1 측면프레임(130)과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고, 상기 바닥프레임(170)에서 연장형성된다.The second side frame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frame 130 and extends from the bottom frame 170.

상기 제2 측면프레임(120)에는 상기 리셉터클유닛 중 제2 리셉터클(40)이 설치되는 제2 리셉터클 설치용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side frame 120 is provided with a second receptacle mounting opening (not shown) in which the second receptacle 40 of the receptacle unit is installed.

상기 후면프레임(150)은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은 상기 후면프레임(150)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The rear frame 1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Here,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has a plate shape which is tightly coupled to the rear frame 150.

또한,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의 중앙부에는 상기 배선단자본체(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전선(10)이 관통하는 전선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A wire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wire box unit 200 so as to penetrate the power supply wire 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 terminal body 20.

상기 후면프레임(150)에는 상기 전원공급전선(10)과 상기 배선단자본체(20)의 결합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157)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면프레임은 '凹'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닥프레임(170)으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rear frame 150 is formed with an opening 157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for securing a space for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electric wire 10 and the wiring terminal main body 20. For example, the rear frame may have a 'concave' shape and may extend from the bottom frame 170.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프레임(150)은 상기 개구부(157)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 후면프레임(155) 및 제2 후면프레임(156)과, 상기 개구부(157)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후면프레임(155)과 상기 제2 후면프레임(156)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3 후면프레임(158)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ear frame 150 includes a first rear frame 155 and a second rear frame 156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57, and a second rear frame 156 disposed below the opening 157, And a third rear frame 158 integrally connecting the first rear frame 155 and the second rear frame 156. [

상기 제1 후면프레임(155)에는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의 제1 걸림홀(211)에 삽입되는 제1 걸림편(151)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후면프레임(156)에는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제2 걸림홀(213)에 삽입되는 제2 걸림편(152)이 돌출되어 있다.A first latching piece 151 inserted into the first latching hole 211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protrudes from the first rear frame 155, And a second latching piece 152 inserted into the second latching hole 213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protrudes.

상기 제1 걸림편(151) 및 상기 제2 걸림편(152)은 상기 제1 후면프레임(155) 및 상기 제2 후면프레임(156)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후, 상부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된다.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ieces 151 and 152 protrude rearward from the first rear frame 155 and the second rear frame 156 by a predetermined length, do.

따라서,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이 상기 후면프레임(150)과 결합될 때,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끼워지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is engaged with the rear frame 150,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is fit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op.

상기 제1 걸림편(151)은 상기 제1 후면프레임(155)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영역을 상기 제1 후면프레임(155)의 후방으로 절곡시키는 형태로 가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후면프레임(155)에는 상기 제1 걸림편(151)이 절개된 후에 형성되는 제1 절개홀(153)이 구비된다.The first latching piece 151 is cut into a part of the first rear frame 155 and is bent so as to bend the incised region to the rear of the first rear frame 155. Therefore, the first rear frame 155 is provided with a first incision hole 153 formed after the first engaging piece 151 is incised.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걸림편(152)도 상기 제1 걸림편(151)과 동일한 형태로 가공되기 때문에 상기 제2 후면프레임(156)에도 상기 제2 걸림편(152)이 절개된 후에 형성되는 제2 절개홀(154)이 구비된다. Similarly, since the second engaging piece 152 is also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ngaging piece 151, the second engaging piece 152 is formed on the second rear frame 156 after the second engaging piece 152 is cut. Two incision holes 154 are provided.

물론,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후면프레임(155) 및 상기 제2 후면프레임(156)은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이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리이딩 삽입홈이 형성된 케이스이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the first and second rear frame 155 and 156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It may have a shape of a case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therein.

한편, 상기 개구부(157)는 상기 후면프레임(150)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의 결합, 즉 상기 제1 걸림편(151)이 상기 제1 걸림홀(211)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걸림편(152)이 상기 제2 걸림홀(213)에 삽입됨으로써 닫혀지게 된다.The opening 157 is formed in the rear frame 150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so that the first latching piece 151 is inserted into the first latching hole 211, And the second engaging piece 15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ing hole 213 to be closed.

