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715Y1 - Drying rack assembly structure - Google Patents

Drying rack assembly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715Y1
KR200474715Y1 KR2020130004129U KR20130004129U KR200474715Y1 KR 200474715 Y1 KR200474715 Y1 KR 200474715Y1 KR 2020130004129 U KR2020130004129 U KR 2020130004129U KR 20130004129 U KR20130004129 U KR 20130004129U KR 200474715 Y1 KR200474715 Y1 KR 200474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curvature
rack unit
round
drying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1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목
Original Assignee
이재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목 filed Critical 이재목
Priority to KR2020130004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71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71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 D06F57/04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and having radial arms,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3/00Clothes-lines; Supports therefor 
    • D06F53/02Clothes-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18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using renewables, e.g. solar cooking stoves, furnaces or sola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후크(hook) 형상이 최상단에서 갈고리의 끝단이 하단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후크 형상의 갈고리의 하단으로 형성된 개구 영역을 통해 손잡이가 달린 물건을 걸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상단 고정체(10); 상기 상단 고정체(10)의 하단에 체결되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이 적층형 몸체(22)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차를 갖게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드라잉 랙 유닛(20)이 상기 적층형 몸체(22)에서 제공하는 상단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하단의 적층단(LL)을 이용해 n 개(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순차적으로 접층되어 형성되는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 및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기 드라잉 랙 유닛 집합의 최하단의 적층형 몸체(22)의 적층단(LL)에 상단이 체결되며, 6개의 원판 굴절형 받침 유닛(31)이 병렬로 원형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모여서 형성되는 하단 받침체(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드라잉 랙 유닛이 각각 분리와 적층형으로 체결이 가능하고, 각 유닛을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의 위치에 대한 차등화를 통해 다양한 모양을 갖는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걸려있는 상태에 대한 지속성을 갖는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적층형 구조를 통해 걸어 놓을 세탁물 등과 같은 물건의 양을 조절가능한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fting rack assembly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fixture (10) for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a hook shape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nd of a hook is directed from the uppermost end to the lower end, and an object having a handle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area formed by a lower end of a hook- 10);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ed hanging ends 22-1, 22-2, 22-3 and 22-4 ar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body 10, (LL)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drawing rack unit 20, which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provided by the laminated body 22, and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re successively stacked one upon the other; And an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lamination end (LL) of the laminated body 22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et of stacked drawing rack units, and six circular plate refracting support units 31 are gathered in a circular shape in a round shape in parallel A lower support body (30) formed; And a control unit.
As a result, the draw rack units can be individually separated and stacked, and various kinds of objects can be hooked by differentiating the positions of the round hooking diodes constituting each unit, Provides continuity to the state that has. In addition, it provides a convenient effect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things such as laundry to be hung through the laminated structure.

Description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Drying rack assembly structure} Drying rack assembly structure [0002]

본 고안은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잉 랙 유닛이 각각 분리와 적층형으로 체결이 가능하고, 각 유닛을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의 위치에 대한 차등화를 통해 다양한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fting rack assembly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fting rack assembly structure in which a drafting rack unit can be separated and stacked in a stacked man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driving rack assembly for providing a stable structure.

종래에는 세탁물을 손빨래나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 후 건조 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빨랫줄 등을 이용하여 빨래를 건조하였다. Conventionally, laundry is dried using a clothesline or the like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for washing and drying the laundry using hand laundry or a washing machine.

또한, 옥상이나 마당에 널어야 빨래가 통풍이 원할하고 햇빛에 의하여 소독이 되는 효과가 있으나 풍향에 의하여 먼지 등이 빨래에 묻기 쉬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장마철이나 겨울철 등에는 빨래가 젖기 쉽고 잘 마르지않아 건조시키기 난해한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it should be installed on the roof or yard so that the laundry is ventilated and it is disinfected by the sunlight.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ust is liable to be attached to the laundry by the wind direction. Especially in the rainy season and winter season, laundry is easily wetted, There are disadvantages to i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아파트 또는 다세대 주택의 보급에 따라 외부에 빨래를 건조하기 보다는 대부분이 베란다나 실내에 드라잉 랙을 사용하여 빨래를 건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most of the laundry is dried in a veranda or indoors using a drying rack rather than drying the laundry outside according to the spread of apartments or multi-family houses.

한편, 이러한 드라잉 랙은 외부에서 빨래를 널기 어려운 여름 장마철이나 겨울철 등에도 빨래를 베란다나 거실이나 방 등과 같은 실내에 사용할 경우 유용하며, 빨래 외에도 물건을 보관하는 옷걸이 등으로도 활용성이 높은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such a drying rack is useful when it is used in a laundry room, a living room, a room, or the like indoors in summer rainy season or winter season where laundry is hard to be carried out from the outside, and is also useful as a clothes hanger to be.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드라잉 랙에 보다 많은 물건을 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물건이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안정적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in the related technical field,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 technique for providing a stable structure for holding more objects in a drying rack as well as stably holding the objects in a stable state.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세탁물 건조대(A laundry drying rack)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20300호)1. A laundry drying rack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1-0020300)

2. 건조대(Drying Rack)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1-0008576호)2. Drying Rack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11-0008576)

