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715Y1 -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Google Patents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4715Y1 KR200474715Y1 KR2020130004129U KR20130004129U KR200474715Y1 KR 200474715 Y1 KR200474715 Y1 KR 200474715Y1 KR 2020130004129 U KR2020130004129 U KR 2020130004129U KR 20130004129 U KR20130004129 U KR 20130004129U KR 200474715 Y1 KR200474715 Y1 KR 2004747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gth
- curvature
- rack unit
- round
- drying ra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 D06F57/04—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and having radial arms, e.g. collaps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3/00—Clothes-lines; Supports therefor
- D06F53/02—Clothes-lin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18—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using renewables, e.g. solar cooking stoves, furnaces or sola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후크(hook) 형상이 최상단에서 갈고리의 끝단이 하단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후크 형상의 갈고리의 하단으로 형성된 개구 영역을 통해 손잡이가 달린 물건을 걸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상단 고정체(10); 상기 상단 고정체(10)의 하단에 체결되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이 적층형 몸체(22)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차를 갖게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드라잉 랙 유닛(20)이 상기 적층형 몸체(22)에서 제공하는 상단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하단의 적층단(LL)을 이용해 n 개(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순차적으로 접층되어 형성되는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 및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기 드라잉 랙 유닛 집합의 최하단의 적층형 몸체(22)의 적층단(LL)에 상단이 체결되며, 6개의 원판 굴절형 받침 유닛(31)이 병렬로 원형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모여서 형성되는 하단 받침체(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드라잉 랙 유닛이 각각 분리와 적층형으로 체결이 가능하고, 각 유닛을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의 위치에 대한 차등화를 통해 다양한 모양을 갖는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걸려있는 상태에 대한 지속성을 갖는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적층형 구조를 통해 걸어 놓을 세탁물 등과 같은 물건의 양을 조절가능한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드라잉 랙 유닛이 각각 분리와 적층형으로 체결이 가능하고, 각 유닛을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의 위치에 대한 차등화를 통해 다양한 모양을 갖는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걸려있는 상태에 대한 지속성을 갖는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적층형 구조를 통해 걸어 놓을 세탁물 등과 같은 물건의 양을 조절가능한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잉 랙 유닛이 각각 분리와 적층형으로 체결이 가능하고, 각 유닛을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의 위치에 대한 차등화를 통해 다양한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세탁물을 손빨래나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 후 건조 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빨랫줄 등을 이용하여 빨래를 건조하였다.
또한, 옥상이나 마당에 널어야 빨래가 통풍이 원할하고 햇빛에 의하여 소독이 되는 효과가 있으나 풍향에 의하여 먼지 등이 빨래에 묻기 쉬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장마철이나 겨울철 등에는 빨래가 젖기 쉽고 잘 마르지않아 건조시키기 난해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아파트 또는 다세대 주택의 보급에 따라 외부에 빨래를 건조하기 보다는 대부분이 베란다나 실내에 드라잉 랙을 사용하여 빨래를 건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드라잉 랙은 외부에서 빨래를 널기 어려운 여름 장마철이나 겨울철 등에도 빨래를 베란다나 거실이나 방 등과 같은 실내에 사용할 경우 유용하며, 빨래 외에도 물건을 보관하는 옷걸이 등으로도 활용성이 높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드라잉 랙에 보다 많은 물건을 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물건이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안정적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세탁물 건조대(A laundry drying rack)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20300호)
2. 건조대(Drying Rack)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1-0008576호)
