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096Y1 - 전동식 운반구용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운반구용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096Y1
KR200476096Y1 KR2020130009574U KR20130009574U KR200476096Y1 KR 200476096 Y1 KR200476096 Y1 KR 200476096Y1 KR 2020130009574 U KR2020130009574 U KR 2020130009574U KR 20130009574 U KR20130009574 U KR 20130009574U KR 200476096 Y1 KR200476096 Y1 KR 200476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accelerator
output
sensor
over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민수
Original Assignee
허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민수 filed Critical 허민수
Priority to KR2020130009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게차, 대차와 같은 전동식 운반구의 현재속도를 감지하여 지정속도에 도달하면 악셀 페달의 출력을 강제로 낮추어 지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것을 제한하는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는 악셀레이터 페달과 연결하기 위한 악셀레이터 페달 인터페이스부; 속도센서와 연결하기 위한 속도센서 인터페이스부; 스타트 스위치 입력부; 디지털 악셀레이터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 아날로그 악셀레이터 신호를 상기 콘트롤러로 출력하는 악셀레이터 신호 출력부; 제어신호에 따라 바이패스 릴레이를 구동하는 바이패스 릴레이 구동부; 및 속도센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로 속도를 측정하고, 스타트 스위치가 온이면, 측정된 속도를 설정된 과속기준과 비교 연산한 후 측정된 속도가 과속범위이면, 과속모드 진행 중인지를 판단하여 과속모드 진행 중이면 출력값과 제한값을 비교하여 출력값이 제한값보다 크면, 악셀레이터 출력을 감소시킨 후 출력값 포트로 출력하고, 출력이 제한값보다 낮으면 악셀레이터 출력값을 증가시키는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식 운반구용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SPEED ADAPTED ACCELERATOR FOR ELECTRIC FORKLIFT}
본 고안은 지게차, 대차와 같은 전동식 운반구의 악셀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구의 현재속도를 감지하여 지정속도에 도달하면 악셀 페달의 출력을 강제로 낮추어 지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것을 제한하는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화물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또는 이것을 제한된 공간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는데 사용되며, 동력원에 따라 크게 엔진 지게차와 전동 지게차로 구분된다. 전동 지게차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것으로, 엔진 지게차에 비해 배기 가스가 없고 소음이 작아 실내 작업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전동 지게차의 운전석에는 조향 핸들과 작업레버, 전·후진 조작레버, 및 악셀레이터 페달이 배치되어 이들의 조작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전동 지게차의 악셀레이터는 악셀레이터 페달과 직접 연결되고, 페달을 밟으면 전후진 방향 스위치의 지정된 방향으로 주행속도가 증가되고, 페달을 놓으면 주행속도가 감소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악셀레이터 페달 아래에는 페달을 밟기 시작할 때 온되는 스타트 스위치와 페달을 완전히 밟을 때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시키는 바이패스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바이패스 스위치가 온되면 배터리 전원이 컨트롤러를 거치지 않고 전동 모터와 직결되어 최대 출력이 되도록 되어 있다.
사업장 내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동 지게차와 같은 전동식 운반구의 경우 약 8Km 내지 10Km를 안전속도로 지정하여 안전속도를 지키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운전자가 안전속도를 지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GPS를 이용한 과속 경보기를 달거나 악셀레이터 페달 밑을 볼트 등으로 고정하여 페달을 더 밟지 못하게 하였다. 그런데 과속 경보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이를 무시하고 주행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물리적으로 페달을 밟지 못하게 할 경우에는 처음부터 속력이 낮아지므로 힘이 없고 바이패스 동작이 불가능하여 오르막이나 과속방지턱 등을 넘어가지 못하거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로 부착한 스피드 센서로 현재속도를 검출하여 지정한 속도 이상이 되면 악셀레이터 페달의 출력을 강제로 낮추어 속도를 줄이고, 일정속도로 떨어지면 다시 원상 복구시켜 주어 과속시에는 운전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악셀레이터의 출력을 적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속도 연동형 악셀레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치는 악셀레이터 페달과 콘트롤러 사이에 부가 설치되어 속도센서로 운반구의 속도를 감지하여 지정된 속도 이상의 과속을 제한하도록 된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는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과 