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101Y1 -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 Google Patents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101Y1
KR200474101Y1 KR2020130002040U KR20130002040U KR200474101Y1 KR 200474101 Y1 KR200474101 Y1 KR 200474101Y1 KR 2020130002040 U KR2020130002040 U KR 2020130002040U KR 20130002040 U KR20130002040 U KR 20130002040U KR 200474101 Y1 KR200474101 Y1 KR 200474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briquette
briquetting
ash receiving
briquet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이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혁 filed Critical 이재혁
Priority to KR2020130002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1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42Clea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탄보일러 본체의 하단부에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서랍형태의 재받이가 구비되어 연탄보일러를 장시간 운용한 후에 재받이에 모인 결로 및 연탄재를 인출하여 세척 및 쉽게 털어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받이 인출 후에 연탄보일러 본체 내부를 물로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연탄을 주원료로 사용하며 내부에 연탄이 연소되는 화구가 구비되며, 스테인리스재로 형성되는 연탄보일러 본체; 상시 연탄보일러 본체의 하부에 접합되는 케이스; 서랍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인출입되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에 연탄에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조절부가 형성되며, 스테인리스재로 형성되는 재받이부; 상기 화구에 삽입되는 연탄을 지지하며, 상기 재받이부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연탄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Briquette boiler of simply cleaning}
본 고안은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탄보일러 본체의 하단부에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서랍형태의 재받이가 구비되어 연탄보일러를 장시간 운용한 후에 재받이에 모인 결로 및 연탄재를 인출하여 세척 및 쉽게 털어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받이 인출 후에 연탄보일러 본체 내부를 물로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탄보일러는 1구, 2구 또는 3구의 화구가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연탄보일러의 형태이며, 상기한 연탄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은 보일러본체 내에 설치된 화구 외면에 코일형태로 구성된 수관이 위치되게 한 다음 수관 내를 순환수가 순환되게 함으로서 연탄의 연소열을 전달 받은 화구가 가열되면서 외측의 수관을 가열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수관 내부를 순환하는 순환수가 가열된 상태에서 난방호스를 순환하면서 열교환방식으로 난방을 하게 되고 냉각된 순환수는 다시 연탄보일러로 회수되어 재가열되게 한 다음 난방호스를 통하여 순환되게 하여 필요한 장소를 난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탄보일러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연탄이 삽입되는 화구와, 상부에 상기 화구로 연탄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보일러 본체(100)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뚜껑(2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일러 본체(100)의 측면에는 난방 및 온수에 사용될 물이 인출입되는 입구 및 출구(B, C)가 형성된다.
게다가 하부에는 연탄을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결로 및 연탄재를 받아내기 위한 재받이가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연탄보일러를 장기간 운용한 후 결로 및 연탄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보일러 본체의 화구 및 수관을 분해한 후 상기 보일러 본체(100)를 거꾸로 뒤집어 결로 및 연탄재를 제거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보일러 본체(100) 및 재받이의 경우 그 재질이 스틸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탄연소 시에 발생되는 황 및 타르가 보일러 본체 및 재받이에 고착되며, 장기간 이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그 표면이 산화되어 보일러의 열량이 서서히 줄어들게 되므로 효율적인 난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습기가 함유된 연탄이 연소될 시 결로가 생성되는데, 상기 결로의 경우 연탄의 황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로가 보일러 본체 및 재받이에 떨어져 소정시간이 경과할 경우 보일러 본체 및 재받이를 부식시켜 연탄보일러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열량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상기 고착된 황 및 타르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약품을 이용하여 제거하여야 하며, 이와 같이 약품을 이용하여 보일러 본체 및 재받이를 청소할 경우 환경오염을 일으키거나, 보일러 본체 및 재받이가 서서히 부식되어 얇아져 보일러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344792호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연탄보일러 본체의 하단부에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서랍형태의 재받이가 구비되어 보일러를 장기간 가동한 후에도 재받이만을 인출하게 되면, 연탄보일러의 내부 및 재받이부의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탄을 주원료로 사용하며 내부에 연탄이 연소되는 화구가 구비되며, 스테인리스재로 형성되는 연탄보일러 본체; 상시 연탄보일러 본체의 하부에 접합되는 케이스; 서랍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인출입되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에 연탄에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조절부가 형성되며, 스테인리스재로 형성되는 재받이부; 상기 화구에 삽입되는 연탄을 지지하며, 상기 재받이부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연탄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내측에 상기 재받이부를 안내하며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부는, 