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890Y1 - 아이스팩 - Google Patents

아이스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890Y1
KR200472890Y1 KR2020140000221U KR20140000221U KR200472890Y1 KR 200472890 Y1 KR200472890 Y1 KR 200472890Y1 KR 2020140000221 U KR2020140000221 U KR 2020140000221U KR 20140000221 U KR20140000221 U KR 20140000221U KR 200472890 Y1 KR200472890 Y1 KR 200472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body
cup
elastic
pack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완
Original Assignee
조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완 filed Critical 조명완
Priority to KR2020140000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8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8Drinking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F25D2303/0822Details of the element
    • F25D2303/08222Shape of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 F25D2303/0841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external to the container for a beverage, e.g. a bottle, can, drinking glass or pitc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팩몸체; 상기 팩몸체에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호 떨어져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접이부; 상기 팩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접이부에 의해 구획되며, 내부에 축냉재가 포함하는 적어도 둘의 쿨링부; 상기 팩몸체의 어느 한 측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상부연결부와, 상기 상부연결부에 꺽여 형성되며 신장 또는 신축되어 컵의 손잡이의 상단을 둘러싸는 상부연장부와, 상기 상부연장부에 하향하여 형성되며 제1 탄성돌기부가 형성된 상부고정부를 포함하는 상부고정벨트부;및 상기 팩몸체의 어느 한 측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상기 팩몸체의 측단에서 벗어나도록 길게 형성되는 하부연결부와, 상기 하부연결부에 꺽여 형성되며 신장 또는 신축되어 컵의 손잡이의 하단을 둘러싸는 하부연장부와, 상기 하부연장부에 상향하여 형성되며 제2 탄성돌기부가 형성된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부고정벨트부; 상기 팩몸체의 다른 측 단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돌기부와 상기 제2 탄성돌기부와 각각 결합하는 탄성홈부를 포함하는 아이스팩을 제공하여, 컵의 휴대성 및 운반성을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 컵에 담긴 음료를 지속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이스팩{icepack}
본 고안은 아이스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을 냉각시키는 아이스팩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통상적으로 냉장고와 같은 냉각장치 안에서 냉각된다. 냉각된 음료는 컵에 담아 음용하게 된다. 그러나 컵에 담긴 음료는 상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 음료의 온도가 높아진다. 특히, 맥주와 같은 음료는 차가운 온도에서 맛이 좋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맥주를 음용하는 것이 제대로 된 맛을 느끼는데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0740호(2001.08.10. 공개, 이하,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생맥주 냉각테이블을 제시하고 있다. 문헌1의 생맥주 냉각테이블은 컵홀더와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와, 단열재와,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컵홀더는 테이블의 상판 저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컵홀더는 내부에 수납된 생맥주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컵홀더는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에 의해 냉각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2020호(2007.09.12. 공개, 이하, 문헌2라 한다)에서는 보냉 겸용 냉각컵을 제시하고 있다. 문헌2의 냉각컵은 음료가 담기는 내컵과 내컵 아래에 위치하는 미들컵을 포함한다. 미들컵은 냉매의 잠열을 내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컵 냉각장치들은 컵의 휴대성 및 운반성을 크게 떨어드리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문헌1의 생맥주 냉각테이블은 컵홀더가 냉각테이블에 설치되기 때문에 컵을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또한, 문헌2의 냉각컵은 미들컵으로 인하여 전체 컵의 크기가 매우 커지고, 내컵을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0740호(2001.08.1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2020호(2007.09.12. 