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162Y1 - Connection structure of variable type wall plate - Google Patents

Connection structure of variable type wall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162Y1
KR200475162Y1 KR2020120002099U KR20120002099U KR200475162Y1 KR 200475162 Y1 KR200475162 Y1 KR 200475162Y1 KR 2020120002099 U KR2020120002099 U KR 2020120002099U KR 20120002099 U KR20120002099 U KR 20120002099U KR 200475162 Y1 KR200475162 Y1 KR 200475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guide line
groove portion
connecting member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0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5605U (en
Inventor
이승한
Original Assignee
이승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한 filed Critical 이승한
Priority to KR2020120002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162Y1/en
Publication of KR20130005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0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16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내부공간을 거주자 스타일에 맞게 실내공간을 확대 또는 축소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가변형벽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충진재(20)를 사이에 두고 양면에는 나란하게 2열로 사각형태의 외측벽(10a),내측벽(10b)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가변형벽체(10)와, 상기 가변형벽체(10)의 일측단에 맞닿음 고정되어 바닥면과 천정면에 밀착고정 지지하는 기둥부재(40)로 이루어진 가변형벽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가변형벽체(10)의 외측벽과 내측벽의 일단측에는 가이드라인홈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10a)과 내측벽(10b)에 형성된 가이드라인홈부(12)에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wall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interior space of a building can be easily enlarged or reduced in size to accommodate a resident style, thereby reduc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installation cost. A pair of deformable walls 10 formed in two row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formed of an outer side wall 10a and an inner side wall 10b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pair of movable walls 10 fixed to one side of the variable wall 10, A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is formed at one end side of an outer side wall and an inner side wall of the variable wall 10, and the outer side wall 10a and the outer side wall 1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formed in the inner side wall 10b.

Description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VARIABLE TYPE WALL PLAT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본 고안은 건축물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내부 공간을 거주자 스타일에 맞게 간단·용이하게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type wall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to easily and easily expand or reduce the internal space of a building according to occupant style, thereby reduc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installation cost .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공간에는 벽체를 시공하여, 상기 건물의 내부 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구획하여 사용하고 있다.Generally, a wall is installed in a space inside a building, and an inner space of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a shape desired by a user.

이와 같이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내벽체는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차음 및 단열기능을 가지고 있어야만, 건물의 내부에 실내 공간을 구획시에도 공사비가 크게 증가하지 않으면서도 벽체를 통해 소음이 전달되거나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inner wall installed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building must have a function of sound insulation and heat insulation while being easy to install. However, even when the indoor space is divided into the building, the construction cost does not increase greatly, Noise is transmitted or heat loss is prevented.

여기에서 종래 건물의 벽체를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벽돌이나 시멘트 블럭 등을 시공하여 벽체를 조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Here, as a method of adjusting the wall of a conventional building, a brick or a cement block is applied to form a wall.

이와 같이 벽돌 조직에 의한 벽체구조는 견고성과 보안성을 갖게 되기는 하나 건물의 무게 증가와 단시간에 벽체를 조성하기 어렵고 리모델링시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In this way, the wall structure of the brick structure has robustness and security, but it is difficult to form a wall in a short time and increase the weight of the building, and it is difficult to reuse it in remodeling.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립식 칸막이 등으로 내벽체를 구성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inner wall by a prefabricated partition or the like, so that the installation is easy and th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at a relatively low cos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립식 칸막이 등은 단열 및 소음 차단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efabricated partition and the like have a problem that the heat insulation and the noise shielding function are deteriorated.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들 중의 일예로서, 실용신안등록제 20-0368257호의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를 들 수 있다. 이 등록 고안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과 패널(10)을 횡으로 연결하여 조립식 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보강 프레임(6)에 톱채널(20)과 결합되도록 볼트(7)를 구비하되, 상기 보강 프레임은 단열재(5)가 충전된 패널(10)의 요부(凹部)에 장착된 소정 형상의 메인 프레임(6a)과, 상기 패널(10)의 메인 프레임(6a)에 대응하는 패널(10)의 철부(凸部)에 장착된 소정 형상의 서브 프레임을 삽입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6a)의 하부에는 구멍(6b)이 천공된 철판(6c)을 용접하여 볼트(60)로서 베이스부재(50)에 고정되도록 한 구조이다.Therefore, as an example for solving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 there is a prefabricated panel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68257 and a prefabricated wall structure using the prefabricated panel. In this registration design, as shown in FIG. 1, when the panel 10 and the panel 10 are laterally connected to construct the prefabricated wall, the reinforcing frame 6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top channel 20 Wherein the reinforcing frame includes a main frame 6a of a predetermined shape mounted on a recess of a panel 10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5 and a main frame 6a of a main frame 6a of the panel 10 A subframe of a predetermined shape mounted on a convex portion of the panel 10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6a is inserted and an iron plate 6c having a hole 6b is wel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6a And is fixed to the base member 50 as the bolt 60.

