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358Y1 -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 Google Patents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358Y1
KR200474358Y1 KR2020140003628U KR20140003628U KR200474358Y1 KR 200474358 Y1 KR200474358 Y1 KR 200474358Y1 KR 2020140003628 U KR2020140003628 U KR 2020140003628U KR 20140003628 U KR20140003628 U KR 20140003628U KR 200474358 Y1 KR200474358 Y1 KR 200474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xcavator
underground
shap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식
Original Assignee
정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식 filed Critical 정문식
Priority to KR2020140003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3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3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이 고안의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은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가 지중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모서리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굴착기의 삽날이 다각도에서 걸릴 수 있도록 상부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다양한 종류의 다수개씩의 걸림턱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삽날이 걸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다수개의 삽날 유도홀, 및 상기 굴착기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눠질 수 있도록 분리 라인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절단홀, 또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호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 고안은 굴착시에 굴착기의 삽날에 용이하게 걸리는 구조를 가질뿐만 아니라 굴착기의 외력에 의해 조각으로 분리가 가능해 굴착기의 운전자에게 지중선로의 매설위치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Protect plate for subterranean line}
이 고안은 지중선로의 매설위치의 표시 및 지중선로를 보호하는 보호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시에 굴착기의 삽날에 용이하게 걸리는 구조를 가질뿐만 아니라 굴착기의 외력에 의해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가 가능해 굴착기의 운전자에게 지중선로의 매설위치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및 상업지구의 도로 지중에는 지중선로로서, 송배전 전선이 수용된 전선관, 가스배관, 상하수도관 등이 매설되어 있다. 이런 지중선로를 지중에 매설되는 이유는 안전성 및 내구성 때문이며, 지중에 장시간 동안 매설된 지중선로는 자체 노후에 의한 파손, 선로변경 및 증설 등의 이유에서 보수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지중선로를 보수 및 교체하기 위해서는 지중선로가 매설된 지면을 굴착하여 지중선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에 보수 및 교체작업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굴착작업은 굴착기를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수행하는데, 굴착기에 설치된 버킷의 삽날로 지면을 굴착한다. 이와 같이 굴착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굴착기의 운전자는 지중에 매설된 지중선로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의 감각으로 굴착작업을 수행한다. 운전자가 삽날이 지중선로에 닿는 충격을 감지하면 버킷을 이동시켜 삽날이 지중선로에 닿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굴착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운전자가 지중선로의 위치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굴착작업을 수행하다 보면 굴착기의 삽날이 과도하게 지중선로를 가압하여 지중선로를 파괴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또한 운전자는 지중선로의 매설위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지중선로를 따라 정확한 굴착위치를 설정하기 어려워 수시로 굴착진행방향을 수정하면서 굴착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73328호에는 "지중선로용 보호판"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즉, 이 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구성된 보호판(100)을 지중선로(110)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보호판(100)의 모서리부분에 삼각뿔 형태의 돌출부(120)를 하측으로 형성하여 굴착시 지중선로(110)를 보호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지중선로용 보호판도 버킷의 삽날이 보호판(100)에 닿는 것을 감각으로 느껴서 적절한 굴착 깊이를 파악하여야 하므로, 숙련된 작업자를 필요로 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으며, 굴착시 보호판(100)의 표면이 넓게 노출될 정도로 굴착하지 않으면 작업자가 지중선로(110)의 매설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실수로 과도하게 굴착하는 경우 보호판(100)과 함께 지중선로(11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중에 매설된 보호판(100)의 표면이 흙에 의해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판(100)이 노출되어도 육안식별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야간 작업시 보호판(100)이 있는 곳까지 파내려가도 굴착부위의 그림자 때문에 보호판(100)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73485호에는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구조"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즉, 이 기술은 굴착기에 의해 지중관로 매립지가 굴착되는 경우 방호강판의 표면이 넓게 노출되기 전에 영구자석이 버킷에 딸려 상승하면서 방호강판 상면에 설치된 탄성박판의 나선형절개부가 펼쳐져 작업자에게 지중관로가 매립된 곳임을 알려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기술은 중앙에 영구자석을 갖는 탄성박판의 나선형절개부를 방호강판의 표면에 다수개 갖도록 구성해야 하므로 그 구성관계가 복잡하고, 그로 인해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7332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73485호
