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084Y1 - 모자 - Google Patents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084Y1
KR200476084Y1 KR2020140004688U KR20140004688U KR200476084Y1 KR 200476084 Y1 KR200476084 Y1 KR 200476084Y1 KR 2020140004688 U KR2020140004688 U KR 2020140004688U KR 20140004688 U KR20140004688 U KR 20140004688U KR 200476084 Y1 KR200476084 Y1 KR 200476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wning
protrusion
coupl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쉬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쉬즈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쉬즈원
Priority to KR2020140004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0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1Pockets therefor; Head covering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2Means for mounting 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1/244Means for mounting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4Head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차양으로 이루어지는 모자본체와, 상기 차양에 접하여 구비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표시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부재는 차양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져, 본체부가 차양에 결합되면 돌기부는 차양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향 연장되어 단부가 차양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대는 단부가 차양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에 결합되어 차양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향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재로 지지대가 삽입되어 표시부재가 지지대에 결합되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자{A Cap}
본 고안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부재의 경사 방향을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 사고 등이 예방되어 아동이 보호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어린이 보호 표시구가 부착된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어린이 보호 표시구가 부착된 모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은 햇빛을 가리는 통상의 차양모자 또는 일반모자(1)에 있어서, 모자(1)의 이마보호대(2) 하단과 봉재되는 차양(3) 지지판넬(3')의 후단부 중앙에 삽입홈(4)을 형성한 다음 얇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지지대(5)의 상단 삽착편(6)이 일정한 형상 모양을 갖는 표시구(7) 저면에 끼워지며 표시구(7) 배면에는 성명과 전화번호가 기재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5) 하단에는 힌지볼(8)을 고정하여 요홈(9')을 갖는 연결캡(9) 상부에 끼우고 하부에는 결착홈(10b)이 형성된 결착구(10)의 힌지볼(10a)이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결착구(10)의 결착홈(10b)이 차양(3)의 지지판넬(3') 삽입홈(4)에 압착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결착구(10)가 가리도록 외피(11)가 씌워진 모자의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모자(1)는 표시구(7)가 설치된 모자(1)를 구입하여 어린이가 착용하기 전에 동물 얼굴, 조류 머리 등의 일정한 형상 모양으로 된 표시구(7) 배면에 착용하는 어린이의 성명과 집 전화번호를 기재한 후 모자(1)를 착용하면 어린이가 걸어다닐 때마다 얇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지지대(5) 표시구(7)의 무게에 의하여 좌우로 흔들리므로 지지대(5) 상단 삽착편(6)에 끼워진 표시구(7)가 좌우로 흔들리도록 하여 표시구(7) 전면에 인쇄 또는 그려진 얼굴 모양이 함께 움직이는 것처럼 입체감을 갖으므로 어린이들의 시선을 집중시켜 호기심을 유발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모자(1)는 어린이가 모자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하거나 보관할 경우에는 입설된 지지대(5)를 앞으로 당기면 지지대(5) 하단에 고정된 힌지볼(8)이 연결캡(9) 상단 내에서 회전되어 연결캡(9) 전면 상단의 요홈(9')에 삽입되어 절곡되므로 표시구(7)와 지지대(5)는 모자(1)의 차양(3)과 밀착되어 수평으로 이루며, 사용시에는 지지대(5)를 상부로 입설시키면 세울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자(1)는 지지대(5)의 하부에 힌지볼(8)이 구비되고 상부에 삽착편(6)이 구비되며, 연결캡(9)에 의하여 결착구(10)에 연결되어 모자(1)에 고정되는 구조가 복잡하고, 무게가 증가될 수 있으며, 표시구(7)가 흔들리는 구조이므로 흔들림 외력에 의하여 착용이 불편하게 되고, 지지대(5)가 차양(3)과 밀착하여 수평이 되면 표시부재(7)가 차양(3)의 단부를 넘어 돌출되는 구조로 되어 전방으로 쏠림 하중이 발생하여 사용이 불편하게 되고 표시부재(7)가 정면을 향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20-1999-0039687호 공개실용신안공보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표시부재의 경사 방향을 조절하여 차양에 설치할 수 있으며, 중공의 지지대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경량화되며, 표시부재의 높이가 조절되며, 지지대의 하단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지지대의 하단부를 경사지게 가공할 필요가 없는 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차양으로 이루어지는 모자본체와, 상기 차양에 결합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표시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부재는 차양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져, 본체부가 차양에 결합되면 돌기부는 차양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향 연장되어 단부가 차양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대는 단부가 차양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에 결합되어 차양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향 연장되며; 상기 표시부재로 지지대가 삽입되어 표시부재가 지지대에 결합되는 모자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본체부는 차양의 하면에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돌기부는 차양을 관통하여 차양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부는 차양의 상면에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돌기부는 본체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돌기부는 본체부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어, 차양에 결합되는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다른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상기에서, 상기 차양의 상면에는 삽입통공이 형성된 