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669Y1 - 부력을 갖는 수영복 - Google Patents

부력을 갖는 수영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669Y1
KR200474669Y1 KR2020140002960U KR20140002960U KR200474669Y1 KR 200474669 Y1 KR200474669 Y1 KR 200474669Y1 KR 2020140002960 U KR2020140002960 U KR 2020140002960U KR 20140002960 U KR20140002960 U KR 20140002960U KR 200474669 Y1 KR200474669 Y1 KR 200474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mwear
buoyancy
fabric
foam
swims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2020140002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669Y1/ko
Priority to US15/303,739 priority patent/US20170027244A1/en
Priority to PCT/KR2015/003702 priority patent/WO2015160163A1/ko
Priority to EP15779495.9A priority patent/EP3132699A4/en
Priority to JP2016563105A priority patent/JP2017514031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A41D7/001Non-sinkable swim-suits, drawers or trunks
    • A41D7/003Non-sinkable swim-suits, drawers or trunks provided with inflatabl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A41D7/001Non-sinkable swim-suits, drawers or trun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력을 갖는 수영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영복 상의와 수영복 하의가 일체로 형성된 수영복에 있어서, 상기 수영복 상의의 전면에 수영복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퍼가 구비되고, 상기 수영복 상의 전면의 지퍼 양측으로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영복 상의 후면 일부에도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영복 하의 전면 및 후면의 다리 부분 일부에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부력재는 제1원단과 제2원단 사이에 발포체가 개재되어 상기 제1원단과 제2원단이 재봉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1원단과 제2원단은 네오프렌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영복의 부력이 크면서도 수영자의 신체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고 착용이 용이하여, 수영 초보자나 어린 아이들이 수영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 아이들이나 장애인 등 수영을 잘하지 못하는 사용자의 익수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력을 갖는 수영복{SWIMMING SUIT HAVING A BUOYANCY}
본 고안은 부력을 갖는 수영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영복의 전면 가슴부분, 후면 등 부분, 다리부분의 전, 후면에 부력재를 다수 개 내장시킴으로써, 수영복이 부력을 갖도록 하여 초보자 및 어린 아이들도 쉽게 수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놀이를 할 때 착용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영복은 단순히 직물로만 구성이 되어 있으며, 물속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그 중량이 더해지고 부력이 약화되어 수영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 초심자 및 어린 아이들의 경우는 신체의 부력균형이 파괴되는 경우 물속으로 침몰 되어 구강 및 비강을 통하여 물을 먹게 되는 관계로 물에 대한 공포 속에서 수영을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물에 대한 공포로 인하여 수중에서 더욱 부력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신체가 자유롭지 못한 장애인의 경우, 물속에서 활동하면 잠시 중단되어 있던 근육들을 움직이기 때문에 근육장애로 인한 장애인을 물속에 일정시간 운동시켜 왔으나, 이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장애인들이 물속에 들어가는 것을 두려워하여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수영을 배우고자 하는 자, 초심자, 어린 아이 및 장애인에게 부력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었으며, 그 결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6-9920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4-2680호에서와 같이, 수영복에 공기주머니를 내장하는 방법이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공기주머니를 갖는 수영복은, 흉부의 전, 후와 하복부 및 둔부 등의 각 부분에 합성수지재로 된 신축가능한 주머니층을 속에 두고, 그 외면과 내면에 각각 천으로 된 외피 및 내피가 피복되도록 하면서 각각의 둘레를 고주파 접합한 다수의 공기주머니를 형성하였으나, 이와 같이 공기주머니를 갖는 수영복의 경우는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를 하나 이상 설치하여야 하며, 매 착용시마다 공기를 주입하고 또 탈의시에는 공기를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영도중 공기주입구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 해서 수영복의 부력을 믿고 수영을 즐기는 수영자의 목숨을 위태롭게 하는 경우도 있으며, 수영시에도 공기주머니가 부풀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물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218542호에서는, 0.5~1mm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수지시트를 적어도 5겹 이상 적층하여 수영복 전면부의 내 외피 사이와 배면부의 내 외피 사이에 각각 삽입 구성하되, 상기 수영복의 내 외피는 신축성 있는 스판텍스류로 구성하여 착용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삽입된 시트층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내피에만 일부 박음질하여 그 유동이 없으면서도 상기 내 외피의 신축작용을 간섭하지 않게 구성한 부력을 갖도록 하였으나, 수영복의 전면 및 배면 전체에 걸쳐 폴리에틸렌 발포수지시트가 적용됨으로써, 수영복의 착용 후 움직임이 용이하지 못하고, 수영복이 전체적으로 몸에 달라붙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KR 10-1996-0009920 A KR 20-1994-0002680 Y1 KR 20-218542 