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461Y1 - 식재료 처리기 - Google Patents

식재료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461Y1
KR200475461Y1 KR2020130010958U KR20130010958U KR200475461Y1 KR 200475461 Y1 KR200475461 Y1 KR 200475461Y1 KR 2020130010958 U KR2020130010958 U KR 2020130010958U KR 20130010958 U KR20130010958 U KR 20130010958U KR 200475461 Y1 KR200475461 Y1 KR 200475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ive shaft
case
shaf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행
Original Assignee
조영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행 filed Critical 조영행
Priority to KR2020130010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4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4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4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potato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4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수동조작을 통해, 식재료를 손쉽게 다지거나 탈수 할 수 있는 식재료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식재료 처리기는 내부에 처리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부, 개구부를 덮도록 용기부에 결합되는 커버부, 커버부에 결합되는 중공형 구조의 케이스부, 커버부를 관통하며 일단이 케이스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래칫(ratchet)기어 형태의 제1 기어부가 형성된 구동축, 구동축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바, 내주면에 제1 나사산과 치합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제1 기어부와 치합하는 제2 기어부가 형성되고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너트 및 스크류바의 일측 단부가 결합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재료 처리기{Food disposal}
본 고안은 식재료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수동조작을 통해, 식재료를 손쉽게 다지거나 탈수 가능하 식재료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식재료들을 얇게 설거나 빻는 등의 양념을 제조하는 작업과 양념을 제조한 후, 남은 식재료들을 처리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 이러한 번거로운 작업은 각각에 작업에 적합한 처리기기 들에 의해 좀 더 수월하게 처리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166573 호에 개시된 다용도 소형믹서를 활용하여 수월하게 식재료를 설거나 다짐으로써, 양념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181576 호에 개시된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를 활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한 후 남은 음식물을 싱크대 내에서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개시된 등록실용신안들은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로, 각종 전자회로 및 모터 등에 의해 부피가 커지면서, 중량화 되어 장치들을 설치하기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로 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다니기에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전기의 사용에 제약이 따르는 지역 즉, 야영지 및 캠핑장과 같은곳 에서 식재료를 유용하게 다지거나,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탈수시킬 수 없는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수동적인 조작방법을 통해 식재료를 다지고 탈수할 수 있는 처리기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166573호 (1999.10.2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181576호 (2000.02.29)
이에,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휴대가 용이하고 수동적인 조작 방법을 통해 식재료를 신속하게 다질 수 있는 식재료 다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식재료 처리기는 내부에 처리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는 중공형 구조의 케이스부,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며 일단이 상기 케이스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래칫(ratchet)기어 형태의 제1 기어부가 형성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바,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치합하는 제1 나사홈이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상기 제1 기어부와 치합하는 제2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너트 및 상기 스크류바의 일측 단부가 결합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부에 탄성결합되며 내측면은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측면은 상기 케이스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축을 향하여 상기 외측면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내측면이 상기 구동축과 마찰하여 상기 구동축의 속도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일단부가 절개되어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며, 한쌍이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식재료를 분쇄 또는 믹싱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스크래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용기 형상의 탈수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 중심 상에 상기 탈수통을 향하여 형성된 회전중심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수통은 상기 회전중심돌기부를 수용하는 회전수용홈이 형성된 식재료 처리기.
