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106Y1 - 아이스팩 - Google Patents

아이스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106Y1
KR200475106Y1 KR2020140003878U KR20140003878U KR200475106Y1 KR 200475106 Y1 KR200475106 Y1 KR 200475106Y1 KR 2020140003878 U KR2020140003878 U KR 2020140003878U KR 20140003878 U KR20140003878 U KR 20140003878U KR 200475106 Y1 KR200475106 Y1 KR 200475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ck
coupled
pack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완
Original Assignee
조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완 filed Critical 조명완
Priority to KR2020140003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1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1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023/0275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F25D2303/0822Details of the element
    • F25D2303/08221Fasteners or fixing means for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F25D2303/0822Details of the element
    • F25D2303/08222Shape of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각 동일한 내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 내측면을 포함하고 내부수용공간에 축냉재가 포함되며 바닥면에 상기 축냉재가 주입되는 주입구 형성되고 인접하는 측면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접이부로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둘의 단위몸체로 이루어진 팩몸체; 상기 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에 상기 탭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상기 팩몸체의 내측면의 안쪽에 배치되어 용기의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둘의 받침대; 서로 다른 상기 단위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용기와 상기 팩몸체를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아이스팩를 제공하여, 팩몸체와 용기의 휴대성 및 운반성을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 용기에 담긴 음료를 지속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대가 단위몸체에 결합함으로써.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아이스팩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이스팩{Icepack}
본 고안은 아이스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를 냉각시키는 아이스팩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통상적으로 냉장고와 같은 냉각장치 안에서 냉각된다. 냉각된 음료는 컵에 담아 음용하게 된다. 그러나 컵에 담긴 음료는 상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 음료의 온도가 높아진다. 특히, 맥주와 같은 음료는 차가운 온도에서 맛이 좋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맥주를 음용하는 것이 제대로 된 맛을 느끼는데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0740호(2001.08.10. 공개, 이하,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생맥주 냉각테이블을 제시하고 있다. 문헌1의 생맥주 냉각테이블은 컵홀더와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와, 단열재와,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컵홀더는 테이블의 상판 저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컵홀더는 내부에 수납된 생맥주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컵홀더는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에 의해 냉각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2020호(2007.09.12. 공개, 이하, 문헌2라 한다)에서는 보냉 겸용 냉각컵을 제시하고 있다. 문헌2의 냉각컵은 음료가 담기는 내컵과 내컵 아래에 위치하는 미들컵을 포함한다. 미들컵은 냉매의 잠열을 내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컵 냉각장치들은 컵의 휴대성 및 운반성을 크게 떨어드리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문헌1의 생맥주 냉각테이블은 컵홀더가 냉각테이블에 설치되기 때문에 컵을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또한, 문헌2의 냉각컵은 미들컵으로 인하여 전체 컵의 크기가 매우 커지고, 내컵을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0740호(2001.08.1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2020호(2007.09.12)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의 휴대성 및 운반성을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 용기에 담긴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는 아이스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각 동일한 내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 내측면을 포함하고 내부수용공간에 축냉재가 포함되며 바닥면에 상기 축냉재가 주입되는 주입구 형성되고 인접하는 측면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접이부로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둘의 단위몸체로 이루어진 팩몸체와, 상기 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에 상기 탭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상기 팩몸체의 내측면의 안쪽에 배치되어 용기의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둘의 받침대와, 서로 다른 상기 단위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용기와 상기 팩몸체를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아이스팩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팩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팩몸체의 어느 한 측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고 신장 또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용기의 손잡이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꺽여 형성되어 강기 팩몸체의 다른 측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고정벨트와, 상기 팩몸체의 어느 한 측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고 신장 또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용기의 손잡이의 하단을 둘러싸도록 꺽여 형성되어 상기 팩몸체의 다른 측의 하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고정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 단부 중 어느 한 쪽은 적어도 둘의 상기 단위몸체 중 어느 하나의 단위몸체에 결합하고, 상기 용기를 감싼 상태에서 양 단부 중 다른 쪽은 다른 하나의 단위몸체에 결합하여 상기 용기와 상기 팩몸체를 고정하는 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구와 상기 캡부는 회전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부로 상호 연결되며 각각 동일 내경을 갖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내부에 축냉재를 각각 포함하는 단위몸체로 이루어지는 팩몸체와 용기의 휴대성 및 운반성을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 용기에 담긴 음료를 지속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단위몸체의 바닥면에는 축냉재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주입구가 폐쇄하는 캡부와 캡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대가 단위몸체에 결합함으로써.