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061Y1 -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061Y1
KR200475061Y1 KR2020140003822U KR20140003822U KR200475061Y1 KR 200475061 Y1 KR200475061 Y1 KR 200475061Y1 KR 2020140003822 U KR2020140003822 U KR 2020140003822U KR 20140003822 U KR20140003822 U KR 20140003822U KR 200475061 Y1 KR200475061 Y1 KR 200475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plate
advertisement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욱
Original Assignee
(주)예스피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2878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75061(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스피피 filed Critical (주)예스피피
Priority to KR2020140003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0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0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7/00Ladies' or like f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1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paper articles, e.g. booklets, news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채판과 부채자루의 결합 시 상기 부채자루의 광고표시홈으로 상기 부채판의 중앙 하단의 양 면에 인쇄된 광고가 항상 노출되도록 하며, 번거로운 조립과정 없이 부채판과 부채자루를 한 번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에 관한 것으로서, 광고부, 삽입가이드이동홈 및 절개부를 포함하는 부채판과 제 1, 2 결합판, 광고표시홈, 삽입가이드, 절개부결합홈, 결합돌기 및 손잡이를 포함하는 부채자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AN EASY CONSTRUCTIBLE FAN FOR SALES PROMOTION}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채판과 부채자루의 결합 시 상기 부채자루의 광고표시홈으로 상기 부채판의 중앙 하단의 양 면에 인쇄된 광고가 항상 노출되도록 하며, 번거로운 조립과정 없이 상기 부채판과 상기 부채자루를 한 번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채는 더운 여름철에 바람을 일으켜 주변을 시원하게 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부채의 종류로는 다수의 살을 가지며 살의 일측을 중심으로 고정하고 나머지 살들을 방사형으로 펼치거나 또는 접혀지도록 하는 부채와 판 형태의 부채판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부채자루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부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방사형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하는 부채는 광고를 인쇄하였을 경우 부채가 접히게 되면서 광고가 보이지 않아 판촉용 부채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으며, 주로 판 형태의 부채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판 형태의 부채는 부채판 전체에 광고를 인쇄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 부채판에 광고가 크게 인쇄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기에 부담스러운 점이 있어,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채판과 부채자루를 연결하는 부분, 주로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는 부분에 광고 스티커를 붙여 사용할 수 있는 부채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스티커가 부착된 부채는 부채판과 부채자루를 연결하는 부분에 스티커를 부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광고가 구겨지거나 가려지는 등의 문제가 없이 사용되는 것이 장점이 있으나, 스티커의 접착력이 오래가지 못하여 광고효과를 내기 힘든 문제점이 있으며, 스티커가 떨어지면서 끈적끈적한 접착제가 부채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채판과 부채자루가 연결되어 손가락을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부분에 광고부재를 삽입하고 삽입된 광고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되는 부채가 개시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부채판(20)의 일측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되고 원형의 중공부(33)가 형성된 부채자루(30)의 슬릿(31)에 상기 가이드홈(21)이 삽입되는 것이 기본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부채자루(30)의 슬릿(31)으로 상기 부채판(20)의 가이드홈(21) 부분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부채자루(30)의 고정편(32)이 상기 부채판(20)의 고정편삽입구(2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는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부채자루(30)의 중공부(33)에 광고가 인쇄된 원형의 광고부재(40)를 삽입한 후 광고부재(40)를 고정하기 위한 링 형태의 고정부재(50)를 끼워 넣어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광고부재가 삽입된 종래의 부채는 사람이 직접 제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부채판과 상기 부채자루를 연결하여 광고부재를 삽입하기 위하여 여러 번의 단계를 거쳐 완성해야 하기 때문에 부채를 완성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광고부재를 끼워 넣는 과정이 원활히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뿐만 아니라, 광고부재를 포함하기 위한 부품이 여러 개 구비되어 부품 생산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생산 시간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 중 또는 보관 중에 광고부재부분을 누르게 되면 광고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빠지기 때문에 광고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분실할 경우 광고부재를 끼워 넣을 수 없어 판촉용 부채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062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4867호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채판과 부채자루의 결합 시 상기 부채자루의 광고표시홈으로 상기 부채판의 중앙 하단의 양 면에 인쇄된 광고가 항상 노출되도록 하며, 번거로운 조립과정 없이 상기 부채판과 상기 부채자루를 한 번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 형태의 부채판 및 상기 부채판과 결합되는 부채자루로 이루어지는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에 있어서,
상기 부채판은 상기 부채판의 양면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광고부; 상기 광고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부채판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관통되어 형성되는 삽입가이드이동홈; 및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 상부에 형성되어 개구되는 절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부채자루는 상기 부채판의 삽입을 위한 삽입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부채판의 양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제 1, 2 결합판; 상기 제 1, 2 결합판의 중심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고부의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표시홈; 상기 광고표시홈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을 따라 삽입되도록 상기 제1, 2결합판 사이의 상기 삽입슬릿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가이드; 제1 결합판에서 상기 삽입가이드 상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절개부 결합홈; 상기 제 2결합판의 배면에서 상기 절개부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일정간격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제 1, 2 결합판의 하부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 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는 "U" 형상으로 절개된다.