연결하기 위한 악셀레이터 페달 인터페이스부; 상기 속도센서와 연결하기 위한 속도센서 인터페이스부; 스타트 스위치 입력부; 디지털 악셀레이터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 아날로그 악셀레이터 신호를 상기 콘트롤러로 출력하는 악셀레이터 신호 출력부; 제어신호에 따라 바이패스 릴레이를 구동하는 바이패스 릴레이 구동부; 및 상기 속도센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로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스타트 스위치가 온이면, 측정된 속도를 설정된 과속기준과 비교 연산한 후 측정된 속도가 과속범위이면, 과속모드 진행중인지를 판단하여 과속모드 진행 중이면 출력값과 제한값을 비교하여 출력값이 제한값보다 크면, 악셀레이터 출력을 감소시킨 후 출력값 포트로 출력하고, 출력이 제한값보다 낮으면 악셀레이터 출력값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는 과속시에는 운전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악셀레이터의 출력을 적정하게 조절하여 안전속도를 유지시켜줌과 아울러, 기존의 악셀레이터 페달과 콘트롤러 사이에 어답터 형식으로 설치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원상복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기존의 콘트롤러를 개조하거나 훼손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과속이 아닌 경우에는 그 어떤 영향도 주지 않으므로 과속상태가 아닌 경우 운전자는 장치의 부착 여부를 전혀 느끼지지 못하면서 운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전자식 콘트롤러 방식으로서 다양한 방식의 악셀레이터 입력을 수용함과 아울러 아날로그 출력과 디지털 출력을 각각 제공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동식 운반구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수정 및 파라메터 설정 변경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기능이나 작동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과속 경보기 등 외부 입/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전자식 악셀레이터를 가진 모든 전동식 운반구(지게차, 대차, 운반구 등) 및 전자식 악셀레이터를 부착한 엔진형 지게차 등에도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의 연결 구성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의 구성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의 설정 화면의 예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의 연결 구성 블럭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셀레이터 페달(10)과 콘트롤러(20) 사이에 부가 설치되어 속도센서(30)가 감지한 모터(40)의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현재속도가 지정속도를 넘어설 경우에 악셀레이터 페달(10)의 작동을 제한하고, 옵션센서(50)와 옵션장치(60)가 설치된 경우 옵션센서(5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여 옵션장치(60)를 제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악셀레이터 페달(10)은 운전자가 운반구의 속도를 증감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장치로서, 종류에 따라 포텐셔너나 홀센서, 포토센서 등을 이용하여 0V~5V의 가변신호를 출력하는 타입과, 10V를 기준으로 전진은 5V~10V 상승 후진은 5V~0V로 하강하는 타입, 디지털 4비트 코드로 출력하는 타입 등이 있으며,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입력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콘트롤러(20)는 악셀레이터 페달(10)의 조작에 따라 엔진이나 전동모터(40)의 회전을 조절하여 운반구의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제어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아날로그 악셀레이터 신호와 디지털 악셀레이터 데이터를 모두 제공할 수 있어 설치되는 전동식 운반구의 컨트롤러에 적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속도센서(30)는 전동모터(40)의 회전이나 엔진의 회전을 감지하여 프로세서가 운반구의 주행속도를 연산할 수 있게 하고, 옵션센서(50)와 옵션장치(60)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예컨대, 옵션센서(50)로서 초음파센서나 적외선 거리계, 열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인체 근접경고 또는 감속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고, 광(CdS)센서 등을 이용하여 주간과 야간에 안전속도를 차등 적용할 수 있으며, 유압 압력센서를 사용하여 과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저울 기능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전류센서를 이용한 배터리 성능검사나 온도센서를 이용한 모터 과열 실시간 감지 기능, 유량센서를 이용한 유압 작동유 레벨측정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옵션장치(60)로 속도계 디스플레이를 부가할 경우에는 운반구의 주행속도를 표시할 수 있고, 과속경보 알림장치를 부가할 경우에는 지정된 안전속도를 초과하여 과속할 경우에 경보음을 울려 과속을 알려주며, 전자식 저울을 부가하여 적재중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100)는 기존의 악셀레이터 페달(10)과 콘트롤러(20) 사이에 어답터 형식으로 설치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원상복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식 콘트롤러 방식이므로 프로그램 수정 