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867Y1 - 대나무 이중컵 - Google Patents

대나무 이중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867Y1
KR200474867Y1 KR20120006927U KR20120006927U KR200474867Y1 KR 200474867 Y1 KR200474867 Y1 KR 200474867Y1 KR 20120006927 U KR20120006927 U KR 20120006927U KR 20120006927 U KR20120006927 U KR 20120006927U KR 200474867 Y1 KR200474867 Y1 KR 200474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beverage
snack
separating
doubl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06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952U (ko
Inventor
박규완
Original Assignee
박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완 filed Critical 박규완
Priority to KR20120006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86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9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8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나무 이중컵으로서, 스낵을 수용하는 스낵수용부(10), 상기 스낵수용부(10)의 하부에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수용부(20), 상기 스낵수용부(10)와 음료수용부(20)를 분리하는 분리부(30) 및 음료를 식음하기 위해 마련된 흡입부(4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대나무 이중컵은 장기간 재사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한 컵에 음료 및 스낵을 수용하여 한 손으로 취식이 가능해지므로 인해 취식자의 편의성과 활동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나무 이중컵 {BAMBOO DOUBLE CUP}
본 고안은 대나무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 대나무를 이용하여 음료 및 음식이 한 컵에 수용가능하도록 제작한 대나무 이중컵에 관한 것이다.
액상의 제품 및 음식을 저장하는 용기는 유리, 자기, 플라스틱, 스티로폼 및 종이로 된 용기를 사용하여 그 내부에 술, 음료, 음식 등을 넣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는 내용물을 먹고난 후 빈용기 자체를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수거비용을 납부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출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내부가 코팅된 종이컵 또는 스티로폼은 재활용이 비교적 어렵고 썩지않으며, 스티로폼은 생산과정에서 오존층파괴의 주범인 프레온 가스를 발표제로 이용하므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파라핀 또는 비닐로 내부를 코팅하여 뜨거운 음료를 담을 경우 음료에 그 성분이 스며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친환경적인 용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친환경 용기에 대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즉,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대나무를 이용한 주류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일측이 차폐되어 내측으로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몸체; 내부 일측이 차폐되고 상기 차폐된 부분의 일측에 각각 주류유출구와 공기유출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몸체의 암나사부와 결합을 위한 수나사부가 형성된 덮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와 몸체는 대나무를 이용하여 형성된 구성에 대해 개시되어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일정량을 내장할 수 있는 대나무통 용기로서, 대나무통으로 된 몸통부와 원판 형상의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통부의 밑면은 대나무 마디로 밀폐되어 있고, 상기 몸통부의 상면은 대나무통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 아랫부분에는 절단홈을 중심으로 몸통부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판 형상의 덮개부에는 그 일부가 상기 연결부의 내주연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절단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절단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에 대해 개시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대나무를 이용한 음료 용기는 공개되어 있지만 음료 및 음식이 함께 수용가능한 대나무를 이용한 용기에 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음료 및 음식이 한 컵에 수용가능한 대나무 이중컵을 제조함으로서 소비자에게 편리성과 활동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20014호(2008.03.05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0449451호(2010.07.05 등록)
본 고안의 목적은 건강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대나무를 이용하여 음식 및 음료가 한 컵에 수용가능한 대나무 이중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은 대나무 이중컵(100)의 상부에 스낵을 수용하는 스낵수용부(10), 상기 스낵수용부(10)의 하부에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수용부(20), 상기 스낵수용부(10)와 음료수용부(20)를 분리하는 분리부(30) 및 음료를 식음하기 위해 마련된 흡입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은 상기 스낵부는 내부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은 상기 스낵수용부(10) 또는 음료수용부(20) 중 적어도 한곳의 내면에 방수부(11)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은 상기 분리부(30)는 상기 스낵수용부(10)와 음료수용부(20) 사이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걸림턱(31), 상기 걸림턱(31)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분리판(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은 상기 흡입부(40)는 스트로우를 삽입할 수 있게 타공된 스트로우 삽입공(41), 상기 스트로우 삽입공(41)으로 음료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은박 접착부(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은 상기 분리부(30)는 상기 대나무 이중컵(100)의 일측에 연결부(50)와 상기 연결부(50)에 끼워 맞추어지는 분리판(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에 의하면, 재사용이 가능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에 의하면, 대나무의 약리적 효능이 음식물에 침투되어 건강에 도움이 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에 의하면, 음식 및 음료가 한 컵에 수용가능해 다른 한 손이 자유로워져 편의성과 활동성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시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대나무 이중컵의 원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대나무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벼과, Poaceae) 대나무아과(Bambusoid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의 총칭으로 키가 큰 왕대속만을 대나무라고 부르고, 한자로는 죽(竹)이라고 알려져 있다.