따라서, 이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굴착시에 굴착기의 삽날에 용이하게 걸리는 구조를 가질뿐만 아니라 굴착기의 외력에 의해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가 가능해 굴착기의 운전자에게 지중선로의 매설위치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은,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가 지중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모서리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굴착기의 삽날이 다각도에서 걸릴 수 있도록 상부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다양한 종류의 다수개씩의 걸림턱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삽날이 걸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다수개의 삽날 유도홀, 및 상기 굴착기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눠질 수 있도록 분리 라인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분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상기 분리부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의 절단을 돕는 절단홀이나 분리 구성된 상기 플레이트를 서로 간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상기 걸림턱은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걸림턱과, 상기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 걸림턱, 및 상기 다수개의 절단홀이 형성된 주위에 형성되는 경계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 라인은 상기 플레이트가 4개의 조각으로 나눠질 수 있도록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걸림턱은 상기 4개로 나눠질 조각 내에 +자 형태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날 유도홀은 타원형 형태를 갖되 +자 형태의 상기 내부 걸림턱의 주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2개씩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형광물질이 혼합된 재질로 제작되어 굴착기의 불빛에 의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고안은 굴착시에 굴착기의 삽날에 용이하게 걸리는 구조를 가질뿐만 아니라 굴착기의 외력에 의해 조각으로 분리가 가능해 굴착기의 운전자에게 지중선로의 매설위치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보호판을 형광물질이 혼합된 재질을 이용해 사출성형 제작함에 따라, 야간 작업시에도 굴착기의 불빛에 의해 분리된 보호판의 조각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지중선로의 매설위치를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중선로용 보호판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이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이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종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매설된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의 횡단면도이다.
아래에서, 이 고안에 따른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은 다양한 걸림턱(211~213)과 다수개의 삽날 유도홀(214) 및 다수개의 절단홀(215)을 갖는 플레이트(210)와, 플레이트(210)의 사각모서리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부(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10)과 돌출부(2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플레이트(210) 또한 일체로 형성된다.
플레이트(210)는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그 평면에 다양한 종류의 걸림턱(211~213)을 다수개씩 갖는다. 여기서, 걸림턱(211~213)은 굴착시에 굴착기의 삽날이 다각도에서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레이트(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내부 걸림턱(211)과, 플레이트(2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테두리 걸림턱(212), 및 다수개의 절단홀(215)이 형성된 주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경계부 걸림턱(21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걸림턱(211~213)은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의 상하 적재시에 용이한 적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걸림턱(211)은 도 2와 같이 플레이트(210)가 4개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각각의 조각 내에 적어도 1개씩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내부 걸림턱(211)은 굴착기의 삽날이 어느 방향에서나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자 형태로 플레이트(21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부 걸림턱(211)은 플레이트(210)를 전체적으로 보강하는 보강부의 역할도 한다.