상기 패널(10)의 메인 프레임(6a)을 볼트(60)로서 고정하기 위한 구멍(52)이 베이스 부재(50)상에 형성되되, 상기 구멍(52)의 하부에는 너트가 용접되어 상기 볼트(60)를 상부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 hole 52 for fixing the main frame 6a of the panel 10 as the bolt 60 is formed on the base member 50. A nut is wel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e 52, 60 can be fixed from above.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의 조립식 벽체는 단열 및 소음차단 기능을 부여하고 있으나 그 부품의 수가 너무 많아 생산비용 및 설치 비용이 증대할 뿐만 아니라 한번 구획된 공간을 변경할 때에 부품의 수가 많아 해체가 용이하지 못하며 기존의 벽체 두께에 한정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공간을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efabricated wall having such a structure gives a heat insulating and noise shielding function, but the number of parts is so large that the production cost and the installation cost are increased, and when changing the partitioned space once, There is a problem that various spaces can not be set because it is used only in the existing wall thickness.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68257 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 - 0368257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의 내부 공간을 거주자 스타일에 맞게 간단·용이하게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space for a building which can be easily enlarged or reduced in accordance with a resident style, And the wall structure of the variable wall.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진재를 사이에 두고 외측벽 및 내측벽이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가변형 벽체와, 상기 가변형 벽체의 일측단에 맞닿음 고정되어 바닥면과 천정면에 밀착고정 지지되는 기둥 부재로 이루어진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벽체의 외측벽과 내측벽의 일단측에는 가이드라인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라인홈부에에는, 상기 외측벽(10a) 및 내측벽(10b)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재가 결합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variable wal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provided a wall structure for a variable wall, comprising: a pair of deformable walls formed with an outer side wall and an inner side wall side by side with a filler interposed therebetween; A guide line groove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side of an outer side wall and an inner side wall of the variable wall, and the outer side wall (10a) is formed in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variable wall, And a connecting member for fixing the inner side wall 10b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가이드라인홈부의 단부 및 상기 연결부재의 단면 형상은 T형 또는 L형태 등이 바람직하다.The end portion of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are preferably T-shaped or L-shaped.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가이드라인홈부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fixed to the guide line groove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nuts.

상기 가이드라인홈부의 일면에는 연결부재가 매입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된다.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portion, a seating groove portion in which a connecting member is embedded is formed.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부에는 상기 기둥부재에 끼워지도록 U자형부가 형성된다.A U-shaped portion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so as to be fitted into the pillar member.

상기 가변형 벽체의 상단부에는 조립용 개방홈부가 형성된다.At the upper end of the variable wall, an assembling opening groove is formed.

상기 가변형 벽체의 가이드라인홈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다.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in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of the variable wall.

상기 기둥 부재의 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A protrus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lumn member.

또한, 기둥부재는 양단방향으로 길이조절되는 높낮이 조절부재가 형성된다.Further, the column member is formed with a height adjusting member whose length is adjusted in both end directions.

청구항 1에 관련된 본 고안에 의하면, 가변형 벽체의 구성이 간소하여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고 개인의 특성에 맞게 공간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으며, 해체시 가변형 벽체 등과 같은 부품이 각각 분리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재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ariable wall structure is simple,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are simple, the space can be freely arr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the parts such as the variable wall are separated, The cost can be reduced.

또한, 가변형 벽체가 각각 분리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공간 설정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가변형 벽체의 면에 다양한 장식을 부여하여 다양한 인테리어를 제공할 수는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ariable wall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thickness of the space setting can be freely adjusted, and various decorations can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variable wall to provide various interiors.