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아이스팩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팩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단위몸체와 단위몸체의 바닥면에 결합하는 받침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아이스팩이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아이스팩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다른 형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아이스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아이스팩이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병 타입의 용기에 걸리는 끈부를 더 포함하는 아이스팩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아이스팩에 광고 문구가 표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다른 형태의 팩몸체를 포함하는 도시한 아이스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팩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병행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팩(10)은 팩몸체(100)와, 받침대(200)와, 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팩몸체(100)는 내부수용공간에 PCM(Phase Change Material)과 같은 축냉재를 포함하고, 용기 표면과 접촉하여 열전달이 일어나도록 용기 둘레를 둘러싸서 용기에 포함된 음료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팩몸체(100)는 3개의 단위몸체(110)들이 접이부(120)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단위몸체(110)는 곡면으로 형성된 내측면을 포함하며,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단위몸체(100)의 내측면은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위몸체(110)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팩몸체(100)의 폭과 높이는 용기의 둘레와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팩몸체(100)는 이러한 단위몸체(110)들이 접이부(120)를 통해 폭방향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이부(120)는 단위몸체(110)들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팩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인 용기의 둘레에 팩몸체(100)의 내측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접이부(120)는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이부(120)는 팩몸체(100)의 소재와 다른 별도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이부(120)가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용기에 아이스팩(10)을 장착할 수 있으며, 용기에 아이스팩이 장착된 이후, 접이부(120)의 탄성력으로 인해 아이스팩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팩몸체(110는) 폴리 에틸렌(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이론(ny) 등의 단독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단위몸체와 단위몸체의 바닥면에 결합하는 받침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위몸체(110)의 바닥면에는 축냉재가 주입되는 주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111)는 단위몸체(110)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200)의 캡부(210)와 회전 체결될 수 있도록 주입구(11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111)의 크기는 단위몸체(110)의 외측면을 기준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받침대(200)는 용기의 바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대(200)는 캡부(210)와 바닥블록(220)을 포함할 수 있다.
캡부(210)는 주입구(111)에 회전 체결되어 충진재가 포함된 내부수용공간을 폐쇄한다. 캡부(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는 주입구(111)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캡부(210)의 크기는 단위몸체(110)의 외측면을 기준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바닥블록(220)은 캡부(210)의 상단에서 수평 하게 연장 형성되어 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닥블록(220)은 주입구(111)에 캡부(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팩몸체(100)의 내측면의 안쪽에 배치되어 용기의 바닥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닥블록(220)의 상면은 용기의 바닥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블록(220)의 하면은 지지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닥블록(220)의 상면 및 하면의 넓이는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지지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바닥블록(220)은 쥘 수 있기 때문에, 캡부(210)를 주입구(111)에 회전 체결할 때 사용 편의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이러한 받침대(200)는 팩몸체(100)의 주입구(111)를 열거나 닫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용기의 바닥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받침대(200)는 지지면과 용기의 바닥면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지지면의 열이 용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용기가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300)는 서로 다른 단위몸체(110)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용기(1)와 팩몸체(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300)는 최 외측에 배치된 단위몸체(110)의 양 측면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호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벨크로(310,320)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버튼 형태나 버클 형태 등과 같은 결합 구성으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팩이 용기를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아이스팩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병행 참조하면, 팩몸체(100)가 용기(1)를 둘러싼 상태에서 결합부(300)가 체결되어 용기(1)에 고정되고 받침대(200)가 용기의 용기(1)의 바닥을 지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형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아이스팩을 도시한 도면이다.