3. 천장 부착형 빨래건조대(Ceiling adhesion type washed drying rack)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08027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라잉 랙 유닛이 각각 분리와 적층형으로 체결이 가능하고, 각 유닛을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의 위치에 대한 차등화를 통해 다양한 모양을 갖는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걸려있는 상태에 대한 지속성을 갖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는, 후크(hook) 형상이 최상단에서 갈고리의 끝단이 하단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후크 형상의 갈고리의 하단으로 형성된 개구 영역을 통해 손잡이가 달린 물건을 걸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상단 고정체(10); 상기 상단 고정체(10)의 하단에 체결되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이 적층형 몸체(22)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차를 갖게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드라잉 랙 유닛(20)이 상기 적층형 몸체(22)에서 제공하는 상단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하단의 적층단(LL)을 이용해 n 개(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순차적으로 접층되어 형성되는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 및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기 드라잉 랙 유닛 집합의 최하단의 적층형 몸체(22)의 적층단(LL)에 상단이 체결되며, 6개의 원판 굴절형 받침 유닛(31)이 병렬로 원형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모여서 형성되는 하단 받침체(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는, 수직면 상에서 상단으로부터 홀수 번째에 위치하는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와, 상단으로부터 짝수 번째에 위치하는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는 동일한 수평상의 위치에 배열되며, 상기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는 동일한 수평상의 위치에 배열되되, 상기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와 포개지지 않는 위치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라잉 랙 유닛(20)은,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22-2, 22-3 및 22-4)가 각각 체결되기 위한 4개의 체결단(cu)을 구비하는 적층형 몸체(21);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단(cu) 각각은, 상기 적층형 몸체(21)를 이루는 원통형 형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85˚ 내지 90˚ 각도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원통형 형상의 외주면 상에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22-2, 22-3 및 22-4)과 체결되며,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22-2, 22-3 및 22-4)이 상향으로 접혀지기 위한 체결 홈이 넓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2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형 몸체(21)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 차등형으로 형성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은,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0˚ 내지 98˚ 각도로 상기 접혀져서, 상부에 걸려지는 물체의 길이과 넓이에 따라 4개 중 필요한 개수만 펼쳐져서 사용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은, 측면의 t1점을 기준으로 상기 적층형 몸체(21)의 체결단(cu)과 근접하게 형성되는 길이 K1 및 곡률 u1을 갖는 제 1 측면 곡선, 그리고 상기 t1점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단(cu)과 원거리에 형성되는 길이 K2 및 곡률 u2를 갖는 제 2 측면 곡선으로 구분되며, 상기 K1과 상기 K2의 비례 관계인 상기 K1 : 상기 K2는 1.2 내지 1.3 : 1으로 형성되며, 상기 u1과 상기 u2의 비례 관계인 상기 u1 : 상기 u2는 1 : 1.13 내지 1.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은, 상부면상에서 전단에서 후단으로 유선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체결단(cu)의 체결 홈으로 삽입되는 2개의 삽입체가 대칭형으로 반대를 보는 형태로 형성된 접합단(c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선형의 프레임은, 중앙을 균분한 균분선(c)을 기준으로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선형의 프레임을 갖는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은, 전단 중앙 전단 p1 점을 기준으로 길이 L1, 곡률 R1을 갖는 제 1 평면상 곡선, 제 1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2점을 기준으로 길이 L2, 곡률 R2를 갖는 제 2 평면상 곡선, 제 2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3점을 기준으로 길이 L3, 곡률 R3를 갖는 제 3 평면상 곡선, 그리고 제 3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4점부터 중앙 후단 p5점까지 이루어진 길이 L4, 곡률 R4를 갖는 제 4 평면상 곡선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 L1, 상기 길이 L2, 상기 길이 L3, 상기 길이 L4는, 1.7 내지 1.8 : 6.7 내지 6.9 : 10.1 내지 10.3 : 1의 크기 비율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률 R1, 상기 곡률 R2, 상기 곡률 R3 및 상기 곡률 R4 간의 크기 관계는 R4 > R1 > R2 > R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는, 드라잉 랙 유닛이 각각 분리와 적층형으로 체결이 가능하고, 각 유닛을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의 위치에 대한 차등화를 통해 다양한 모양을 갖는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걸려있는 상태에 대한 지속성을 갖는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는, 접층형 구조를 통해 걸어 놓을 세탁물 등과 같은 물건의 양을 조절가능한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블리(1)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도 4a) 및 측면도(도 4b)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도 5a), 그리고 드라잉 랙 유닛(20)를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도 5b)이다.
도 6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상단 고정체(10) 및 하단 받침체(30)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블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적층형 몸체(21)와 라운드형 걸이식단(22)간의 체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실제로 드라잉 랙 유닛(20)이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도 4a) 및 측면도(도 4b)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도 5a), 그리고 드라잉 랙 유닛(20)를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도 5b)이다.