보강부재가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는 보강부재의 삽입통공을 관통하여 상향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삽입통공은, 상부에 턱부를 형성하며 단면적이 증가하는 확장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는 중공체로서 일측으로 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확장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차양의 하면에는 상부에 홈부가 형성된 보강부재가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는 돌기부가 돌출된 반대 쪽으로 돌출된 연결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돌기는 차양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고 차양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치부재에는 돌기부를 둘러싸며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중공체로서 일측으로 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지지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지지대는 텔레스코픽되는 중공체인 복수의 지지대본체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부는 외경이 가장 작은 지지대본체로 삽입되며, 상기 표시부재에는 외경이 가장 큰 지지대본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는 설치부재의 돌기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므로 차양에 본체부를 결합시킬 때 본체부의 회전하여 따라 돌기부의 경사 방향이 변하므로 표시부재의 형태나 차양의 경사에 따라 돌기부의 경사 방향을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돌기부에 지지대가 결합되고 지지대가 표시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돌기부의 길이를 길게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출로 설치부재를 제조될 때 제조가 간단하고 불량 발생률이 낮아지게 되며, 지지대를 중공으로 하고 돌기부가 지지대로 삽입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결합이 간단해지고 경량화되며, 확장부를 가지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고 지지대의 하단부가 확장부로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지지대가 견고하게 지지되며, 지지대의 하단부에 대한 경사 가공 등이 생략될 수 있고, 지지대가 텔레스코픽되는 구조로서 차양으로부터 표시부재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으므로 아동 착용 시 차량으로부터 식별 가능성이 높아져 사고가 예방되며, 높이를 조정하더라도 표시부재가 정면을 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어린이 보호 표시구가 부착된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어린이 보호 표시구가 부착된 모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에 구비되는 설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에 구비되는 보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로서 변형 예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에 구비되는 지지대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에 구비되는 설치부재의 회전에 따라 돌기부의 경사 방향이 조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설치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에 구비되는 표시부재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의 경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에 구비되는 설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에 구비되는 보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로서 변형 예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에 구비되는 지지대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에 구비되는 설치부재의 회전에 따라 돌기부의 경사 방향이 조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설치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에 구비되는 표시부재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의 경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의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본 고안에 따르는 모자(100)는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113)와 상기 착용부(113)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차양(111)으로 이루어지는 모자본체(110)와, 상기 차양(111)에 결합되는 설치부재(140)와, 상기 설치부재(14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지지대(130)와, 상기 지지대(13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표시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자본체(110)를 이루는 착용부(113)는 도 3,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시 머리를 덮는 형태이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시 머리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차양(111)은 착용부(113)의 일측방에 구비될 수도 있고, 착용부(113) 둘레 전체를 따라 구비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차양(111)은 내부에 PVC나 PET 등과 같은 합성 수지인 판상의 지지체가 구비되고 섬유 외피로 감싼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판상 지지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섬유 외피로 감싼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부재(140)는 차양(111)에 접하여 구비되는 본체부(141)와, 상기 본체부(141)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부재(141)는 스틸이나 동합급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경량화를 위하여 나일론,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도 향상을 위하여 유리섬유, 탄소 섬유 등이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140)는 합성수지로 하여 사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41)는 원형 판상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43)는 본체부(14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돌기부(143)의 단면도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41)를 사각형으로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일변의 길이는 1∼2㎝ 범위, 두께가 2∼5㎜ 범위인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143)는 길이를 1∼1.5㎝ 범위로 단면을 원형으로 하는 경우 지름을 4∼7㎜ 범위로 할 수 있다. 