공개)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컵의 휴대성 및 운반성을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 컵에 담긴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는 아이스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팩몸체와, 상기 팩몸체에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호 떨어져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접이부; 상기 팩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접이부에 의해 구획되며, 내부에 축냉재가 포함하는 적어도 둘의 쿨링부와, 상기 팩몸체의 어느 한 측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상부연결부와, 상기 상부연결부에 꺽여 형성되며 신장 또는 신축되어 컵의 손잡이의 상단을 둘러싸는 상부연장부와, 상기 상부연장부에 하향하여 형성되며 제1 탄성돌기부가 형성된 상부고정부를 포함하는 상부고정벨트부 및 상기 팩몸체의 어느 한 측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상기 팩몸체의 측단에서 벗어나도록 길게 형성되는 하부연결부와, 상기 하부연결부에 꺽여 형성되며 신장 또는 신축되어 컵의 손잡이의 하단을 둘러싸는 하부연장부와, 상기 하부연장부에 상향하여 형성되며 제2 탄성돌기부가 형성된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부고정벨트부와, 상기 팩몸체의 다른 측 단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돌기부와 상기 제2 탄성돌기부와 각각 결합하는 탄성홈부를 포함하는 아이스팩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이부는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탄성돌기부와 상기 제2 탄성돌기부가 각각 상기 탄성홈부에 결합할 때, 상기 팩몸체의 양 측단은 상호 떨어져 상기 컵을 둘러싸지 않는 개방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팩몸체의 양 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높이 방향으로 잔량표시눈금이 표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부로 구획되는 복수 개의 쿨링부가 컵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컵의 휴대성 및 운반성을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 컵에 담긴 음료를 지속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팩몸체에 연장 형성되어 컵의 손잡이 주위를 둘러싸는 상부고정벨트부와 하부고정벨트부를 구비하여, 손잡이가 형성된 컵의 표면에도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부가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보다 용이하게 컵에 아이스팩을 장착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컵에 아이스팩이 장착된 이후, 접이부의 탄성력으로 인해 아이스팩의 고정력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컵에 아이스팩이 장착되었을 때, 개방영역을 통해 음료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팩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아이스팩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축냉재가 포함된 쿨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아이스팩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팩(100)은 컵(10) 둘레를 감싸는 팩몸체(110)와, 접이부(120)와, 쿨링부(130)와, 상부고정벨트부(140)와, 하부고정벨트부(150)와, 탄성홈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팩몸체(110)는 쿨링부(130)가 컵 표면과 접촉하여 열전달이 일어나도록 컵 둘레를 둘러싸는 역할을 한다. 팩몸체(110)는 폭이 길게 형성된 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팩몸체(110)의 폭과 높이는 컵의 둘레와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팩몸체는 폴리 에틸렌(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이론(ny) 등의 단독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이부(120)는 팩몸체(110)에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며, 팩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이부(120)는 복수 개의 쿨링부(130)를 구분하는 역할을 하며, 원통형인 컵의 둘레에 쿨링부(130)가 밀착될 수 있도록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이부를 도시한 도면,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부(120)는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이부(120)는 팩몸체(110)의 소재와 다른 별도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이부(120)가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컵에 아이스팩을 장착할 수 있으며, 컵에 아이스팩이 장착된 이후, 접이부(120)의 탄성력으로 인해 아이스팩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축냉재가 포함된 쿨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쿨링부(130)는 컵의 표면에서 열을 흡수하여 컵에 담긴 음료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쿨링부(13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PCM(Phase Change Material)과 같은 축냉재(131)가 포함될 수 있다. 축냉재(131)는 컵 표면에서 열을 흡수한다. 쿨링부(130)는 접이부(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컵의 표면과의 밀착면적을 높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쿨링부(130)는 접이부(120)로 구분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전개된 상태에서 컵의 표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쿨링부(130)는 상호 겹쳐지도록 접혀 보관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다.
한편, 쿨링부(130)의 배면(132)은 컵(10)의 표면에 직접 맞닿는 부분이며. 쿨링부(130)의 표면(133)에는 음료의 표장 또는 광고 문구 또는 표장 등이 표기될 수 있다.