도 6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상단 고정체(10) 및 하단 받침체(30)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블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적층형 몸체(21)와 라운드형 걸이식단(22)간의 체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실제로 드라잉 랙 유닛(20)이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블리(Drying rack assembly: 1)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도 4a) 및 측면도(도 4b)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도 5a), 그리고 드라잉 랙 유닛(20)를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도 5b)이다. 도 6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상단 고정체(10) 및 하단 받침체(30)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블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적층형 몸체(21)와 라운드형 걸이식단(22)간의 체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실제로 드라잉 랙 유닛(20)이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드라잉 랙 어셈블리(1)의 기본구조는 크게 상단 고정체(10), 다수의 드라잉 랙 유닛(20-n, n은 2 이상의 자연수), 그리고 하단 받침체(30)를 포함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단 고정체(10)는 후크(hook) 형상이 최상단에서 갈고리의 끝단이 하단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후크 형상의 갈고리의 하단으로 형성된 개구 영역을 통해 손잡이가 달린 물건을 걸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다수의 드라잉 랙 유닛(2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예시로 제 1 내지 제 10 드라잉 랙 유닛(20-1 내지 20-10)으로 형성되며, 각 드라잉 랙 유닛(20-1 내지 20-10)이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며, 결합시 적층형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10 드라잉 랙 유닛(20-1 내지 20-10) 각각은 4개의 라운드형 걸이단(22-1 내지 22-4)을 포함하는데, 제 1, 제 3, 제 5, 제 7, 및 제 9 드라잉 랙 유닛(20-1, 20-3, 20-5, 20-7 및 20-9)으로 이루어진 수직면상의 홀수에 해당하는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의 각 라운드형 걸이단은 동일한 수평상의 위치에 배열되도록 적층된다. 그리고, 제 2, 제 4, 제 6, 제 8, 및 제 10 드라잉 랙 유닛(20-2, 20-4, 20-6, 20-8, 20-10)으로 이루어진 수직면상의 짝수에 해당하는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의 각 라운드형 걸이식단도 동일한 수평상의 위치에 배열되되,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와 포개지지 않는 위치로 배열되며, 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b와 같이, 하단 받침체(30)는 6개의 원판 굴절형 받침 유닛(31)이 병렬로 원형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모여서 형성되며, 제 10 드라잉 랙 유닛(20-10)의 하단에 끼워져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1 내지 제 10 드라잉 랙 유닛(20-1 내지 20-10)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하나의 명칭인 드라잉 랙 유닛(20)으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 드라잉 랙 유닛(20)은 적층형 몸체(22)에서 제공하는 상단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하단의 적층단(LL)을 이용해 상호간의 적층 구조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드라잉 랙 유닛(20)은 적층형 몸체(21), 그리고 제 1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적층형 몸체(21)는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형상으로 제 1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4)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단(cu)을 4개 구비한다. 여기서 각 체결단(cu)은 적층형 몸체(21)를 이루는 원통형 형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85˚ 내지 90˚ 각도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원통형 형상의 외주면 상에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과 체결되며, 각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이 상향으로 접혀지기 위한 체결 홈이 넓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2개씩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적층형 몸체(21)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 차등형으로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은 해당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0˚ 내지 98˚ 각도로 접혀짐으로써, 상부에 걸려지는 세탁물, 수건 등과 같은 물체의 길이과 넓이에 따라 4개 중 필요한 개수만 펼쳐져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술한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를 이루는 제 1, 제 3, 제 5, 제 7, 및 제 9 드라잉 랙 유닛(20-1, 20-3, 20-5, 20-7 및 20-9)과,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를 이루는 제 2, 제 4, 제 6, 제 8, 및 제 10 드라잉 랙 유닛(20-2, 20-4, 20-6, 20-8, 20-10)간에 상하로 포개지지 않는 구조로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을 배열함으로써, 적층형 몸체(21)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 차등형으로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에 걸려지는 물체의 특성에 따라 사용 용도가 다변화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와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적층형 몸체(21)의 상하단으로 형성된 끼움 구조를 활용함으로써, 각 유닛 집합체(20a, 20b) 별로 반드시 동일한 방향을 갖지 않고 적층형 몸체(21)의 회전에 따른 가변적 구조로 적층 가능한 것이 본 고안의 특징에 해당한다.