3. 천장 부착형 빨래건조대(Ceiling adhesion type washed drying rack)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08027호)
3. Ceiling adhesion type washed drying rack (utility model No. 20-2004-0008027)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라잉 랙 유닛이 각각 분리와 적층형으로 체결이 가능하고, 각 유닛을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의 위치에 대한 차등화를 통해 다양한 모양을 갖는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걸려있는 상태에 대한 지속성을 갖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lling rack unit which can be separated and stacked in a stacked manner, And to provide a structure having a stable and stable state for a hanging state.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는, 후크(hook) 형상이 최상단에서 갈고리의 끝단이 하단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후크 형상의 갈고리의 하단으로 형성된 개구 영역을 통해 손잡이가 달린 물건을 걸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상단 고정체(10); 상기 상단 고정체(10)의 하단에 체결되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이 적층형 몸체(22)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차를 갖게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드라잉 랙 유닛(20)이 상기 적층형 몸체(22)에서 제공하는 상단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하단의 적층단(LL)을 이용해 n 개(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순차적으로 접층되어 형성되는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 및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기 드라잉 랙 유닛 집합의 최하단의 적층형 몸체(22)의 적층단(LL)에 상단이 체결되며, 6개의 원판 굴절형 받침 유닛(31)이 병렬로 원형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모여서 형성되는 하단 받침체(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rafting rac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hape of a hook is formed such that the end of the hook is directed from the uppermost end to the lower end, A top fixing body 10 for providing a structure to which a knob-carrying object can be inserte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ed hanging ends 22-1, 22-2, 22-3 and 22-4 ar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body 10, (LL)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drawing rack unit 20, which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provided by the laminated body 22, and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re successively stacked one upon the other; And an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lamination end (LL) of the laminated body 22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et of stacked drawing rack units, and six circular plate refracting support units 31 are gathered in a circular shape in a round shape in parallel A lower support body (30) formed; And a control unit.

이때, 상기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는, 수직면 상에서 상단으로부터 홀수 번째에 위치하는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와, 상단으로부터 짝수 번째에 위치하는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drawing rack unit aggregate includes a first drawing rack unit aggregate 20a located at an odd position from the top on a vertical plane and a second drawing rack unit aggregate 20b located at an even position from the top .

또한, 상기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는 동일한 수평상의 위치에 배열되며, 상기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는 동일한 수평상의 위치에 배열되되, 상기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와 포개지지 않는 위치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type hanging steps (22-1, 22-2, 22-n) on the drawing rack unit 20 constituting the first drawing rack unit assembly 20a, 3, and 22-4 are arranged at the sam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ositions on the drying rack unit 20 constituting the second drying rack unit assembly 20b The positions of the four round type hanging stages 22-1, 22-2, 22-3, and 22-4 are arranged at the sam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positions of the draining unit assemblies 20a, Are arranged in positions not overlapping with the position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ed hanging ends 22-1, 22-2, 22-3 and 22-4 on the rack unit 20 desirable.

또한, 상기 드라잉 랙 유닛(20)은,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22-2, 22-3 및 22-4)가 각각 체결되기 위한 4개의 체결단(cu)을 구비하는 적층형 몸체(21);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awing rack unit 2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opened as a whole,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 type hooking parts 22-1, 22-2 and 22-3 And 22-4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each other; .

또한, 상기 체결단(cu) 각각은, 상기 적층형 몸체(21)를 이루는 원통형 형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85˚ 내지 90˚ 각도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원통형 형상의 외주면 상에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22-2, 22-3 및 22-4)과 체결되며,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22-2, 22-3 및 22-4)이 상향으로 접혀지기 위한 체결 홈이 넓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2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coupling ends cu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axis of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laminated body 21 by an angle of 85 to 90 degrees and sequent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pe to have a heigh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ing hooks 22-1, 22-2, 22-3, and 22-4 fastened to the first, second, third, It is preferable that two fastening grooves for folding upwardly the hooking legs 22-1, 22-2, 22-3 and 22-4 are formed symmetrically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상기 적층형 몸체(21)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 차등형으로 형성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은,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0˚ 내지 98˚ 각도로 상기 접혀져서, 상부에 걸려지는 물체의 길이과 넓이에 따라 4개 중 필요한 개수만 펼쳐져서 사용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 type hanging tips (22-1 to 22-4) formed in a height differential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acked body (21)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required number of the four pieces is unfolded according to the length and the width of the object hung on the upper portion by folding the upper portion with the angle of 0 DEG to 98 DEG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또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은, 측면의 t1점을 기준으로 상기 적층형 몸체(21)의 체결단(cu)과 근접하게 형성되는 길이 K1 및 곡률 u1을 갖는 제 1 측면 곡선, 그리고 상기 t1점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단(cu)과 원거리에 형성되는 길이 K2 및 곡률 u2를 갖는 제 2 측면 곡선으로 구분되며, 상기 K1과 상기 K2의 비례 관계인 상기 K1 : 상기 K2는 1.2 내지 1.3 : 1으로 형성되며, 상기 u1과 상기 u2의 비례 관계인 상기 u1 : 상기 u2는 1 : 1.13 내지 1.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type hanging tips 22-1 to 22-4 has a connecting end cu of the stacked body 21, A first side curved line having a length K1 and a curvature u1 which are formed close to each other and a second side curved line having a length K2 and a curvature u2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clamping end cu with respect to the t1 point, The K1: K2, which i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K1 and K2, is formed to be 1.2 to 1.3: 1, and the u1: u2, which i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u1 and u2, is preferably formed to be 1: 1.13 to 1.15.