즉, 상기 후면프레임(150)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선박스의 후방벽면을 완성하게 되고, 상기 상부커버(300)가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과 상기 제2 박스유닛의 상부에 체결되면서 직육면체 형상의 배선박스가 조립된다.In other words, the rear frame 150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are combined to complete the rear wall of the wiring box, and the upper cover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And a rectangular box-shaped wiring box is assembled while being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ox unit.

결과적으로, 작업자가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와,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개구부(157)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이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전원공급전선(10)과 상기 배선단자본체(20)를 결합함으로써 결선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상기 결선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As a result, when the operator opens the upper part of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and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157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The power supply wire 10 and the wiring terminal main body 20 are coupled before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is coupled to thereby secure a sufficient work space for the wire connection operation to facilitate the wire connection operation.

즉, 상기 전원공급전선(10)과 상기 배선단자본체(20)의 결선작업이 좁게 한정된 공간, 즉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의 내부공간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개구부(157)를 통하여 개방된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의 후방공간을 상기 결선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wiring opera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electric wire 10 and the wiring terminal body 20 is not narrowly defined, that i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The rear space of the opened first wiring box unit 100 can be used as a work space for the wiring work.

상기 전원공급전선(10)과 상기 배선단자본체(20)의 결선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을 결합하고, 상기 전원공급전선(10)을 상기 전선고정유닛(400)을 사용하여 고정하게 됨으로써 배선박스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상기 배선단자본체(20)와 상기 전원공급전선(10)을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are coupled 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cable 10 and the wiring terminal body 20 is completed and the power supply cable 10 can be fixed by using the wire fixing unit 400 so that the wire terminal body 20 and the power supply wire 10 can be easily combined while reducing the volume of the wire box.

상기 상부커버(300)는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의 상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덮게 된다. The upper cover 300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Thereby covering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커버(300)는 커버본체(310)와, 상기 커버본체(310)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후면프레임(155)의 상단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 일단의 상면을 동시에 잡아주는 제1 커버결합부(321)와, 상기 커버본체(310)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후면프레임(156)의 상단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타단의 상면을 동시에 잡아주는 제2 커버결합부(322)와, 상기 커버본체(310)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면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제3 커버결합부(323)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upper cover 300 includes a cover body 310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rear frame 155 protruding from a rim of the cover body 310 and an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A second cover frame engaging portion 321 for holding the second rear box frame unit 321 and a second cover frame engaging portion 321 for holding the second rear box frame unit 321, And a third cover engaging portion 323 protruded from the rim of the cover body 310 and coupled to the front frame 110. [

상기 제1 커버결합부(321)에는 상기 제1 측면프레임(130)과의 결합을 위한 상기 측면 결합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제1 커버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cover engaging portion 321 is formed with a first cover engaging hole (not shown) into which the side engaging member (not shown) for engaging with the first side frame 130 is inserted.

또한, 상기 제3 커버결합부(323)에는 상기 전면프레임(110)과의 결합을 위한 상기 전면 결합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제2 커버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A second cover coupling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third cover coupling portion 323 to receive the front coupling member (not shown) for coupling with the front frame 110.

한편, 상기 리셉터클유닛은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에 설치되어, 상기 배선단자본체(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의 전기기구로 분배공급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다. The receptacle unit is installed in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and serves as an intermediary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wiring terminal main body 20 to an external electric appliance.

구체적으로, 상기 리셉터클유닛은 상기 배선단자본체(20)와 배선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제1 리셉터클(30) 및 제2 리셉터클(4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eceptacle unit includes a first receptacle 30 and a second receptacle 40 that are connected to the wiring terminal body 20 through a wiring line.