한편,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에 대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라운드형 걸이식단(22)으로 통칭하면,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의 측면은 도 4b와 같이, t1점을 기준으로 적층형 몸체(21)의 체결단(cu)과 근접하게 형성되는 길이 K1 및 곡률 u1을 갖는 제 1 측면 곡선, 그리고 t1점을 기준으로 적층형 몸체(21)의 체결단(cu)과 원거리에 형성되는 길이 K2 및 곡률 u2를 갖는 제 2 측면 곡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K1과 K2의 비례 관계인 K1 : K2는 1.2 내지 1.3 : 1으로 형성되며, 곡률 u1과 u2의 비례 관계인 u1 : u2는 1 : 1.13 내지 1.15로 형성되는 경우 제 2 측면 곡선 상부면에 5kg의 물체를 수평으로 놓고 실험한 경우, 하부로 꺽이지 않는 지지력을 발휘하는 시간에 대한 임계적 의의를 갖는 것으로 하기의 표 1과 같이 시험적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 K1 : K2 | u1 : u2 | 지지력 시간(10회 시험의 평균값) |
실시예1 | 1.1 : 1 | 1 : 1.13 | 3시간 32초 |
실시예2 | 1.2 : 1 | 1 : 1.13 | 4시간 15분 3초 |
실시예3 | 1.2 : 1 | 1 : 1.14 | 4시간 43분 21초 |
실시예4 | 1.2 : 1 | 1 : 1.15 | 4시간 32분 12초 |
실시예5 | 1.3 : 1 | 1 : 1.13 | 4시간 21분 34초 |
실시예6 | 1.3 : 1 | 1 : 1.14 | 4시간 54분 43초 |
실시예7 | 1.3 : 1 | 1 : 1.15 | 4시간 13분 32초 |
실시예8 | 1.3 : 1 | 1 : 1.16 | 3시간 11분 21초 |
실시예9 | 1.4 : 1 | 1 : 1.16 | 3시간 23분 33초 |
한편, 도 5b와 같이 평면상에서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유선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술한 체결단(cu)의 체결 홈으로 삽입되는 2개의 삽입체가 대칭형으로 반대를 보는 형태로 형성된 접합단(cc)이 형성된다.
한편, 유선형의 프레임은 중앙을 균분한 균분선(c)을 기준으로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이하에서는 한쪽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유선형의 프레임을 갖는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의 전단 중앙 전단 p1 점을 기준으로 길이 L1, 곡률 R1을 갖는 제 1 평면상 곡선, 제 1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2점을 기준으로 길이 L2, 곡률 R2를 갖는 제 2 평면상 곡선, 제 2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3점을 기준으로 길이 L3, 곡률 R3를 갖는 제 3 평면상 곡선, 제 3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4점부터 중앙 후단 p5점까지 이루어진 길이 L4, 곡률 R4를 갖는 제 4 평면상 곡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 1 측면 곡선 및 제 2 측면 곡선의 길이 및 곡률 관계를 전제로, 길이 L1, 길이 L2, 길이 L3, 길이 L4는 1.7 내지 1.8 : 6.7 내지 6.9 : 10.1 내지 10.3 : 1인 경우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의 상부면 전체에 올려지는 물체의 7kg 내지 8kg 무게에 대해 접합단(cc)과 체결단(cu)에 의한 지지가 가능한 임계적 의의가 있는 것으로 하기의 표 2 내지 표 3과 같이 나타났으며, 이 경우 곡률 R1 : R2 : R3 : R4 간의 크기 관계는 R4 > R1 > R2 > R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하기의 표 2 내지 표 3은 시험의 부분적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머지 길이 L1, 길이 L2, 길이 L3, 길이 L4의 조합에서도 지지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 L1 | L2 | L3 | L4 | 7kg 내지 8kg 지지 가능여부 |
실시예1 | 1.6 | 6.6 | 10.0 | 1 | X |
실시예2 | 1.7 | 6.7 | 10.1 | 1 | O |
실시예3 | 1.7 | 6.7 | 10.2 | 1 | O |
실시예4 | 1.7 | 6.7 | 10.3 | 1 | O |
실시예5 | 1.7 | 6.8 | 10.1 | 1 | O |
실시예6 | 1.7 | 6.8 | 10.2 | 1 | O |
실시예7 | 1.7 | 6.8 | 10.3 | 1 | O |
시험예 | L1 | L2 | L3 | L4 | 7kg 내지 8kg 지지 가능여부 |
실시예8 | 1.7 | 6.9 | 10.1 | 1 | O |
실시예9 | 1.7 | 6.9 | 10.2 | 1 | O |
실시예10 | 1.7 | 6.9 | 10.3 | 1 | O |
실시예11 | 1.8 | 6.7 | 10.1 | 1 | O |
실시예12 | 1.8 | 6.7 | 10.2 | 1 | O |
실시예13 | 1.8 | 6.7 | 10.3 | 1 | O |
실시예14 | 1.8 | 6.8 | 10.1 | 1 | O |
시험예 | L1 | L2 | L3 | L4 | 7kg 내지 8kg 지지 가능여부 |
실시예15 | 1.8 | 6.8 | 10.2 | 1 | O |