상부고정벨트부(140)는 컵(10) 둘레를 팩몸체(110)가 둘러싼 상태에서 컵(10)의 손잡이(11)이가 개방되도록 손잡이(11)의 상단을 감아 돌아 팩몸체(1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부고정벨트부(140)는 상부연결부(141)와, 상부연장부(142)와, 상부고정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연결부(141)는 팩몸체(110)의 어느 한 측 상단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연결부(141)는 띠 형태로 이루어져 경사지게 상향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연장부(142)는 상부연결부(141)에서 꺽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연장부(142)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신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컵(10) 표면에서 돌출 형성된 손잡이(11)의 상단을 용이하게 둘러싸기 위함이다. 상부연장부(142)는 손잡이(11)의 위치 및 형태에 대응하여 신장 또는 신축될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11)이 달린 컵(10)에 아이스팩(100)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부고정부(143)는 상부연장부(142)에서 하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고정부(143)에는 제1 탄성돌기부(14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돌기부(143a)는 탄성홈부(160)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돌기부(143a) 및 탄성홈부(160)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고정벨트부(150)는 컵(10) 둘레를 팩몸체(110)가 둘러싼 상태에서 컵(10)의 손잡이(11)이가 개방되도록 손잡이(11)의 하단을 감아 돌아 팩몸체(1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부고정벨트부(150)는 하부연결부(151)와, 하부연장부(152)와, 하부고정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연결부(151)는 팩몸체(110)의 어느 한 측 하단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연결부(151)는 띠 형태로 이루어져 경사지게 상향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연장부(152)는 하부연결부(151)에서 꺽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연장부(152)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신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컵(10) 표면에서 돌출 형성된 손잡이(11)의 하단을 용이하게 둘러싸기 위함이다. 하부연장부(152)는 손잡이(11)의 위치 및 형태에 대응하여 신장 또는 신축될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11)이 달린 컵(10)에 아이스팩(100)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하부고정부(153)는 하부연장부(152)에서 하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고정부(153)에는 제2 탄성돌기부(15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돌기부(153a)는 탄성홈부(160)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돌기부(153a) 및 탄성홈부(160)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고정벨트부(140)와 하부고정벨트부(150)는 안쪽으로 손잡이(11)의 수용공간(A)을 형성한다.
탄성홈부(160)는 팩몸체(1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홈부(160)에는 제1 탄성돌기부(143a)와 제2 탄성돌기부(153a)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탄성돌기부(143a)와 제2 탄성돌기부(153a)가 각각 탄성홈부(160)에 결합할 때, 팩몸체(110)의 양 측단이 상호 떨어져 컵(10)을 둘러싸지 않는 개방영역(B)을 형성할 수 있다. 개방영역(B)은 컵(10)의 손잡이(11)를 상단 및 하단을 둘러싸서 탄성홈부(160)에 결합하는 상부고정벨트부(140)와 하부고정벨트부(15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개방영역(B)을 통해 컵(10)에 담긴 음료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팩몸체(110)의 양 측단 중 어느 하나에는 높이 방향으로 잔량표시눈금(170)이 표기될 수 있다. 이 잔량표시눈금(170)을 통하여 사용자는 음료의 잔량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팩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팩몸체
120: 접이부
130: 쿨링부
131: 축냉재
132: 배면
133: 표면
140: 상부고정벨트부
141: 상부연결부
142: 상부연장부
143: 상부결합부
143a: 제1 탄성돌기부
150: 하부고정벨트부
151: 하부연결부
152: 하부연장부
153: 하부결합부
153a: 제2 탄성돌기부
160: 결합홈부
170: 잔량표시눈금

Claims (4)

  1.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팩몸체;
    상기 팩몸체에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호 떨어져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접이부;