상기 제1 리셉터클(30)과 상기 제2 리셉터클(40)은 일단은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각각의 전기 기구와 연결된 플러그와 결합된다.One end of the first receptacle 30 and the second receptacle 40 are located inside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ceptacle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And is coupled to a plug connected to each electric device.

한편, 상기 전선고정유닛(400)은 상기 전원공급전선(10)을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에 고정시키게 된다.Meanwhile, the wire fixing unit 400 fixes the power supply wire 10 to the second wire box unit 200.

구체적으로, 상기 전선고정유닛(400)은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을 관통하면서 설치되는 고정유닛본체(420)와, 상기 고정유닛본체(420)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유닛본체(420)와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유닛본체(420)를 관통하는 상기 전원공급전선(10)을 고정시키는 후방체결부재(430)와, 상기 고정유닛본체(420)의 전방에서 상기 고정유닛본체(420)와 체결되는 전방체결부재(41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electric wire fixing unit 400 includes a fixed unit body 420 installed through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and a fixed unit body 420 disposed behind the fixed unit body 420, A rear fastening member 430 for fastening the power supply cable 10 passing through the fixed unit main body 420 while being fastened to the fixed unit main body 420 in the front of the fixed unit main body 420, (Not shown).

상기 고정유닛본체(420)는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의 내부공간상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전방체결부재(410)와 나사결합되는 제1 결합부(421)와,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의 후방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후방체결부재(430)와 나사결합되는 제2 결합부(423)와, 상기 제2 결합부(423)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후방체결부재(430)와 상기 제2 결합부(423)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수축되면서 상기 전원공급전선(10)을 고정시키는 탄성결합부(425)를 포함한다.The fixing unit main body 420 is positioned o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through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and is fixed to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A second engaging portion 423 disposed at a rear region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and screwed to the rear fastening member 430; And an elastic coupling part 425 extending from the rear coupling member 430 and fixing the power supply cable 10 while being contract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rear coupling member 43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423 are reduced, .

상기 후방체결부재(430)의 후방영역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방체결부재(430)가 상기 고정유닛본체(420)와 결합될 때 상기 탄성결합부(425)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전원공급전선(0을 고정시키게 된다.The rear region of the rear fastening member 430 is formed to have a smaller inner diameter toward the rear so that when the rear fastening member 430 is engaged with the fixed unit main body 420, the elastic engaging portion 425 is pressed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by fixing the power supply wire (0).

상기 전원공급전선(10)이 상기 전방체결부재(410), 상기 후방체결부재(430) 및 상기 고정유닛본체(4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전선(10)과 상기 배선단자본체(20)이 결선되고, 상기 전원공급전선(10)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과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100)의 결합이 완료된 후, 작업자는 상기 고정유닛본체(420)에 상기 전방체결부재(410) 및 상기 후방체결부재(430)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전원공급전선(10)을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The power supply cable 10 and the wiring terminal main body 420 are arranged such that the power supply cable 10 passes through the front fastening member 410, the rear fastening member 430, 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and the first wiring box unit 100 is completed while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ower supply cable 10, The power supply cable 10 is stably fixed to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by fastening the front fastening member 410 and the rear fastening member 430 to the first wiring box unit 420.

또한,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의 후면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유닛본체(420)의 돌출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전선고정유닛(400)을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2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패킹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The electric wire fixing unit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and the protruding frame of the fixed unit body 420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A packing member for stably fixing the wiring box unit 200 to the second wiring box unit 200 may be provi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전원공급전선 20: 배선단자본체
30: 제1 리셉터클 40: 제2 리셉터클
100: 제1 배선박스유닛 110: 전면프레임
120: 제2 측면프레임 130: 제1 측면프레임
150: 후면프레임 151: 제1 걸림편
152: 제2 걸림편 157: 개구부
170: 바닥프레임 200: 제2 배선박스유닛
211: 제1 걸림홀 213: 제2 걸림홀
300: 상부커버 310: 커버본체
400: 전선고정유닛 410: 전방체결부재
420: 고정유닛본체 430: 후방체결부재
10: Power supply wire 20: Wiring terminal body
30: first receptacle 40: second receptacle
100: first wiring box unit 110: front frame
120: second side frame 130: first side frame
150: rear frame 151: first engaging piece
152: second engaging piece 157: opening
170: bottom frame 200: second wiring box unit
211: first engaging hole 213: second engaging hole
300: upper cover 310: cover body
400: wire fixing unit 410: front fastening member
420: fixed unit body 430: rear fastening member