또한, 상기 광고표시홈은 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광고부재를 따로 마련하지 않고 부채판의 하단에 직접 판촉용 문구를 인쇄하고 중공부가 형성된 부채자루의 결합돌기를 부채판의 절개부에 끼워 넣어 결합함으로써 광고부재 및 고정부재를 생산하는 공정 및 조립하는 별도 공정을 배제시키게 되며, 이로서, 생산단계 및 결합단계가 줄어들어 부채 생산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부채판과 부채자루를 한 번에 조립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구성됨으로써 판촉용으로 쓸 수 있도록 많은 양의 부채를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판촉용 부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의 부채판의 사시도이며,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의 부채자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의 부채판의 부채판과 부채자자루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의 절개부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의 부채자루의 투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판(100) 및 부채자루(200)를 포함한다.
상기 부채판(100)은 평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넓이 및 두께는 일반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형상은 원형, 사각 및 삼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부채판(100)의 상부, 즉 바람을 일으키는 부분은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채판(100)의 평판 일부 또는 전체면에는 그림 및 문구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공익광고 또는 캐릭터 등이 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부채판(100)의 양면에 모두 인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부채자루(200)는 상기 부채판(100)과 분리 또는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측은 상기 부채판(1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부채판(100)과 연결되는 부분의 하측에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26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채판(100)과 상기 부채자루(200)가 연결되기 위한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상기 부채판(100)은 광고부(110), 삽입가이드이동홈(120) 및 절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광고부(110)는 상기 부채판(100)의 양면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채자루(200)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업의 로고 또는 지역단체의 단체명 등 특정한 광고가 인쇄될 수 있으며, 인쇄되는 면적은 100원 또는 500원 짜리 동전 크기 정도의 사이즈가 바람직하며, 상기 광고부(110)는 상기 부채자루(200)와 결합된 후에도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광고부(110) 형성으로 기업이나 단체의 홍보를 위한 판촉용 제품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광고부(110)가 상기 부채판(100)의 일측에 인쇄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광고부(110)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지속적으로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고부(110)에는 상기 부채자루(200)와의 결합을 위한 삽입가이드이동홈(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은 상기 광고부(110)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부(110)가 인쇄된 부채판(100)의 하부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은 부채자루(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의 폭은 3 ∼ 5mm 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15 ∼ 30mm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부채판(100) 또는 부채자루(200)의 크기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이로서, 상기 부채자루(200)와 결합 시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에 상기 부채자루(200)가 삽입되어 상기 부채자루(200)가 좌우로 이탈을 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부채판(100)과 상기 부채자루(200)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의 상부에는 도 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30)는 가로 2 ∼ 4mm, 세로 4 ∼ 7mm 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는 개방되지 않고 좌우와 하부만 개구되어 형태로 "U"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채자루(200)와 결합 시 "U" 형상의 상기 절개부(130)의 좌우 그리고 하부면이 개구되어 들어 올려져 상기 부채자루(200)에 형성된 결합돌기(221)가 상기 절개부(130)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지기 때문에 상기 부채자루(200)의 상하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결합 및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부채판(100)과 결합되는 부채자루(200)는 납작한 형태의 제 1, 2결합판(210, 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2결합판(210, 220) 사이에는 상기 부채판(1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슬릿(230)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슬릿(230)은 상기 광고부(110),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 및 상기 절개부(130)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납작한 형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형, 사각형, 다각형 및 꽃모양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2결합판(210, 220)의 두께는 상기 부채판(1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1 ∼ 2 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삽입슬릿(230)을 통해 삽입된 상기 부채판(100)은 상기 제1, 