    상기 팩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접이부에 의해 구획되며, 내부에 축냉재가 포함하는 적어도 둘의 쿨링부;
    상기 팩몸체의 어느 한 측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며 띠 형태로 이루어져 상향하여 경사지게 길게 형성되는 상부연결부와, 상기 상부연결부에 꺽여 형성되며 신장 또는 신축되어 컵의 표면에서 돌출 형성된 손잡이의 상단을 둘러싸는 상부연장부와, 상기 상부연장부에 하향하여 형성되며 버튼 형태의 제1 탄성돌기부가 형성된 상부고정부를 포함하는 상부고정벨트부;및
    상기 팩몸체의 어느 한 측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며 띠 형태로 이루어져 하향하여 경사지게 길게 형성되는 상기 팩몸체의 측단에서 벗어나도록 길게 형성되는 하부연결부와, 상기 하부연결부에 꺽여 형성되며 신장 또는 신축되어 상기 손잡이의 하단을 둘러싸는 하부연장부와, 상기 하부연장부에 상향하여 형성되며 버튼 형태의 제2 탄성돌기부가 형성된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부고정벨트부;
    상기 팩몸체의 다른 측 단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돌기부와 상기 제2 탄성돌기부와 각각 결합하는 탄성홈부
    를 포함하는 아이스팩.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돌기부와 상기 제2 탄성돌기부가 각각 상기 탄성홈부에 결합할 때, 상기 팩몸체의 양 측단은 상호 떨어져 상기 컵을 둘러싸지 않는 개방영역을 형성하는 아이스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팩몸체의 양 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높이 방향으로 잔량표시눈금이 표기되는 아이스팩.
KR2020140000221U 2014-01-10 2014-01-10 아이스팩 KR200472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221U KR200472890Y1 (ko) 2014-01-10 2014-01-10 아이스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221U KR200472890Y1 (ko) 2014-01-10 2014-01-10 아이스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890Y1 true KR200472890Y1 (ko) 2014-06-27

Family

ID=5149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221U KR200472890Y1 (ko) 2014-01-10 2014-01-10 아이스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89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8067U (ko) * 1988-09-05 1990-03-13
JP3091014U (ja) * 2002-06-26 2003-01-17 昌弘 寺田 ビール瓶や他の飲料容器のための保冷具
KR200440614Y1 (ko) * 2006-11-14 2008-06-20 김종복 용기 냉장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8067U (ko) * 1988-09-05 1990-03-13
JP3091014U (ja) * 2002-06-26 2003-01-17 昌弘 寺田 ビール瓶や他の飲料容器のための保冷具
KR200440614Y1 (ko) * 2006-11-14 2008-06-20 김종복 용기 냉장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778Y1 (ko) 아이스팩
US9366467B2 (en) Iceless chill chamber cooler
US10723511B2 (en) Multiple Beverage container assembly
US20140060777A1 (en) Beverage container sleev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110248037A1 (en) Thermally insulated collapsible cup for hot or cold beverages
US20060248902A1 (en)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for a fluid-containing receptacle and use thereof
US20090094994A1 (en) Container incorporating integral cooling element
KR200472889Y1 (ko) 아이스팩
US20040173625A1 (en) Krazy koozie
US20150276296A1 (en) Beverage Cooling Device
KR200475106Y1 (ko) 아이스팩
KR200472890Y1 (ko) 아이스팩
US11142368B2 (en) Container for receiving a beverage
US20100011798A1 (en) Cooler with automatic produc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7146826B1 (en) Beverage cooling apparatus
US20160131421A1 (en) Beverage Cooling Device
KR101857201B1 (ko) 휴대용 용기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KR200428927Y1 (ko) 보냉장치
KR102238504B1 (ko) 물저장탱크
KR101254128B1 (ko) 음료수 보관용 냉각 테이블
KR20180029575A (ko) 용기에 걸어서 사용 가능한 아이스팩
CN213769824U (zh) 一种具有冷藏功能的包装箱
KR20110008776U (ko) 음주류 냉각장치가 구비된 테이블
KR20230078000A (ko) 응결방지 컵홀더
AU2012100504A4 (en) An Insulating Assembly for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