또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은, 상부면상에서 전단에서 후단으로 유선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체결단(cu)의 체결 홈으로 삽입되는 2개의 삽입체가 대칭형으로 반대를 보는 형태로 형성된 접합단(c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 type hanging legs 22-1 to 22-4 is formed as a streamlined frame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n the upper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joining end cc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two insert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re symmetrically opposite to each other is formed.

또한, 상기 유선형의 프레임은, 중앙을 균분한 균분선(c)을 기준으로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선형의 프레임을 갖는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은, 전단 중앙 전단 p1 점을 기준으로 길이 L1, 곡률 R1을 갖는 제 1 평면상 곡선, 제 1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2점을 기준으로 길이 L2, 곡률 R2를 갖는 제 2 평면상 곡선, 제 2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3점을 기준으로 길이 L3, 곡률 R3를 갖는 제 3 평면상 곡선, 그리고 제 3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4점부터 중앙 후단 p5점까지 이루어진 길이 L4, 곡률 R4를 갖는 제 4 평면상 곡선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streamlined frame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equalization line (c) of which the center is balanced,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 1 to 22-4 each have a first plane curve having a length L1 and a curvature R1 based on the front center front shear point p1, a second plane curve having a length L2 and a curvature R2 based on a point p2 at which the first plane curve ends, 2 plane curves, a third plane curve having a length L3 and a curvature R3 based on the point p3 at which the second plane curve ends, and a length L4 consisting of a point p4 ending the curve on the third plane to point p5, And a fourth planar curve having a curvature R4.

또한, 상기 길이 L1, 상기 길이 L2, 상기 길이 L3, 상기 길이 L4는, 1.7 내지 1.8 : 6.7 내지 6.9 : 10.1 내지 10.3 : 1의 크기 비율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ngth L1, the length L2, the length L3, and the length L4 have a size ratio relationship of 1.7 to 1.8: 6.7 to 6.9: 10.1 to 10.3: 1.

또한, 상기 곡률 R1, 상기 곡률 R2, 상기 곡률 R3 및 상기 곡률 R4 간의 크기 관계는 R4 > R1 > R2 > R3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gnitud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vature R1, the curvature R2, the curvature R3, and the curvature R4 is preferably R4>R1>R2> R3.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는, 드라잉 랙 유닛이 각각 분리와 적층형으로 체결이 가능하고, 각 유닛을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의 위치에 대한 차등화를 통해 다양한 모양을 갖는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걸려있는 상태에 대한 지속성을 갖는 제공한다. The drawing rack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 rack unit can be separated and stacked in the form of a stack, and by differentiating the position of the round hooking unit constituting each unit, But also provides stability and durability to the hanging state.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는, 접층형 구조를 통해 걸어 놓을 세탁물 등과 같은 물건의 양을 조절가능한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drafting rack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t effect of adjusting the amount of things such as laundry to hang through the folded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블리(1)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도 4a) 및 측면도(도 4b)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도 5a), 그리고 드라잉 랙 유닛(20)를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도 5b)이다.
도 6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상단 고정체(10) 및 하단 받침체(30)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블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적층형 몸체(21)와 라운드형 걸이식단(22)간의 체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실제로 드라잉 랙 유닛(20)이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shows a side view of a drying rack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top view of the drafting rack assembly 1 of Fig.
Fig.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afting rack assembly 1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ig. 4A) and a side view (Fig. 4B)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drawing rack unit 20 in the drawing ra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Fig. 5A)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drawing rack unit 20 in the drawing ra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5B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round-type hooking unit 22;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upper end fixing body 10 and the lower supporting body 30 in the drawing rack assembly 1 of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drawing rack unit 20 for explaining the fasten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tacked body 21 on the drying rack unit 20 in the drawing rack assembly 1 of Fig. 1 and the round hooking unit 22 ) Is produc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블리(Drying rack assembly: 1)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도 4a) 및 측면도(도 4b)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도 5a), 그리고 드라잉 랙 유닛(20)를 구성하는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도 5b)이다. 도 6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플리(1)에서의 상단 고정체(10) 및 하단 받침체(30)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드라잉 랙 어셈블리(1)에서의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적층형 몸체(21)와 라운드형 걸이식단(22)간의 체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실제로 드라잉 랙 유닛(20)이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shows a side view of a drying rack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top view of the drafting rack assembly 1 of Fig. Fig.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afting rack assembly 1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ig. 4A) and a side view (Fig. 4B)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drawing rack unit 20 in the drawing ra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Fig. 5A)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drawing rack unit 20 in the drawing ra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5B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round-type hooking unit 22;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upper end fixing body 10 and the lower supporting body 30 in the drawing rack assembly 1 of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drawing rack unit 20 for explaining the fasten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tacked body 21 on the drying rack unit 20 in the drawing rack assembly 1 of Fig. 1 and the round hooking unit 22 ) Is produced.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드라잉 랙 어셈블리(1)의 기본구조는 크게 상단 고정체(10), 다수의 드라잉 랙 유닛(20-n, n은 2 이상의 자연수), 그리고 하단 받침체(30)를 포함한다.1 to 3, the basic structure of the drafting rack assembly 1 is roughly divided into a top fixing body 10, a plurality of drawing rack units 20-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nd a support body (30).