테두리 걸림턱(212)은 플레이트(2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굴착기의 삽날이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플레이트(210)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경계부 걸림턱(213)은 도 2와 같이 플레이트(210)가 4개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 이들 간의 경계부인 분리 라인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이들 경계부 걸림턱(213)의 사이에는 절단홀(215)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경계부 걸림턱(213)은 굴착기의 삽날이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플레이트(210)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삽날 유도홀(214)은 플레이트(2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굴착기의 삽날이 끼워져 삽날이 플레이트(210)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삽날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타원형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삽날 유도홀(214)은 굴착기의 삽날이 좌우 어느 방향에서도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타원형의 방향을 달리해 다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자 형태의 내부 걸림턱(211)의 주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2개씩 쌍을 이루어 4쌍의 삽날 유도홀(214)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절단홀(215)은 경계부 걸림턱(213)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굴착기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플레이트(210)가 분리 라인을 따라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절단홀(215)은 분리부의 역할을 한다. 즉, 절단홀(215)은 플레이트(210)에 굴착기의 외력이 가해지면 분리 라인에 형성되는 절단홀(215)의 주변에서 플레이트(210)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작업자가 이러한 조각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돌출부(220)는 플레이트(210)의 각 모서리부에 위치하되 플레이트(210)의 하부방향으로 뾰족하게 절곡된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인 돌출부(220)의 형상을 설명하자면, 돌출부(220)는 이등변삼각형의 형상으로서, 이등변삼각형의 밑변부위는 플레이트(210)의 모따기된 모서리부에 일체형으로 부착된 구조를 가지며, 이등변삼각형의 이등변에는 플레이트(210)의 테두리부가 연장되어 이등변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은 침투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합성수지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양호하며, 특히, 버킷에 의한 충격에 의해 플레이트(210)가 절단홀(215)의 주변에서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연성보다는 경도가 높은 재질인 PE(Polyethylene)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실시예의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은 어느 각도에서나 보호판(200)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210)의 전면과 후면이 동일한 색(예, 노랑)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을 사출성형 제작함에 있어서, 형광물질이 혼합된 재질을 이용해 제작함으로써, 야간 작업시에도 굴착기의 불빛에 의해 분리된 보호판의 조각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이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A)은 플레이트가 연결부에 의해 서로 간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2개의 플레이트(210A)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의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A)과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연결부는 플레이트(210A)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홈(216)과, 플레이트(210A)의 타측에 형성되어 체결홈(216)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체결돌기(217)로 구성된다. 따라서, 연결부는 분리부의 역할을 한다. 한편, 체결홈(216) 및 체결돌기(217)는 외력에 의해 서로 간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면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분리 라인에 플레이트의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다수개의 절곡홈을 형성하고 수직방향에 대해서는 다수개의 연결부를 형성하였으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모두에 대해 다수개의 연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의 설치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이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종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매설된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의 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을 굴착하여 지중선로(300)를 매설한다. 매설된 지중선로(300)의 상부에 일정두께로 흙(300L)을 성토하고, 성토된 흙(300L)의 상부에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 개의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들을 밀착시킨 다음 그 상부에 흙(300H)을 성토한다. 그러면,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의 상부에 성토된 흙(300H)의 토압에 의해 돌출부(220)는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의 하부에 성토된 흙(300L)에 박히게 되고 지면을 다짐으로써, 돌출부(220)는 지중선로(300)와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의 사이에 성토된 흙(300L)에 안정적으로 박혀 위치한다. 이렇게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그 하부에 매설된 지중선로(300)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매설된 지중선로(300)가 노후하여 파손되거나 증설하기 위해서는 굴착기를 이용하여 매설된 지중선로(300)를 따라 굴착하게 되는데, 굴착하는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굴착기의 버킷은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의 상부에 안착된 성토된 흙(300H)을 제거한다.