청구항 2에 관련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이드라인홈부의 단부 및 연결부재의 단면형상에 따라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claim 2,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xing force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청구항 3에 관련된 본 고안에 의하면,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연결부재를 고정하므로 고정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시에 조립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claim 3, since the connecting member is fixed by the bolt and the nut, not only the fixing force can be increased but also the assembling property at the time of coupling can be increased.

청구항 4에 관련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이드라인홈부의 일면에 안착홈부를 형성하므로 연결부재의 결합시에 결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의 부정확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the coupling property of the coupling member can be improved, and the assembly inaccuracy can be reduced.

청구항 5에 관련된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부재에 U자형부를 갖게 하므로 기둥 부재의 외주면과 결합시에 결합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claim 5, since 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the U-shaped portion, the coupling stability can be achieved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lar member.

청구항 6에 관련된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용 개방홈부를 형성하므로 연결 부재의 결합시에 쉽게 조립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claim 6, since the opening groove for assembly is formed, an assembly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when the connection member is engaged.

청구항 7에 관련된 본 고안에 의하며, 가이드라인홈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에 의해 연결부재가 더 이상 흘러 내려가지 않고 고정위치를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upling member can be aligned with the fixing position without any further flow down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청구항 8에 관련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기둥 부재의 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하므로 가변형 벽체를 일자형, T형 또는 열십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claim 8, since the projection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lumn memb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ariable wall can be coupl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traight line, a T-line, or a cross line.

청구항 9에 관련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기둥 부재의 양단부에 높낮이 조절부재를 두므로 이와 결합되는 가변형 벽체의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vation adjustment memb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lumn member, the fixing force of the variable wall coupled to the elevation adjustment member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1은 종래 기술에 관한 건축물의 벽체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에 의해 결합된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5b는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의 T형의 가이드라인홈부 및 안착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의 L형의 가이드라인홈부 및 안착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의 개방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의 개방홈부가 내측에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의 안착홈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개방홈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연결부재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해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에 의해 조립된 상태 및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에 있어 가이드라인홈부(12)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상태른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10)를 T자형태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에 있어, 기둥 부재에 높낮이 조절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wall connec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wal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it is engaged by the variable wal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coupl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variable wall shown in Fig. 2. Fig.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a guide groove groove portion and a seating groove portion of a T-shape of the variable wal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L-shaped guide groove portion and a seating groove portion of a variable wal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open groove portion of the variable wal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 groove portion of the variable wal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ly on the inner side.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pening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seating groove portion of a variable wal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fixed by using bolts and nut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variable wal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assembled by the variable wall connection structure of FIG. 10 and an assembling process.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tch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in the variable wal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wal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in a T shape.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ight adjusting member is formed on a column member in a connection structure of a variabl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stitu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2는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variabl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건축물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실내 공간이 구획되도록 시공되는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가변형 벽체(10)는, 양측에 나란하게 2열로 배열되는 사각형태의 외측벽(10a)과 내측벽(10b)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외측벽(10a)과 내측벽(10b) 사이의 공간 내측에는 충진재(20)로 채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variable-structur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variable-type wall constructed so as to divide an indoor space of a building, wherein the variable-type walls 10 are arranged in two rows The outer wall 10a and the inner wall 10b are filled with a filler 20. The outer wall 10a and the inner wall 10b have a rectangular shape.

상기 충진재(20)로는 다양한 형태의 단열재, 흡음재용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filler 20, various types of heat insulating materials and materials for a sound absorbing material may be used.

상기 충진재(20)를 사이에 두고 외측벽(10a) 및 내측벽(10b)이 감싸도록 형성된 가변형 벽체(10)의 양측단에는 세로방향으로 병렬지게 가이드라인홈부(12)가 형성되어 있다.Guide-line grooves 12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variable wall 1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wall 10a and the inner wall 10b with the filler 20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상기 가변형 벽체(10)의 외측벽(10a)과 내측벽(10b)간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외측벽(10a)과 내측벽(10b)의 양측단을 연결부재(30)에 의해 벌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outer wall 10a and the inner wall 10b of the variable wall 10, both ends of the outer wall 10a and the inner wall 10b are not opened or deformed by the connecting member 30. [ .

상기 연결부재(30)는, 가변형 벽체(10) 내측 사이에 끼워 결합되도록 U자형부(32)가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상기 가변형 벽체(1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라인 홈부(12)에 끼워 결합되도록 연장절곡된 결합부(34)가 형성된다.The connecting member 30 is formed with a U-shaped portion 32 to be inserted into and interposed between the inside of the variable wall 10 and at both side ends thereof to be fitted into a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formed in the variable wall 10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34 is formed.