본 고안은 전기의 사용 없이 간단한 수동적인 조작 방법으로 식재료를 신속하게 다지거나 탈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동적인 조작 방법으로 구동되는 구동부품들로 인해 기기가 경량화되며, 그에 따라 기기가 전체적으로 경량화되어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재료 처리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에 있어서 용기부를 제외하고 결합된 식재료 처리기의 결합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식자재 처리기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식자재 처리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스크류바, 스크류너트 및 제2 축 간의 연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도 3의 구동축에 결합된 케이스부의 브레이크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구동축의 회전력이 조절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8은 도 7의 브레이크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브레이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9는 도 3의 식재료 처리기에 연결된 믹싱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식재료 처리기를 B-B' 선으로 절단하여 식자재 처리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처리기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처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재료 처리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처리기(1)는 내부에 처리공간(11)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식재료가 입출되는 용기부(10), 용기부(10)에 착탈가능하게 개구부를 덮어 용기부(10)를 밀폐시킬 수 있는 커버부(20), 커버부(20)에 결합되는 중공형 구조의 케이스부(80), 커버부(20)를 관통하며 일단이 케이스부(8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제1 기어부(32a, 32b)가 형성된 구동축(30), 구동축(30)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제1 나사산(71)이 형성된 스크류바(70), 내주면에 제1 나사산(71)과 치합하는 제2 나사산(60c)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제1 기어부(32a, 32b)와 치합하는 제2 기어부(60a, 60b)가 형성된 스크류너트(60), 스크류바(70)의 일측 단부가 결합된 손잡이부(1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 가운데 손잡이부(110)에 중력의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스크류바(70)는 중력의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스크류너트(60)는 스크류바(70)의 직선운동과 대응되게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동시에 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크류너트(60)는 구동축(70)으로 이동하여 결합됨으로써, 구동축(70)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용기부(10)의 내측에 위치한 구동축(30)에는 날개부(40a, (40b 도 9참조))가 연결되며, 날개부(40a, (40b 도 9참조))는 구동축(30)의 회전에 종속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날개부(40a, (40b 도 9참조))는 구동축(30)에서 발생 되는 회전력를 통해 용기부(10)의 내부에 있는 식재료를 용이하게 분쇄 또는 믹싱 한다. 여기서, 날개부(40a, (40b 도 9참조))는 절삭부(40a) 및 믹싱부(40b, 도 9참조)를 의미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식재료 처리기(1)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에 있어서 용기부를 제외하고 결합된 식재료 처리기의 결합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식재료 처리기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용기부(10)는 식재료를 받아 놓을 수 있는 용기로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파손되지 않는 알루미늄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내부에 일정한 처리공간(11)을 형성하고, 상단부에 처리공간(11) 내부로 식재료가 입출 가능한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용기부(10)의 상측면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폭의 상단테두리가 형성되고, 그 하단으로는 상기 상단테두리보다 폭이 두꺼운 걸림 테가 형성되어 커버부(20)는 용기부(10)와 용이하게 체결되며, 그에 따라 용기부(10)의 개구부가 덮어진다.
다음으로, 하단부에는 용기부(10)가 놓여지는 표면과 마찰력을 증가시켜 용기부(10)가 작은 외부의 힘에 의해 쓰러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 등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1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부(10)의 형상은 도면상 정형화되지 않은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용기부(10)의 형상이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며, 내부에 처리공간(11)을 형성하는 용기부(11)에 한에서,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이나, 그 외 원통형상 등 다른 형상으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12)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상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용기부(10)의 하단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얼마든지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는 처리공간(11)에서 다져진 식재료가 용기부(10)의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다져진 식재료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용기부(10)의 개구부를 밀폐되도록 덮는 것이다. 커버부(20)의 하측면에는 용기부(10)의 상단테두리를 수용하는 수용테두리홈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테두리홈에는 고무패킹 등이 형성되어, 상단테두리와 커버부(20)간의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여 용기부(10)와의 밀폐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는 용기부(10)를 덮은 후, 용기부(10)와의 밀폐력 및 용기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커버부(2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잠그부(22)가 형성 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부(22)는 커버부(2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용기부(10)의 걸림 테에 용이하게 걸리거나 걸림 테로부터 분리되면서 용기부(10)에 착탈 될 수 있다. 아울러, 커버부(20)는 중앙에 커버부(20)를 관통하는 중앙홀(21)을 포함한다. 중앙홀(21)은 구동축(30)이 커버부(20)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하고, 커버부(20)를 관통하는 구동축(30)의 일단부는 용기부(10)내측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커버부(20) 외측으로 노출된다.