Y1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부력을 갖는 수영복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 하의 일체형 수영복에 다수개의 부력재를 내장시키되, 수영복 전체가 아닌, 가슴, 등, 다리의 일부에만 부력재를 내장시킴으로써, 수영시 부력재가 신체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부력재로서 폴리에틸렌 발포체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를 이용함으로써, 착, 탈시 별도의 공기주입이 필요치 않고, 부력재로 인해 물의 저항을 많이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수영자의 체온유지를 도울 수 있도록 하는 부력을 갖는 수영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력을 갖는 수영복은, 수영복 상의와 수영복 하의가 일체로 형성된 수영복에 있어서, 상기 수영복 상의의 전면에 수영복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퍼가 구비되고, 상기 수영복 상의 전면의 지퍼 양측으로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영복 상의 후면 일부에도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영복 하의 전면 및 후면의 다리 부분 일부에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부력재는 제1원단과 제2원단 사이에 발포체가 개재되어 상기 제1원단과 제2원단이 재봉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1원단과 제2원단은 네오프렌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원단은 수영복 상의와 수영복 하의 전체를 구성하며, 상기 제2원단은 상기 부력체가 내장된 부분에만 구비되어 상기 부력재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원단은 수영복 상의와 수영복 하의 전체를 구성하며, 상기 제2원단도 수영복 상의와 수영복 하의 전체를 구성하여, 수영복이 전체적으로 2겹의 네오프렌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체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발포체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발포체로 되며, 그 두께는 10~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체는 상기 수영복 상의의 후면에 구비되는 발포체가 상기 수영복 상의 전면에 구비되는 발포체 보다 그 두께가 더 두껍고, 상기 수영복 하의 후면에 구비되는 발포체가 상기 수영복 하의의 전면에 구비되는 발포체 보다 그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영복의 부력이 크면서도 수영자의 신체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고 착용이 용이하여, 수영 초보자나 어린 아이들이 수영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 아이들이나 장애인 그리고 수영 초심자 등 수영을 잘하지 못하는 사용자의 익수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영복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영복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영복의 후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수영복 상의 몸통부분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부력재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용 수영복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여성용 수영복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부력을 갖는 수영복은 공기주머니를 이용하지 않고, 발포체로 되는 부력재를 이용함으로써, 종래 공기주머니의 문제점인 착의 및 탈의시의 번거로움 및 물의 저항이 높은 것을 해소한 것이며, 부력재를 수영복 전체에 걸쳐 구비시키는 것이 아니고, 수영복의 일부분에만 구비시키더라도 높은 부력을 가지면서 사용자의 신체 활동을 제한하지 않는 부력을 갖는 수영복을 제안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수영복은 수영복 상의의 전면에 수영복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퍼가 구비되고, 상기 수영복 상의 전면의 지퍼 양측으로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영복 상의 후면 일부에도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영복 하의 전면 및 후면의 다리 부분 일부에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부력재는 제1원단과 제2원단 사이에 발포체가 개재되어 상기 제1원단과 제2원단이 재봉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1원단과 제2원단은 네오프렌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높은 부력을 가지면서도 신체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고, 착용이 용이하며, 수영 초보자나 어린 아이들이 수영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수영복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영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영복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영복의 후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수영복은 수영복 상의(10)의 수영복 하의(20)가 일체로 형성된 슈트 형태이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대표적인 예로서 반팔 상의와 반바지 하의로 되는 수영복을 도시하였지만, 긴팔 상의와 긴바지 하의, 민소매 상의와 반바지 하의, 민소매 상의와 긴바지 하의로 되는 수영복에 본 고안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수영복 상의(10) 전면 중앙에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퍼(11)가 구비되어, 수영복의 착용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퍼(11)는 전면에 구비되는 것이 아닌 후면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위치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착용의 용이성을 위하여 후면이 아닌 전면에 지퍼(11)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수영복은 수영복 상의(10) 및 수영복 하의(20)의 일부분에 부력을 발생시켜주는 부력재(30)가 다수 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바,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서 수영복 상의(10)의 지퍼(11) 양측으로 가슴 부분에 부력재(3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영복 상의(10) 후면 일부(사용자의 신체를 기준으로 할 경우 등의 상부)에도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30)가 구비된다.