본체부(141)의 형태를 다각형으로 하는 경우 꼭지점 부분은 라운딩된 형태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41)는 일면이 차양(111)에 접착되어 차양(111)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열융착이나 본체부(141)에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고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 수단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41)가 차양(111)에 결합되면, 돌기부(143)는 차양(11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향 연장되어 단부가 차양(111)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돌기부(143)는 착용부(113)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본체부(141)가 차양(111)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결합되어, 설치부재(140)가 차양(111)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41)가 차양(111)의 하면에 접하여 차양(111)의 하부에 결합될 때, 돌기부(143)가 돌출된 면이 차양(111)의 하면에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돌기부(143)는 차양(111)을 관통하여 단부가 차양(111)의 상부로 돌출된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11a는 차양(111)에 형성되어 돌기부(143)가 관통된 관통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111)의 상면에는 삽입통공(151)이 형성된 보강부재(150)가 결합되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통공(151)은 상부에 턱부(151a)를 형성하며 단면적이 증가하는 확장부(151b)를 가진다. 상기 돌기부(143)는 보강부재(150)의 삽입통공(151)을 관통하여 단부가 보강부재(150)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보강부재(150)는 접착제나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하여 차양(111)에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재(150)의 관통공(151)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돌기부(143)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보강부재(150)가 설치부재(140)에 나사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돌기부(143)가 중공체인 지지대(130)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지지대(130)의 하단부는 상기 확장부(151b)로 삽입되고 하단이 턱부(151a)에 접한다. 확장부(151b)와 지지대(130)의 하단부 사이에는 접착제가 게재될 수 있다. 지지대(130)의 하단부가 확장부(151b)에 삽입되므로, 내측과 외측에서 지지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미관을 향상하기 위하여 지지대(130)의 하단을 돌기부(143)와 차양(111) 상면이 이루는 각도에 맞추어 경사지게 가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본체부(141)가 차양(111)의 상면에 접하여 차양(111)의 상부에 결합될 때, 본체부(141)는 돌기부(143)가 돌출된 반대쪽 면이 차양(111)의 상면에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돌기부(143)는 본체부(141)로부터 상향 돌출된다. 차양(111)과 접하여 결합되는 본체부(141)의 일측면은 차양(111)의 형태에 따라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141)는 돌기부(143)가 돌출된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된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140)에는 돌기부(143)를 둘러싸며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홈부(14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부(147)는 환형을 이룬다. 지지홈부(147)는 상향 개구된다. 돌기부(143)가 중공체인 지지대(130)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지지대(130)의 하단부는 홈부(147)에 삽입된다. 확장부(151b)와 지지대(130)의 하단부 사이에는 접착제가 게재될 수 있다. 지지대(130)의 하단부가 홈부(147)에 삽입되므로 내측과 외측에서 지지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미관을 향상하기 위하여 지지대(130)의 하단의 각도를 돌기부(143)와 본체부(141) 상면이 이루는 각도에 맞추어 경사지게 가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111)의 하면에는 오목한 홈부(153)가 형성된 보강부재(150)가 결합되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140)의 본체부(141)에는 돌기부(143)가 돌출된 반대쪽으로 돌출된 연결돌기(14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돌기(145)는 차양(111)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고 단부가 차양(111)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홈부(15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연결돌기(145)는 억지 끼워 맞춤 관계로 홈부(15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돌기(145)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홈부(153)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보강부재(150)와 설치부재(140)가 나사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홈부(153)와 연결돌기(145) 사이에는 접착제가 게재되어 결합이 견고해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50)는 원형 판상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양(111)과 접촉하는 면은 차양(111)의 만곡 형상에 따라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50)는 중심부의 두께보다 가장자리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50)를 사각형으로 하는 경우 변의 길이가 1∼2㎝ 범위, 두께가 2∼5㎜ 범위인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강부재(150)는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경량화를 위하여 나일론,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도 향상을 위하여 유리섬유, 탄소 섬유 등이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50)는 합성수지로 하여 사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30)는 돌기부(143)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30)는 원형이나 다각형 파이프와 같은 중공체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부(143)는 단부로부터 지지대(130)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130)는 돌기부(143)가 삽입되는 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예를 들면 두께는 0.1∼1㎜ 범위로, 길이는 6∼15㎜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30)는 돌기부(143)에 억지 끼워 맞춤이나 나사 체결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돌기부(143)와 지지대(130) 사이에 접착제가 게재되어 지지대(130)가 돌기부(14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30)는 동합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나 탄소강화섬유 레진과 같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돌기부(143)에 결합된 지지대(130)는 차양(11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향 연장되어 구비되며, 된다. 지지대(130)는 착용부(11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향 연장된다.