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나 주로 열대 지방에서 자라며 특히, 아시아의 계절풍 지대에 흔하게 서식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과 제주도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키가 큰 왕대속의 경우에는 높이 30m, 지름 30cm 까지 자라고, 줄기가 꼿꼿하고 둥글며 속이 비어 있다. 생장 방법은 땅 속 줄기는 옆으로 뻗어 마디에서 뿌리와 순을 틔움으로써 자연 번식하나, 좀처럼 꽃이 피지 않지만, 필 경우에는 전 대나무밭에서 일제히 핀다고 알려져 있다.대나무의 꽃은 대나무의 번식과는 무관한 돌연변이의 일종으로 개화병(開花病) 혹은 자연고(自然故)라고도 불린다. 대나무는 건축재·가구재·낚싯대·식물 지지대를 비롯하여 바구니 등 죽세공품에 이르기까지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며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고 어린 순은 요리해서 먹기도 한다.
대나무의 약리학적인 효능은 상기종양, 해열, 살충, 구토, 곽난, 거담, 중풍, 당뇨병, 고혈압, 신경쇠약, 임신빈혈, 소아전염질환, 간질, 불면증, 음주과다, 피로회복 및 안구 통증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암의 치료약이나 예방약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이중컵(100)은 스낵을 수용하는 스낵수용부(10), 상기 스낵수용부(10)의 하부에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수용부(20), 상기 스낵수용부(10)와 음료수용부(20)를 분리하는 분리부(30) 및 상기 분리부(30)에는 음료를 식음하는 흡입부(40)가 마련된다.
상기 스낵수용부(10)는 대나무 이중컵(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과자, 팝콘, 포테이토 또는 치킨 등의 음식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음료수용부(20)는 상기 스낵수용부(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콜라, 스프라이트, 오렌지 주스 또는 스프 등의 음료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낵수용부(10)와 음료수용부(20)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낵수용부(10)와 음료수용부(20) 사이에 분리부(30)가 마련된다.
상기 분리부(30)는 걸림턱(31)과 분리판(32)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턱(31)은 대나무 이중컵(100)의 내벽에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의 나사 등 경질소재로 이루어진 물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하여 이루어진 턱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32)이 걸쳐지도록 한다. 상기 분리판(32)은 상기 대나무 이중컵(100)의 내주연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낵수용부(10)와 음료수용부(20)에 수용된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분리판(32)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종이, 목재, 대나무 등으로 제작되나 다양한 형태의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가능하다. 또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분리판(32)의 상부면이나 중앙 또는 일측에 추가로 홈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분리판(32)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부(40)는 상기 분리부(30)의 일측에 형성되고, 스트로우 삽입공(41)과 은박 접착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로우 삽입공(41)은 스낵수용부(10) 및 음료수용부(20)의 내벽에 근접하게 상기 분리판(32)에 스트로우 구멍크기로 타공되어 스트로우를 꽂아 음료의 식음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트로우 구멍크기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여러 회사제품의 스트로우 모양 및 크기 등 평균치를 반영하여 형성하였으며, 상기 평균치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모든 스트로우의 삽입이 가능한 수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은박 접착부(42)는 스트로우 삽입공(41)의 상단에 위치하여 스트로우를 꽂기 전에 갑자스런 움직임에 의해 음료가 넘쳐 스낵수용부(10)에 삽입된 스낵이 음료에 젖거나 삽입된 스낵의 부스러기가 음료에 떨어져 음료가 오염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음료를 담은 후 사용시 은박 접착부(34)에다 스트로우를 꽂아서 내용물인 음료를 안전하게 음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낵수용부(10) 또는 음료수용부(20) 중 적어도 한곳의 내면에 방수부(1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11)는 음식의 수분 또는 기름 흡수 및 음료의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뜨거운 음료를 수용하거나 장기간 재사용시 인체에 무해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30)는 대나무 이중컵(100)의 일측에 연결부(50)와 상기 연결부(50)에 끼워 맞추어지는 분리판(32)을 더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대나무 이중컵(100)의 상부와 하부 사이 일지점을 수평으로 절단하면 일정 간격이 발생한다. 상기 연결부(50)는 일정 간격(h1) 사이의 일지점에 위치하여 절단된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일정 간격(h1)은 상기 분리판(32)의 두께(h1)와 대응하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함으로 인해 사용시 대나무 이중컵(100)에 분리판(32)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대나무 이중컵은 장기간 재사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대나무의 약리적 효능을 갖는 성분이 수용된 스낵 및 음료에 침투되어 상기 내용물을 섭취하면서 대나무가 갖고 있는 약리적 성분을 같이 섭취할 수 있다. 또한, 한 컵에 음료 및 스낵을 수용하여 한 손으로 취식이 가능해지므로 인해 취식자의 편의성과 활동성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이중컵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환경 오염 개선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100 : 대나무 이중컵 10 : 스낵수용부
11 : 방수부 20 : 음료수용부
30 : 분리부 31 : 걸림턱
32 : 분리판 40 : 흡입부
41 : 스트로우 삽입공 42 : 은박 접착부
50 ; 연결부