및 파라메터 설정 변경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기능이나 작동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4 내지 48 VDC의 직류전원을 입력받아 Vdd 12V, Vcc 5V를 제공하는 전원부(110)와, 악셀레이터 페달(10)과 연결하기 위한 악셀레이터 페달 인터페이스부(A)와, 황화카드늄(CdS) 광 센서와 연결하기 위한 광(CdS) 센서 인터페이스부(B)와, 초음파 모듈과 연결하기 위한 초음파모듈 인터페이스부(C)와, 압력센서와 연결하기 위한 압력센서 인터페이스부(D)와, 속도센서와 연결하기 위한 속도센서 인터페이스부(D), 스타트 스위치 입력부, 디지털 4비트 방식의 악셀레이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4비트 디지탈 입력부, 외장형 블루투스 모듈(125), 4비트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162), 트랜지스터 어레이 출력부(164), 프로세서(13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랜지스터 어레이 출력부(164)는 프로세서의 디지털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4비트 오픈 콜랙터(O.C) 디지털 출력으로 콘트롤러(20)로 전달하고, 시그널 LED와 시그널 부저, 바이패스 릴레이, 경보기 릴레이를 구동한다. 프로세서(130)는 A/D 입력부(131)와 디지털 입력부(132), 카운터 입력부(133), 통신입출력부(134), 내부데이터 롬(135), 디지털 출력부(136)를 내장하고 있으며,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부(110)는 역전압 방지 및 서지보호회로(112)와 DC-DC 컨버터(114)로 이루어지고, 각 센서 인터페이스부는 입력보호회로(121~124)와 OP AMP 아날로그 분압 증폭/버퍼 회로(125)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악셀레이터 입력은 입력보호회로(121)와 OP-AMP 아날로그 분압 증폭/버퍼회로(125)를 거쳐 프로세서의 아날로그/디지털 입력부(131)로 전달되고, 광센서 입력은 입력보호회로(122)와 OP-AMP 아날로그 분압 증폭/버퍼회로를 거쳐 프로세서의 아날로그/디지털 입력부(131)로 전달되며, 초음파모듈 입력은 입력보호회로(123)와 OP-AMP 아날로그 분압 증폭/버퍼회로(125)를 거쳐 프로세서의 아날로그/디지털 입력부(131)로 전달되고, 압력센서 입력은 입력보호회로(124)와 OP-AMP 아날로그 분압 증폭/버퍼회로(125)를 거쳐 프로세서의 아날로그/디지털 입력부(131)로 전달된다.
또한 속도센서(30)의 입력은 펄스입력회로(141)를 통해 프로세서의 카운터 입력부(133)로 전달되고, 스타트 스위치 입력은 풀업 입력보호회로(142)를 거쳐 프로세서의 디지털 입력부(132)로 전달되고, 4비트 디지털 입력은 풀업 입력보호회로(143)를 통해 프로세서의 디지털 입력부(132)로 전달된다.
프로세서의 통신입출력부(134)는 RS232C 직렬 통신포트(154)와 I2C통신부(152)를 통해 주변 소자들과 통신하는데, 외장형 블루투스 모듈(156)은 RS232C 직렬 통신포트를 통해 프로세서(130)와 통신한다.
프로세서의 디지털 출력부(136)에서 출력되는 4비트 악셀레이터 데이터는 4비트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162)에서 16단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아날로그 입력방식의 콘트롤러측으로 출력되고, 프로세서의 디지털 출력부(136)에서 출력되는 4비트 디지털 악셀레이터 데이터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출력부(164)를 통해 4비트 오픈 콜랙터 방식의 디지털 신호로 디지털 입력방식의 콘트롤러(20)로 출력된다.
프로세서의 디지털 출력부(136)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제어신호들은 트랜지스터 어레이 출력부(164)를 거쳐 시그널 LED, 시그널 부저, 바이패스 릴레이, 경보기 릴레이를 구동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펄스입력회로(141)를 통해 입력된 속도센서(30)의 감지신호로 속도를 측정하고, 스타트 스위치가 온이면, 측정된 속도를 설정된 과속기준과 비교 연산한 후 측정된 속도가 과속범위이면 바이패스 릴레이를 구동하여 전동식 운반구를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시키고, 과속모드 진행 중이면 출력값과 제한값을 비교하여 출력값이 제한값보다 크면, 악셀레이터 출력을 감소시킨 후 출력값 포트로 출력하고, 출력이 제한값보다 낮으면 악셀레이터 출력값을 증가시키며 과속범위가 아니면, 과속모드 진행중인지 판별하여 진행중이면 과속모드를 리셋하고 바이패스를 복귀시키고, 과속모드 진행중이 아니면, 악셀레이터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여 입력이 출력보다 크면, 슬로우 스타트 진행중인지 확인하여 슬로우 스타트가 아니면 슬로우 스타트 타이머를 개시하고 슬로우 스타트이면 슬로우 타이머를 확인하여 정상이면 악셀레이터 출력값을 증가시키고 출력값을 포트로 출력한 후 슬로우 타이머를 해제하고 메인 루프로 복귀하며, 악셀레이터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여 입력이 출력보다 작으면, 악셀레이터 출력값을 감소시킨 후 슬로우 스타트 타이머를 해제시키고, 출력값을 포트로 출력한 후 메인 루프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의 설정 화면의 예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100)는 전동식 운반구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PC나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폰 등으로 각종 파라메터 값을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아닌 전동식 운반구의 운전자는 안전속도 등을 마음대로 변경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설치가 완료된 후에 본 고안에 따른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내부 롬 데이터를 로딩하고, 데이터를 검증하여 실패하면 에러발생을 비프음으로 표출함과 아울러 모든 출력을 중지하고 무한 루프를 실행한다(00~03). 로딩이 완료되면, 장비모델, 타이머, 작동모드, 과속 데이터 등 설정값을 지정하고, 장비모델별 프로그램으로 분기한다(04,05).