2결합판(210, 220)에 상기 부채판(100)의 양면이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 1, 2결합판(210, 220)에는 상기 광고부(110)의 광고가 노출될 수 있도록 광고표시홈(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표시홈(240)은 상기 제 1, 2 결합판(210, 2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고표시홈(240)은 상기 광고부(110)에 인쇄된 광고가 전부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광고부(11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광고부(110)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 사각형 등 상기 광고가 노출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형상이든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광고표시홈(240) 양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채판(100)의 결합을 위한 삽입가이드(2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가이드(250)는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을 따라 삽입되도록 상기 제1, 2결합판(210, 220) 사이의 삽입슬릿(230)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2결합판(210, 220)을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가이드(250)는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의 폭보다 일정간격 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2결합판(210, 220)을 연결하는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에 상기 삽입가이드(250)가 삽입되면 좌우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을 따라 상기 삽입가이드(250)가 삽입되어져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결합을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결합 후에도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제 1결합판(210)에는 절개부결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30) 결합홈은 상기 제 1결합판(210)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가이드(25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부채판(100)의 상기 절개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부채판(100)과 상기 부채자루(200)의 결합 시 후술할 결합돌기(221)가 상기 절개부(130)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130)가 들어 올려지게 되는데, 상기 절개부결합홈(211)은 들어 올려진 상기 절개부(130)가 위치되는 곳이다.
또한, 관통된 상기 절개부결합홈(211)에 결합돌기(221)의 끝단 일부가 삽입되어져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결합판(220)의 배면에는 결합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돌기(221)는 상기 절개부(130) 및 상기 절개부결합홈(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결합홈(211)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21)가 상기 절개부(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130)의 하부에 상기 결합돌기(221)가 걸리기 때문에 상기 부채판(100)과 상기 부채자루(200)가 고정 결합되어 일체가 되도록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2결합판(210, 22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2결합판(210, 22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2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260)를 사용자가 잡고 바람을 일으켜 부채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의 상기 부채판(100)과 상기 부채자루(200)의 결합 및 분리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된 상기 부채판(100)과 상기 부채자루(200)를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부채판(100)에서 상기 광고부(110)가 형성된 부분을 상기 부채자루(200)의 삽입슬릿(230)에 삽입하여 끼운 후 상기 부채판(100)과 상기 부채자루(200)가 좌우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에 상기 삽입가이드(250)를 삽입시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120)을 따라 상기 삽입가이드(250)가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결합돌기(221)가 상기 절개부(130)의 좌우 및 하부를 들어 올리면서 상기 절개부(130)에 끼워지게 되며, 들어 올려진 상기 절개부(130)는 관통된 상기 절개부결합홈(21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으로 인하여, 상기 광고부(110)가 상기 광고표시홈(240)과 정확히 일치되어 상기 광고부(110)가 항상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221)가 상기 절개부(130)의 하부에 걸려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부채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부채판(100)과 상기 부채자루(200)가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분리 시에는 상기 부채판(100)을 상기 제1결합판(210) 쪽으로 살짝 밀어 상기 결합돌기(221)를 상기 절개부(130)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부채판(100)과 상기 부채자루(200)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로서, 부채의 조립부품 생산단계 및 결합단계가 줄어들어 부채 생산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며, 부채판(100)과 부채자루(200)를 한 번에 조립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구성됨으로써 판촉용으로 쓸 수 있도록 많은 양의 부채를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100: 부채판
110: 광고부 120: 삽입가이드이동홈
130: 절개부
200: 부채자루
210: 제 1결합판 220: 제 2결합판
230: 삽입슬릿 240: 광고표시홈
250: 삽입가이드 260: 손잡이

Claims (3)

  1. 평판 형태의 부채판 및 상기 부채판과 결합되는 부채자루로 이루어지는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에 있어서,
    상기 부채판은
    상기 부채판의 양면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광고부;