손잡이(1a)가 형성된 용기(1)에 장착되기 위하여 결합부(300)는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00)는 상부벨트(331)와 하부벨트(332)를 포함하는 벨트부(330)와 벨트부(330)와 고정되는 벨트고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부(330)는 팩몸체(10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벨트고정부(340)는 팩몸체(100)의 다른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벨트부(330)의 상부벨트(331)는 용기(1)의 둘레를 팩몸체(100)가 둘러싼 상태에서 용기(1)의 손잡이(1a)가 개방되도록 손잡이(1a)의 상단을 감아 돌아 팩몸체(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부벨트(331)는 팩몸체(100)의 측면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며, 용기(1) 표면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1a)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하향하여 꺽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벨트(331)는 손잡이(1a)의 위치 및 형태에 대응하여 신장 또는 신축될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1a)이 달린 용기(1)에 아이스팩(100)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벨트부(330)의 하부벨트(332)는 용기(1)의 둘레를 팩몸체(100)가 둘러싼 상태에서 용기(1)의 손잡이(1a)가 개방되도록 손잡이(1a)의 하단을 감아 돌아 팩몸체(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부벨트(332)는 팩몸체(100)의 측면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며, 용기(1) 표면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1a)의 하단을 둘러싸도록 꺽여 상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부벨트(331) 및 하부벨트(332)의 단부에는 각각 결합용 벨크로(3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버튼 형태나 버클 형태 등과 같은 결합 구성으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아이스팩이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벨트부(330)가 돌출된 손잡이(1a)를 꺽여 형성되어 손잡이(1a)가 형성된 용기(1)에도 아이스팩이 용이하게 장착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병 타입의 용기에 걸리는 끈부를 더 포함하는 아이스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아이스팩에 광고 문구가 표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병 타입의 용기에 아이스팩(10)을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끈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끈부(40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 단부 중 어느 한 쪽은 어느 하나의 단위몸체(110)에 결합하고, 용기(1)를 감싼 상태에서 양 단부 중 다른 쪽은 다른 하나의 단위몸체(110)에 결합하여 용기(1)와 팩몸체(10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끈부(400)의 양 단부는 단위몸체(110)에 벨크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결합부(300)의 일부 영역은 끈부(400)의 양 단부가 벨크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버튼 형태나 버클 형태 등과 같은 결합 구성으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끈부(400)는 병 타입 용기(1)의 넥부(1b)에 걸쳐져 팩몸체(100)에 비해 높이가 긴 용기(1)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팩몸체(100)에는 도 8의 500과 같이, 음료의 표장 또는 광고 문구 또는 표장 등이 표기될 수 있다.
도 9는 다른 형태의 팩몸체를 포함하는 도시한 아이스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팩몸체(100)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상변 및 하변을 포함하고 상변이 하변보다 길게 형성되어 전개되어 있을 때,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팩몸체(100)가 컵(10)을 둘러싸서 결합할 때, 꼭지 잘린 원추가 역립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때문에 상광하협의 형태의 컵 즉, 아래쪽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용기가 밀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팩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팩몸체
110: 단위몸체
111: 주입구
120: 접이부
200: 받침대
210: 캡부
220: 바닥블록
300: 결합부
310,320: 벨크로
330: 벨트부
331: 상부벨트
332: 하부벨트
333: 벨크로
340: 벨트고정부
400: 끈부

Claims (5)

  1. 각각 동일한 내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 내측면을 포함하고 내부수용공간에 축냉재가 포함되며 바닥면에 상기 축냉재가 주입되는 주입구 형성되고 인접하는 측면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접이부로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둘의 단위몸체로 이루어진 팩몸체;
    상기 주입구에 회전 체결되어 상기 내부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에 상기 캡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상기 팩몸체의 내측면의 안쪽에 배치되어 용기의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둘의 받침대;
    상기 팩몸체의 양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용기와 상기 팩몸체를 고정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팩.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 단부 중 어느 한 쪽은 적어도 둘의 상기 단위몸체 중 어느 하나의 단위몸체에 결합하고, 상기 용기를 감싼 상태에서 양 단부 중 다른 쪽은 다른 하나의 단위몸체에 결합하여 상기 용기와 상기 팩몸체를 고정하는 끈부를 더 포함하는 아이스팩.