이어 타이머 인터럽트를 개시하고, 작업용 무한루프를 시작하며, 속도측정 카운트를 시작한다(06~08). 이어 센서 및 디지털 입력을 읽어오고, 스타트 스위치가 오프이면 모든 출력 초기화를 시행한 후 바이패스를 복귀시키고, 경보기를 오프하며 고속모드 리셋을 실행한다(07~11).
만일, 스타트 스위치가 온이면, 센서 연동 과속기준을 연산하고, 속도측정 완료체크 루프를 돌면서 속도를 측정하다 속도측정이 완료되면, 과속기준과 비교연산한다(12~15).
측정된 속도가 과속범위이면, 과속모드로 진행중인지 판별하여 아니면 과속모드로 시작하면서 바이패스를 오프하고 경보기를 작동시킨다(17,18). 과속모드 진행중이면, 출력값과 제한값을 비교하여 출력값이 제한값보다 크면, 악셀레이터 출력을 감소시킨 후 출력값 포트로 출력하고, 출력이 제한값보다 낮으면 악셀레이터 출력값을 증가시킨다(19~24).
과속범위가 아니면, 과속모드 진행중인지 판별하여 진행중이면 과속모드를 리셋하고 바이패스를 복귀시킨 후 경보기를 해제한다(17,18).
과속모드 진행중이 아니면, 악셀레이터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여 입력이 출력보다 크면, 슬로우 스타트 진행 중인지 확인하여 아니면 슬로우 스타트 타이머를 개시하고, 슬로우 스타트이면 슬로우 스타트 타이머를 확인하여 정상이면 악셀레이터 출력값을 증가시키고 출력값을 포트로 출력한 후 슬로우 스타트 타이머를 해제하고 메인 루프로 복귀한다(25,26,31~36).
만일, 악셀레이터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여 입력이 출력보다 작으면, 악셀레이터 출력값을 감소시킨 후 슬로우 스타트 타이머를 해제시키고, 출력값을 포트로 출력한 후 메인루프로 복귀한다(27~30).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악셀레이터 페달 20: 콘트롤러
30: 속도센서 40: 모터
50: 옵션센서 60: 옵션장치
110: 전원부 121~124: 입력보호회로
125: OP-AMP 아날로그 분압 증폭/버퍼회로
130: 프로세서 141: 펄스입력회로
142,143: 풀업 입력보호회로 162: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164: 트랜지스터 어레이 출력부

Claims (5)

  1. 악셀레이터 페달과 콘트롤러 사이에 부가 설치되어 속도센서로 운반구의 속도를 감지하여 지정된 속도 이상의 과속을 제한하도록 된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는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과 연결하기 위한 악셀레이터 페달 인터페이스부;
    상기 속도센서와 연결하기 위한 속도센서 인터페이스부;
    스타트 스위치 입력부;
    디지털 악셀레이터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
    아날로그 악셀레이터 신호를 상기 콘트롤러로 출력하는 악셀레이터 신호 출력부;
    디지털 악셀레이터 데이터를 오픈 콜랙터 타입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악셀레이터 데이터 출력부;
    제어신호에 따라 바이패스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바이패스 릴레이 구동부; 및
    상기 속도센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로 속도를 측정하고, 스타트 스위치가 온이면, 측정된 속도를 설정된 과속기준과 비교 연산한 후 측정된 속도가 과속범위이면, 과속모드 진행중인지를 판단하여 과속모드 진행중이 아니면 상기 바이패스 릴레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바이패스 릴레이를 오프시키고 과속모드를 시작하며, 과속모드 진행 중이면 출력값과 제한값을 비교하여 출력값이 제한값보다 크면, 악셀레이터 출력을 감소시킨 후 출력값 포트로 출력하고, 출력이 제한값보다 낮으면 악셀레이터 출력값을 증가시키며 과속범위가 아니면, 과속모드 진행중인지 판별하여 진행중이면 과속모드를 리셋하고 바이패스를 복귀시키고, 과속모드 진행중이 아니면, 과속범위가 아닌 경우에 악셀레이터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여 입력이 출력보다 크면, 슬로우 스타트 진행중인지 확인하여 슬로우 스타트가 아니면 슬로우 스타트 타이머를 개시하고, 슬로우 스타트이면 슬로우 타이머를 확인하여 정상이면 악셀레이터 출력값을 증가시키고 출력값을 포트로 출력한 후 슬로우 스타트 타이머를 해제하고 메인 루프로 복귀하며, 악셀레이터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여 입력이 출력보다 작으면, 악셀레이터 출력값을 감소시킨 후 슬로우 스타트 타이머를 해제시키고, 출력값을 포트로 출력한 후 메인 루프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는
    악셀레이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4비트 디지털 입력회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는
    과속시 동작하는 경보기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과속시 상기 경보기를 구동하는 경보기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고객의 요구에 따라 옵션센서와 옵션장치를 부가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센서는
    황화카드늄(CdS) 광 센서나 초음파 모듈, 압력센서, 온도센서, 열감지센서, 적외선센서 혹은 로드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장치는
    속도계 디스플레이나 과속경보 알림장치, 혹은 전자식 저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