도 6a를 참조하면, 상단 고정체(10)는 후크(hook) 형상이 최상단에서 갈고리의 끝단이 하단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후크 형상의 갈고리의 하단으로 형성된 개구 영역을 통해 손잡이가 달린 물건을 걸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6A, the upper end fixing body 10 is formed such that a hook shape is directed from the uppermost end of the hook to a lower end thereof, so that the upper fixed body 10 can be lifted and tilted through the opening area formed by the lower end of the hook- Provide a structure.

다수의 드라잉 랙 유닛(2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예시로 제 1 내지 제 10 드라잉 랙 유닛(20-1 내지 20-10)으로 형성되며, 각 드라잉 랙 유닛(20-1 내지 20-10)이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며, 결합시 적층형 구조를 갖는다.The plurality of drawing rack units 20-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re the first to tenth drying rack units 20-1 to 20-10 as one example as shown in Figs. And each of the drying rack units 20-1 to 20-10 can be coupled and separated, and has a laminated structure at the time of coupling.

여기서 제 1 내지 제 10 드라잉 랙 유닛(20-1 내지 20-10) 각각은 4개의 라운드형 걸이단(22-1 내지 22-4)을 포함하는데, 제 1, 제 3, 제 5, 제 7, 및 제 9 드라잉 랙 유닛(20-1, 20-3, 20-5, 20-7 및 20-9)으로 이루어진 수직면상의 홀수에 해당하는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의 각 라운드형 걸이단은 동일한 수평상의 위치에 배열되도록 적층된다. 그리고, 제 2, 제 4, 제 6, 제 8, 및 제 10 드라잉 랙 유닛(20-2, 20-4, 20-6, 20-8, 20-10)으로 이루어진 수직면상의 짝수에 해당하는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의 각 라운드형 걸이식단도 동일한 수평상의 위치에 배열되되,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와 포개지지 않는 위치로 배열되며, 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Here, each of the first to tenth drying rack units 20-1 to 20-10 includes four round-type hanging stages 22-1 to 22-4, and the first, third, fifth, 7, and the ninth drying rack unit 20-1, 20-3, 20-5, 20-7, and 20-9, The rounded hanging stages are stacked so that they are arranged at the same horizontal position. Then, the first and second tilting rack units 20-2, 20-4, 20-6, 20-8, and 20-10, which correspond to the even number on the vertical plane, of the second, fourth, sixth, eighth, The first and second drying rack unit assemblies 20a and 20b are arranged in the same horizontal position so that the first and the second drying rack unit assemblies 20a, 2, the third and fourth rounded hanging stages 22-1, 22-2, 22-3 and 22-4, respectively, and the 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도 6b와 같이, 하단 받침체(30)는 6개의 원판 굴절형 받침 유닛(31)이 병렬로 원형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모여서 형성되며, 제 10 드라잉 랙 유닛(20-10)의 하단에 끼워져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6B, the lower support body 30 is formed by circularly arranging six circular plate refractive support units 31 in a circular shape in parallel, and the lower support body 3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enth drawing rack unit 20-10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1 내지 제 10 드라잉 랙 유닛(20-1 내지 20-10)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하나의 명칭인 드라잉 랙 유닛(20)으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 드라잉 랙 유닛(20)은 적층형 몸체(22)에서 제공하는 상단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하단의 적층단(LL)을 이용해 상호간의 적층 구조를 제공한다. 4 and 5, a drawing rack unit 20, which is one of the first to tenth drying rack units 20-1 to 20-10 having the same shape,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Meanwhile, each of the drying rack units 20 provides a mutual lamination structure by using the lamination end (LL) at the lower end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provided by the laminated body 22. [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드라잉 랙 유닛(20)은 적층형 몸체(21), 그리고 제 1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More specifically, the drying rack unit 20 includes a laminated body 21, and a first round hooking unit 22-1 to a fourth round hooking unit 22-4.

적층형 몸체(21)는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형상으로 제 1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4)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단(cu)을 4개 구비한다. 여기서 각 체결단(cu)은 적층형 몸체(21)를 이루는 원통형 형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85˚ 내지 90˚ 각도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원통형 형상의 외주면 상에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과 체결되며, 각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이 상향으로 접혀지기 위한 체결 홈이 넓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2개씩 형성된다.The laminated body 21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pened as a whole and a fastening end cu for fastening the first round type hooking step 22-1 to the fourth round type fastening step 22-4 to the upper side . Each of the fastening ends cu is formed to be spaced at an angle of 85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laminated body 21 so as to be sequentially heighte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pe, Two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for fastening the round type fastening members 22-1 to 22-4 and for folding the round type fastening members 22-1 to 22-4 upward.

이에 따라, 적층형 몸체(21)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 차등형으로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은 해당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0˚ 내지 98˚ 각도로 접혀짐으로써, 상부에 걸려지는 세탁물, 수건 등과 같은 물체의 길이과 넓이에 따라 4개 중 필요한 개수만 펼쳐져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first to fourth round-type hooking steps 22-1 to 22-4 formed in a height differential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cked body 21 are vertically extended from the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by 0 ° Folded to an angle of 98 degrees, so that only the required number of the four pieces can be unfolded and used depending on the length and width of an object such as laundry, towel, etc. hanging on the upper portion.