또한, 수영복 하의(20)의 전면 및 후면의 다리 부분(21) 일부에도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력재(30)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수영복 전, 후면에 걸쳐 7개의 부력재(30)가 구비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부력재(30)를 수영복 전체에 걸쳐 구비시키지 않고, 일부분에만 구비시키는 이유는, 부력재(30)가 수영복 전체에 걸쳐 구비될 경우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이 부력재(30)에 의해 제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수영복 원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부력재(30)가 수영복 전체에 걸쳐 구비될 경우, 수영복이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지 않아 물의 저항이 발생하며, 착용감 또한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제한을 주지 않는 부위인 수영복 상의(10)의 가슴에 2피스, 등에 1피스를 구비시키고, 수영복 하의(20)의 다리 부분(21)의 전, 후면 각각에 4피스를 구비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영복 하의(20)의 다리 부분(21)에 구비되는 부력재(30)는 관절 부분이 아닌 허벅지 앞쪽 및 뒤쪽 부분에 부력재(30)가 맞닿도록 구비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부력재(30)는 종래와 같이 공기주머니의 형태가 아닌, 발포체(31)를 이용하여서 형성하는데, 공기주머니의 형태일 경우 앞서 충분히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구의 형성, 착, 탈의 시 매번 공기를 주입하거나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므로, 가벼운 재질의 발포체(31)를 이용하여 부력재(30)를 구성한다.
그리고 도 4의 수영복 상의 몸통부분의 횡단면도에서와 같이, 상기 부력재(30)는 제1원단(1)과 제2원단(2)의 사이에 발포체(31)가 개재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원단(1)은 수영복 상의(10)와 수영복 하의(20)를 구성하는 기본 원단이며, 상기 제2원단(2)은 발포체(31)를 내장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추가 원단이다. 여기서, 상기 제1원단(1)과 제2원단(2)은 서로 재봉됨으로써, 재봉선(40)에 의해 내장된 발포체(31)가 유동 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원단(1)과 제2원단(2)으로는 네오프렌 원단이 사용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네오프렌(neoprene)은 클로로프렌의 중합체로 되는 합성 고무의 상표명이다. 상기 네오프렌의 내부에는 많은 기공이 균일하게 존재하는데, 네오프렌의 중요한 특징은 훼손에 강하고 탄력적이며, 장시간의 대기 노출이나 열에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수영복을 구성할 경우 보온력이 매우 우수하게 되고, 부력을 갖게 되며, 피부에 밀착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네오프렌의 양면에 나일론을 라미네이트 하여서 되는 원단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네오프렌과 나일론을 라미네이트 할 경우 내구성이 더욱 우수해지며, 착용감이 더욱 좋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부력을 갖는 원단인 네오프렌으로서 수영복을 구성함은 물론, 다수개의 부력재(30)가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어떠한 수영복보다 높은 부력을 갖게 되어 수영 초심자나 어린 아이 그리고 장애인도 물에서 안정적으로 부유될 수 있어, 각종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수영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며, 우수한 보온력으로 인해 장시간 수영하더라도 체온이 낮아질 염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수영에 숙련된 건강한 성인 남녀의 경우도 수영장이 아닌 바다나 강에서 수영할 경우, 부력에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수영복을 착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1원단(1)과 제2원단(2)의 두께를 제한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3mm정도로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제한을 주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원단(1)과 제2원단(2)이 2mm보다 얇을 경우 보온력 및 부력이 좋지 못하게 되고 내구성이 약하게 되며, 3mm보다 두꺼울 경우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원단(1) 및 제2원단(3)의 두께는 2~3mm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착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영복 상의(10) 및 하의(20)의 몸통부분은 압축비가 높아 보온력이 우수한 고밀도의 네오프렌을 사용하고, 수영복 상의(10)의 팔 및 하의(20)의 다리부분은 상대적으로 압축비가 낮아 신축성이 좋은 저밀도의 네오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영복 상의(10)는 압축비가 높은 고밀도의 네오프렌으로 구성하고, 수영복 하의(20)는 압축비가 