실시예16 | 1.8 | 6.8 | 10.3 | 1 | O |
실시예17 | 1.8 | 6.9 | 10.1 | 1 | O |
실시예18 | 1.8 | 6.9 | 10.2 | 1 | O |
실시예19 | 1.8 | 6.9 | 10.3 | 1 | O |
실시예20 | 1.9 | 6.9 | 10.1 | 1 | X |
실시예21 | 1.9 | 7.0 | 10.2 | 1 | X |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드라잉 랙 어셈블리
10: 상단 고정체
20-1 내지 20-10: 제 1 내지 제 10 드라잉 랙 유닛
21: 적층형 몸체
22-1 내지 22-4: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
30: 하단 받침체
31: 원판 굴절형 받침 유닛
cu: 체결단
cc: 접합단
LL: 적층단
10: 상단 고정체
20-1 내지 20-10: 제 1 내지 제 10 드라잉 랙 유닛
21: 적층형 몸체
22-1 내지 22-4: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
30: 하단 받침체
31: 원판 굴절형 받침 유닛
cu: 체결단
cc: 접합단
LL: 적층단
Claims (11)
- 후크(hook) 형상이 최상단에서 갈고리의 끝단이 하단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후크 형상의 갈고리의 하단으로 형성된 개구 영역을 통해 손잡이가 달린 물건을 걸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상단 고정체(10);
상기 상단 고정체(10)의 하단에 체결되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이 적층형 몸체(22)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차를 갖게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드라잉 랙 유닛(20)이 상기 적층형 몸체(22)에서 제공하는 상단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하단의 적층단(LL)을 이용해 n 개(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순차적으로 접층되어 형성되는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 및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기 드라잉 랙 유닛 집합의 최하단의 적층형 몸체(22)의 적층단(LL)에 상단이 체결되며, 6개의 원판 굴절형 받침 유닛(31)이 병렬로 원형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모여서 형성되는 하단 받침체(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는,
수직면 상에서 상단으로부터 홀수 번째에 위치하는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와, 상단으로부터 짝수 번째에 위치하는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는 동일한 수평상의 위치에 배열되며,
상기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는 동일한 수평상의 위치에 배열되되, 상기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와 포개지지 않는 위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라잉 랙 유닛(20)은,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22-2, 22-3 및 22-4)가 각각 체결되기 위한 4개의 체결단(cu)을 구비하는 적층형 몸체(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단(cu) 각각은,
상기 적층형 몸체(21)를 이루는 원통형 형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85˚ 내지 90˚ 각도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원통형 형상의 외주면 상에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22-2, 22-3 및 22-4)과 체결되며,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22-2, 22-3 및 22-4)이 상향으로 접혀지기 위한 체결 홈이 넓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2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몸체(21)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 차등형으로 형성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은,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0˚ 내지 98˚ 각도로 접혀져서, 상부에 걸려지는 물체의 길이과 넓이에 따라 4개 중 필요한 개수만 펼쳐져서 사용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은,
측면의 t1점을 기준으로 상기 적층형 몸체(21)의 체결단(cu)과 근접하게 형성되는 길이 K1 및 곡률 u1을 갖는 제 1 측면 곡선, 그리고 상기 t1점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단(cu)과 원거리에 형성되는 길이 K2 및 곡률 u2를 갖는 제 2 측면 곡선으로 구분되며, 상기 K1과 상기 K2의 비례 관계인 상기 K1 : 상기 K2는 1.2 내지 1.3 : 1으로 형성되며, 상기 u1과 상기 u2의 비례 관계인 상기 u1 : 상기 u2는 1 : 1.13 내지 1.1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은,