여기서, 상술한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를 이루는 제 1, 제 3, 제 5, 제 7, 및 제 9 드라잉 랙 유닛(20-1, 20-3, 20-5, 20-7 및 20-9)과,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를 이루는 제 2, 제 4, 제 6, 제 8, 및 제 10 드라잉 랙 유닛(20-2, 20-4, 20-6, 20-8, 20-10)간에 상하로 포개지지 않는 구조로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을 배열함으로써, 적층형 몸체(21)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 차등형으로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에 걸려지는 물체의 특성에 따라 사용 용도가 다변화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와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적층형 몸체(21)의 상하단으로 형성된 끼움 구조를 활용함으로써, 각 유닛 집합체(20a, 20b) 별로 반드시 동일한 방향을 갖지 않고 적층형 몸체(21)의 회전에 따른 가변적 구조로 적층 가능한 것이 본 고안의 특징에 해당한다.
Here, the first, third, fifth, seventh, and ninth drying rack units 20-1, 20-3, 20-5, 20- 20 constituting the first drying rack unit assembly 20a described above, 7 and 20-9) and the second, fourth, sixth, eighth, and tenth drying rack units 20-2, 20-4, 20-9 constituting the second drying rack unit assembly 20b, 6, 20-8, and 20-10, the first to fourth round-type hanging tips 22-1 to 22-4 are arranged so as not to be stacked up and down, Shaped hooking steps 22-1 to 22-4 of the first to fourth round shaped hanging legs 22-1 to 22-4 formed in a differential shape. That is, the first drying rack unit assembly 20a and the second drying rack unit assembly 20b as described above are altern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tilizing the fitting structu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aminated body 21, It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unit assemblies 20a and 20b do not necessarily have the same direction and can be stacked in a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tacked body 21. [

한편,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에 대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라운드형 걸이식단(22)으로 통칭하면,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의 측면은 도 4b와 같이, t1점을 기준으로 적층형 몸체(21)의 체결단(cu)과 근접하게 형성되는 길이 K1 및 곡률 u1을 갖는 제 1 측면 곡선, 그리고 t1점을 기준으로 적층형 몸체(21)의 체결단(cu)과 원거리에 형성되는 길이 K2 및 곡률 u2를 갖는 제 2 측면 곡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first to fourth round-type hooking steps 22-1 to 22-4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round hooking step 2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first side curved line having a length K1 and a curvature u1 which are formed close to the clamping end cu of the laminated body 21 on the basis of the point t1, and a second side curve having a length K2 and a curvature u2 formed at a long distance from the center curvature cu.

여기서, 길이 K1과 K2의 비례 관계인 K1 : K2는 1.2 내지 1.3 : 1으로 형성되며, 곡률 u1과 u2의 비례 관계인 u1 : u2는 1 : 1.13 내지 1.15로 형성되는 경우 제 2 측면 곡선 상부면에 5kg의 물체를 수평으로 놓고 실험한 경우, 하부로 꺽이지 않는 지지력을 발휘하는 시간에 대한 임계적 의의를 갖는 것으로 하기의 표 1과 같이 시험적으로 나타났다.
Here, K1: K2, which i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s K1 and K2, is formed to be 1.2 to 1.3: 1, and u1: u2, which i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urvatures u1 and u2, When the object is placed horizontally, it has a critical significance for the time when it exerts the supporting force which does not break downward, as shown in Table 1 below.

시험예Test Example K1 : K2K1: K2 u1 : u2u1: u2 지지력 시간(10회 시험의 평균값)Bearing capacity time (average value of 10 tests) 실시예1Example 1 1.1 : 11.1: 1 1 : 1.131: 1.13 3시간 32초3 hours 32 seconds 실시예2Example 2 1.2 : 11.2: 1 1 : 1.131: 1.13 4시간 15분 3초4 hours 15 minutes 3 seconds 실시예3Example 3 1.2 : 11.2: 1 1 : 1.141: 1.14 4시간 43분 21초4 hours 43 minutes 21 seconds 실시예4Example 4 1.2 : 11.2: 1 1 : 1.151: 1.15 4시간 32분 12초4 hours 32 minutes 12 seconds 실시예5Example 5 1.3 : 11.3: 1 1 : 1.131: 1.13 4시간 21분 34초4 hours 21 minutes 34 seconds 실시예6Example 6 1.3 : 11.3: 1 1 : 1.141: 1.14 4시간 54분 43초4 hours 54 minutes 43 seconds 실시예7Example 7 1.3 : 11.3: 1 1 : 1.151: 1.15 4시간 13분 32초4 hours 13 minutes 32 seconds 실시예8Example 8 1.3 : 11.3: 1 1 : 1.161: 1.16 3시간 11분 21초3 hours 11 minutes 21 seconds 실시예9Example 9 1.4 : 11.4: 1 1 : 1.161: 1.16 3시간 23분 33초3 hours 23 minutes 33 seconds

한편, 도 5b와 같이 평면상에서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유선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술한 체결단(cu)의 체결 홈으로 삽입되는 2개의 삽입체가 대칭형으로 반대를 보는 형태로 형성된 접합단(cc)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B, the round hooking step 22 on the plane is formed as a streamlined frame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and the two insert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of the coupling end cu described above are symmetrically inverted So that the junction end cc formed is formed.