    상기 광고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부채판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관통되어 형성되는 삽입가이드이동홈; 및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 상부에 형성되어 개구되는 절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부채자루는
    상기 부채판의 삽입을 위한 삽입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부채판의 양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제 1, 2 결합판;
    상기 제 1, 2 결합판의 중심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고부의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표시홈;
    상기 광고표시홈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가이드이동홈을 따라 삽입되도록 상기 제1, 2결합판 사이의 상기 삽입슬릿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가이드;
    제1 결합판에서 상기 삽입가이드 상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절개부결합홈;
    상기 제 2결합판의 배면에서 상기 절개부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일정간격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제 1, 2 결합판의 하부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U" 형상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표시홈은 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
KR2020140003822U 2014-05-19 2014-05-19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 KR200475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22U KR200475061Y1 (ko) 2014-05-19 2014-05-19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22U KR200475061Y1 (ko) 2014-05-19 2014-05-19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061Y1 true KR200475061Y1 (ko) 2014-11-12

Family

ID=5228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822U KR200475061Y1 (ko) 2014-05-19 2014-05-19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06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693B1 (ko) * 2015-04-29 2016-01-28 (주)예스피피 박막 부채
KR20160128800A (ko) * 2015-04-29 2016-11-08 정옥순 이중광고 효과를 증대시킨 부채
KR20180111017A (ko) 2017-03-31 2018-10-11 고봉규 부채 자동조립장치
KR20180114884A (ko) 2018-10-12 2018-10-19 고봉규 부채 자동조립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18U (ja) * 1992-08-27 1994-03-22 羽陽美術印刷株式会社 うちわ
KR200194872Y1 (ko) 2000-03-07 2000-09-01 박병열 부채 조립체
JP2011115552A (ja) 2009-11-05 2011-06-16 Tana-X:Kk うちわ及びうちわ用柄
KR20110010062U (ko) * 2010-04-19 2011-10-26 원용길 홍보효과와 부채의 고급화를 동시에 제공하는 부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18U (ja) * 1992-08-27 1994-03-22 羽陽美術印刷株式会社 うちわ
KR200194872Y1 (ko) 2000-03-07 2000-09-01 박병열 부채 조립체
JP2011115552A (ja) 2009-11-05 2011-06-16 Tana-X:Kk うちわ及びうちわ用柄
KR20110010062U (ko) * 2010-04-19 2011-10-26 원용길 홍보효과와 부채의 고급화를 동시에 제공하는 부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693B1 (ko) * 2015-04-29 2016-01-28 (주)예스피피 박막 부채
KR20160128800A (ko) * 2015-04-29 2016-11-08 정옥순 이중광고 효과를 증대시킨 부채
KR101678780B1 (ko) 2015-04-29 2016-11-22 정옥순 이중광고 효과를 증대시킨 부채
KR20180111017A (ko) 2017-03-31 2018-10-11 고봉규 부채 자동조립장치
KR20180114884A (ko) 2018-10-12 2018-10-19 고봉규 부채 자동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061Y1 (ko)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
US7490364B2 (en) Functional cap
USD650855S1 (en) Tri-fold greeting card
US20050198875A1 (en) Foldable sign
US8522966B1 (en) Beverage carrying assembly
US7441355B2 (en) Folding trading card with magnifying region
US8678953B2 (en) Reconfigurable golf ball structural tee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a stationary golf ball
US20060207910A1 (en) Disposable plate system
US7913324B2 (en) Headpiece
JP6413065B1 (ja) 薄板材
JP2017058620A (ja) 映像表示用ノベルティー商品
USD585328S1 (en) Display device
JP4942641B2 (ja) ダミー体および広告等表示体
WO2005020196A3 (en) Forwardly extending product information tags for electronic shelf labels
JP2017205360A (ja) ストロー用装飾体
USD700443S1 (en) Double-sided printed picture and frame utilizing edge folding
JP3156328U (ja) 運搬容器用取付具
USD996526S1 (en) Oval pull tab game ticket
USD916188S1 (en) Advertising placard
KR200483311Y1 (ko) 탄성고정부를 구비한 접이식 상품 진열대
USD626327S1 (en) Demonstration device
USD589396S1 (en) Tag and button combination
JP7394479B2 (ja) 展示装置およびプレートセット
USD1013790S1 (en) Game ticket with three pull tabs
CA2727294A1 (en) Multi-function h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527

Effective date: 201510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1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118

Effective date: 201605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