낮은 저밀도의 네오프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아울러,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2원단(2)이 발포체(31)가 개재된 부위에만 구비되는 것이 아닌, 상기 제2원단(2)도 제1원단(1)과 같이, 수영복 상의(10)와 수영복 하의(20) 전체를 구성하여 수영복이 전체적으로 2겹의 네오프렌으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역시 제1원단(1)과 제2원단(2)은 재봉을 통해 재봉선(40)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체적으로 2겹의 원단으로 수영복을 구성할 경우, 제1원단(1)과 제2원단(2)의 두께를 얇은 것, 즉 2mm 이내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부력재(30)를 구성하는 발포체(31)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발포체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PVA) 발포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2가지 발포체를 혼용하여 수영복 상의(10) 부분에는 PE 발포체를 수영복 하의(20) 부분에는 EVA 발포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PE 발포체 및 EVA 발포체 모두는 내부에 기공이 많이 형성되어 부력이 높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경량이므로 수영복의 부력재(30)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포체(31)의 두께는 10~100mm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발포체(31)의 두께가 10mm 보다 적을 경우 부력이 높지 않아 부력재로서의 효과가 미미하고, 100mm를 초과할 경우 너무 두꺼워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고, 물의 저항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상기 부력체(31)를 각 부위별로 다양한 두께를 적용할 수도 있는데, 신체 움직임의 용이성, 수영 영법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수영복 상의(10)의 후면에 구비되는 발포체(31)가 상기 수영복 상의(10) 전면에 구비되는 발포체(31) 보다 그 두께가 더 두껍고, 상기 수영복 하의(20) 후면에 구비되는 발포체(31)가 상기 수영복 하의(20)의 전면에 구비되는 발포체(31) 보다 그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 수영복 상의(10)의 후면 등 부분의 경우 50~100mm의 발포체(31)를 사용하고, 수영복 상의(10) 전면 가슴 부분의 경우 10~20mm의 발포체(31)를 사용하며, 수영복 하의(20) 다리 부분의 전면에는 10~20mm의 발포체(31)를 사용하고, 수영복 하의(20) 다리 부분의 후면에는 20~50mm의 발포체(31)를 사용할 경우, 높은 부력을 유지하면서도 신체 움직임이 더욱 자유로울 수 있으며, 물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발포체(31)로는 순수한 PE 발포체나 PVA 발포체만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발포체(31)의 항균성을 위해 은나노 입자 또는 숯 분말을 사용하거나, 방향성(냄새 제거)를 위해 녹차 분말을 사용하여 발포체(3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은나노 입자, 숯 분말 및 녹차 분말 중 1종 이상으로 되는 기능성 분말(32)이 발포체(31)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의 것을 부력재(30)에 적용할 경우, 부력재(30)의 항균성이 유지되고,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분말(32)을 발포체(31) 내부에 균일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발포체(31)의 발포시 상기 기능성 분말(32)을 PE수지나 EVA수지에 균일하게 분산한 뒤 발포시키면 되는 것으로, 상기 기능성 분말(31)은 발포체(31) 내에 1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은나노 입자의 경우 60~180nm 정도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숯 분말 및 녹차 분말의 경우도 10~100㎛ 정도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은나노 분말, 숯 분말 및 녹차 분말이 아닌 기타의 기능성 분말이 추가로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 고안에서는 PE 발포체나 EVA 발포체를 예로 하여 부력재(30)를 구성하도록 설명하였으나, 다른 종류의 발포체(31)를 이용하여 부력재(30)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고안의 수영복은 어린이들에게도 적합한 형태로서, 수영을 못해 물을 무서워하여 수영에 흥미를 갖지 못하는 어린이들에게는 상기 가슴, 등, 다리 부위에 구비되는 각 부력재(30)의 모양을 하트, 별 더 나아가 아이들에게 인기 있는 캐릭터 형태로 제조하여 구비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7과 같이, 수영복 상의(10)의 가슴 부분은 하트 모양의 부력재(30)를 구비시키고, 수영복 하의(20)의 다리 부분은 별 모양의 부력재(30)를 구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경우 수영복이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쉽게 착용 의사를 내비치며, 이러한 수영복에의 흥미가 수영의 흥미로 이어질 수 있어 어린 아이들의 수영강습이 쉬워 진다.
