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903Y1 -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 - Google Patents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903Y1
KR200474903Y1 KR2020140005722U KR20140005722U KR200474903Y1 KR 200474903 Y1 KR200474903 Y1 KR 200474903Y1 KR 2020140005722 U KR2020140005722 U KR 2020140005722U KR 20140005722 U KR20140005722 U KR 20140005722U KR 200474903 Y1 KR200474903 Y1 KR 200474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module
output
connector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춘우
Original Assignee
대명하이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하이텍 (주) filed Critical 대명하이텍 (주)
Priority to KR2020140005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9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9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01R9/244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Landscapes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과 쉽게 연결될 수 있고, 입/출력신호 전송에 필요한 배선이 최소화되며, 다양한 제어기기와 입/출력기기 사이의 접속에 이용될 수 있는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한 제어기기용 커넥터가 상부 일측에 설치된 회로기판; 회로기판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기기용 커넥터와 일대일로 회로연결된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입/출력기기와 접속될 수 있게 형성된 단자부; 및 회로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기기용 커넥터의 출력부와 연결되고,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이 케이블 접속되는 릴레이모듈용 커넥터;를 포함하고, 회로기판에는 제어기기용 커넥터의 출력부와 릴레이모듈용 커넥터가 직접 회로연결되어 제어기기측 출력신호가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로 출력되도록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An Interface terminal with interchangeability of Line Surge preventing realy module}
본 고안은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릴레이모듈 커넥터가 구비되어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과 쉽게 연결될 수 있고, 입/출력신호 전송에 필요한 배선이 최소화되며, 다양한 제어기기와 입/출력기기 사이의 접속에 이용될 수 있는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제어기기나 산업용기기 또는 공작기계나 배전반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전기장치에는 다수의 전기케이블을 용이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대가 사용되며, 단자대는 그 형식이나 케이블 접속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이러한 단자대는 제어기기와 각종 산업용기기들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기로서 외부기기 출력을 제어기기측으로 전송하거나 제어기기의 출력을 각종 외부기기측으로 전송하는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단자대는 일반적으로 케이블연결에 의해 제어기기와 접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 커넥터부 및 외부 기기와 접속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종래의 단자대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2008호 단자대와 같은 기술들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산업현장에서는 PLC와 같은 제어기기가 외부기기들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되기도 하지만, 장비들의 보호 및 보다 다양한 용량을 가진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릴레이 등의 중계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제어기기는 제조사마다 신호의 입/출력 방식이나 동작 방식에 차이가 있고, 그보다 더 다양한 종류의 입/출력기기들은 기기들의 용량에서부터 작동방식이나 입/출력 방식의 차이가 크므로 사용자는 접속 기기에 따라 제어기기와 외부기기의 연결에 적합한 단자대를 다양하게 구비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단자부재들을 연결해주기 위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8017호 커먼바와 같은 장치 등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복잡한 배선으로 연결해주어야 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특수한 작업상황에 적합한 단자대들이 개발되었으며 이와 같은 것으로 예를 들어 제어기기와 다수의 외부기기 사이에 릴레이의 연결을 해야하는 경우, 부품의 설치 및 배선작업을 줄이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0976호와 같은 릴레이 단자대와 같은 기술들이 개시되었으나, 접속기기의 변경 등으로 인해 작업상황이 변하는 경우에는 쉽게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다른 단자대로 교체하여야 하는 상황의 발생 등으로 인해 일정 조건의 상황에서만 상기 단자대를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다수의 릴레이가 구비된 릴레이 모듈을 통해 외부기기들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되, 릴레이의 상태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순간 과전류로부터 접속된 다수의 기기들을 보호하기 위한 스노버회로부품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스노버회로를 상기 다수의 릴레이와 함께 일체의 회로기판으로 형성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3705호의 순간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기술을 출원하여 등록을 받은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단자대에는 상기 고안과 쉽게 접속가능한 커넥터가 없어 단자대와 선 출원의 릴레이모듈을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용 케이블의 제작시간도 오래걸릴 뿐 아니라 케이블의 결선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20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801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097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과 쉽게 호환되어 보다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고, 단자들을 선택적으로 확장 제어하여 입/출력신호 전송에 필요한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제어기기와 입/출력기기의 접속이 변경되더라도 단자대의 교체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한 제어기기용 커넥터가 상부 일측에 설치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기기용 커넥터와 일대일로 회로연결된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입/출력기기와 접속될 수 있게 형성된 단자부; 및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기기용 커넥터의 출력부와 연결되고,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이 케이블 접속되는 릴레이모듈용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제어기기용 커넥터의 출력부와 상기 릴레이모듈용 커넥터가 직접 회로연결되어 제어기기측 출력신호가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로 출력되도록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단자들이 8개씩 1그룹을 이루도록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들을 1그룹 단위로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입/출력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게 회로연결된 공통단자점퍼부가 더 구비되어 입/출력신호 전송 제어에 필요한 케이블 배선을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는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과의 연결에 있어 접속케이블의 제작 및 연결이 보다 간단하고, 공통단자점퍼부의 구성에 의해 입/출력 신호 전송 제어에 필요한 배선이 최소화되며, 제어기기와 입/출력기기의 접속 변경에도 다른 단자대로 교체하는 작업없이 다양한 작업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 각 구성들의 연결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는 도 1의 제1 사용예에 따른 회로구성예시도.
