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69Y1 - 보일러용 플로트밸브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플로트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69Y1
KR200475769Y1 KR2020130005198U KR20130005198U KR200475769Y1 KR 200475769 Y1 KR200475769 Y1 KR 200475769Y1 KR 2020130005198 U KR2020130005198 U KR 2020130005198U KR 20130005198 U KR20130005198 U KR 20130005198U KR 200475769 Y1 KR200475769 Y1 KR 2004757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valve
boiler
valve body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5769Y9 (ko
Inventor
문영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원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57836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75769(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원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원이엔지
Priority to KR2020130005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69Y1/ko
Publication of KR200475769Y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69Y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로트의 외주면에 신축작용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플로트의 취약한 곡면부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 보일러용 플로트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플로트밸브는, 밸브 몸체와, 밸브 몸체에 연결되고 밸브 몸체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플로트를 포함한다. 플로트는 중심이 관통된 도넛 형상이고,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한 면에 함몰된 신축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보일러용 플로트밸브{FLOAT VALVE FOR BOILER}
본 고안은 보일러용 플로트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로트의 외주면에 신축작용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플로트의 취약한 곡면부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 보일러용 플로트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온수 보일러는 방이나 거실을 난방하고, 주방이나 욕실에서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 설치된다. 가정용 온수 보일러는 장시간 운전하거나 작동을 멈춘 상태에서 사용할 때 유체가 손실된다. 따라서 손실된 유체를 보충하기 위해 팽창탱크가 설치된다. 팽창탱크는 일명 보충수 탱크라고 하며, 손실된 유체를 보충하고, 순환되는 유체에서 발생된 기포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팽창탱크는 내부에 유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플로트밸브가 설치된다.
도 5는 종래 보일러용 플로트밸브가 팽창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B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6(b)는 플로트 밸브에 설치된 플로트가 팽창되면서 곡면부분이 파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 보일러용 플로트밸브는 밸브 몸체(11), 레버(12), 로드(13) 및 플로트(14)로 구성된다. 밸브 몸체(11)는 유체를 공급하는 급수관에 연결되도록 팽창탱크(15)의 상단 구멍(15d)에 설치된다. 레버(12)는 일단이 밸브 몸체(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로드(1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버(12)의 일단이 회동하면서 밸브 몸체(11)의 유체 통로를 개폐한다. 플로트(14)는 중심에 관통된 연결구멍이 형성된 도넛 형상이고, 연결구멍의 상부에는 로드(13)의 단부가 고정되고 하부에는 연장관(15b)이 삽입된다. 연장관(15b)은 팽창탱크(15)의 외부에 설치된 회수관(15a)과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보일러용 플로트밸브 중 플로트(14)에 고온의 관수가 접촉되면 내부에 채워진 공기의 체적이 늘어나면서 팽창되고, 보충수가 접촉되면 공기의 체적이 줄어들면서 팽창된 플로트(14)는 수축된다. 이때, 플로트(14)는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팽창탱크(15)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때, 플로트(14)의 취약한 곡면부(14a)가 찢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로트(14)가 급격하게 팽창될 경우 플로트(14)의 외주면이 팽창탱크(15)의 내부에 밀착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걸린다. 따라서 팽창탱크(15)에 손실된 유체를 안정적으로 보충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로트에 신축작용을 갖도록 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고온의 관수가 반복적으로 접촉되어도 플로트가 찢어져 파손되지 않고, 팽창탱크 내부에서 간섭없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보일러용 플로트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플로트밸브는, 밸브 몸체와, 밸브 몸체에 연결되고 밸브 몸체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플로트를 포함하는 보일러용 플로트밸브에 있어서, 플로트는 중심이 관통된 도넛 형상이고,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한 면에 함몰된 신축홈이 형성된 보일러용 플로트밸브를 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신축홈은 플로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 반경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플로트밸브의 플로트는 신축작용을 갖도록 