상기 연결부재(30)의 양단에 연장 절곡된 결합부(34)는 예컨대, T형의 형상으로 형성시켜 상기 가변형 벽체(10)에 형성된 외측벽(10a)과 내측벽(10b)에 형성된 가이드라인홈부(12)에 도 3과 같이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4 is formed in a T-shape so as to be bent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has an outer side wall 10a formed in the variable wall 10 and a guide line groove formed in the inner side wall 10b. As shown in Fig.

상기 도 3에서는, 연결부재(3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부(34) 및 가변형 벽체(10)의 가이드라인홈부(12)가 T형으로 나타나져 있으나, 도 6과 같이 L자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3, the coupling portion 34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of the variable wall 10 are shown as T-shaped. However, as shown in FIG. 6, Of course it i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의 결합부(34) 및 가변형 벽체(10)의 가이드라인홈부(12)를 L형으로 형성할 시에는 제조가 좀 더 용이해진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engaging portion 34 of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of the variable wall 10 are formed into an L shape, the manufacturing is facilitated.

또한,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갖는 가변형 벽체(10)의 가이드라인홈부(12)상에 안착홈부(17)를 형성시키면 상기 연결부재(30)를 결합시킨 후에 상기 가변형 벽체(10)에 형성된 가이드라인 홈부(12)측으로 매입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인 결합력을 줄 수 있다.5 and 6, when the seating groove 17 is formed on the guide line groove 12 of the variable wall 10, the connection member 30 is coupled to the variable wall 1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y stable bonding force.

상기 연결부재(30)의 중앙부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부재(40)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U자형부(32)가 형성된다.A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0 is formed with a U-shaped portion 32 formed to be fitted in the column member 40 as shown in FIG.

상기 연결부재(30)의 중앙부는 기둥부재(40)의 외주면을 감싸지면서 끼워져 고정되도록 대략 U자형태를 가지나, ㄷ자형태 등을 갖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0 has a substantially U-shape so as to be fitted and fixed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member 40, but may have a U-shape or the like.

즉, 기둥부재(40)의 형태에 따라 연결부재(30)의 중앙부의 형상 또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at is, the shap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illar member 40.

본 고안은 특히, 연결부재(30)의 두께만큼 표면에 가변형 벽체(10)측으로 매입되는 결합 형태를 갖추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벽체(1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가변형 벽체(10)의 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기둥부재(40)로의 밀착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upling shape that is embedded on the surface of the variable wall 10 by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member 30, so that it is fixed in tight contact with the variable wall 10 as shown in FIG. 3,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close fixing force to the column member 4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wall body 10 and is engaged.

본 고안은 도 7,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벽체(10)의 가이드라인홈부(12)상의 상부측 끝단부측에는 조립용 개방홈부(16)를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7, 8, and 9, the opening groove portion 16 for assembly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side end on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of the variable wall 10.

상기 조립용 개방홈부(1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벽체(10)의 외측벽(10a)과 내측벽(10b)에 형성된 가이드라인홈부(12)상의 상단부측으로 일정길이로 두께방향으로 절결(cut-awy)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절결된 부위에 의해 작업공간을 확보하면서, 가이드라인홈부(12)의 상부측에서 가이드라인홈부(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부재(10)를 끼워 넣을 수 있어 가변형 벽체(10)의 외측벽(10a)과 내측벽(10b)에 가이드라인홈부(12)상의 상단부측에서 연결부재(30)가 천정에 걸려 가이드라인홈부(12)상으로 인입되지 않는 문제가 초래되지 않아 작업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7, the assembling opening groove portion 16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ward the upper end side on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formed on the outer side wall 10a and the inner side wall 10b of the variable wall 10 The connecting member 10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from the upper side of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while securing the working space by the cut portion. A problem that the connecting member 30 is caught on the ceiling and does not enter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to the outer side wall 10a and the inner side wall 10b of the deformable wall 10 So that workability and assemblability can be improved.

따라서,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10)를 현장에서 조립할 때에 작업자는 가변형 벽체(10)의 상부측에서 쉽게 연결부재(30)를 끼워 조립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Therefore, when assembling the variable wall 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easily assemble the connecting member 30 on the upper side of the variable wall 10, thereby remarkably increasing the working efficiency.