상기 표시부재(120)로 지지대(130)가 삽입되어, 표시부재(120)가 지지대(130)에 결합된다. 상기 표시부재(120)는 스폰지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고, 봉제인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재(120)에는 지지대(130)가 삽입되는 삽입부(121)가 형성된다. 표시부재(120)를 봉제인형으로 하는 경우 지지대(130)가 삽입되면서 삽입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30)와 표시부재(120) 사이에 접착제가 게재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재(120)의 표면에는 형광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대(130)가 삽입되어 결합된 표시부재(120)는 차양(111)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표시부재(120)의 높이는 예를 들어, 6∼15㎝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30)의 상단부는 표시부재(120) 내에 있을 수 있으며, 표시부재(12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재(120)는 차양(111)의 상면에 접하여 구비되며, 그 크기에 따라 일부는 착용부(113)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설치부재(140)의 본체부(141)가 차양(111)의 상면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재(120)는 본체부(141)에 접하고, 보강부재(150)가 차양(111)의 상면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경우 표시부재(120)는 보강부재(150)에 접하여 구비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부재(120)와 차양(111)의 상면 사이, 표시부재(120)와 본체부(141) 사이 또는 표시부재(120)와 보강부재(150) 사이에는 미소 틈새가 발생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43)는 본체부(141)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지 않고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정확하게 표현하면, 상기 돌기부(143)는 돌기부(143)가 돌출된 본체부(141)의 면에 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도 5에서 도면부호 θ2는 본체부(141)에 대한 돌기부(143)의 경사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돌기부(143)가 본체부(141)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됨으로써 본체부(141)가 차양(111)에 결합 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41)의 회전에 따라(도 9에서 화살표 A) 도 9에 실선과 점선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143)의 방향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돌기부(143)에 결합되는 지지대(130)의 연장 방향도 다르게 되고, 표시부재(120)를 원하는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돌기부(143)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돌기부(143)는 서로 대략 'V'자 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41)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 돌기부(143)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되어야 하는 표시부재(120)에 대하여 경사 방향에 맞추어 돌기부(143)가 경사되도록 본체부(141)를 회전시켜 차양(111)에 설치부재(14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13)에 경사지게 결합된 차양(111)을 가지는 모자본체(110)의 경우에, 돌기부(143)가 본체부(141)에 대하여 착용부(113)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부재(140)가 차양(111)에 결합됨으로써, 돌기부(143)의 경사각에 따라 표시부재(120)가 직립되거나 착용부(113) 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에서 도면부호 θ1은 착용부(113)에 대한 차양(111)의 경사각을 나타낸다. 돌기부(143)의 경사각(θ2)이 차양(111)의 경사각(θ1)보다 크게 형성된 경우 표시부재(120)는 착용부(113) 쪽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돌기부(143)의 경사각(θ2)이 차양(111)의 경사각(θ1)과 같은 크기인 경우 표시부재(120)는 직립하게 구비된다.
상기 돌기부(143)가 본체부(141)에 대하여 수직하게 돌출되는 경우 표시부재(120)는 차양(111)의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표시부재(120)의 축선과 삽입부(121)의 축선이 경사를 가져야 한다. 이 경우 삽입부(121)의 깊이를 충분하게 깊게 할 수 없어 표시부재(120)가 지지대(13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30)는 텔레스코픽되는 복수의 중공체인 지지대본체(131)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부(143)는 지지대(130)를 이루는 지지대본체(131) 중 외경이 가장 작은 지지대본체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표시부재(120)에는 외경이 가장 큰 지지대본체가 삽입되어 표시부재(120)가 지지대(130)에 결합된다. 지지대(130)가 텔레스코픽되는 2개의 중공의 지지대본체(131)로 이루어진 경우, 외경이 작은 지지대본체로 돌기부(143)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표시부재(120)에는 외경이 큰 지지대본체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130)가 텔레스코픽되며, 외경이 작은(또는 가장 작은) 지지대본체가 돌기부에 결합되고, 외경이 큰(또는 가장 작은) 지지대본체가 표시부재(120)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지지대(130)의 신축에 의하여 표시부재(120)와 차양(111) 사이의 거리가 변함은 물론 지지대(130)를 수축시켰을 때 표시부재(120)가 차양(111)에 접촉하여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대(130)를 신장시켜 표시부재(120)를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아동이 착용하였을 때 손을 들고 가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으므로 차량 등으로부터 식별성이 증가하여 교통 사고 등이 예방될 수 있으며, 차량 탑승 시와 같은 때에는 지지대(130)를 수축하여 표시부재(120)가 차양(111) 상부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또는 미소 간격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착용한 상태에서도 불편 없이 탑승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재(120)는 그 높이에 관계없이 지지대(130)에 의하여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미적인 효과도 유지된다.
