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37Y1 - 드릴 보호 커버 - Google Patents

드릴 보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37Y1
KR200475737Y1 KR2020130004379U KR20130004379U KR200475737Y1 KR 200475737 Y1 KR200475737 Y1 KR 200475737Y1 KR 2020130004379 U KR2020130004379 U KR 2020130004379U KR 20130004379 U KR20130004379 U KR 20130004379U KR 200475737 Y1 KR200475737 Y1 KR 200475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cover
hole
cover member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187U (ko
Inventor
차정수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30004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3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6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22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드릴 보호 커버가 개시된다. 드릴 보호 커버는, 드릴 슬리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드릴 슬리브에 설치되는 드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릴 보호 커버{CCOVER FOR PROTECTING DRILL}
본 고안은 드릴 작업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드릴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각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자들은 공작기계를 사용하면서 안전사고 위험에 다양하게 노출되어 있다. 최근 생산되는 첨단 공작기계 및 범용성 공작기계들은 대부분 안전장치들이 부착되어 있지만, 작업자를 충분하게 보호할 수 있을 정도로 안전장치가 충분하게 설치되지 않아 작업자는 다양한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드릴을 이용한 작업 과정에서 절삭된 칩(chip)이 비산(飛散)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드릴 등의 사용시에 절삭된 칩(chip) 등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드릴 보호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드릴 슬리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드릴 슬리브에 설치되는 드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드릴 슬리브의 외면에 끼움 결합되는 클립부와, 클립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커버부재의 일부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하는 걸림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부는, 드릴 슬리브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 고리부와, 제1 고리부에 연결되며 드릴 슬리브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2 고리부와, 제1 고리부와 제2 고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제1 고리부에 돌출되며 제1 나사홀이 형성되는 제1 돌부와, 제2 고리부에 돌출되며 제1 나사홀에 연통되는 제2 나사홀이 형성되는 제2 돌부와, 제1 나사홀과 제2 나사홀에 함께 삽입되어 제1 돌부와 제2 돌부를 고정하는 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는 투명 아크릴 재질일 수 있다. 커버부재는 드릴 방향으로 라운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에는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고, 커버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보조 커버와, 관통공에 연통되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보조 커버의 외측면에 접하게 설치되는 블록부재와, 나사홀과 관통공 및 슬라이드 홀에 함께 삽입되며 삽입된 단부에 너트부재가 결합되어 보조 커버의 슬라이딩된 위치를 고정하는 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부재에는 보조 커버를 통과하여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며 나사홀이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릴 작업시 발생되는 칩(chip)이 작업자에게 비산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릴 작업시 칩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드릴 작업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작업 진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릴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드릴 슬리브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드릴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커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보조 커버부재를 커버부재에 고정하는 블록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드릴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드릴 슬리브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 보호 커버(100)는, 드릴 슬리부(111)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110)에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드릴 슬리브(111)에 설치되는 드릴(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커버부재(12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 슬리브(111)의 외면에 끼움 결합되는 클립부(112)와, 클립부(1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커버부재(120)의 일부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하는 걸림 고리부(112a)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부(110)는 드릴 클립부(112)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클립부(112)는 드릴 클립부(112)에 고정되는 제1 고리부(114) 및 제2 고리부(116)와, 제1 고리부(114)를 제2 고리부(116)에 연결하는 연결부(118)를 포함한다.
제1 고리부(114)는 드릴 클립부(112)의 외측에 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드릴 클립부(112)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하여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리부(114)에는 제2 고리부(1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고리부(116)는 제1 고리부(1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드릴 클립부(112)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리부(114) 및 제2 고리부(116)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드릴 클립부(112)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 고리부(114) 및 제2 고리부(116)는 환형을 이루며, 외주면의 일부분은 개방부(119)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방부(119)에는 연결부(118)가 설치되어 제1 고리부(114) 및 제2 고리부(116)를 드릴 클립부(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118)는 제1 고리부(11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부(114a)와 제2 고리부(116)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부(116a) 및 제1 돌부(114a)와 제2 돌부(116a)를 연결하는 나사부재(115)를 포함한다.