상부면상에서 전단에서 후단으로 유선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체결단(cu)의 체결 홈으로 삽입되는 2개의 삽입체가 대칭형으로 반대를 보는 형태로 형성된 접합단(c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선형의 프레임은,
중앙을 균분한 균분선(c)을 기준으로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선형의 프레임을 갖는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은,
전단 중앙 전단 p1 점을 기준으로 길이 L1, 곡률 R1을 갖는 제 1 평면상 곡선, 제 1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2점을 기준으로 길이 L2, 곡률 R2를 갖는 제 2 평면상 곡선, 제 2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3점을 기준으로 길이 L3, 곡률 R3를 갖는 제 3 평면상 곡선, 그리고 제 3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4점부터 중앙 후단 p5점까지 이루어진 길이 L4, 곡률 R4를 갖는 제 4 평면상 곡선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길이 L1, 상기 길이 L2, 상기 길이 L3, 상기 길이 L4는,
1.7 내지 1.8 : 6.7 내지 6.9 : 10.1 내지 10.3 : 1의 크기 비율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곡률 R1, 상기 곡률 R2, 상기 곡률 R3 및 상기 곡률 R4 간의 크기 관계는 R4 > R1 > R2 > R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4129U KR200474715Y1 (ko) | 2013-05-24 | 2013-05-24 |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4129U KR200474715Y1 (ko) | 2013-05-24 | 2013-05-24 |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4715Y1 true KR200474715Y1 (ko) | 2014-10-07 |
Family
ID=5200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4129U KR200474715Y1 (ko) | 2013-05-24 | 2013-05-24 |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4715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4409A (ja) * | 2004-07-23 | 2006-02-09 | Arakawa Kinzoku Kk | 支持装置 |
KR100987336B1 (ko) * | 2008-07-10 | 2010-10-18 | 박지호 | 빨래 건조대 |
JP2012165825A (ja) * | 2011-02-10 | 2012-09-06 | Aisen:Kk | 物干し器 |
-
2013
- 2013-05-24 KR KR2020130004129U patent/KR20047471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4409A (ja) * | 2004-07-23 | 2006-02-09 | Arakawa Kinzoku Kk | 支持装置 |
KR100987336B1 (ko) * | 2008-07-10 | 2010-10-18 | 박지호 | 빨래 건조대 |
JP2012165825A (ja) * | 2011-02-10 | 2012-09-06 | Aisen:Kk | 物干し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5295740U (zh) | 一种可调节高度和延伸长度的户外晾衣架 | |
CN2925227Y (zh) | 活动衣橱 | |
KR101269840B1 (ko) | 벽면 접철식 다단 세탁물 건조대 | |
KR200474715Y1 (ko) |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 |
CN202408332U (zh) | 一种多功能组合式晾衣架 | |
CN2907382Y (zh) | 组合橱柜 | |
CN206062522U (zh) | 一种墙壁挂桌 | |
CN204500121U (zh) | 旋转式地毯展示架 | |
CN202945462U (zh) | 暖风干衣机 | |
CN204273745U (zh) | 树状书架 | |
CN211021666U (zh) | 一种具有隐藏式晾衣架的阳台收纳柜 | |
CN205474469U (zh) | 一种家庭用多功能晾衣架 | |
CN203021821U (zh) | 一种干衣机框架及其应用的外罩 | |
CN204507897U (zh) | 一种无纺布存放架 | |
CN211199796U (zh) | 一种可抽拉式落地晾衣架 | |
CN204970058U (zh) | 一种多功能折叠架 | |
CN202234615U (zh) | 一种新型裤架 | |
CN204635519U (zh) | 一种新型钢制书架 | |
CN210066261U (zh) | 一种折叠式晾衣架 | |
CN203302747U (zh) | 花架 | |
CN221652504U (zh) | 一种具备晾衣功能的光伏板装置 | |
KR20130002074U (ko) | 건조대 | |
CN201738153U (zh) | 一种晾衣架 | |
CN205617115U (zh) | 一种塔形晒架 | |
CN220423809U (zh) | 一种厨房用餐具放置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