플로트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신축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체가 접촉되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여도 플로트가 찢어져 파손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신축홈이 형성된 플로트는 급격하게 팽창하여도 팽창탱크의 내부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로트밸브는 신속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매우 유익하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플로트밸브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로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보일러용 플로트밸브가 팽창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보일러용 플로트밸브가 팽창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B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6(b)는 플로트 밸브에 설치된 플로트가 팽창되면서 곡면부분이 파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온수보일러용 플로트밸브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플로트밸브(100)는 밸브 몸체(110), 레버(120), 로드(130) 및 플로트(140)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110)는, 일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에서 타단 하부로 유체가 통과되도록 유체 통로를 구비한다. 레버(120)는 일단과 타단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결된 얇은 금속판으로써, 일단이 밸브 몸체(110)의 타단에 형성된 유체 통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로드(13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로드(130)의 하단에 플로트(140)가 고정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플로트(140)는 도넛 형상으로써, 내부에 공기(141)가 채워져 있고, 중심이 관통된 연결구멍(142)이 형성된다. 걸림부(143)는 연결구멍(142)이 형성된 상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걸림부(143)에 로드(130)의 하단이 분리되지 않도록 삽입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신축홈은 플로트(140)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고, 신축홈 중 제1 신축홈(145)은 플로트(14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2 신축홈(146)은 플로트(14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1 신축홈(145)과 제2 신축홈(146)은, 연결구멍(142)을 기준으로 동일 반경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보일러용 플로트밸브가 팽창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보일러용 플로트밸브(100) 중 밸브 몸체(110)의 일단이 팽창탱크(150)의 상단 측면에 형성된 구멍(154)에 설치된다. 또한, 밸브 몸체(110)를 고정하기 위해 밸브 몸체(110)의 일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너트(155)가 체결된다. 그리고, 밸브 몸체(110)의 타단에 연결 설치된 레버(120), 로드(130) 및 플로트(140)는 팽창탱크(15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해 팽창탱크(150) 내부에 설치된 플로트(140)가 하부 방향으로 움직이면 동시에 로드(130)가 하부 방향으로 움직인다. 하부 방향으로 움직이는 로드(130)에 의해 밸브 몸체(110)의 타단에 설치된 레버(120)가 회동하면서 폐쇄된 유체 통로가 개방되고, 개방된 유체 통로를 통해 팽창탱크(150) 내부로 유체가 공급된다. 그리고, 팽창탱크(150)에 손실된 유체가 충분히 보충되면 플로트(140)가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고, 레버(120)가 밸브 몸체(110)의 유체 통로를 폐쇄하면서 유체가 팽창탱크(15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팽창탱크(150)의 내부에 설치된 플로트(140)는 외주면에 고온의 관수 또는 저온의 보충수가 접촉된다. 따라서 고온의 관수가 접촉되면 내부에 채워진 공기(141)의 체적이 늘어나면서 플로트(140)는 팽창되고, 저온의 보충수가 공급되면 공기(141)의 체적이 줄면서 팽창된 플로트(140)는 수축된다. 이때, 플로트(140)가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할 경우 플로트(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신축홈(145)과 제2 신축홈(146)이 신축작용을 하면서 상쇄시켜 준다. 따라서, 플로트(140)의 취약한 곡면부(144)가 찢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팽창탱크(150)의 내부에 팽창된 플로트(140)가 걸리지 않으므로 플로트(140)가 상하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140)의 제1 신축홈(145)과 제2 신축홈(146)은 상부 및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팽창탱크(150)의 내부와 마주보는 플로트(14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신축작용을 배가시키기 위해 신축홈은 동일한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140)의 연결구멍(142)은, 팽창탱크(150)의 연장관(152)이 삽입되는 플로트(140)의 하부가 넓고 플로트(140)의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하광상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보다 하부가 넓은 연결구멍(142)을 구비한 플로트(140)는 유체에 포함된 공기가 플로트(140) 하부의 연결구멍(142)으로 전부 통과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플로트(140)의 외주면과 팽창탱크(150)의 내주면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울컥거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보일러용 플로트밸브 110 : 밸브 몸체
120 : 레버 130 : 로드
140 : 플로트 141 : 공기
142 : 연결구멍 143 : 걸림부
144 : 곡면부 145 : 제1 신축홈
146 : 제2 신축홈

