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893Y1 - 치아 교합기 - Google Patents

치아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893Y1
KR200473893Y1 KR2020140003218U KR20140003218U KR200473893Y1 KR 200473893 Y1 KR200473893 Y1 KR 200473893Y1 KR 2020140003218 U KR2020140003218 U KR 2020140003218U KR 20140003218 U KR20140003218 U KR 20140003218U KR 200473893 Y1 KR200473893 Y1 KR 200473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djustment
position setting
mounting member
contro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준
Original Assignee
송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준 filed Critical 송영준
Priority to KR2020140003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8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usin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two adjustable pivoting points, e.g. Argon-type artic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7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a hinge made of resilient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모형의 교정작업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며 사용성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치아 교합기로서, 전단부에 하악골모형(2)이 마운팅되는 하부베이스판(110)과, 상기 하부베이스판(110)의 후단부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는 조절바아(130)를 가지는 하악골마운팅부재(100); 상기 조절바아(120)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제1조절공(22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절바아(130)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위치셋팅블록(200); 및 전단부에 상악골모형(4)이 마운팅되는 상부베이스판(310)과, 상기 상부베이스판(310)의 후단부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조절바아(13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조절공(324)이 형성된 조절블록(320)을 가지는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셋팅블록(200) 및 조절블록(320)의 후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2조절공(220, 324)에 연통되는 제1, 2수직절개부(230, 326)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셋팅블록(200)과 조절블록(320)의 후단부는 상기 제1, 2수직절개부(230,326)에 의해 각각 하측탄성부(202)와 하측고정부(204) 및 상측탄성부(328)와 상측고정부(329)로 분할되고, 상기 위치셋팅블록(200) 및 조절블록(320)에는 각각 상기 제1, 2수직절개부(230,326)를 가로지르도록 제1, 2조절나사(250,350)가 체결된다.

Description

치아 교합기{Dental model articulator}
본 고안은 치아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모형의 교정작업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며 사용성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치아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환자의 치아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구강내 치아인상을 채득하여야 하는데, 환자의 치아인상을 채득하기 위해, 상악과 하악의 교합면을 동시에 물려 바이트(또는 구성교합바이트)를 만든다. 그리고 이러한 바이트를 이용하여 치아보철물을 제조하기 위한 치아모형을 제작 및 교정한다.
이러한 치아모형의 교정시에 사용되는 치아교합기가 제공되고 있는데, 흔히, 교합기는 상, 하악골모형이 마운팅(mounting)되는 한 쌍의 마운팅부재가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 하악골모형 사이에 상기 바이트가 적절한 악력으로 물리도록 상, 하악골모형의 간격을 조절하여 마운팅부재들을 결합시킨 후, 상, 하악골모형과 바이트의 교합상태 등을 확인하고, 상. 하악골모형을 교정하는 작업을 한다.
한편, 상, 하악골모형의 교정을 위해서는 상, 하악골모형이 마운팅된 마운팅부재들을 상호 분리하여 수정작업을 한 후, 마운팅부재들을 다시 결합하여 교합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교정작업시에는 마운팅부재들의 결합 및 분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치아교합기는 상, 하악골모형이 마운팅된 마운팅부재들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마운팅부재를 분리한 후 재결합시킬 때, 상, 하악골모형을 교정작업 초기에 제공되었던 조건(바이트를 물었던 악력 등)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결합시켜야 하므로, 이를 위해 상, 하악골모형의 간격이 교정작업 초기의 간격을 가지도록 마운팅부재를 결합시켜야 하다. 따라서 이를 위해 작업자는 마운팅부재를 재결합시킬 때마다 상, 하악골모형이 교정작업 초기의 간격을 가지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가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05245호(1997. 02. 19.)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치아모형의 교정작업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며 조작도 간편하여 사용성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치아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전단부에 하악골모형(2)이 마운팅되는 하부베이스판(110)과, 상기 하부베이스판(110)의 후단부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는 조절바아(130)를 가지는 하악골마운팅부재(100);
상기 조절바아(130)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제1조절공(22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절바아(130)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위치셋팅블록(200); 및
