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911Y1 -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911Y1
KR200474911Y1 KR2020140004973U KR20140004973U KR200474911Y1 KR 200474911 Y1 KR200474911 Y1 KR 200474911Y1 KR 2020140004973 U KR2020140004973 U KR 2020140004973U KR 20140004973 U KR20140004973 U KR 20140004973U KR 200474911 Y1 KR200474911 Y1 KR 200474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socket
coupled
inpu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영
Original Assignee
노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영 filed Critical 노성영
Priority to KR2020140004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9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65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열처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전기히터에 안정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열처리기기(voltage regulator)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 커넥터와 전기히터로 전원이 출력되는 출력 커넥터의 구성을 개량하여 누전의 위험성과 취급시 감전으로부터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후면에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입력 커넥터와, 전기히터로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 커넥터가 구비되는 열처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넥터는 결합공 내에 핀 단자를 설치하며 케이스 배면에 볼트로 결합되는 절연재로 구성한 콘센트부와, 상기 핀 단자 끼움되는 소켓단자가 내장 설치되며 상기 결합공이 끼워지도록 절연재로 구성한 플럭부로 구성하며; 상기 출력 커넥터는 소켓단자를 내장 설치하며 본체에 볼트로 결합되는 절연재로 구성한 콘센트부와, 상기 소켓단자에 끼워지는 핀단자가 결합된 플럭부로 구성하며; 상기 입력 커넥터의 플럭부에 결합된 소켓단자와, 출력 커넥터의 콘센트부에 결합된 소켓단자의 전방에는 누전방지공간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Electricity safety improved voltage regulator}
본 고안은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열처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전기히터에 안정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열처리기기(voltage regulato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 커넥터와 전기히터로 전원이 출력되는 출력 커넥터의 구성을 개량하여 누전의 위험성과 취급시 감전으로부터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종래의 열처리기기는 열처리 작업 도중 부하로 사용하는 히터(Heater)가 시공자의 부주의 또는 히터의 발열 시 히터의 절연 파괴 등으로 제품과 부하의 출력측에 누전이 발생할 경우 스파크에 의해 순식간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품 및 부하가 손상을 입게 되므로,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누전 차단기 및 안전장치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기기의 잦은 작동으로 인해 온도 제어를 제대로 할 수 없었던 문제점과 기기의 출력전원 시 인체에 감전 위험성이 높은 전원을 취급함으로서, 안전사고에 노출됨에 따라 작업의 능률성과 안전사고 등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374817호(2005.02.03.)의 이동식 전기 예 & 후 열처리 기기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몸체 내부에 장착된 주 변압기, 전자접촉기, SCR유니트 및 SCR제어용기판에 연결된 온도 프로그래머, 온도 콘트롤러, 주 전원스위치, 전원 입력단자, 출력단자 등으로 주 구성된 이동식 전기 예 & 후 열처리기기 몸체의 온도 콘트롤러가 제품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프로그래머와 비교 출력하여 상기 SCR제어용기판에 의해 SCR유니트로 부하의 전력을 제어함에 있어, 전기적 절연이 우수한 복권방식의 상기 주 변압기의 2차측 저압의 전원을 전자접촉기의 입력측의 양단에 공급함으로서, 열처리 작업 중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부하의 지락, 누전을 미연에 차단하고 작업자의 감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 하여 생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실용적인 특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구성이 동일한 구성의 콘센트부와 플럭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결합시 혼동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 사용하고 있는 열처리기기는 몸체에 결합하는 콘센트부의 경우 후방으로 나사부를 형성하여 몸체에 끼워 내측에서 너트를 체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콘센트에 별도의 커버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콘센트부에 이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었다.
KR 200374817 Y1 2005.02.03.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 열처리기기에서 발생하고 있는 누전의 위험성 및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입력 커넥터와 출력 커넥터의 구성을 개량하는 극히 간단한 방법으로 누전 및 감전 염려를 일소할 수 있도록 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후면에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입력 커넥터와, 전기히터로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 커넥터가 구비되는 열처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넥터는 결합공 내에 핀단자를 설치하며 케이스 배면에 볼트로 결합되는 절연재로 구성한 콘센트부와, 상기 핀단자 끼움되는 소켓단자가 내장 설치되며 상기 결합공이 끼워지도록 절연재로 구성한 플럭부로 구성하며; 상기 출력 커넥터는 소켓단자를 내장 설치하며 본체에 볼트로 결합되는 절연재로 구성한 콘센트부와, 상기 소켓단자에 끼워지는 핀단자가 결합된 플럭부로 구성하였다.