또한, 가변형 벽체(10)상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용 개방홈부(1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라인홈부(12)상의 상부측 전체를 절결하지 않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벽체(10)의 외측벽(10a)과 내측벽(10b)의 두께 폭 절반정도의 내측 부분만을 절결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As shown in Fig. 7, the assembling opening groove portion 16 formed on the variable wall 10 is formed by cutting the entire upper side of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It is also possible to use only the inner portion of about half the thickness of the outer wall 10a and the inner wall 10b of the wall 10 by cutting.

그뿐만 아니라 조립용 개방홈부(16)는 도5a, 도5b에 도시된 안착홈부(17)의 형태에서 있어서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라인홈부(12)의 상부측에 조립용 개방홈부(16)를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e form of the mounting groove 17 shown in Figs. 5A and 5B, the assembling opening groove 16 is also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line groove 12, as shown in Fig. 9, 16 may be formed and used.

도 12는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상의 가이드라인홈부상에 걸림 돌기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a guide line groove portion on a variabl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걸림돌기(18)는 본 고안의 가이드라인홈부(12)상에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부재(30)가 가이드라인홈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진 후 하부측으로 위치 결정된 위치에서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위치를 고정시켜 주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engaging protrusion 18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30 fitted and fixed on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And is projected outward so as to fix the position thereof.

따라서, 가이드라인홈부(12)를 따라, 연결부재(30)를 밀어 끼워 넣으면, 가이드라인홈부(12)상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8)에 걸려 위치가 결정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connecting member 30 is pushed in along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the position is determined by being hooked on the latching protrusion 18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

이때에 연이어져서 가이드라인홈부(12)상에 끼워져 이동되는 연결부재(30)는 걸림돌기(18)에 일차적으로 걸릴시 힘을 가하게 되면 밀쳐지면서 젖혀지기 때문에 먼저 끼워져 이동된 연결부재(30)는 가이드라인홈부(12)상에 또다른 위치상에 형성된 걸림돌기(18)의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30, which is inserted and moved on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is pushed and tilted when a force is applied when the locking member 30 is first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8, It is of course possible to move to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18 formed on the guide groove portion 12 at another position.

상기 가이드라인홈부(12)상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8)는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라인홈부(1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연결부재(30)는 가장 상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걸림돌기(18)상에 걸리더라도 일정한 힘을 가하면 그 다음 위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Since the engaging protrusion 18 formed on the guide line groove 12 can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r the like, the connecting member 30, which is slid along the guide line groove 12, Even if it is caught on the hooking protrusion 18, it can be easily moved to the next position by applying a certain force.

도 13은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10)를 T자형태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wal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in a T shape.

가변형 벽체(10)는 기둥부재(40)의 외주면 형태를 T자형, 열십자형태 등으로 돌출부(44)를 형성시켜 두고 가변형 벽체(10)를 기둥부재(40)의 측면에 끼워 고정시키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또는 도 13의 기둥부재(40)의 열십자형태 등에 따라 그 형태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 The variable wall 10 is formed by fixing the variable wall 10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lumn member 40 with the outer wall of the column member 40 formed in a T shape or a cross shape, The shape of the columnar member 40 can be variously combine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shape of the columnar member 40 as shown in FIG.

또한, 기둥부재(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44)는 상기 기둥부재(40)를 사이에 두고 가변형 벽체(10)와 또다른 가변형 벽체(10)가 이어져 결합될시에 사이 공간이 넒은 경우 사이 공간을 마감하는 마감재(46-1)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ojection 4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member 40 may have a larger space between the variable wall 10 and another variable wall 10 when the pillar member 40 is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possible to serve as the finishing material 46-1 for finishing the space between the two.

도 14는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로 기둥 부재에 높낮이 조절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ight adjusting member is formed on a column member with a connection structure of a variabl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10)가 기둥부재(40)에 끼워져 고정된 후에 흔들림이나 넘어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40)의 양단에 양단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부재(44)가 설치되어 있어 기둥 부재(40)를 천정 및 바닥에 흔들림 없이 고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in order to prevent shaking or falling after the variable wall memb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and fixed to the pillar member 40, The adjusting member 44 is provided to fix the column member 40 to the ceiling and the floor without shaking.