여기서, 구동축(30)은 커버부(20)의 중앙홀(21)에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제1 축(31)과 제2 축(32)로 나누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축(30)의 일단부는 제1 축(31)으로 구분될 수 있고, 타단부는 제2 축(3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축(31)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형 기둥의 형상으로서, 제1 축(31)의 하단부에는 일단부로부터 처리공간(11)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40a, (40b 도 9참조))가 슬라이딩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례로, 제1 축(31)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제1 축(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날개부(40a, (40b 도 9참조))의 중공형 형상의 기둥부(41a, (41b 도 9참조))의 내측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제1 축(31)과 날개부(40a, (40b 도 9참조))는 서로 용이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40a, (40b 도 9참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절삭부(40a) 및 믹싱부(40b 도 9참조)가 될 수 있다. 절삭부(40a)는 중공형 형상의 기둥부(41a)에 다수개의 절삭날(42a)을 포함한다. 절삭날(42a)은 철 및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강성을 가지는 재질을 이용하여 일단부를 향해 너비가 점점 좁아지는 칼날의 형상으로 제작되어 단단한 식자재를 다방향으로 잘게 분쇄할 수 있다.
또한, 믹싱부(40b 도 9참조)는 중공형 형상의 기둥부(41a)에 분쇄된 식재료를 용이하게 섞일 수 있도록 믹싱날(42b 도 9참조)을 포함한다. 믹싱날(42b 도 9참조)은 철 및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굴곡진 판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믹싱날(42b) 내부에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믹싱부(40b 도 9참조)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제1 축(31)의 상단부는 중앙홀(21)을 관통하여, 제2 축(32)의 하단부와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고, 다단의 일단에는 스크래버부(50)가 연결된다. 스크래버부(50)는 고무 및 플라스틱 등으로 재질로 형성되고, 아울러, 커버부(20)의 하측면 방향으로 경사져 커버부(20)의 하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크래버부(50)의 특성으로 인해 스크래버부(50)는 제1 축(31)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커버부(20)의 하측면에 식재료가 분쇄 및 믹싱할 때 붙은 식재료의 분쇄물들과 접촉하여 식재료의 분쇄물들을 용기부(10)의 처리공간(11)으로 떨어뜨린다.
한편, 제2 축(32)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스크류바(7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32c)이 형성된 중공형의 형상이다. 여기서, 제2 축(32)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이한 형상이다. 상단부는 래칫(ratchet)형상으로서,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되는 제1 기어부(32a, 32b)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기어부(32a, 32b)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0)과 평행한 일면과, 일면으부터 일정한 각도가 형성된 톱니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일 례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 운동을 하고 타측 방향으로는 회전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수직한 일면으로부터 33도 내지 45도의 경사진 빗면의 형상인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람직 하다. 이를 통해, 제2 축(32)은 스크류너트(6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하단부는 상단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단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고리형상이다. 여기서, 하단부의 직경은 제1 축(31)의 상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 축(31)의 상단부와 용이하게 결합 된다. 이에, 제2 축(32)의 회전력이 제1 축(31)에 원활하게 전달됨으로써, 제1 축(31)은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너트(60)는 중앙이 관통된 환형체인 암나사로서, 하단부에 제1 기어치(32a)와 치합되는 제2 기어홈(60b)과 제1 기어홈(32b)과 치합되는 제2 기어치(60a)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제2 나사산(60c)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나사산(60c)은 스크류바(7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인 제1 나사산(71)과 치합 가능한 형상이다. 