상기 재받이부의 전면에 형성되되, 화구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공기유입구;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재받이부 전면으로 돌출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재받이부 후면에 위치되되, 상기 파지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로 형성되는 공기조절판 및 상기 개폐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받이부는, 상기 연탄지지부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 및 내부 중간에 구비되는 격벽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받이부 및 연탄지지부는, 상기 화구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에 의하면, 첫째, 연탄보일러를 청소할 시 재받이부 및 연탄지지부만을 외부로 인출한 후 상기 재받이부에 모인 결로 및 연탄재를 쉽게 털어서 제거할 수 있으며, 재받이부 인출 후에도 보일러의 내부를 물로 쉽게 청소할 수 있어 인력, 시간 및 에너지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비교적 간단한 구성이므로 기존에 사용되던 연탄보일러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연탄보일러 본체 및 재받이부가 스테인리스재로 형성되므로, 연탄연소 시 발생되는 황 및 타르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연탄보일러의 열량을 제품출하 당시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인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재받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재받이 공기조절부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재받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재받이 공기조절부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는 스테인리스재로 형성되는 보일러 본체(10) 내에서 연탄이 수납되어 연소되는 화구와, 상기 화구와 상기 연탄보일러 본체(10) 사이에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측방으로 이동되는 연소열을 흡수하는 열교환 파이프와, 상기 열교환 파이프의 상부 끝단에 연통되도록 상기 보일러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측으로 이동되는 연소열을 흡수하는 상부수조, 상기 연탄보일러 본체(10)의 상면 전체를 덮으면서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경첩(15)으로 체결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된 덮개(13)로 구성된다.
상기 연탄보일러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열교환 코일의 하부 일단에 연통되는 난방수 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연탄보일러 본체(10)의 후면에는 배기 연도와, 상기 열교환 코일의 상부 타단에는 난방수 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연탄보일러 본체(10)의 구성은 공지의 연탄보일러에 적용되는 구성을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연탄보일러 본체(10)의 하부면 양 단부에는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30)가 접합된다.
상기 케이스(30)의 내측에는 서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0)에 인출입되도록 형성되는 재받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재받이부(20)의 전면부에는 상기한 화구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연탄의 연소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부(4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조절부(40)는, 상기 재받이부(20)의 전면에 형성되되, 화구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공기유입구(43)와, 상기 공기유입구(43)를 통하여 재받이부(20) 전면으로 돌출되는 파지부(41)와, 상기 파지부(4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재받이부(20) 후면에 위치되되, 상기 파지부(41)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43)를 개폐하는 개폐부(42)로 형성되는 공기조절판(45) 및 상기 개폐부(42)를 안내하는 가이드(4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재받이부(20)는 스테인리스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연탄연소 시 내부면에 황 및 타르 등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황 및 타르가 재받이부(20)에 붙었을 경우 물을 이용하여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며, 연탄보일러를 장기간 이용할 시 표면이 산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30)의 내측에는 상기 재받이부(20)를 안내하며 지지하는 가이드(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재받이부(20)가 원활하게 인출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화구에 삽입되는 연탄이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탄지지부(50)가 상기 재받이부(20)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연탄지지부(50)는 상기한 공기조절부(4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연탄으로 유입되어 연소될 수 있도록 관통공(5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1)의 내주면에는 연탄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52)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재받이부(20)에 상기한 연탄지지부(50)가 견고하게 안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재받이부(20)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돌기(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재받이부(20) 바닥면에는 격벽(22)이 형성되어 상기한 연탄지지부(50)를 2중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의 변형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의 변형예는 상기한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상기 재받이부(20) 및 연탄지지부(50)가 상기한 화구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가이드(60)의 내측에서 상기 재받이부(20)를 구획하기 위한 격벽(61)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탄보일러의 청소가 필요할 시 필요한 화구 측의 상기 재받이부(20) 및 연탄지지부(50) 만을 인출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는 청소가 필요할 시 연탄보일러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 화구의 연탄만을 제거한 채 상기 재받이부(20) 및 연탄지지부(50) 만을 외부로 인출한 후 상기 재받이에 모인 연탄재 및 응결로를 털어서 제거하나 물청소를 통하여 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재받이부(20)를 인출한 상태에서 연탄보일러 본체(10)의 내부를 물로서 세척할 수 있어 연탄연소 시 발생되어 화구 및 연탄보일러 본체(10)의 내부면에 고착된 황 및 타르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탄보일러의 열량을 제품출하 당시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인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연탄보일러 본체 20 : 재받이부