그런데, 굴착기의 운전자는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의 상면에 성토된 흙(300H)에 의해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을 식별할 수 없으므로,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의 상부에 위치한 흙(300H)을 제거하기 위해 버킷을 운전하다 보면, 버킷이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에 충격을 가해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이 분리되게 된다. 즉, 버킷의 삽날이 걸림턱(211~213)에 걸리거나 삽날 유도홀에 끼워져 버킷의 작은 충격에도 플레이트(210)가 절단홀(215)의 주변에서 절단되어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다. 이렇게 플레이트(210)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조각들로 존재함에 따라 작업자가 이러한 조각들을 쉽게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즉, 굴착기를 운전하는 운전자는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200)의 조각들이 육안으로 확인되면, 그 지점의 일정 깊이에 지중선로(300)가 위치한다는 것을 감지하고 주의하여 굴착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지중선로(30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이 고안의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고안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200 : 지중선로용 분리형 보호판 210 : 플레이트
211 : 내부 걸림턱 212 : 테두리 걸림턱
213 : 경계부 걸림턱 214 : 삽날 유도홀
215 : 절단홀 220 : 돌출부

Claims (5)

  1.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가 지중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모서리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굴착기의 삽날이 다각도에서 걸릴 수 있도록 상부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다양한 종류의 다수개씩의 걸림턱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삽날이 걸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다수개의 삽날 유도홀, 및 상기 굴착기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눠질 수 있도록 분리 라인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분리부를 포함하는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분리부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의 절단을 돕는 다수개의 절단홀이나 분리 구성된 상기 플레이트를 서로 간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다수개의 연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걸림턱과, 상기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 걸림턱, 및 상기 다수개의 절단홀이 형성된 주위에 형성되는 경계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 라인은 상기 플레이트가 4 개의 조각으로 나눠질 수 있도록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걸림턱은 상기 4개로 나눠질 조각 내에 +자 형태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날 유도홀은 타원형 형태를 갖되 +자 형태의 상기 내부 걸림턱의 주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2개씩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형광물질이 혼합된 재질로 제작되어 굴착기의 불빛에 의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KR2020140003628U 2014-05-09 2014-05-09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KR200474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628U KR200474358Y1 (ko) 2014-05-09 2014-05-09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628U KR200474358Y1 (ko) 2014-05-09 2014-05-09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358Y1 true KR200474358Y1 (ko) 2014-09-05

Family

ID=5200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628U KR200474358Y1 (ko) 2014-05-09 2014-05-09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3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13B1 (ko) * 2016-03-17 2016-10-24 (주) 이우티이씨 연결 가능한 지중선로 보호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083B1 (ko) 2006-04-07 2006-07-24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내의 지중선로의 보호장치
KR100655460B1 (ko) 2006-09-22 2006-12-11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송배전용 케이블 보호 구조물
KR100667007B1 (ko) 2006-10-04 2007-01-12 (주)원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의 지중케이블 방호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083B1 (ko) 2006-04-07 2006-07-24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내의 지중선로의 보호장치
KR100655460B1 (ko) 2006-09-22 2006-12-11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송배전용 케이블 보호 구조물
KR100667007B1 (ko) 2006-10-04 2007-01-12 (주)원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의 지중케이블 방호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13B1 (ko) * 2016-03-17 2016-10-24 (주) 이우티이씨 연결 가능한 지중선로 보호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5707B (zh) 铲斗前缘保护组件及用于该铲斗前缘保护组件的前缘适配器
US201601775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ty maintenance
US6945731B1 (en) Subterranean utility marker
KR100673542B1 (ko) 지중케이블 보호구조
CN107923157B (zh) 用于作业工具的边缘保护的护罩套管
KR200474358Y1 (ko)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KR101915096B1 (ko) 지중배전선로의 보호 패널
KR20070091262A (ko) 굴착 조종 방법 및 장치
KR20160011113A (ko) 지중매설관의 침하관측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479759Y1 (ko) 홀을 구비한 분리형 지중선로 식별 보호판
KR100835931B1 (ko)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20090055369A (ko) 지중매설물 안전보호판
KR102018483B1 (ko) 지중케이블 보호판
KR100473328B1 (ko) 지중선로용 보호판
KR101585953B1 (ko) 지중배전선간 안정적 연결을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2530492B1 (ko) 케이블관 매설 시공방법
KR101532762B1 (ko) 매설물 경고 부재
KR100673485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구조
KR101326860B1 (ko) 송전, 변전, 배전용 케이블의 보호 구조물
KR100667007B1 (ko) 공동주택단지의 지중케이블 방호판
KR100770456B1 (ko) 지중선로보호판용 물감팩
WO2022074770A1 (ja) 防護部材及び防護方法
US20120224923A1 (en) Device for covering and protecting buried pipes or cables
CN109488319B (zh) 掘进机
CN105803913A (zh) 一种铣刨器及井盖修复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