전단부에 상악골모형(4)이 마운팅되는 상부베이스판(310)과, 상기 상부베이스판(310)의 후단부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조절바아(13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조절공(324)이 형성된 조절블록(320)을 가지는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셋팅블록(200) 및 조절블록(320)의 후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2조절공(220, 324)에 연통되는 제1, 2수직절개부(230, 326)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셋팅블록(200)과 조절블록(320)의 후단부는 상기 제1, 2수직절개부(230,326)에 의해 각각 하측탄성부(202)와 하측고정부(204) 및 상측탄성부(328)와 상측고정부(329)로 분할되고, 상기 위치셋팅블록(200) 및 조절블록(320)에는 각각 상기 제1, 2수직절개부(230,326)를 가로지르도록 제1, 2나사공(240,3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나사공(240,330)에는 각각 제1, 2조절헤드(252,352)를 가지는 제1, 2조절나사(250,35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합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위치셋팅블록(200)과 조절블록(300)에는 각각 기단부가 제1, 2조절공(220,324)과 연통되는 제1, 2변형수용공(260,360)이 상기 위치셋팅블록(200) 및 조절블록(300)의 전후 폭방향으로 형성되되, 선단부가 제1, 2조절나사(250,350)의 제1, 2조절헤드(252,352)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2변형수용공(260,360)의 선단부에는 상기 위치셋팅블록(200)과 조절블록(320)의 전후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2길이방향연장부(262,362)가 각각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악골마운팅부재(100)의 후단부에는 상기 조절바아(130) 보다 내측에서 상기 조절바아(130)와 나란하도록 가이드바아(120)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셋팅블록(200) 및 조절블록(300)에는 상기 가이드바아(120)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슬라이드공(210) 및 제2슬라이드공(322)이 각각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상악골마운팅부재(300)와 하악골마운팅부재(100)의 간격이 위치셋팅블록(200)에 의해 셋팅되기 때문에, 작업시 작업자는 상악골마운팅부재(300)의 조절블록(320)이 위치셋팅부재(200)의 상측에 밀착되도록 결합시키기만 하면, 상악골마운팅부재(300)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결합되어 상, 하악골모형(4,2)이 교정작업 초기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하악골마운팅부재(100)에 결합시킬 때 마다 상, 하악골모형(4,2)이 초기 교정작업시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악골마운팅부재(300)의 위치를 주의를 기울여서 세밀하게 조절하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1, 2조절나사(250,350)를 풀거나 조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 하악골모형(4,2)의 간격이 조절되기 때문에, 조작도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제1, 2조절나사(250,350)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상, 하측탄성부(202,328)가 위치셋팅블록(200) 및 조절블록(320)에 형성된 제1, 2변형수용공(260,360) 및 제1, 2변형수용공(260,360)에 형성된 제1, 2길이방향연장부(262,362)에 의해 용이하게 가변되기 때문에, 조작이 한층 더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하악골마운팅부재와 위치셋팅블록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악골마운팅부재(100), 위치셋팅블록(200) 및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상, 하악골마운팅부재(300,100)와 위치셋팅블록(200)은 금속으로 성형된다.
상기 하악골마운팅부재(100)는 하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10)의 후단부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아(120) 및 조절바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1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전단부에 하악골모형(2)이 마운팅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아(120)와 조절바아(130)는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소정길이를 갖도록 상향으로 돌출되는데, 조절바아(130)는 가이드바아(120) 보다 후방으로 위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치셋팅블록(200)과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조절바아(130) 하나만 구비되어도 될 것이나, 상기 가이드바아(120)가 더 구비됨에 따라, 위치세팅블록(200)이나 상악골마운팅부재(300)가 승강될 때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된다.
상기 위치셋팅블록(200)은 상기 가이드바아(120)와 조절바아(130)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제1슬라이드공(210)과 제1조절공(22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가이드바아(120)와 조절바아(130)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셋팅블록(200)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조절공(220)과 연통되는 제1수직절개부(230)가 수직으로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절개부(230)는 위치셋팅블록(20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조절공(220)은 제1수직절개부(230)에 의해 후방으로 개방되고, 위치셋팅블록(200)의 후단부는 제1수직절개부(230)에 의해 하측탄성부(202)와 하측고정부(204)로 좌우분할된다.
또한, 위치셋팅블록(200)에는 상기 제1수직절개부(230)를 가로지르도록 제1나사공(240)이 형성되고, 이 제1나사공(240)에는 제1조절헤드(252)와 제1나사축(254)으로 이루어진 제1조절나사(250)가 체결된다. 제1조절나사(250)는 제1조절헤드(252)가 하측탄성부(202)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체결된다.