도 4는 도 1의 제2 사용예에 따른 회로구성예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페이스 단자대와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연결 예시와 연결케이블의 예시를 나타낸 실물 사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와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연결 예시와 연결케이블의 예시를 나타낸 실물 사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는 제어기기용 커넥터(110)가 형성된 회로기판(100); 제어기기용 커넥터(110)와 연결된 복수의 단자들이 포함된 단자부(200); 및 릴레이모듈용 커넥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기판(100)에는 입력부(111)와 출력부(112)가 포함되고 PLC와 같은 제어기기가 접속되어 신호가 입/출력되는 제어기기용 커넥터(110)가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회로기판(100)은 후술할 각 구성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회로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기판(100) 하부에는 제어기기용 커넥터(110)와 일대일로 회로연결되어 입/출력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입/출력기기와 접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단자부(200)가 장착된다.
단자부(200)는 입/출력기기와의 케이블 연결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봉타입 단자로 형성되되, 단자에 케이블이 닿아 결선되는 부분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절연소재의 하우징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단자들이 2단 이상의 구조를 이루면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단자부(200)에 접속될 수 있는 입/출력기기로서는 외부신호를 제어기기측으로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 센서 등의 기기들, 제어기기로부터 출력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릴레이, 전자밸브, 모터 등의 기기들이 있으며,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제어기기와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기기들이 접속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100)의 일측에는 제어기기용 커넥터의 출력부(112)와 연결되고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이 케이블 접속되는 릴레이모듈용 커넥터(300)가 형성되며, 회로기판(100)에는 제어기기용 커넥터의 출력부(112)와 릴레이모듈용 커넥터(300)가 직접 회로연결되어 제어기기의 출력신호가 릴레이모듈용 커넥터(300)를 통해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로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 회로패턴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듈용 커넥터(300)에 접속되는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은 다수의 릴레이가 포함되되, 순간 과전류로부터 릴레이 접점에 연결된 접속장치들을 보호하기 위한 순간 과전류 방지수단이 함께 구비된 것이나, 다수의 릴레이만 포함된 릴레이모듈이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 따른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의 회로기판(100)에는 장착된 단자부(200)의 단자들이 8개씩 1그룹을 이루도록 형성된 회로패턴이 더 포함되고, 이와 같이 그룹화 된 단자들을 1그룹씩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입/출력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연결된 공통단자점퍼부(4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통해 작업자는 입/출력신호 전송 제어에 필요한 케이블의 배선을 최소화 하면서 단자대에 접속된 기기들 사이의 입/출력신호의 전송을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의 사용예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사용예에서 제어기기용 커넥터(110)의 입력부(111)에는 제어기기의 입력측이 연결되며, 출력부(112)에는 제어기기의 출력측이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기용 커넥터(110)의 입력부(111)는 단자부(200)를 구성하는 입력단자(210)들과 일대일로 연결되며, 출력부(112)는 출력단자(220)들과 일대일 연결된다.
이때, 제어기기용 커넥터의 출력부(112)는 출력단자(220)들과 연결되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모듈용 커넥터(300)와 직접 회로연결되어 있어 릴레이모듈용 커넥터(300)을 통해서도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로 제어기기의 출력신호가 바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본 고안에 따른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10)를 이용하여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2)을 연결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단자대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일측이 각 출력단자들과 일대일 결선될 수 있게 형성된 케이블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에 케이블을 꽂는 것만으로 단자대에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2)을 접속시킬 수 있어 연결작업이 보다 간단해진다.