이때, 제2 나사산(60c)의 형상은 특정한 수치의 피치(pitch) 및 높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류너트(60)가 스크류바(70)의 직선운동에 대응하여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원할 하게 할 수 있는 형상인 한 다양한 피치 및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스크류바(70)가 직선이동에 따른 하강 이동을 하게 되면, 스크류너트(60)는 스크류바(70)의 직선이동에 대응하여 일측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스크류바(70)가 상승의 직선이동을 하게 되면 스크류너트(60)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크류바(70)에 직선이동에 대응하여 직선이동을 하는 스크류너트(60)는 하강하여 제2 축(32)과 결합함으로써, 제2 축(32)이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한다. 회전력을 통한 제2 축(32)의 회전속도는 제2 축(32)외측에 설치된 케이스부(80)의 브레이크부(8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축(32)이 회전 동작에 관해서는 식자재 처리기(1)의 작동을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케이스부(8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의 형상으로서, 내부에 제2 축(32)과 스크류너트(6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축(32)의 수용된 케이스부(80)의 외측면에는 외력에 의해 눌러지는 브레이크부(81)가 탄성 결합 된다. 여기서, 브레이크부(81)는 케이스부(80)의 일단부가 절개된 외팔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쌍이 서로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부(81)는 탄성력을 포함하여 제2 축(32)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브레이크부(81)의 내측면이 제2 축(32)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형성시키고,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면서 외주면과의 마찰력이 제거된다. 이를 통해, 브레이크부(81)는 제2 축(32)의 회전 속도를 용이하게 제어 할 수 있다. 나아가, 브레이크부(81)의 안쪽에는 제2 축(32)의 외주면과 접촉시 높은 마찰력을 형성시키는 고무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부(80)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쇠 수용부(82)가 형성되어 스크류너트(60)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90)가 착탈될 수 있다. 또한, 갈고리 형상인 이탈방지부(83)가 형성되어 손잡이부(110)하단부의 내측에 형성된 만입부과 체결되어, 손잡이부(110)가 외력에 의해 케이스부(8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한부(90)는 원기둥(91)과 플랜지(92) 및 걸림쇠(93)를 포함하고, 원기둥(91) 및 플랜지(92)를 관통하는 스크류바(70)에 연결된다. 나아가, 플랜지(92)의 하부면에는 걸림쇠(93)가 형성되어, 케이스부(80)의 걸림쇠 수용부(82)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한편, 플랜지(92)의 상부면에는 탄성부재(100)의 일단이 설치되고, 탄성부재(100)의 타단은 손잡이부(110)에 설치된다.
손잡이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첨두형 아치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10)의 내부의 최상단에는 고정너트부(111)가 고정되어, 스크류바(70)의 상단부의 제3 나사산(72)과 치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너트부(111)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바(70)의 상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3 나사산(72)의 간격은 제1 나사산(71)의 간격과 상이하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제1 나사산(71)의 간격보다 좀 더 조밀하게 형성되어, 단단하게 고정너트부(111)에 고정되어, 스크류바(70)가 스크류너트(60)에 직선운동 할 때, 회전되지 않음으로써, 고정너트부(111)로부터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00)는 케이스부(80)와 손잡이부(110)사이에 개재되고, 케이스부(80)와 손잡이부(11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00)는 고정너트부(111)와 제한부(90)에 개재되어 스크류너트(60)의 회전력과 수직이 되는 탄성력을 손잡이부(110) 및 제한부(90)에 전달하여 손잡이부(110)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한다. 이러한 손잡이부(110)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하는 탄성부재(100)의 탄성력 및 탄성력에 의해 작용 되는 힘 등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처리기(1)의 작동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의 식재료 처리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이다.