이와 같이 기둥부재(40)상에 조절부재(44)가 설치되어 있어 본 고안의 가변형 벽체(10)를 고정할시 건물의 천정 및 바닥에 시멘트 못이나 기타 강력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djusting member 44 is provided on the column member 40, so that the fixed wal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to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building without using a cement nail or other strong adhesive. Of course it is.

또한, 이와 같이 기둥부재(40)상의 조절부재(44)에 의해 조립 및 해체 작업이 수월하기 때문에 해체시에 조절부재(4)의 파손 등을 방지하여 원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해체 후 재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Since the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operation is easy by the adjusting member 44 on the column member 4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justing member 4 from being damaged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to maintain the original state, There are features.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의 실시예와 대비하여, 연결부재(30b)를 가변형 벽체(10)상에 고정시키는 형태가 상이하나, 여타 다른 구성은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to the embodiment of Fig. 2, the connecting member 30b is different from the variable wall 10 in that the fixing member 30b is fixed on the variable wall 10,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 부재(30b)는 외측벽(10a)과 내측벽(10b)에 형성된 가이드라인홈부(12)에 유동성이 있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0b in this embodiment is fixed to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formed on the outer side wall 10a and the inner side wall 10b by bolts and nuts having fluidity.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벽체(10)상에 외측벽(10a) 및 내측벽(10b)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라인홈부(12)상에 볼트(30b-1)의 머리부를 끼운 후, 나사산이 가이드라인홈부(12)의 바깥으로 돌출시킨 후, 상기 볼트(30b-1)의 나사산부측에 연결부재(30b)를 끼워 너트(30b-2)를 조여서 고정하면 연결부재(30b)를 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10,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30b-1 is fitted on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ide wall 10a and the inner side wall 10b on the variable wall 10 The screw 30b-2 is screwed in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30b-1 after the thread is projected out of the guide groove portion 12 and the nut 30b-2 is tightened to fix the connecting member 30b It can be easily fixed.

상기 볼트 및 너트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나 볼트(30b-1)의 머리부가 가이드라인홈부(12)상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s of the bolts and the nuts may be mutually exchang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 of the bolt 30b-1 is fitted and fixed on the guide line groove 12.

상기 가이드라인홈부(12)상에 끼워지는 볼트(30b-1)의 머리부는 너트(30b-2)의 결합시 따라 돌지 않도록 가이드라인홈부(12) 폭 넓이를 조절해서 제조하면 조립이 용이해진다.Assembly of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30b-1 fitted on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is facilitate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so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30b-1 does not turn when the nut 30b-2 is engaged.

10 : 가변형 벽체(10a:외측벽, 10b:내측벽)
12 : 가이드라인홈부
16 : 개방홈부
17 : 결합홈
18 : 걸림돌기
20 : 충진재
30 : 연결부재(30a, 30b)
30b-1 : 볼트
30b-2 : 너트
32 : U자형부
34 : 결합부
40 : 기둥부재
44 : 높낮이 조절부재
46 : 돌출부
10: variable wall (10a: outer wall, 10b: inner wall)
12: Guideline groove
16: open groove
17: Coupling groove
18:
20: filler
30: connecting members 30a and 30b,
30b-1: Bolt
30b-2: Nut
32: U-
34:
40:
44: height adjusting member
46:

Claims (9)