Claims (5)

  1. 대나무 이중컵(100)의 상부에 스낵을 수용하는 스낵수용부(10); 상기 스낵수용부(10)의 하부에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수용부(20); 상기 스낵수용부(10)와 음료수용부(20)를 분리하는 분리부(30); 상기 음료를 식음하기 위해 마련된 흡입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스낵수용부(10)와 음료수용부(20)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낵수용부(10) 또는 음료수용부(20) 중 적어도 한곳의 내면에 방수부(11)가 마련되며,
    상기 분리부(30)는 상기 스낵수용부(10)와 음료수용부(20) 사이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걸림턱(31)과 상기 걸림턱(31)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분리판(32)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턱(31)은 대나무 이중컵(100)의 내벽에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의 나사로 이루어진 물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하여 이루어진 턱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40)는 상기 분리부(30)의 일측에 형성되고, 스트로우 삽입공(41)과 은박 접착부(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이중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120006927U 2012-08-01 2012-08-01 대나무 이중컵 KR200474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6927U KR200474867Y1 (ko) 2012-08-01 2012-08-01 대나무 이중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6927U KR200474867Y1 (ko) 2012-08-01 2012-08-01 대나무 이중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52U KR20140000952U (ko) 2014-02-11
KR200474867Y1 true KR200474867Y1 (ko) 2014-10-22

Family

ID=5200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06927U KR200474867Y1 (ko) 2012-08-01 2012-08-01 대나무 이중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86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150A (ko) 2021-10-20 2023-04-27 박규완 대나무통 용기
KR20230064420A (ko) 2021-11-03 2023-05-10 박규완 대나무통 형상의 용기
KR20230127547A (ko) 2022-02-25 2023-09-01 박규완 대나무통 형상의 용기
KR20240035194A (ko) 2022-09-08 2024-03-15 박규완 밀봉된 천연 대나무통 용기 및 그 제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014A (ko) * 2006-08-30 2008-03-05 김혜란 대나무를 이용한 주류용기
KR200449451Y1 (ko) * 2008-10-02 2010-07-12 박규완 일정량을 내장할 수 있는 대나무통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014A (ko) * 2006-08-30 2008-03-05 김혜란 대나무를 이용한 주류용기
KR200449451Y1 (ko) * 2008-10-02 2010-07-12 박규완 일정량을 내장할 수 있는 대나무통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150A (ko) 2021-10-20 2023-04-27 박규완 대나무통 용기
KR20230064420A (ko) 2021-11-03 2023-05-10 박규완 대나무통 형상의 용기
KR20230127547A (ko) 2022-02-25 2023-09-01 박규완 대나무통 형상의 용기
KR20240035194A (ko) 2022-09-08 2024-03-15 박규완 밀봉된 천연 대나무통 용기 및 그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52U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867Y1 (ko) 대나무 이중컵
US9038845B1 (en) Container lid with one or more cavities
US8998022B2 (en) Food storage insert
CN103417075A (zh) 一种带储油功能的菜碟
KR102040508B1 (ko) 이중구조 뚜껑 용기
CN203262553U (zh) 一种饮食杯
CN202035868U (zh) 除油餐盘组
CN105725430A (zh) 一种分层带吸盘保温饭盒
CN210492100U (zh) 一种盛放容器
KR200392784Y1 (ko) 화분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페트병 및 그 페트병을 이용한화분
CN215923032U (zh) 一种木质茶叶包装盒
CN206384294U (zh) 油炸食品包装盒
CN109393331A (zh) 一种长筒竹筒饭
CN205548224U (zh) 一种带盖杯
CN218344196U (zh) 仿生蜂蜜包装罐
CN217695909U (zh) 饺子餐盘
CN209807350U (zh) 一种带有纸浆折叠勺的环保纸浆餐盒
KR200385419Y1 (ko) 일회용 음식물 용기
CN205923654U (zh) 一种隔热垫
CN201660235U (zh) 一种口香糖包装瓶
CN207998103U (zh) 徽州烧饼系列产品推广包装盒
CN201021382Y (zh) 包装盒
CN211618484U (zh) 一种带有冲剂装置的颗粒状药品包装盒
CN2785502Y (zh) 透滤式磨粒咖啡定量冲饮杯
CN206333688U (zh) 一种组合式餐具套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