도 5의 (a)는 구동축(30)의 회전력과 수직이 되는 외력이 손잡이부(110)에 가해졌을 때, 구동축(30)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b)는 손잡이부(110)에 구동축의 회전력과 수직이 되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손잡이부(110)는 상승되면서 구동축(30)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식재료 처리기(1)는 평평한 바닥면에 놓여 진 후, 손잡이부(110)에, 구동축의 회전력과 수직이 되는 힘 즉, 외력에 의해 스크류바(70)는 제2 축(32)의 수용공간(32c)내부로 외력의 크기에 대응(화살표 참조)되게 이동한다. 이때, 스크류바(70)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스크류너트(60)는 스크류바(70)의 하강의 이동거리와 대응되게 회전운동을 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에, 스크류너트(60)의 제2 기어치(60a)는 제2 축(32)의 제1 기어홈(32b)과 치합 되고, 제2 기어홈(60b)은 제2 축(32)의 제1 기어치(32a)와 치합된다. 이러한 기어치(32a, 60a)와 기어홈(32b, 62b)간의 나사결합에 의해 제2 축(32)은 스크류바(70)의 회전운동과 동일한 방향 즉, 일측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제2 축(32)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1 축(31), 그리고 제1 축(31)에 결합된 스크래버부(50) 및 절삭부(40a) 또한 일측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를 테면, 큰 외력이 스크류바(70)에 가해지게 되면, 스크류바(70)는 자연스레 빠르고 강하게 하강의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스크류바(70)에 나사결합된 스크류너트(60) 또한 큰 회전력을 가지는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스크류너트(60)의 큰 회전력은 제2 축(32)에 전달되어, 제2 축(32)이 빠르고 강하게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축(32)과 연결된 제1 축(31) 및 제1 축(31)에 연결된 절삭부(40a) 또한 빠르고 강하게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용기부(10)내부에 수용된 식재료를 분쇄한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손잡이부(110)는 탄성부재(10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이동되어(화살표 참조), 손잡이부(110)에 연결된 스크류바(70)가 되돌아 올라오게 된다. 이에, 스크류바(70)에 나사결합된 스크류너트(60)는 제한부(90)의 플랜지(91)의 하단면까지 상승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크류너트(60)의 직선이동을 통해 스크류너트(60)는 제2 축(32)과 나사결합이 풀리게 되면서, 자연스레 제2 축(32)은 스크류너트(6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게 되고,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러한 스크류바(70)의 직선이동에 의해 종속되어 회전되는 제1 축(31) 및 제1 축(31)에 연결된 절삭부(40a)는 식재료를 다양한 방향으로 분쇄된다. 나아가, 절삭과정에서 여기저기로 튀면서 커버부(20)의 하단면에 부착된 식재료의 분쇄물은 제1 축(31)에 종속회전되어 커버부(20)의 하단면에 밀착되는 스크래버부(50)와 접촉된다.
이때, 스크래버부(50)는 회전하면서, 식재료의 분쇄물과 커버부(20)와 마찰력을 제거되도록 하여 식재료의 분쇄물을 처리공간(11)으로 떨어뜨린다. 처리공간(11)으로 떨어진 식재료의 분쇄물은 다시 절삭부(40a)에 의해 잘게 분쇄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스크류바(70)의 직선이동에 의한 스크류너트(60) 및 제2 축(32)의 작동관계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의 (a)는 스크류바(70)가 외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스크류너트(60) 및 제2 축(32)이 정방향(D1)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스크류바(70)가 상승하면서, 스크류너트(60)가 분리되면서 역방향(D2)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와 (b)를 참조하면, 외력에 의해 스크류바(70)가 하강하게 되면, 스크류바(70)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스크류너트(60)는 정방향(D1)으로 회전을 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너트(60)의 제2 기어치(60a)는 제2 축(32)의 제1 기어홈(32b)과 치합되고, 제2 축(32)의 제1 기어치(32a)는 스크류너트(60)의 제2 기어홈(60b)과 치합된다. 이를 통해, 스크류너트(60)의 회전력은 제2 축(32)에 전달되어, 스크류너트(60)가 회전하는 방향 즉, 정방향(D1)으로 제2 축(32)을 회전시킨다.