제1 돌부(114a)는 개방부(119)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 나사홀(11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돌부(116a)는 개방부(119)에서 제1 돌부(114a)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돌출되며, 제1 나사홀(114b)과 연통되는 제2 나사홀(116b)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나사홀(114b)과 제2 나사홀(116b)에는 나사부재(115)가 삽입 고정된다.
나사부재(1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나사홀(114b)과 제2 나사홀(116b)에 함께 삽입 고정됨으로써, 제1 돌부(114a)와 제2 돌부(116a)를 나사 결합에 의한 결합력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제1 돌부(114a)와 제2 돌부(116a)를 나사부재(115)의 나사 결합으로 연결함으로써, 제1 고리부(114)와 제2 고리부(116)는 드릴 클립부(112)에 밀착되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클립부(112)의 외측에는 커버부재(120)의 설치를 위한 걸림 고리부(112a)가 돌출된다.
걸림 고리부(112a)는 클립부(112)를 구성하는 제1 고리부(114) 및 제2 고리부(116)의 각각에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고리부(112a)는 커버부재(120)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끼움 결합되는 부분을 말한다.
커버부재(120)는 클립부(112)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20)의 라운드 형상에 의해 드릴 작업시 발생되는 칩(chip) 등의 절삭물이 작업자 방향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걸림 고리부(112a)에 일정한 압력으로 압입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극복 가능한 압력으로 걸림 고리부(112a)에 압입 결합된다. 따라서, 커버부재(120)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걸림 고리부(112a)에서 드릴(113)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여 드릴(113)의 외측을 덮는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는 커버부재(120)의 길이가 드릴(113)을 충분히 덮지 못하는 길이로 확인하면, 커버부재(120)를 파지(把持)한 상태로 드릴(113) 방향으로 이동시켜 드릴(113)의 일부분을 충분히 덮도록 설치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재(120)는 아크릴 등의 투명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여, 드릴(113)을 이용한 작업 진행 과정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드릴(113) 작업 진행시 칩(chip)이 작업자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비산(飛散)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절산된 칩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 환경의 오염의 방지도 함께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드릴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커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 보호 커버(200)는, 슬라이드 홀(221)이 형성된 커버부재(220)와, 커버부재(22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보조 커버부재(230)와, 보조 커버부재(230)를 커버부재(220)에 나사부재(115)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블록부재(240)를 포함한다.
커버부재(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슬라이드 홀(221)이 형성된다. 나사부재(115)가 삽입되는 관통공(231)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홀(221)은 보조 커버부재(230)를 커버부재(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블록부재(24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4의 보조 커버부재를 커버부재에 고정하는 블록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부재(240)는 보조 커버부재(230)를 통과하여 슬라이드 홀(221)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41)를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부(241)에는 나사홀(243)이 형성되어 나사부재(115)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220)와 보조 커버부재(230)를 겹친 상태에서 나사부재(115)를 이용하여 보조 커버부재(230)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커버부재(230)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보조 커버부재(230)를 커버부재(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시킨다. 여기서, 보조 커버부재(230)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은 커버부재(220)만을 이용하여 드릴(113)의 외측을 보호하지 못하는 경우에 위치 이동시킨다. 즉, 드릴(113)의 길이가 커버부재(220)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 보조 커버부재(230)를 커버부재(220)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드릴(113)의 외측을 덮도록 위치 이동시키는 것이다.
다음, 블록부재(240)의 돌출부(241)를 보조 커버부재(230)를 통과하여 커버부재(220)의 슬라이드 홀(221)에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어서, 돌출부(241)의 나사홀(243)에 나사부재(115)를 삽입하고, 너트부재(245)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220)와 보조 커버부재(230)는 너트부재(245)의 나사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220) 및 보조 커버부재(230)는 드릴(113)의 작업 진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아크릴 등의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220) 및 보조 커버부재(230)는 드릴(113) 방향으로 라운드 형성되도록 하여, 드릴(113) 작업시 발생되는 칩(chip) 등의 절삭물이 작업자 방향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드릴 보호 커버(200)는 드릴(113) 외측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여, 드릴(113)의 작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칩(chip) 등의 절삭물이 작업자에게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인 드릴 작업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10..고정부 111...드릴 슬리브
112...클립부 113...드릴
114...제1 고리부 114a..제1 돌부
115...나사부재 116...제2 고리부
116a..제2 고리부 118...연결부
120, 220...커버부재 230...보조 커버부재
240...블록부재 241...돌출부
243...나사홀