지지대(130)가 신장되어 표시부재(120)와 차양(111) 사이의 간격이 커지고, 지지대(130)가 차양(111)의 단부 쪽으로 경사진 경우 불안정해지고 착용감이 나빠지게 되므로, 지지대(130)는 모자본체(113)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모자 110: 모자본체
120: 표시부재 130: 지지대
140: 설치부재 150: 보강부재

Claims (11)

  1.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차양으로 이루어지는 모자본체와, 상기 차양에 접하여 구비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표시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부재는 차양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져, 본체부가 차양에 결합되면 돌기부는 차양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향 연장되어 단부가 차양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대는 단부가 차양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에 결합되어 차양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향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재로 지지대가 삽입되어 표시부재가 지지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는 텔레스코픽되는 중공체인 복수의 지지대본체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부는 외경이 가장 작은 지지대본체로 삽입되며, 상기 표시부재에는 외경이 가장 큰 지지대본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차양의 하면에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돌기부는 차양을 관통하여 상향 연장되며 단부는 차양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차양의 상면에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돌기부는 본체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4. 삭제
  5. 삭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의 상면에는 삽입통공이 형성된 보강부재가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는 보강부재의 삽입통공을 관통하여 상향 연장되어 돌기부의 단부는 보강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통공은, 상부에 턱부를 형성하며 단면적이 증가하는 확장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는 중공체로서 일측으로 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는 상기 확장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의 하면에는 상부에 홈부가 형성된 보강부재가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는 돌기부가 돌출된 반대 쪽으로 돌출된 연결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돌기는 차양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고 차양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에는 돌기부를 둘러싸며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중공체로서 일측으로 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10. 삭제
  11. 삭제
KR2020140004688U 2014-06-20 2014-06-20 모자 KR200476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88U KR200476084Y1 (ko) 2014-06-20 2014-06-20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88U KR200476084Y1 (ko) 2014-06-20 2014-06-20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084Y1 true KR200476084Y1 (ko) 2015-01-27

Family

ID=5259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688U KR200476084Y1 (ko) 2014-06-20 2014-06-20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8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060Y1 (ko) * 2000-07-12 2000-12-15 차희상 상모 회전장치가 설치된 모자
KR200222691Y1 (ko) * 2000-12-01 2001-05-15 한춘기 택 단추
US20100033958A1 (en) * 2008-08-06 2010-02-11 Suen Ching Yan Interchangeable illuminated orna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060Y1 (ko) * 2000-07-12 2000-12-15 차희상 상모 회전장치가 설치된 모자
KR200222691Y1 (ko) * 2000-12-01 2001-05-15 한춘기 택 단추
US20100033958A1 (en) * 2008-08-06 2010-02-11 Suen Ching Yan Interchangeable illuminated orna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5657A (en) Helmet shield apparatus
KR101375530B1 (ko) 각도조정기능을 하는 캡사이드 연결장치를 갖는 썬캡
US5039045A (en) Suction cup for use in windows
US9491980B2 (en) Latching mechanism and helmet
US20120297522A1 (en) Lenses and viso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757993B2 (en) Cap with exchangeable visor
US20050052610A1 (en) Eye shield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y
US20040194192A1 (en) Headgear with an adjustable visor
KR200476084Y1 (ko) 모자
USD779172S1 (en) Headwear visor
KR20160002422A (ko) 모자
KR200486062Y1 (ko) 차양 마스크
KR101506273B1 (ko) 모자 탈부착용 선글라스
US20050160511A1 (en) Sunglasses attachable to cap
KR200476085Y1 (ko) 챙에 장식부재가 구비된 모자
KR20160034629A (ko) 챙에 장식부재가 구비된 모자
USD858044S1 (en) Magnetic hat headband
KR20160006558A (ko) 모자
JP5406410B1 (ja) 帽子用装着具、及びこの帽子用装着具で用いられる線条体支持具
CN206497258U (zh) 眼镜脚
KR20160000589U (ko) 챙에 장식부재가 구비된 모자
KR101837002B1 (ko) 조립식 차양막 구조
CN204910657U (zh) 一种泳镜
USD796159S1 (en) Visor cover for headwear cap
JP4565516B2 (ja) キャップ型帽子用装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