21 : 돌기 22 : 격벽
30 : 케이스 40 : 공기조절부
41 : 파지부 42 : 개폐부
43 : 공기유입구 45 : 공기조절판
46 : 가이드 50 : 연탄지지부
51 : 관통공 52 : 지지돌기
60 : 가이드 61 : 격벽

Claims (5)

  1. 연탄을 주원료로 사용하며 내부에 연탄이 연소되는 화구가 구비되며, 스테인리스재로 형성되는 연탄보일러 본체(10);
    상시 연탄보일러 본체(10)의 하부에 접합되는 케이스(30);
    서랍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30)에 인출입되도록 형성되고, 전면부에 연탄에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조절부(40)가 형성되며, 스테인리스재로 형성되되, 후술할 연탄지지부(5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21) 및 내부 중간에 구비되는 격벽(22)으로 구성되는 재받이부(20);
    상기 화구에 삽입되는 연탄을 지지하며, 상기 재받이부(20)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연탄지지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는,
    그 내측에 상기 재받이부(20)를 안내하며 지지하는 가이드(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부(40)는,
    상기 재받이부(20)의 전면에 형성되되, 화구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공기유입구(43);
    상기 공기유입구(43)를 통하여 재받이부(20) 전면으로 돌출되는 파지부(41)와, 상기 파지부(4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재받이부(20) 후면에 위치되되, 상기 파지부(41)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43)를 개폐하는 개폐부(42)로 형성되는 공기조절판(45) 및
    상기 개폐부(42)를 안내하는 가이드(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받이부(20) 및 연탄지지부(50)는,
    상기 화구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KR2020130002040U 2013-03-19 2013-03-19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KR200474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040U KR200474101Y1 (ko) 2013-03-19 2013-03-19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040U KR200474101Y1 (ko) 2013-03-19 2013-03-19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101Y1 true KR200474101Y1 (ko) 2014-08-21

Family

ID=5198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040U KR200474101Y1 (ko) 2013-03-19 2013-03-19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1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518B1 (ko) 2015-06-08 2016-03-25 정회관 물청소가능한 연탄 보일러
KR20160004099U (ko) * 2015-05-22 2016-11-30 이재혁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KR20160004267U (ko) * 2015-06-03 2016-12-13 이재혁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487Y1 (ko) * 2004-01-16 2004-04-13 신건수 보일러
KR20080000968U (ko) * 2006-11-06 2008-05-09 김덕구 연탄 보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487Y1 (ko) * 2004-01-16 2004-04-13 신건수 보일러
KR20080000968U (ko) * 2006-11-06 2008-05-09 김덕구 연탄 보일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99U (ko) * 2015-05-22 2016-11-30 이재혁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KR200483407Y1 (ko) * 2015-05-22 2017-05-12 이재혁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KR20160004267U (ko) * 2015-06-03 2016-12-13 이재혁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KR200483591Y1 (ko) * 2015-06-03 2017-05-31 이재혁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KR101606518B1 (ko) 2015-06-08 2016-03-25 정회관 물청소가능한 연탄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101Y1 (ko)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KR200482766Y1 (ko) 나무 겸용 연탄 보일러
KR100673620B1 (ko) 연탄보일러의 난방수 및 온수 공급장치
KR101658559B1 (ko) 펠렛난로
KR200483407Y1 (ko)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KR101361097B1 (ko)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하는 연탄 보일러
KR200483591Y1 (ko)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
KR101532193B1 (ko) 기능성 조리 장치
KR101606518B1 (ko) 물청소가능한 연탄 보일러
CN206247405U (zh) 一种多功能玉米芯燃烧装置
KR200404971Y1 (ko) 다기능 벽난로
KR100260720B1 (ko) 다목적 보일러
KR101479841B1 (ko) 보일러
KR20090094563A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1035477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KR101289695B1 (ko) 연탄 화목 겸용 보일러
KR20100110629A (ko) 연탄보일러
CN105202582A (zh) 一种高效节能的柴炉
CN211502892U (zh) 一种带加热水箱的双灶燃烧的燃炉
CN216790241U (zh) 一种木炭烧水炉的助燃和烟雾灰尘收集装置
CN105737208A (zh) 一种快速传热采暖装置
CN205746980U (zh) 一种取暖炉
RU100592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ечь
KR101801462B1 (ko)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연탄보일러
KR20100006637U (ko) 다목적 하향식 화목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