Claims (8)

  1. 드릴 슬리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릴 슬리브에 설치되는 드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홀이 형성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보조 커버;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커버의 외측면에 접하게 설치되는 블록부재; 및
    상기 나사홀과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슬라이드 홀에 함께 삽입되며, 삽입된 단부에 너트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보조 커버의 슬라이딩된 위치를 고정하는 나사부재;
    를 포함하는 드릴 보호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드릴 슬리브의 외면에 끼움 결합되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일부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하는 걸림 고리부;
    를 포함하는 드릴 보호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드릴 슬리브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 고리부;
    상기 제1 고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드릴 슬리브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2 고리부; 및
    상기 제1 고리부와 상기 제2 고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드릴 보호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리부에 돌출되며 제1 나사홀이 형성되는 제1 돌부;
    상기 제2 고리부에 돌출되며 상기 제1 나사홀에 연통되는 제2 나사홀이 형성되는 제2 돌부; 및
    상기 제1 나사홀과 상기 제2 나사홀에 함께 삽입되어 상기 제1 돌부와 상기 제2 돌부를 고정하는 나사부재;
    를 포함하는 드릴 보호 커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투명 아크릴 재질인 드릴 보호 커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드릴 방향으로 라운드 형성되는 드릴 보호 커버.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재에는 상기 보조 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며 상기 나사홀이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드릴 보호 커버.
KR2020130004379U 2013-05-30 2013-05-30 드릴 보호 커버 KR200475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379U KR200475737Y1 (ko) 2013-05-30 2013-05-30 드릴 보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379U KR200475737Y1 (ko) 2013-05-30 2013-05-30 드릴 보호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87U KR20140006187U (ko) 2014-12-10
KR200475737Y1 true KR200475737Y1 (ko) 2014-12-29

Family

ID=5245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379U KR200475737Y1 (ko) 2013-05-30 2013-05-30 드릴 보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659B1 (ko) * 2017-05-17 2019-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기 보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888A (ko) * 2008-10-07 2010-04-15 주식회사 지앤씨 탁상 드릴머신의 안전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888A (ko) * 2008-10-07 2010-04-15 주식회사 지앤씨 탁상 드릴머신의 안전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87U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18889A8 (en) Protection shield positioning assembly and positioning device therefor and method of use
WO2006034027A3 (en) Heat shield positioning assembly
KR101572329B1 (ko) 프로파일용 마운트부재
KR200475737Y1 (ko) 드릴 보호 커버
KR20100012151A (ko) 천공용 분진 포집장치
GB2517479A (en) Safety Device
CA2749651C (en) End piece for a corrugated hose and parts set comprising such an end piece
JP5979676B2 (ja) アース金具、および接地用具
US8939816B2 (en) Handheld pneumatic grinder with adjustable wheel guard structure
KR101951703B1 (ko) 밴드홀더
RU2018141963A (ru) Опорный узел для землеройных орудий
KR20180126920A (ko) 안전성을 향상한 케이블타이
KR101157565B1 (ko) 핸드드릴용 칩 커버
KR200489056Y1 (ko) 전선포설용 캡
KR200430733Y1 (ko) 안전모
KR102152692B1 (ko) 건축용 일체형 클램프 캡
KR100988023B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TWM488402U (zh) 具切割器之筆具
JP6147228B2 (ja) 作業用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面取付け構造
US10029348B2 (en) Torque sensitive adjustable locking grinder guard
CN204975539U (zh) 一种带式锯床薄壁管切割夹块
KR101182646B1 (ko) 휴대용 테이프 절단기
CN104494555B (zh) 一种安全带锁舌的限位装置
JP6497140B2 (ja) 保持具
WO2016028051A3 (ko) 시스템박스의 커버 도어용 안내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