또한, 여성의 경우 종래 수영복 안에 별도의 브라 캡을 착용하여 가슴을 감싸도록 하였으나, 브라 캡으로 인해 수영복의 착용이 번거롭고, 수영 시 답답한 느낌이 유발되었는바, 본 고안의 경우 도 8과 같이, 여성용 수영복으로서, 상기 수영복 상의 전면(10)의 지퍼(11) 양측에 구비된 부력재(30)가 여성의 가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브라 캡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슴 부분의 부력재(30)를 여성의 가슴선에 맞춰 중앙부분을 반구 형상의 브라 캡의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가슴 부분의 부력재(30)가 수영복의 브라 캡 역할을 해주도록 하여 수영복 내에 별도의 브라 캡을 착용할 필요성이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부력재(30)를 브라 캡의 형상으로 구성한다는 것은, 내부의 발포체(31)를 브라 캡의 형상으로 구성한다는 의미로서, 상기 제1원단(1)은 신축성이 있는 원단이므로 착용시 늘어나 여성의 가슴 부분에 밀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형상을 제한할 필요가 없는 것이며, 상기 제2원단(2)은 상기 발포체(31)를 감싸 제1원단(1)과 함께 상기 발포체(31)를 내장할 수 있는 형태면 족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수영복 상의(10)와 하의(20)가 일체로 형성된 수영복만을 예로 하였으나, 수영복 상의(10)와 하의(20)가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수영복 상의(10)에만 부력재(20)를 구비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그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제1원단 2: 제2원단
10: 수영복 상의 11: 지퍼
20: 수영복 하의 21: 다리 부분
30: 부력재 31: 발포체
32: 기능성 분말

Claims (5)

  1. 수영복 상의(10)와 수영복 하의(20)가 일체로 형성된 수영복에 있어서,
    상기 수영복 상의(10)의 전면에 수영복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퍼(11)가 구비되고, 상기 수영복 상의(10) 전면의 지퍼(11) 양측으로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영복 상의(10) 후면 일부에도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30)가 구비되고,
    상기 수영복 하의(20) 전면 및 후면의 다리 부분(21) 일부에 부력을 발생시켜 주는 부력재(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부력재(30)는 제1원단(1)과 제2원단(2) 사이에 발포체(31)가 개재되어 상기 제1원단(1)과 제2원단(2)이 재봉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발포체(31)는 상기 수영복 상의(10)의 후면에 구비되는 발포체(31)가 상기 수영복 상의(10) 전면에 구비되는 발포체(31) 보다 그 두께가 더 두껍고,
    상기 수영복 하의(20) 후면에 구비되는 발포체(31)가 상기 수영복 하의(20)의 전면에 구비되는 발포체(31) 보다 그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수영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은 수영복 상의(10)와 수영복 하의(20) 전체를 구성하며,
    상기 제2원단(2)은 상기 발포체(31)가 내장된 부분에만 구비되어 상기 부력재(3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수영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은 수영복 상의(10)와 수영복 하의(20) 전체를 구성하며, 상기 제2원단(2)도 수영복 상의(10)와 수영복 하의(20) 전체를 구성하여, 수영복이 전체적으로 2겹의 네오프렌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수영복.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30)의 발포체(31)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발포체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발포체로 되며,
    그 두께는 10~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수영복.
  5. 삭제
KR2020140002960U 2014-04-14 2014-04-14 부력을 갖는 수영복 KR200474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60U KR200474669Y1 (ko) 2014-04-14 2014-04-14 부력을 갖는 수영복
US15/303,739 US20170027244A1 (en) 2014-04-14 2015-04-14 Buoyant swimsuit
PCT/KR2015/003702 WO2015160163A1 (ko) 2014-04-14 2015-04-14 부력을 갖는 수영복
EP15779495.9A EP3132699A4 (en) 2014-04-14 2015-04-14 Buoyant swimsuit
JP2016563105A JP2017514031A (ja) 2014-04-14 2015-04-14 浮力を有する水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60U KR200474669Y1 (ko) 2014-04-14 2014-04-14 부력을 갖는 수영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669Y1 true KR200474669Y1 (ko) 2014-10-10

Family

ID=5199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960U KR200474669Y1 (ko) 2014-04-14 2014-04-14 부력을 갖는 수영복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027244A1 (ko)
EP (1) EP3132699A4 (ko)
JP (1) JP2017514031A (ko)
KR (1) KR200474669Y1 (ko)
WO (1) WO20151601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939B1 (ko) * 2015-06-26 2016-01-18 (주)새마 탈부착 방식의 부력 작업복