또한, 작업자는 릴레이와 같은 중계장치 없이 기기들을 연결해야하는 상황에서는 릴레이모듈용 커넥터(300)를 이용하지 않고, 단자부(200)의 단자들을 통해 입/출력기기들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두번째 사용예에서는 제어기기용 커넥터(110)의 입력부(111)에 제어기기의 입력측이 연결되나, 출력부(112)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첫번째 사용예에서와 같이 제어기기용 커넥터(110)의 입력부(111)는 단자부(200)를 구성하는 입력단자(210)들과 각각 연결되고, 출력부(112)는 출력단자(220)들과 연결되나, 두번째 사용예에서는 입력단자(210)들만 사용된다.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8개당 1그룹을 이루도록 회로기판(100)에 형성된 회로패턴에 의해 그룹화 되며, 회로기판(100)에 형성된 공통단자점퍼부(400)는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쉽게 1그룹씩 확장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다시말해, 그룹화 된 (A2, A3, A4, A5, B2, B3, B4, B5)의 단자를 가그룹(210a), (A8, A9, A10, A11, B8, B9, B10, B11)의 단자를 나그룹(210b), 다음 단자들을 순차적으로 다그룹(210c), 라그룹(210d)이라 했을때, 작업자는 공통단자점퍼부(400)를 이용하면 하나의 신호케이블만으로 가그룹(210a)과 나그룹(210b)의 단자들을 동시에 제어하여 제어기기에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가그룹(210a), 나그룹(210b), 다그룹(210c)의 입력신호전송을 함께 제어할 수도 있으며, 가그룹(210a), 나그룹(210b), 다그룹(210c), 라그룹(210d)의 단자들을 모두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예에서 작업자는 최소의 제어케이블만으로 1 내지 32개의 입력단자를 한꺼번에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두 가지 사용예에서와 같이 제어기기용 커넥터(110)의 입력부(111)와 출력부(112)의 구성은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변동될 수 있으며, 단자부(200)에 포함된 입력단자(210)와 출력단자(220)들의 구성 역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두번째 사용예에서와는 다르게 단자부(200)의 단자들이 주로 출력단자(220)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공통단자점퍼부(400)는 동일한 기능을 하여 최소한의 제어케이블만으로 제어기기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페이스 단자대
2 :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10 :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
100 : 회로기판 110 : 제어기기용 커넥터
111 : 입력부 112 : 출력부
200 : 단자부 210 : 입력단자
220 : 출력단자 300 : 릴레이모듈용 커넥터
400 : 공통단자점퍼부

Claims (2)

  1.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한 제어기기용 커넥터가 상부 일측에 설치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기기용 커넥터와 일대일로 회로연결된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입/출력기기와 접속될 수 있게 형성된 단자부; 및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기기용 커넥터의 출력부와 연결되고,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이 케이블 접속되는 릴레이모듈용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제어기기용 커넥터의 출력부와 상기 릴레이모듈용 커넥터가 직접 회로연결되어 제어기기측 출력신호가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로 출력되도록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단자들이 8개씩 1그룹을 이루도록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들을 1그룹씩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입/출력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연결된 공통단자점퍼부가 더 구비되어, 입/출력신호 전송 제어에 필요한 케이블 배선을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
KR2020140005722U 2014-07-30 2014-07-30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 KR200474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22U KR200474903Y1 (ko) 2014-07-30 2014-07-30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22U KR200474903Y1 (ko) 2014-07-30 2014-07-30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903Y1 true KR200474903Y1 (ko) 2014-10-22

Family

ID=5200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722U KR200474903Y1 (ko) 2014-07-30 2014-07-30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90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192U (ko) * 1997-06-18 1999-01-25 한태근 P.l.c(program logic control)인터페이스(interface) p.c.b 보드의 개량구조
JPH11307193A (ja) * 1998-04-15 1999-11-05 Omron Corp I/oターミナル
JP2008033668A (ja) 2006-07-28 2008-02-14 Mitsuba Corp 制御機器のインターフェイスユニット及び制御機器のインターフェイスシステム
KR20100005434U (ko) * 2008-11-18 2010-05-27 주식회사 운영 커넥터형 보호계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192U (ko) * 1997-06-18 1999-01-25 한태근 P.l.c(program logic control)인터페이스(interface) p.c.b 보드의 개량구조
JPH11307193A (ja) * 1998-04-15 1999-11-05 Omron Corp I/oターミナル
JP2008033668A (ja) 2006-07-28 2008-02-14 Mitsuba Corp 制御機器のインターフェイスユニット及び制御機器のインターフェイスシステム
KR20100005434U (ko) * 2008-11-18 2010-05-27 주식회사 운영 커넥터형 보호계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842B2 (en) Modular plug connector
US7821364B2 (en) Connecting system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 switchgear device, especially contactor, and a connector
JP2020039253A (ja) 配電装置
US10707654B2 (en) Power distributor
JP2006100269A (ja) 弁ブロツクのモジユラー式電気パーツ
JP2012139093A (ja) 切り替え可能なヒューズ付き配電ブロック
CN108025688A (zh) 带有可插接电子器件的配电器
CA2615608C (en) Modular fieldbus segment protector
KR200474903Y1 (ko) 순간 과전류 방지 릴레이모듈 호환용 인터페이스 단자대
US20150180226A1 (en) Multispur fieldbus isolator arrangement
KR101589018B1 (ko) 터미널블록
US20130086291A1 (en) Switching logic module
KR20100134632A (ko) 로드 피더의 연결 단자들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들을 갖는 제어 모듈 및 로드 피더
RU2726645C2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обработка всплесков напряжения
SE469359B (sv) Teleteknisk installationsdosa
RU2785526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пряжения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управления с несколькими полевыми приборами
CN114631067B (zh) 用于将至少一个控制装置与多个现场设备相连的接口组件
WO2022257022A1 (en) Electrical module and associated backplane
JP4508468B2 (ja) 制御装置における中継ユニット構造
GB2401998B (en) Call point for alarm system
CA2930068C (en) Electromotive drive system
KR101575788B1 (ko) 빌딩 제어기
EP0924828A1 (en) Modular electric installation and relative components
US20120250287A1 (en) Electrical box with disconnect
WO2000007379A1 (en) Switch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