상기 입력 커넥터의 플럭부에 결합된 소켓단자와, 출력 커넥터의 콘센트부에 결합된 소켓단자의 전방에는 누전방지공간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입력 커넥터의 콘센트부를 고정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거나, 출력 커넥터의 콘센트부를 고정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중앙에 플럭부가 결합되는 조립공이 형성되는 보호구를 형성하고, 보호구의 전방으로는 나사관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나사관에는 입력 커넥터의 플럭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 또는 출력 커넥터의 플럭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는 고정너트를 체결토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를 사용할 경우 입력 커넥터와 출력 커넥터의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입력 커넥터와 출력 커넥터의 구분이 확실하므로 누구나 쉽게 결선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입력 커넥터의 플럭부에 결합된 소켓과, 출력 커넥터의 콘센트부에 결합된 소켓의 전방에는 누전방지공간을 형성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입력 커넥터의 콘센트부에서 플럭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플럭부를 지면에 두더라도 플럭부의 소켓이 누전방지공간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주변 전도체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누전의 염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입력 커넥터의 바람직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출력 커넥터의 바람직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된 입력 커넥터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적용된 출력 커넥터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조립상태 단면도
이하에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1)는 도시된 바와 육면체 구성의 케이스(2) 전면으로 좌측 상단에 온도 컨트롤러(3)가 설치되고, 그 하측으로 출력 전압계(4)와 출력 전류계(5)가 설치된다.
중앙으로는 온도 컨트롤러(3)를 조절하는 컨트롤레버(6)가 설치되고 우측으로는 다양한 구성의 스위치(7)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열처리기기(1)의 배면으로는 아래쪽으로 하측과 상측에 각각 입력 커넥터(10)와 출력 커넥터(20)의 콘센트부(11)(21)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2) 내부에는 주 변압기, 전자접촉기, SCR유니트 및 SCR제어용 기판 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열처리기기(1)는 입력 커넥터(10)를 통해서 제공되는 전압을 전기히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출력 커넥터(20)로 안정화되도록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 기술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열처리기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입력 커넥터(10)와 출력 커넥터(20)의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하여 두 커넥터의 구분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입력 커넥터(10)와 출력 커넥터(20)를 취급함에 있어 누전 및 감전의 우려가 없도록 개량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입력 커넥터(10)의 바람직한 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입력 커넥터(10)는 케이스(2) 배면에 볼트(12)로 고정되는 콘센트부(11)와, 콘센트부(11)에 결합하는 플럭부(13)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콘센트부(11)는 절연재로 구성되며, 플럭부(13)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11a)이 형성되고, 결합공(11a) 내에는 핀단자(14)를 설치한다. 콘센트부(11)에는 상기 결합공(11a)에 끼움되는 커버(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콘센트부(11)에서 플럭부(14)를 분리한 상태에서 결합공(11a)에 커버(15)를 끼워 이물 등이 결합공(11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럭부(13)는 콘센트부(11)와 같이 절연재로 구성하며, 콘센트부(11)에 설치되어 있는 핀단자(14)가 끼워지는 소켓단자(16)를 내장 설치한다.