KR2020130009574U 2013-11-21 2013-11-21 전동식 운반구용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 KR200476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74U KR200476096Y1 (ko) 2013-11-21 2013-11-21 전동식 운반구용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74U KR200476096Y1 (ko) 2013-11-21 2013-11-21 전동식 운반구용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096Y1 true KR200476096Y1 (ko) 2015-02-04

Family

ID=5259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574U KR200476096Y1 (ko) 2013-11-21 2013-11-21 전동식 운반구용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7125A (zh) * 2016-11-23 2017-01-25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油门踏板开度信号滤波方法及系统
CN114571998A (zh) * 2022-04-02 2022-06-03 江苏云仓联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超速报警器及报警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293U (ko) * 1994-12-28 1996-07-18 자동차의 속도 제한장치
KR19980037250U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차량의 과속방지용 액셀레이터페달 자동제어장치
KR19980057798U (ko) * 1997-02-12 1998-10-15 김영환 차량의 최고속도 제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293U (ko) * 1994-12-28 1996-07-18 자동차의 속도 제한장치
KR19980037250U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차량의 과속방지용 액셀레이터페달 자동제어장치
KR19980057798U (ko) * 1997-02-12 1998-10-15 김영환 차량의 최고속도 제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7125A (zh) * 2016-11-23 2017-01-25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油门踏板开度信号滤波方法及系统
CN114571998A (zh) * 2022-04-02 2022-06-03 江苏云仓联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超速报警器及报警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535414T1 (de) Steuersystem für ein fahrzeug mit elektroantrieb
CN101020423A (zh) 用于控制车辆后退的方法和装置
US92336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itiating an operation of a motor vehicle under emergency conditions
KR102030705B1 (ko) 전기이륜차 관리 시스템
CN107264830B (zh) 航空地面设备主动安全对接飞机系统
RU2011132276A (ru) Управление крутящим моментом при торможении
CN113696725B (zh) 一种电传动矿用自卸车自适应安全限速保护系统及方法
US20090005944A1 (en)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Mobil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id Functions
KR200476096Y1 (ko) 전동식 운반구용 속도 감응형 악셀레이터 장치
CN202357876U (zh) 一种安全保护装置以及汽车
CN109367390B (zh) 自卸车取力器安全控制系统及方法
US20140121937A1 (en) Digital signal to analog signal gauge adapter
WO20150571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acceleration process of a bus
KR20210088410A (ko) 급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30488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방법
CN104005865A (zh) 发动机控制装置
CN109931168A (zh) 一种重载车下坡速度控制装置
CN104139733A (zh) 过载保护系统及带有该保护系统的汽车
CN202987116U (zh) 防误踩油门的非接触控制装置
KR102240419B1 (ko) Pto 제어 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US201603256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brake system verification
KR101895680B1 (ko) 차량 스로틀 잠금 회로 및 방법
KR20190081099A (ko) 산업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EP2192014A2 (en) Device and process for preventing off-road vehicles from overturning
KR101502245B1 (ko) 상용차량의 과적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