한편, 유선형의 프레임은 중앙을 균분한 균분선(c)을 기준으로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이하에서는 한쪽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treamlined frame i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equalization line (c) of which the center is balanced. Hereinafter, the fr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side.

즉, 유선형의 프레임을 갖는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의 전단 중앙 전단 p1 점을 기준으로 길이 L1, 곡률 R1을 갖는 제 1 평면상 곡선, 제 1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2점을 기준으로 길이 L2, 곡률 R2를 갖는 제 2 평면상 곡선, 제 2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3점을 기준으로 길이 L3, 곡률 R3를 갖는 제 3 평면상 곡선, 제 3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4점부터 중앙 후단 p5점까지 이루어진 길이 L4, 곡률 R4를 갖는 제 4 평면상 곡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at is, a first plane-shaped curve having a length L1 and a curvature R1 based on the front-center front end p1 of the round-shaped hooking frame 22 having a streamlined frame, a length L2 , A second plane-shaped curve having a curvature R2, a third plane-shaped curve having a length L3 and a curvature R3 based on the point p3 at which the second plane-shaped curve ends, a p4 point at which the third plane- And a fourth plane curve having a length L4 and a curvature R4.

여기서 상술한 제 1 측면 곡선 및 제 2 측면 곡선의 길이 및 곡률 관계를 전제로, 길이 L1, 길이 L2, 길이 L3, 길이 L4는 1.7 내지 1.8 : 6.7 내지 6.9 : 10.1 내지 10.3 : 1인 경우 라운드형 걸이식단(22)의 상부면 전체에 올려지는 물체의 7kg 내지 8kg 무게에 대해 접합단(cc)과 체결단(cu)에 의한 지지가 가능한 임계적 의의가 있는 것으로 하기의 표 2 내지 표 3과 같이 나타났으며, 이 경우 곡률 R1 : R2 : R3 : R4 간의 크기 관계는 R4 > R1 > R2 > R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하기의 표 2 내지 표 3은 시험의 부분적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머지 길이 L1, 길이 L2, 길이 L3, 길이 L4의 조합에서도 지지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When the length L1, the length L2, the length L3, and the length L4 are 1.7 to 1.8: 6.7 to 6.9: 10.1 to 10.3: 1 on the assumption of the length and the curvature relationship of the first side curved line and the second side curved line, There is a critical significance that the weight can be supported by the joining end cc and the joining end cu with respect to the weight of 7 kg to 8 kg of the object rais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hooking plate 22, In this case, the magnitud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vatures R1: R2: R3: R4 is R4>R1>R2> R3. 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Tables 2 to 3 show a part of the test, and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 of the remaining lengths L1, L2, L3 and L4 was impossible.

시험예Test Example L1L1 L2L2 L3L3 L4L4 7kg 내지 8kg 지지 가능여부7kg to 8kg supportability 실시예1Example 1 1.61.6 6.66.6 10.010.0 1One XX 실시예2Example 2 1.71.7 6.76.7 10.110.1 1One OO 실시예3Example 3 1.71.7 6.76.7 10.210.2 1One OO 실시예4Example 4 1.71.7 6.76.7 10.310.3 1One OO 실시예5Example 5 1.71.7 6.86.8 10.110.1 1One OO 실시예6Example 6 1.71.7 6.86.8 10.210.2 1One OO 실시예7Example 7 1.71.7 6.86.8 10.310.3 1One OO

시험예Test Example L1L1 L2L2 L3L3 L4L4 7kg 내지 8kg 지지 가능여부7kg to 8kg supportability 실시예8Example 8 1.71.7 6.96.9 10.110.1 1One OO 실시예9Example 9 1.71.7 6.96.9 10.210.2 1One OO 실시예10Example 10 1.71.7 6.96.9 10.310.3 1One OO 실시예11Example 11 1.81.8 6.76.7 10.110.1 1One OO 실시예12Example 12 1.81.8 6.76.7 10.210.2 1One OO 실시예13Example 13 1.81.8 6.76.7 10.310.3 1One OO 실시예14Example 14 1.81.8 6.86.8 10.110.1 1One OO

시험예Test Example L1L1 L2L2 L3L3 L4L4 7kg 내지 8kg 지지 가능여부7kg to 8kg supportability 실시예15Example 15 1.81.8 6.86.8 10.210.2 1One OO 실시예16Example 16 1.81.8 6.86.8 10.310.3 1One OO 실시예17Example 17 1.81.8 6.96.9 10.110.1 1One OO 실시예18Example 18 1.81.8 6.96.9 10.210.2 1One OO 실시예19Example 19 1.81.8 6.96.9 10.310.3 1One OO 실시예20Example 20 1.91.9 6.96.9 10.110.1 1One XX 실시예21Example 21 1.91.9 7.07.0 10.210.2 1One XX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disclos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in a generic sense only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besid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ossible.