충진재(20)를 사이에 두고 외측벽(10a) 및 내측벽(10b)이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가변형 벽체(10)와, 상기 가변형 벽체(10)의 일측단에 맞닿음 고정되어 바닥면과 천정면에 밀착고정 지지되는 기둥부재(40)로 이루어진 가변형 벽체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벽체(10)의 외측벽과 내측벽의 일단측에는 상기 가변형 벽체(10) 내부로 가이드라인홈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라인홈부(12)에는, 상기 외측벽(10a) 및 내측벽(10b)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재(30)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30)의 양측단에는, 상기 가변형 벽체(10)내에 형성된 가이드라인홈부(12)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3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34)가 연장 절곡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라인 홈부(12)의 단부 및 상기 연결부재(30)의 결합부(34)의 단면형상이 T형 또는 L형이며,
상기 가변형 벽체(10)의 가이드라인 홈부(1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
A pair of deformable walls 10 in which an outer wall 10a and an inner wall 10b are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ith a filler 2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air of deformable walls 10 fix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deformable wall 10, And a columnar member (40) tightly fixed on the front surface,
A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is formed in the variable wall 10 on one side of the outer side wall and the inner side wall of the variable wall 10,
A connecting member 30 for fixing the outer side wall 10a and the inner side wall 10b to each other is coupled to the guide line groove 12,
At both side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30, an engaging portion 34 for preventing the connecting member 30 from being pulled o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formed in the variable wall 10 is extended Bending,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and the engaging portion 34 of the connecting member 30 have a T- or L-
Wherein a locking protrusion (18)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in the guide line groove portion (12) of the variable wall (1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가이드라인홈부(12)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guide line groove part (12) by bolts and nuts.
제1항에 또는 제3항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홈부(12)의 일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매입 안착되는 안착홈부(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guide groove portion (12) has a seating groove portion (17)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embedded.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의 중앙부에는 상기 기둥부재(40)에 끼워지도록 U자형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a U-shaped portion (32)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0) so as to fit into the column member (40).
제1항에 또는 제3항 있어서,
상기 가변형벽체(10)의 상단부에는 조립용 개방홈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d an opening groove for assembly (16)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variable wall (10).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40)의 측면에는 돌출부(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d a projection (46)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lumn member (4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40)에는 양단방향으로 길이조절되는 높낮이 조절부재(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column member (40) is formed with a height adjustment member (44) that adjusts the length in both end directions.

KR2020120002099U 2012-03-16 2012-03-16 Connection structure of variable type wall plate KR20047516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99U KR200475162Y1 (en) 2012-03-16 2012-03-16 Connection structure of variable type wall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99U KR200475162Y1 (en) 2012-03-16 2012-03-16 Connection structure of variable type wall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05U KR20130005605U (en) 2013-09-25
KR200475162Y1 true KR200475162Y1 (en) 2014-11-10

Family

ID=5228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099U KR200475162Y1 (en) 2012-03-16 2012-03-16 Connection structure of variable type wall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162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994A (en) * 2018-07-31 2018-12-18 柯世轮 A kind of Spliced movable room wallboard connecting structure
KR102638236B1 (en) 2021-05-18 2024-02-16 한국토지주택공사 Sealing Apparatus of Moving Wa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2233U (en) * 1988-01-20 1989-07-28
KR200261571Y1 (en) * 2001-10-12 2002-01-23 내차산업 주식회사 Fire and soundproof panel
KR100710424B1 (en) * 2005-08-12 2007-04-24 주식회사 유 창 Double partition structure
KR101061030B1 (en) * 2009-03-02 2011-08-31 마용관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2233U (en) * 1988-01-20 1989-07-28
KR200261571Y1 (en) * 2001-10-12 2002-01-23 내차산업 주식회사 Fire and soundproof panel
KR100710424B1 (en) * 2005-08-12 2007-04-24 주식회사 유 창 Double partition structure
KR101061030B1 (en) * 2009-03-02 2011-08-31 마용관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05U (en)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692B1 (en) Curtain wall structure for construction
KR101554075B1 (en) Building non-welding truss structures
KR101004057B1 (en) Truss assembly for construction
US8776468B2 (en) Insulation roof or floor panels with deformation resistant elements for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roof or floor system and such system
JP7236212B2 (en)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wall structure, mounting device and board material
KR100794286B1 (en) Sectional partition
KR20160003477A (en) Truss assembly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
KR200475162Y1 (en) Connection structure of variable type wall plate
KR200456949Y1 (en) The wall for construction
KR20120021911A (en) Clamp for coupling of panels and concrete form using the same
KR20150034879A (en) Aluminum-steel complex curtain wall structure
KR101447360B1 (en) Method for installing ALC panel to concrete slab
KR101174115B1 (en) Sectional partition
KR100775350B1 (en) Filler pannel frame
KR101596867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artition panel
KR100952070B1 (en) A joint and thickness adjustment system of assembling type panel
KR20170113479A (en) Curtain wall consisting of a robust connection structure
KR101099368B1 (en) Curtain Wall
KR101800818B1 (en) Unit type curtain wall having double insulated structure
KR101302466B1 (en) Temporary wall for construction
KR101242833B1 (en) Panel with marble assembl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KR101792193B1 (en) House construction method
KR101712851B1 (en)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panel fasteners
KR200480610Y1 (en) Fixing device for exterior panel
KR101722021B1 (en) System pillar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