한편, 스크류바(70)에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전술한 탄성부재(100)의 탄성력에 의해 스크류바(70)가 다시 상승하게 되며, 이에 스크류너트(60)는 역방향(D2)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너트(60)는 제2 축(32)과 나사결합이 풀리게 되면서, 스크류너트(60)의 회전력은 제2 축(32)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따른 식재료 다지기(1)의 작동 속도의 제어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3의 구동축에 결합된 케이스부의 브레이크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구동축의 회전력이 조절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8은 도 7의 브레이크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브레이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의 (a)는 구동축(30)의 회전력과 수직이 되는 외력이 손잡이부(110)에 가해졌을 때, 구동축(30)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의 (b)는 케이스부(80)의 브레이크부(81)에 압력이 가해져 구동축(30)의 속도가 줄어드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구동축(30)은 회전력과 수직이 되는 외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힘 및 속도로 회전 된다. 회전속도는 제2 축(32)의 외부에 설치된 케이스부(80)의 브레이크부(81)에 의해 조절된다. 여기서, 브레이크부(81)는 케이스부에 탄성 결합되고, 내측면은 구동축(3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측면은 케이스부(80)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부(81)에 가해지는 압력이 없을 때는 구동축(30)에 가해지는 외력에 비례하여 절삭부(40a)가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7의 (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부(81)의 외측면에 일정한 크기의 압력이 가해지면, 브레이크부(80)의 내측면은 구동축(30)의 외주면에 마찰되면서 저항력을 형성시켜 구동축(30)의 회전속도를 줄어들게 한다. 이때, 구동축(30)을 회전시키는 외력의 힘의 크기 보다 브레이크부(81)에서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더 크게 되면, 구동축(30)은 회전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구동축(30)을 회전시키는 외력의 힘의 크기 보다 브레이크부(81)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구동축(30)의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특징을 이용해 사용자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절삭부(40a)의 회전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용기부(10)내부에 수용된 식재료를 적절한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식재료 처리기에 연결된 믹싱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의 구동축(30)에 연결된 믹싱부(40b)는 도 3의 구동축(30)에 연결되는 절삭부(40a)가 믹싱부(40b)로 교체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4에서 전술한 구동축(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고자 앞서 서술된 구성요소에 관하여는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축(31)에 교체가능하게 결합 되는 믹싱부(40b)는 처리공간(11)에서 절삭부(40a)에 의해 분쇄된 식재료 및 다져진 식재료들을 잘 섞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믹싱부(40b)는 중공형 형상의 기둥부(41b)와 믹싱날(42b)을 포함한다. 기둥부(41b)는 제1 축(31)과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내측에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고, 믹싱날(42b)은 굴곡진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믹싱날(42b)에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믹싱날(42b)이 용기부(10)의 내부에서 회전할 때, 공기가 유통되어, 식재료가 믹싱날(42a)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믹싱날(42b)은 회전에 따른 공기의 저항력을 적게하도록 하여 식재료를 섞는데 좀 더 용이하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처리기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처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식재료 처리기를 B-B' 선으로 절단하여 식자재 처리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처리기의 사시도(1-1)로서, 앞서 서술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처리기(1)의 구성요소중 용기부(10)와, 커버부(20), 제1 구동부(31) 및 날개부가 상이하다. 따라서,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고 설명이 간결한 것이 되도록, 도 1과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서술한다.
커버부(20-1)는 탈수통(40-1)을 덮는 것으로서, 도시되어있지는 않지만, 커버부(20-1)의 하측면에는 용기부(10-1)와 탈수통(40-1)을 동시에 착탈 가능하게 덮을 수 있도록 용기부(10-1)의 테두리 수용홈 및 탈수통(40-1)의 테두리 수용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중, 용기부(10-1)의 테두리 수용홈은 용기부(10-1)의 상측면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단테두리를 수용하여 커버부(20-1)가 용기부(10-1)에 완전히 밀착되게 한다. 그러나, 탈수통(40-1)의 테두리 수용홈은 탈수통(40-1)의 상단테두리와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일정한 틈 즉, 공차를 두고 결합 되어 탈수통(40-1)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버부(20-1)에는 커버부(20-1)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커버홀(21-1)이 형성되어 탈수통(40-1)의 회전하면서 식재료에서 분출되는 유체가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홀(21-1)은 식재료를 탈수하는 과정에서 탈수의 효율성 및 커버부(20-1)의 형상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탈수통(40-1)은 식재료를 탈수하기 위한 일종의 용기로서, 내측에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과 하단면에는 다수개의 탈수공(42-1)이 형성되고 구동축(30) 즉, 제2 축(32)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탈수공(4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중심부(41-1)를 중심으로 원형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탈수공(42-1)은 탈수통(40-1)에서 탈수된 유체가 탈수통(40-1)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형상 및 크기인 한 다양한 형상 및 배열로 탈수통(40-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탈수통(40-1)의 하측면 중앙에 형성된 회전중심부(41-1)의 상단부는 제2 축(32)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중앙의 일부가 만입되어 돌기를 수용 할 수 있는 회전수용홈(43-1)이 형성되어 용기부(10-1)의 하단면의 중앙에 탈수통(40-1)을 향하여 형성된 회전중심돌기부(11-1)와 연결된다. 