1: 드라잉 랙 어셈블리
10: 상단 고정체
20-1 내지 20-10: 제 1 내지 제 10 드라잉 랙 유닛
21: 적층형 몸체
22-1 내지 22-4: 제 1 내지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
30: 하단 받침체
31: 원판 굴절형 받침 유닛
cu: 체결단
cc: 접합단
LL: 적층단
1: Driven Rack Assembly
10: Top fixture
20-1 to 20-10: First to tenth drying rack units
21: Laminated body
22-1 to 22-4: first to fourth round type hooking dishes
30: lower support body
31: Original plate reflex type support unit
cu: fastening end
cc: junction stage
LL: Lamination stage

Claims (11)

후크(hook) 형상이 최상단에서 갈고리의 끝단이 하단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후크 형상의 갈고리의 하단으로 형성된 개구 영역을 통해 손잡이가 달린 물건을 걸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상단 고정체(10);
상기 상단 고정체(10)의 하단에 체결되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이 적층형 몸체(22)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차를 갖게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드라잉 랙 유닛(20)이 상기 적층형 몸체(22)에서 제공하는 상단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하단의 적층단(LL)을 이용해 n 개(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순차적으로 접층되어 형성되는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 및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기 드라잉 랙 유닛 집합의 최하단의 적층형 몸체(22)의 적층단(LL)에 상단이 체결되며, 6개의 원판 굴절형 받침 유닛(31)이 병렬로 원형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모여서 형성되는 하단 받침체(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A top fixing body 10 for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a shape of a hook is formed such that an end of the hook is directed from the uppermost end to a lower end so as to allow the object with the handle to be inserted through an opening area formed by the lower end of the hook-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ed hanging ends 22-1, 22-2, 22-3 and 22-4 ar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body 10, (LL)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drawing rack unit 20, which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provided by the laminated body 22, and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re successively stacked one upon the other; And
The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lamination end LL of the laminated body 22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et of the drawing rack units which are stacked and formed, and the six disc refraction type supporting units 31 are formed in a round shape A lower support body (3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는,
수직면 상에서 상단으로부터 홀수 번째에 위치하는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와, 상단으로부터 짝수 번째에 위치하는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drying rack unit assembly (20a) positioned at an odd-numbered position from an upper side on a vertical plane, and a second drying rack unit assembly (20b) positioned at an even-numbered position from the upper si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는 동일한 수평상의 위치에 배열되며,
상기 제 2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b)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는 동일한 수평상의 위치에 배열되되, 상기 제 1 드라잉 랙 유닛 집합체(20a)를 구성하는 드라잉 랙 유닛(20) 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단(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위치와 포개지지 않는 위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ed hanging ends 22-1, 22-2, 22-3 and 22-3 on the drying rack unit 20 constituting the first drying rack unit aggregate 20a, 22-4) are arranged at the same horizontal positi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ed hanging ends 22-1, 22-2, 22-3 and 22-3 on the drawing rack unit 20 constituting the second drying rack unit assembly 20b, 22-4 are arranged at the sam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s on the drying rack unit 20 constituting the first drying rack unit assembly 20a, Are arranged in positions that do not overlap with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hanging stages (22-1, 22-2, 22-3, and 22-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라잉 랙 유닛(20)은,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22-2, 22-3 및 22-4)가 각각 체결되기 위한 4개의 체결단(cu)을 구비하는 적층형 몸체(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rawing rack unit (20)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 type hanging legs 22-1, 22-2, 22-3, and 22-4 are fastened to four A laminated body (21) having a fastening end (cu);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단(cu) 각각은,
상기 적층형 몸체(21)를 이루는 원통형 형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85˚ 내지 90˚ 각도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원통형 형상의 외주면 상에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22-2, 22-3 및 22-4)과 체결되며,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22-2, 22-3 및 22-4)이 상향으로 접혀지기 위한 체결 홈이 넓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2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5.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each of the fastening ends (cu)
Second,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n angle of 85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a center axis of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laminated body 21, and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p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type hooking legs 22-1, 22-2 and 22-4 fastened with the four round hooking legs 22-1, 22-2, 22-3 and 22-4, , 22-3, and 22-4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by two fastening grooves for folding upwar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몸체(21)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 차등형으로 형성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은,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0˚ 내지 98˚ 각도로 접혀져서, 상부에 걸려지는 물체의 길이과 넓이에 따라 4개 중 필요한 개수만 펼쳐져서 사용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 type hanging tips 22-1 to 22-4 formed in a height differential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cked body 21 have a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Folded upward at an angle of 0 deg. To 98 deg. So that only the required number of the four pieces is unfolded according to the length and width of the object hanging on the upper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은,
측면의 t1점을 기준으로 상기 적층형 몸체(21)의 체결단(cu)과 근접하게 형성되는 길이 K1 및 곡률 u1을 갖는 제 1 측면 곡선, 그리고 상기 t1점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단(cu)과 원거리에 형성되는 길이 K2 및 곡률 u2를 갖는 제 2 측면 곡선으로 구분되며, 상기 K1과 상기 K2의 비례 관계인 상기 K1 : 상기 K2는 1.2 내지 1.3 : 1으로 형성되며, 상기 u1과 상기 u2의 비례 관계인 상기 u1 : 상기 u2는 1 : 1.13 내지 1.1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7.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 type hanging legs (22-1 to 22-4)
A first side curved line having a length K1 and a curvature u1 formed close to the clamping end cu of the laminated body 21 with respect to the t1 side of the side surface, And a second side curve having a length K2 and a curvature u2 formed at a long distance, wherein K1: K2, which i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K1 and K2, is formed to be 1.2 to 1.3: 1, and u1 and u2 are proportional Wherein the u1: u2 is 1: 1.13 to 1.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은,
상부면상에서 전단에서 후단으로 유선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체결단(cu)의 체결 홈으로 삽입되는 2개의 삽입체가 대칭형으로 반대를 보는 형태로 형성된 접합단(c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 type hanging legs (22-1 to 22-4)
Characterized in that a joining end (cc) formed in a streamlined frame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n the upper surface and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two inserts inserted into the joining recesses of the upper body cu are symmetrically inverted, Rack assembly structur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선형의 프레임은,
중앙을 균분한 균분선(c)을 기준으로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선형의 프레임을 갖는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라운드형 걸이식단(22-1 내지 22-4) 각각은,
전단 중앙 전단 p1 점을 기준으로 길이 L1, 곡률 R1을 갖는 제 1 평면상 곡선, 제 1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2점을 기준으로 길이 L2, 곡률 R2를 갖는 제 2 평면상 곡선, 제 2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3점을 기준으로 길이 L3, 곡률 R3를 갖는 제 3 평면상 곡선, 그리고 제 3 평면상 곡선이 끝나는 p4점부터 중앙 후단 p5점까지 이루어진 길이 L4, 곡률 R4를 갖는 제 4 평면상 곡선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center line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equilibrium line c,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 type hanging legs (22-1 to 22-4) having the streamlined frame,
A first plane-shaped curve having a length L1 and a curvature R1 based on the front-end center shear point p1, a second plane-shaped curve having a length L2 and a curvature R2 based on a point p2 at which the curve on the first plane ends, A third planar curve having a length L3 and a curvature R3 based on a point p3 at which the curve ends, and a fourth planar curve having a length L4 and a curvature R4 from a point p4 at which the third plane- An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길이 L1, 상기 길이 L2, 상기 길이 L3, 상기 길이 L4는,
1.7 내지 1.8 : 6.7 내지 6.9 : 10.1 내지 10.3 : 1의 크기 비율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The method of claim 9,
The length L1, the length L2, the length L3, and the length L4 are,
1.7 to 1.8: 6.7 to 6.9: 10.1 to 10.3: 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곡률 R1, 상기 곡률 R2, 상기 곡률 R3 및 상기 곡률 R4 간의 크기 관계는 R4 > R1 > R2 > R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잉 랙 어셈블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 magnitud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vature R1, the curvature R2, the curvature R3, and the curvature R4 is R4>R1>R2> R3.
KR2020130004129U 2013-05-24 2013-05-24 Drying rack assembly structure KR20047471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129U KR200474715Y1 (en) 2013-05-24 2013-05-24 Drying rack assembly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129U KR200474715Y1 (en) 2013-05-24 2013-05-24 Drying rack assembly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715Y1 true KR200474715Y1 (en) 2014-10-07