Claims (2)

  1.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몸체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플로트를 포함하는 보일러용 플로트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는 중심이 관통된 도넛 형상이고,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한 면에 함몰된 신축홈이 형성된 보일러용 플로트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홈은 상기 플로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 반경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된 보일러용 플로트밸브.
KR2020130005198U 2013-06-26 2013-06-26 보일러용 플로트밸브 KR2004757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198U KR200475769Y1 (ko) 2013-06-26 2013-06-26 보일러용 플로트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198U KR200475769Y1 (ko) 2013-06-26 2013-06-26 보일러용 플로트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769Y1 true KR200475769Y1 (ko) 2014-12-31
KR200475769Y9 KR200475769Y9 (ko) 2022-06-07

Family

ID=5357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198U KR200475769Y1 (ko) 2013-06-26 2013-06-26 보일러용 플로트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36B1 (ko) * 2016-12-29 2018-06-18 안재식 보일러 보충수 수위조절장치
KR102117105B1 (ko) * 2019-09-06 2020-05-29 주식회사 영창에스엔티 휴대용 투입식 전열기
KR20210093012A (ko) 2020-01-17 2021-07-27 김명준 신속한 물주입 기능이 포함된 온수보일러용 물보충 탱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3277U (ja) * 1983-04-15 1984-11-01 兼工業株式会社 ボ−ルタツプのフロ−ト
JPS6040873U (ja) * 1983-08-26 1985-03-22 みのる産業株式会社 ボ−ルタップ用フロ−ト
JPH09196227A (ja) * 1996-01-12 1997-07-29 Inax Corp ボールタップ
KR20120106580A (ko) * 2011-03-16 2012-09-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3277U (ja) * 1983-04-15 1984-11-01 兼工業株式会社 ボ−ルタツプのフロ−ト
JPS6040873U (ja) * 1983-08-26 1985-03-22 みのる産業株式会社 ボ−ルタップ用フロ−ト
JPH09196227A (ja) * 1996-01-12 1997-07-29 Inax Corp ボールタップ
KR20120106580A (ko) * 2011-03-16 2012-09-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위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36B1 (ko) * 2016-12-29 2018-06-18 안재식 보일러 보충수 수위조절장치
KR102117105B1 (ko) * 2019-09-06 2020-05-29 주식회사 영창에스엔티 휴대용 투입식 전열기
KR20210093012A (ko) 2020-01-17 2021-07-27 김명준 신속한 물주입 기능이 포함된 온수보일러용 물보충 탱크
KR102413417B1 (ko) 2020-01-17 2022-06-28 김명준 신속한 물주입 기능이 포함된 온수보일러용 물보충 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769Y9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769Y1 (ko) 보일러용 플로트밸브
CN111235835B (zh) 一种洗衣机
US11078651B2 (en) Freeze prevention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discharge flow rate according to temperature
CN102853154B (zh) 一种高压差分级防护式调节阀
JP2007187253A (ja) 排気弁
CN102797884A (zh) 一种省水阀
KR20170003792U (ko) 물 절약 및 온도 제어 수도꼭지의 구조
CN104006170A (zh) 高压差锅炉定期排污调节阀
CN202769030U (zh) 一种高压差分级防护式调节阀
CN103967081B (zh) 用在水路领域的吸气防爆机构
KR20150003546U (ko) 온수보일러용 보충수탱크
CN210562474U (zh) 设置在虹吸式马桶水箱内带空气平衡管的辅助虹吸装置
CN204114118U (zh) 密封碗、空调器及家用电器
KR101374936B1 (ko) 볼밸브
KR20160081057A (ko) 타원형 프리 플로우트를 구비한 스팀 트랩밸브
KR200462065Y1 (ko)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CN204240623U (zh) 闭锁式附水箱
JP5005558B2 (ja) 排気弁
CN208416907U (zh) 气控卸荷阀
CN211574754U (zh) 一种疏水阀
KR101992623B1 (ko) 양변기용 급수제어장치의 감량밸브 구조
CN203363643U (zh) 压力平衡阀
KR102004853B1 (ko) 스팀분배장치가 설치된 스팀응축장치
CN103968182B (zh) 迷宫式节流器
CN109237758A (zh) 浮板安装结构及包括其的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113

Effective date: 201508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055;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622

Effective date: 2022042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863;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622

Effective date: 20220425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3403;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0524

Effective date: 2023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