여기서, 회전중심돌기부(11-1)는 첨두 형상으로서, 회전수용홈(43-1)에 수용되되, 수용을 통해 큰 마찰력을 형성시키지 않음으로써, 탈수통(40-1)이 용기부(10-1)에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나아가, 용기부(10-1)의 외주면과 하단면에는 다수개의 용기홀(12-1)이 형성되어, 탈수통(40-1)내부에 수용된 식재료들로부터 탈수된 유체가 식재료 처리기(1-1)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용기홀(12-1)의 크기는 탈수공(42-1)에서 빠져나오는 유체가 식재료 처리기(1-1)의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탈수공(42-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식재료 처리기(1-1)의 작동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도 10의 식재료 처리기를 B-B' 선으로 절단하여 식자재 처리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11의 (a)는 제2 축(32)의 회전력과 수직이 되는 외력이 손잡이부(110)에 가해졌을 때, 제2 축(32)이 회전되어 탈수통(40-1)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의 (b)는 케이스부(80)의 브레이크부(81)에 압력이 가해져 제2 축(32)의 속도가 줄어들어 탈수통(40-1)의 회전 속도가 줄어드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부(81)에 가해지는 압력이 없을 때는 제2 축(32)에 가해지는 외력과 비례하는 힘의 세기로 탈수통(40-1)이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탈수통(40-1)에는 원심력이 형성되게 된다. 탈수통(40-1)에 형성된 원심력은 식재료들이 탈수통(40-1)의 중심 밖으로 나가게 하려는 성질을 형성하여, 식재료들이 탈수통(40-1)의 내주면에 부착 되도록 하나, 탈수통(40-1)에 의해 식재료들이 더 이상 나가지 못하게 되면서 식재료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유체만 탈수되어 탈수공(42-1)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부(81)에 일정한 크기의 압력이 가해지면,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축(32)의 속도는 브레이크부(81)에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하여 작아지게 되며, 제2 축(32)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탈수통(40-1)의 회전 속도 또한 작아지게 된다. 여기서, 제2 축(32)이 회전되는 회전력보다 브레이크부(8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더 크게 되면, 브레이크부(81)는 제2 축(32)의 외주면에 마찰되면서, 큰 마찰력을 형성하여 제2 축(32)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이에, 탈수통(40-1)은 자연스레 멈취 지게 되면서, 탈수통(40-1)내부에 수용된 식재료의 탈수를 멈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력과 수직이 되는 외력에 의해 제2 축(32)은 회전되며, 회전되는 속도는 가해진 외력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을 하고, 제2 축(32)의 회전속도는 외부에 설치된 케이스부(80)의 브레이크부(81)에 의해 손쉽게 제어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식재료 처리기 10, 10-1: 용기부
11: 처리공간 11-1: 회전중심돌기부
12: 미끄럼 방지부 12-1: 용기홀
20, 20-1: 커버부 21: 중앙홀
21-1: 커버홀 22: 잠금부
30: 구동축 31: 제1 축
32: 제2 축 32a: 제1 기어치
32b: 제1 기어홈 32c: 수용공간
40a: 절삭부 40b: 믹싱부
41a, 41b: 기둥부 42a: 절삭날
42b: 믹싱날 40-1: 탈수통
41-1: 회전중심부 42-1: 탈수공
43-1: 회전수용홈 50: 스크래버부
60: 스크류너트 60a: 제2 기어치
60b: 제2 기어홈 60c: 제2 나사산
70: 스크류바 71: 제1 나사산
72: 제3 나사산 80: 케이스부
81: 브레이크부 82: 걸림쇠 수용부
83: 이탈 방지부 90: 제한부
91: 원기둥 92: 플랜지
93: 걸림쇠 100: 탄성부재
110: 손잡이부 111: 고정너트부

Claims (8)

  1. 내부에 처리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는 중공형 구조의 케이스부;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며 일단이 상기 케이스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래칫(ratchet)기어 형태의 제1 기어부가 형성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바;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치합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상기 제1 기어부와 치합하는 제2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너트;
    상기 스크류바의 일측 단부가 결합된 손잡이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탄성결합되며 내측면은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측면은 상기 케이스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축을 향하여 상기 외측면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내측면이 상기 구동축과 마찰하여 상기 구동축의 속도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일단부가 절개되어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며, 한쌍이 마주보고 배치되는 식재료 처리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재료 처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식재료를 분쇄 또는 믹싱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식재료 처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스크래버부를 더 포함하는 식재료 처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용기 형상의 탈수통을 더 포함하는 식재료 처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 중심 상에 상기 탈수통을 향하여 형성된 회전중심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수통은 상기 회전중심돌기부를 수용하는 회전수용홈이 형성된 식재료 처리기.