Family

ID=5200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129U KR200474715Y1 (en) 2013-05-24 2013-05-24 Drying rack assembly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715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4409A (en) * 2004-07-23 2006-02-09 Arakawa Kinzoku Kk Support apparatus
KR100987336B1 (en) * 2008-07-10 2010-10-18 박지호 Cloth Dry Hanger
JP2012165825A (en) * 2011-02-10 2012-09-06 Aisen:Kk Clothes dry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4409A (en) * 2004-07-23 2006-02-09 Arakawa Kinzoku Kk Support apparatus
KR100987336B1 (en) * 2008-07-10 2010-10-18 박지호 Cloth Dry Hanger
JP2012165825A (en) * 2011-02-10 2012-09-06 Aisen:Kk Clothes dry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95740U (en) But clothes hanger dries in air in open air of height -adjusting and extension length
CN2925227Y (en) Movable wardrobe
KR200474715Y1 (en) Drying rack assembly structure
KR101269840B1 (en) Folding type drying hanger
CN204500121U (en) Rotary Carpet-displaying stand
CN205267464U (en) Adjustable structure wardrobe
CN202945462U (en) Warm wind clothes dryer
CN204273745U (en) Tree-shaped bookshelf
CN211021666U (en) Balcony storage cabinet with hidden clothes hanger
CN203021821U (en) Clothes dryer frame and outer cover applied by same
KR101327143B1 (en) Folding type drying hanger using the magnet
CN2907382Y (en) Sectional cabinet
CN204507897U (en) A kind of nonwoven fabrics storage rack
CN211199796U (en) Drawable floor clothes hanger
CN209315480U (en) A kind of split type absorption clothes hanger structure
CN202234615U (en) Novel trousers rack
CN204635519U (en) A kind of Novel steel bookshelf
CN201468897U (en) Foldable portable coat hanger
CN203633937U (en) Shoe hanging hook frame capable of saving space
KR20130002074U (en) Drying Rack
CN202020250U (en) Clothes hanger with clamps
CN201738153U (en) Clothes hanger
CN205617115U (en) Frame is shone to turriform
CN218115913U (en) Telescopic top-to-bottom clothes hanger
CN202043902U (en) Folding bed la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