KR200485519Y1 (ko) * 2016-08-31 2018-01-19 박용준 지퍼를 구비한 수영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99788S1 (en) * 2016-04-19 2017-10-17 Mylitta Butler Swimwear apparatus
USD818244S1 (en) * 2017-08-10 2018-05-22 Mylitta Butler Swimwear apparatus
USD818243S1 (en) * 2017-08-10 2018-05-22 Mylitta Butler Swimwear apparatus
USD812855S1 (en) * 2017-08-10 2018-03-20 Mylitta Butler Swimwear apparatus
USD815798S1 (en) * 2017-08-10 2018-04-24 Mylitta Butler Swimwear apparatus
JP7363046B2 (ja) * 2019-02-15 2023-10-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水泳補助具
USD1002993S1 (en) 2021-04-02 2023-10-31 Assos Of Switzerland Gmbh Internal seat pad of a sports garment
US20230276866A1 (en) * 2022-03-07 2023-09-07 Rojan John Pappady Floating Swimwe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542Y1 (ko) 2000-11-02 2001-04-02 주식회사두비젼 부력을 갖는 수영복
JP2003239116A (ja) 2002-02-15 2003-08-27 Kenji Hanami 衣 服
JP2012202007A (ja) * 2011-03-25 2012-10-22 Foot Mark Kk クロール練習用水着
US8591275B2 (en) * 2010-12-14 2013-11-26 Dennis James Gonsalves Water sport flotation gar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4506A (en) * 1944-04-07 1945-04-24 Schorovsky Agnes Buoyant apparel
US2775776A (en) * 1952-06-27 1957-01-01 Shaw Mark Buoyant garment
US4397636A (en) * 1981-02-10 1983-08-09 Ganshaw Samuel H Body surfing shirt
US5022878A (en) * 1988-09-02 1991-06-11 Casad Manufacturing Corp. Wet suit style personal flotation device
US5459874A (en) * 1989-03-19 1995-10-24 Patti Gilmer Construction of flotation swimsuits
US5013271A (en) * 1990-08-08 1991-05-07 Bartlett Thomas C Buoyant body surfing suit
AU714361B2 (en) * 1998-01-19 1999-12-23 Drif, Ann Swimwear
US6971935B1 (en) * 1999-11-08 2005-12-06 Future Products Corporation Flotation swimsuit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KR200304371Y1 (ko) * 2002-11-28 2003-02-17 권혁만 부력을 갖는 수영복
ES1077377Y (es) * 2012-06-28 2012-10-09 Gomez Julian Huertas Banador flotan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542Y1 (ko) 2000-11-02 2001-04-02 주식회사두비젼 부력을 갖는 수영복
JP2003239116A (ja) 2002-02-15 2003-08-27 Kenji Hanami 衣 服
US8591275B2 (en) * 2010-12-14 2013-11-26 Dennis James Gonsalves Water sport flotation garment
JP2012202007A (ja) * 2011-03-25 2012-10-22 Foot Mark Kk クロール練習用水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939B1 (ko) * 2015-06-26 2016-01-18 (주)새마 탈부착 방식의 부력 작업복
KR200485519Y1 (ko) * 2016-08-31 2018-01-19 박용준 지퍼를 구비한 수영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4031A (ja) 2017-06-01
EP3132699A1 (en) 2017-02-22
EP3132699A4 (en) 2017-11-29
US20170027244A1 (en) 2017-02-02
WO2015160163A1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669Y1 (ko) 부력을 갖는 수영복
US3344449A (en) Swimming device of mermaid shape
US9993689B1 (en) Aquatic body cover for use with a monofin
WO2000001259A1 (en) Swimwear with floatation members
CN108043003A (zh) 带有综合浮力设备的用于游泳训练的游泳衣
US5516320A (en) Recreational floatation device
JP3150330U (ja) 水中運動用補助具
CN102837810A (zh) 救生衣兼用坐垫
JP2003239116A (ja) 衣 服
US3023433A (en) Buoyant bathing and swim suit
CN210988405U (zh) 一种美人鱼服饰的鱼尾结构
CN208176057U (zh) 一种游泳裤
KR200304371Y1 (ko) 부력을 갖는 수영복
CN204540876U (zh) 一种充气泳衣
CN104760675A (zh) E-tpu救生服装
CN204568022U (zh) E-tpu救生服装
KR20140140532A (ko) 어린이용 튜브 겸용 구명 자켓
KR100463941B1 (ko) 부력을 갖는 수영복 및 그 제조방법
JP3236928U (ja) 水泳用の腰パット
JP3196479U (ja) 水泳用補助具
KR200435063Y1 (ko) 부력을 갖는 수영복
CN202783739U (zh) 一种新型儿童救生圈
CN109171049A (zh) 一种可以水面仰卧的浮力泳衣
CN208176042U (zh) 一种女士泳裙
CN207040948U (zh) 一种提高穿着舒适度的穿戴式儿童游泳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