Claims (6)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측 끝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측면 양측에 구비되는 제1 측면프레임 및 제2 측면프레임을 갖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 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는 후면프레임을 갖는 제1 배선박스유닛;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의 내부공간상에 설치되는 배선단자본체;
상기 배선단자본체와 배선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에 설치되는 리셉터클유닛;
상기 배선단자본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전선이 관통하는 전선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후면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배선박스유닛;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상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덮는 상부커버;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전선을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에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프레임에는 상기 전원공급전선과 상기 배선단자본체의 결합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후면프레임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결합으로 인하여 닫혀지고,
상기 후면프레임은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 후면프레임 및 제2 후면프레임과,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후면프레임과 상기 제2 후면프레임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3 후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면프레임에는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제1 걸림홀에 삽입되는 제1 걸림편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후면프레임에는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제2 걸림홀에 삽입되는 제2 걸림편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배선분기장치.
A side frame having a first side frame and a second side frame provided on both sides of a side of the front frame; A first wiring box unit having a rear frame connecting the first side frame and the second side frame;
A wiring terminal main body provided on an inner space of the first wiring box unit;
A receptacle unit connected to the wiring terminal main body through a wiring line and installed in the first wiring box unit so that one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
A second wiring box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frame with a wire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ower supply wi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ing terminal body passes;
An upper cover which is fastened to the first wiring box unit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and covers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wiring box unit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And,
And a wire fixing unit for fixing the power supply wire to the second wiring box unit,
The rear frame is provided with an upper opening portion for securing a space for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electric wire and the wiring terminal main body, and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rear frame and the second wiring box unit Closed,
The rear frame includes a first rear frame and a second rear fram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a second rear frame disposed below the opening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first rear frame and the second rear frame, Frame,
A first latching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latching hole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protrudes from the first rear frame, and a second latching part inserted into the second latching hole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protrudes from the second rear frame, And a latching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the latching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후면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 일단의 상면을 동시에 잡아주는 제1 커버결합부와, 상기 커버본체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후면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타단의 상면을 동시에 잡아주는 제2 커버결합부와, 상기 커버본체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면프레임에 결합되는 제3 커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배선분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includes a cover body, a first cover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rim of the cover body to simultaneously hol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ar frame and an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A second cover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ar box frame to hol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ar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ing box unit at the same time, and a third cover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im of the cover main bod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iring branching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에는 상기 바닥프레임을 외부의 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바닥면 결합부가 측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배선분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a bottom surface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bottom frame to an external structure is formed in the bottom frame so as to protrude laterally.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유닛은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을 관통하면서 설치되는 고정유닛본체와, 상기 고정유닛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유닛본체와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유닛본체를 관통하는 상기 전원공급전선을 고정시키는 후방체결부재와, 상기 고정유닛본체의 전방에서 상기 고정유닛본체와 체결되는 전방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배선분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electric wire fixing unit comprises: a fixed unit body which is installed while penetrating the second wiring box unit; a rear fixing unit body which is fastened to the fixed unit body at the rear of the fixed unit body and fixes the power supply electric wire penetrating the fixed unit body And a front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ixed unit main body in front of the fixed unit main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본체는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배선박스유닛의 내부공간상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전방체결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배선박스유닛의 후방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후방체결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후방체결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수축되면서 상기 전원공급전선을 고정시키는 탄성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배선분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ing unit body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terconnection box unit and being positioned o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interconnection box unit and screwed to the front fastening member, A second engaging portion disposed in a region of the rear fastening member and screwed to the rear fastening member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being contracted to have a reduced diameter in a process of coupling the rear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an elastic coupling portion for fixing the electric wire.
KR2020130007461U 2013-09-05 2013-09-05 Separable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KR2004761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461U KR200476183Y1 (en) 2013-09-05 2013-09-05 Separable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461U KR200476183Y1 (en) 2013-09-05 2013-09-05 Separable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183Y1 true KR200476183Y1 (en) 2015-02-04