이때 소켓단자(16)는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전력선(17)이 결합되며, 소켓단자(16)의 전방으로는 누전방지공간(18)이 형성하여 플럭부(13)에 설치되어 있는 소켓단자(16)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출력 커넥터의 바람직한 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립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출력 커넥터(20) 또한 케이스(2) 배면에 볼트(22)로 고정되는 콘센트부(21)와, 콘센트부(21)에 결합하는 플럭부(23)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콘센트부(21)는 절연재로 구성되며, 소켓단자(24)가 내장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소켓단자(24)의 전방으로는 누전방지공간(25)을 형성하여 소켓단자(24)가 콘센트부(21)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콘센트부(21)에는 상기 누전방지공간(25)에 끼움되는 커버(2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콘센트부(21)에서 플럭부(23)를 분리한 상태에서 누전방지공간(25)에 커버(26)를 끼워 이물 등이 누전방지공간(25) 및 소켓단자(2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럭부(23)는 콘센트부(21)와 같이 절연재로 구성하며, 콘센트부(21)에 설치되어 있는 소켓단자(24)에 끼워지는 핀단자(27)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또한 전기히터 쪽으로 적력을 공급하는 전력선(28)을 핀단자(27)에 결선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입력 커넥터(10)와 아웃풋 커넥트(20)가 확실히 구분되므로 이들을 잘못 결합하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인풋 커넥트(10)의 플럭부(13) 및 아웃풋 커넥트(20)의 콘센트부(21)에 결합되는 소켓단자(16)(24)의 전방으로 누전방지공간(18)(25)이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소켓단자(16)(24)가 외부 전도체에 접지됨으로 인한 누전 및 감전 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된 입력 커넥터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8의 조립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입력 커넥터(10)의 다른 예로는 도 4, 도 5와 같이 입력 커넥트(10)를 케이스(2) 배면에 볼트(12)로 고정되는 콘센트부(11)와, 콘센트부(11)에 결합하는 플럭부(13)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11)를 고정하는 볼트(12)에 의해 고정되도록 중앙에 플럭부(13)가 결합되는 조립공이 형성되는 보호구(30)를 형성하고, 보호구(30)의 전방으로는 나사관(31)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나사관(31)에는 플럭부(13)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13a)에 걸림되는 고정너트(32)를 체결토록 구성한다.
도 10은 본 고안에 적용된 출력 커넥터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조립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출력 커넥터(20)의 다른 예로는 도 6, 도 7과 같이 출력 커넥트(20)를 케이스(2) 배면에 볼트(22)로 고정되는 콘센트부(21)와, 콘센트부(21)에 결합하는 플럭부(23)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21)를 고정하는 볼트(22)에 의해 고정되도록 중앙에 플럭부(23)가 결합되는 조립공이 형성되는 보호구(30)를 형성하고, 보호구(30)의 전방으로는 나사관(31)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나사관(31)에는 플럭부(23)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23a)에 걸림되는 고정너트(32)를 체결토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입력 커넥터(10) 및 출력 커넥터(20)에 보호구(30)와 고정너트(32)를 적용하여 플럭부(13)(23)에 형성된 걸림턱(13a)(23a)을 가압토록 구성할 경우 플럭부(13)(23)가 가압 상태로 콘센트부(11)(21)에 고정되는 구성을 제공하게 되므로 외부 충격 등이 플럭부(13)(23)가 임의로 분리되는 등의 염려를 일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열처리기기 2:케이스
3:온도 컨트롤러 4:출력 전압계
5:출력 전류계 6:컨트롤레버
7:스위치 10:입력 커넥터
11,21:콘센트부 11a:결합공
12,22:볼트 13,23:플럭부
13a,23a:걸림턱 14,27:핀단자
15,26:커버 16,24:소켓단자
17,28:전력선 18,25:누전방지공간
20:출력 커넥터 30:보호구
31:나사관 32:고정너트

Claims (5)

  1. 후면에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입력 커넥터(10)와, 전기히터로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 커넥터(20)가 구비되는 열처리기기(1)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넥터(10)는 결합공(11a) 내에 핀단자(14)를 설치하며 케이스(2) 배면에 볼트(12)로 결합되는 절연재로 구성한 콘센트부(11)와, 상기 핀단자(14)에 끼움되는 소켓단자(16)가 내장 설치되며 상기 결합공(11a)에 끼워지도록 절연재로 구성한 플럭부(13)로 구성하며;