KR2020130010958U 2013-12-31 2013-12-31 식재료 처리기 KR200475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958U KR200475461Y1 (ko) 2013-12-31 2013-12-31 식재료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958U KR200475461Y1 (ko) 2013-12-31 2013-12-31 식재료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461Y1 true KR200475461Y1 (ko) 2014-12-05

Family

ID=5357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958U KR200475461Y1 (ko) 2013-12-31 2013-12-31 식재료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4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913Y1 (ko) * 2018-06-26 2018-11-21 변윤지 배수구 청소기구
KR20200000226U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우산 빗물 털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928A (ja) * 2002-08-12 2004-03-11 Pearl Metal Co Ltd 手動水切り器
KR200406401Y1 (ko) * 2005-10-28 2006-01-20 이상구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20090001811U (ko) * 2007-08-22 2009-02-26 김재영 야채 탈수기
KR200459396Y1 (ko) * 2011-10-26 2012-03-23 주식회사 로이첸 야채 분쇄용 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928A (ja) * 2002-08-12 2004-03-11 Pearl Metal Co Ltd 手動水切り器
KR200406401Y1 (ko) * 2005-10-28 2006-01-20 이상구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20090001811U (ko) * 2007-08-22 2009-02-26 김재영 야채 탈수기
KR200459396Y1 (ko) * 2011-10-26 2012-03-23 주식회사 로이첸 야채 분쇄용 분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913Y1 (ko) * 2018-06-26 2018-11-21 변윤지 배수구 청소기구
KR20200000226U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우산 빗물 털이장치
KR200491253Y1 (ko) 2018-07-19 2020-03-10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우산 빗물 털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793B2 (en) Blender system with rotatable blade assembly
KR102430155B1 (ko) 식품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013361B1 (en) Smart measuring and dispensing apparatus
KR102090500B1 (ko) 식품 가공기
JP5431957B2 (ja) 食物処理システム
US7681817B2 (en) Food processor
KR20160065075A (ko) 식품 가공 장치
US3612414A (en) Coffee mill
KR200475461Y1 (ko) 식재료 처리기
KR200465636Y1 (ko) 일회용 용기용 믹서기 유니트 및 믹서기 유니트의 안전커버
US8936387B2 (en) Hand mixer
MX2014003487A (es) Aparato electrodomestico que incluye un recipiente de trabajo proporcionado con un filtro.
US20180140137A1 (en) Blending system with a liner for blending container
CN107468098A (zh) 一种具有双重保护开关的食物搅拌杯及搅拌机
KR101058311B1 (ko) 믹서기
CA2877820A1 (en) Portable mixer with height-adjustable handle
US20080117714A1 (en) Pitcher Arrangement for a Blending Device
EP3510906A1 (en) A bowl assembly for a kitchen appliance
US3335772A (en) Comminuting attachment for hand mixer
JP3998034B2 (ja) ミキサー
KR101620320B1 (ko) 믹서기
CN108787109B (zh) 一种带有保护机构的食品加工绞肉设备
KR20100001541U (ko) 식품 분쇄용 믹서기
KR20130140933A (ko) 핸디형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싱크대 결합형 음식물 처리 장치
JP3912300B2 (ja) ミキ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