Family

ID=5259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461U KR200476183Y1 (en) 2013-09-05 2013-09-05 Separable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83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82Y1 (en) * 2015-03-06 2015-12-07 주식회사 세홍 Integrated lighting apparatus with a covering box for distributing wire
KR101841110B1 (en) 2017-08-17 2018-05-04 손성민 Smart Control Box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7184U (en) * 1977-02-04 1978-08-28
KR19990042131U (en) * 1998-05-26 1999-12-27 전상빈 Distribution box
KR200274778Y1 (en) * 2002-02-06 2002-05-09 세홍산업 주식회사 Box for distributing wiring under floor
JP2002369334A (en) * 2001-06-12 2002-12-20 Yazaki Corp Waterproofing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ion box
KR200423752Y1 (en) * 2006-05-19 2006-08-11 세홍산업 주식회사 Wire box for distributing floor
KR20100024810A (en) * 2008-08-26 2010-03-08 김근수 Terminal box for communication and electricity
KR20100092156A (en)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희람테크 Terminal box for communication cable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7184U (en) * 1977-02-04 1978-08-28
KR19990042131U (en) * 1998-05-26 1999-12-27 전상빈 Distribution box
JP2002369334A (en) * 2001-06-12 2002-12-20 Yazaki Corp Waterproofing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ion box
JP3914399B2 (en) * 2001-06-12 2007-05-16 矢崎総業株式会社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274778Y1 (en) * 2002-02-06 2002-05-09 세홍산업 주식회사 Box for distributing wiring under floor
KR200423752Y1 (en) * 2006-05-19 2006-08-11 세홍산업 주식회사 Wire box for distributing floor
KR20100024810A (en) * 2008-08-26 2010-03-08 김근수 Terminal box for communication and electricity
KR20100092156A (en)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희람테크 Terminal box for communication cab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82Y1 (en) * 2015-03-06 2015-12-07 주식회사 세홍 Integrated lighting apparatus with a covering box for distributing wire
KR101841110B1 (en) 2017-08-17 2018-05-04 손성민 Smart Control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5446B2 (en) Wall mounted electrical apparatus
KR200476183Y1 (en) Separable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RU2714826C2 (en) Vehicle cord connection unit (embodiments)
KR20160001736U (en) Integrated raceway device having wire distribution
US20100059268A1 (en) Retractable electrical cord box
JP2011253681A (en) Connector cover
JP2008130616A (en) Electrical equipment and display device
US7370446B2 (en) Adapter for attachment to an ironing board
US20170331082A1 (en) Electric device
KR101553026B1 (en) Cable Duct
KR101820143B1 (en) Wiring connector
RU2422961C2 (en) Tight connection accessory with flexible diaphragm between wiring duct and instrument box
JP6566342B2 (en) Connector, power supply device, and lighting fixture
JP5901583B2 (en) Energy measuring device
JP3161717U (en) Connector structure
US20150162732A1 (en) Channel System
KR20120005110A (en) All-in-one type electric wiring box
JP6415180B2 (en) Wall-mounted controller device
KR101583367B1 (en) Cable Duct With Cable Holder
JP6410172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JP2014059994A (en) Terminal device and outlet using the same
TWI566486B (en) Wiring appliance coupling device
KR200474302Y1 (en) Separable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JP5584609B2 (en) Wiring plate and wiring device
KR101864764B1 (en) socke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