  5. 삭제
KR2020140003878U 2014-05-20 2014-05-20 아이스팩 KR200475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78U KR200475106Y1 (ko) 2014-05-20 2014-05-20 아이스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78U KR200475106Y1 (ko) 2014-05-20 2014-05-20 아이스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106Y1 true KR200475106Y1 (ko) 2014-11-07

Family

ID=5228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878U KR200475106Y1 (ko) 2014-05-20 2014-05-20 아이스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1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9867A (en) * 2014-09-04 2016-03-09 Oluwafemi Ajibola Afolabi Beverage cooling device
US9625207B2 (en) 2014-09-04 2017-04-18 Oluwafemi Ajibola Afolabi Beverage cooling device
KR20190047913A (ko) 2017-10-30 2019-05-09 김신 아이스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8067U (ko) * 1988-09-05 1990-03-13
JPH0391014U (ko) * 1989-12-26 1991-09-17
JPH0394286U (ko) * 1990-01-16 1991-09-26
KR200431557Y1 (ko) * 2006-09-06 2006-11-23 엄기정 보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8067U (ko) * 1988-09-05 1990-03-13
JPH0391014U (ko) * 1989-12-26 1991-09-17
JPH0394286U (ko) * 1990-01-16 1991-09-26
KR200431557Y1 (ko) * 2006-09-06 2006-11-23 엄기정 보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9867A (en) * 2014-09-04 2016-03-09 Oluwafemi Ajibola Afolabi Beverage cooling device
GB2529867B (en) * 2014-09-04 2016-09-21 Ajibola Afolabi Oluwafemi Beverage cooling device
US9625207B2 (en) 2014-09-04 2017-04-18 Oluwafemi Ajibola Afolabi Beverage cooling device
KR20190047913A (ko) 2017-10-30 2019-05-09 김신 아이스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778Y1 (ko) 아이스팩
US11224271B2 (en) Backpack collapsible coolers
US7252213B1 (en) Beverage jug cover
US20110248037A1 (en) Thermally insulated collapsible cup for hot or cold beverages
US20140060777A1 (en) Beverage container sleev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9648970B2 (en) Impact-resistant portable liquid container protector with cooling and heating capability
KR200475106Y1 (ko) 아이스팩
JP5591813B2 (ja) 保温用ボトルソックス、および、その関連方法
US20100078451A1 (en) Portable carrier for beverage containers
US20130264350A1 (en) Keg Insulating Apparatus
US8297072B2 (en) Container incorporating integral cooling element
US20150096995A1 (en) System for Maintaining Beverage Temperature
US20150096324A1 (en) Beverage Cooling Device
US11142368B2 (en) Container for receiving a beverage
US20150276296A1 (en) Beverage Cooling Device
US20160022074A1 (en) Stay-cold drinking can
KR200472889Y1 (ko) 아이스팩
US7146826B1 (en) Beverage cooling apparatus
US20130048594A1 (en) Gallon jug insulation sleeve
US20160131421A1 (en) Beverage Cooling Device
US20140175105A1 (en)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for both heated and chilled liquids
KR200472890Y1 (ko) 아이스팩
KR101857201B1 (ko) 휴대용 용기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KR200460978Y1 (ko) 물통
KR101254128B1 (ko) 음료수 보관용 냉각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