    상기 출력 커넥터(20)는 소켓단자(24)를 내장 설치하며 케이스(2)에 볼트(22)로 결합되는 절연재로 구성한 콘센트부(21)와, 상기 소켓단자(24)에 끼워지는 핀단자(27)가 결합된 플럭부(23)로 구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넥터(10)의 플럭부(13)에 결합된 소켓단자(16), 출력 커넥터(20)의 콘센트부(21)에 결합된 소켓단자(24)의 전방에는 누전방지공간(18)(2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11)에는 상기 결합공(11a)에 끼움되는 커버(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21)에는 상기 누전방지공간(25)에 끼움되는 커버(2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입력 커넥터(10)의 콘센트부(11)를 고정하는 볼트(12)에 의해 고정되거나, 출력 커넥터(20)의 콘센트부(21)를 고정하는 볼트(22)에 의해 고정되도록 중앙에 플럭부(23)가 결합되는 조립공이 형성되는 보호구(30)를 형성하고, 보호구(30)의 전방으로는 나사관(31)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나사관(31)에는 입력 커넥터(10)의 플럭부(13)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13a) 또는 출력 커넥터(20)의 플럭부(23)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23a)에 걸림되는 고정너트(32)를 체결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
KR2020140004973U 2014-07-01 2014-07-01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 KR200474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973U KR200474911Y1 (ko) 2014-07-01 2014-07-01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973U KR200474911Y1 (ko) 2014-07-01 2014-07-01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911Y1 true KR200474911Y1 (ko) 2014-10-23

Family

ID=5214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973U KR200474911Y1 (ko) 2014-07-01 2014-07-01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91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441Y1 (ko) 1996-03-08 1999-06-15 최기환 용접기의 파워 커넥터
KR200422749Y1 (ko) 2005-12-27 2006-08-01 김대중 플러그커넥터의 보호용 결합너트 구조
KR20130075162A (ko) * 2011-12-27 2013-07-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케이블과 자동용접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
KR20140058235A (ko) * 2012-11-06 2014-05-14 남경테크웰 주식회사 용접기용 파워 케이블 접속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441Y1 (ko) 1996-03-08 1999-06-15 최기환 용접기의 파워 커넥터
KR200422749Y1 (ko) 2005-12-27 2006-08-01 김대중 플러그커넥터의 보호용 결합너트 구조
KR20130075162A (ko) * 2011-12-27 2013-07-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케이블과 자동용접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
KR20140058235A (ko) * 2012-11-06 2014-05-14 남경테크웰 주식회사 용접기용 파워 케이블 접속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588156U (zh) 具有电路保护装置的电力电缆组件
JP2015518237A5 (ko)
JP2009146880A (ja) コンセント
US9306349B2 (en) Construction of an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socket
CN108349404B (zh) 用于机动车的高压电池和机动车
CN104205516A (zh) 用于大电流应用的安全系统
MX2017012543A (es) Aparato de conmutación eléctrica y montaje de desconexión secundario con características a prueba de errores para el mismo.
JP5261141B2 (ja) コネクタ及び電源供給ユニット
KR200474911Y1 (ko) 전기 안전성이 개선된 열처리기기
KR20160001084U (ko) microUSB 커넥터 플러그의 이상 과열 방지장치
NO342735B1 (en) Adapter assembly for contactless transfer of electrical power
KR100726823B1 (ko) 누전 차단 기능을 가지는 콘센트
EP3082146B1 (en) Circuit breaker having safety switching part
KR102073218B1 (ko) 전기콘센트가 침수될 시 누설 전류에 의한 감전 위험이 방지되게 한 분전단자대
JP2018537824A5 (ko)
JP2018537824A (ja) ソケットアダプター
CN206524484U (zh) 一种电源侧地线失效时能自动断电并音响报警的安全插座
AU2004100734A4 (en) Overload Protection Electrical Adapter
CN201044351Y (zh) 在接地系统出现异常电压时会发出报警指示的装置
CN111524755A (zh) 一种带自检功能的剩余电流动作断路器
CN202523888U (zh) 插接端金属片不带电的电源插座
CN111055705B (zh) 一种电动汽车用充电连接电缆及工作方法
CN201893297U (zh) 电源保护开关
CN202616743U (zh) 电路保护装置和电动车控制系统
CN213752439U (zh) 一种具有双刀双掷开关的电源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