이러한 제1조절나사(250)를 제1체결공(240)에 조이면, 제1조절헤드(252)에 의해 하측탄성부(202)가 하측고정부(204)에 근접되도록 내측으로 밀리게 되어 제1수직절개부(230)가 축소되며,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절공(220)이 축소된다.
이와 같이 제1조절공(220)이 축소되면, 제1조절공(220)의 내주면이 조절바아(130)의 외주면에 가압밀착되고, 이에 따라 위치셋팅블록(200)이 조절바아(130)에 고정된다.
반면, 제1조절나사(250)를 풀면 하측탄성부(202)가 원래의 위치로 탄성복원되어 제1조절공(220)이 벌어지며, 이에 따라 위치셋팅블록(200)이 가이드바아(120) 및 조절바아(130)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셋팅블록(200)에는 기단부가 제1조절공(220)과 연통되는 제1변형수용공(26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 제1변형수용공(260)은 선단부가 제1조절나사(250)의 제1조절헤드(252)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셋팅블록(200)의 좌우폭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 제1변형수용공(260)에 의해 하측탄성부(202)가 좌우방향으로 용이하게 가변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변형수용공(260)의 선단부에는 위치셋팅블록(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길이방향연장부(262)가 형성되어, 제1변형수용공(260)은 T형상을 가진다.
이 제1길이방향연장부(262)에 의해 하측탄성부(202)와 위치셋팅블록(200)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좁고 긴 연결부(203)가 형성되며, 하측탄성부(202)의 가변시에 상기 연결부(203)에만 응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하측탄성부(202)가 한층 더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악골마운팅부재(300)는 상부플레이트(310)와, 상부플레이트(310)의 기단부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조절블록(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는 하부플레이트(1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전단부에 상악골모형(4)이 마운팅된다. 이러한 상부플레이트(310)의 후단부 저면에는 원통형상의 연결간(314)에 의해 조절블록(320)이 연결된다.
상기 조절블록(320)은 위치셋팅블록(2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조절블록(320)에는 상기 가이드바아(120)와 조절바아(130)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슬라이드공(322)과 제2조절공(3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블록(320)의 후단부에는 제2조절공(324)과 연통되도록 제2수직절개부(326)가 조절블록(320)의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조절공(324)은 제2수직절개부(326)에 의해 후방으로 개방되고, 조절블록(320)의 후단부는 제2수직절개부(326)에 의해 상측탄성부(328)와 상측고정부(329)로 좌우분할된다.
또한, 조절블록(320)에는 제2수직절개부(326)를 가로지르도록 제2나사공(330)이 형성되고, 제2조절헤드(352)와 제2나사축(354)으로 이루어진 제2조절나사(250)가 제2나사공(330)에 체결된다. 제2조절나사(250)도 제2조절헤드(352)가 상측탄성부(328)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절블록(320) 역시 전술한 위치셋팅블록(200)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절바아(130)에 고정된다. 또한, 조절블록(320)에도 상기 제1변형수용공(260)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변형수용공(360)이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362와 364는 제2변형수용공(360)에 형성된 제2길이방향연장부와, 제2길이방향연장부(362)에 의해 상측탄성부(328)와 조절블록(320)의 다른 부분에 상대적으로 좁고 길게 형성되는 연결부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악골마운팅부재(300,100)의 상, 하부플레이트(310,110)에 각각 상악골모형(4)과 하악골모형(2)을 마운팅하고, 하악골마운팅부재(100)의 가이드바아(120)와 조절바아(130)에 위치셋팅블록(200)을 끼운다.
그리고 상악골마운팅부재(300)의 조절블록(320)을 가이드바아(120)와 조절바아(130)에 끼운 다음, 하악골모형(2) 위에 바이트(6)를 올려놓고,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하강시켜서 상, 하악골모형(4,2) 사이에 바이트(6)를 물린다.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상, 하악골모형(4,2)과 바이트(6)가 교합되도록 한 후, 제2조절나사(350)를 조여서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조절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위치셋팅부재(200)의 상면이 상기 조절블록(32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셋팅부재(200)를 상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제1조절나사(250)를 조여서 위치셋팅블록(20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 하악골모형(4,2)의 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조절나사(350)를 풀어서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하악골마운팅부재(100)에서 분리하여 상악골모형(4) 및 하악골모형(2)을 교정한다.
한편,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하악골마운팅부재(100)에 재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상악골마운팅부재(300)의 조절블록(320) 저면이 위치셋팅블록(200)의 상면에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제2조절나사(250)를 조여서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위치셋팅블록(200)에 의해 상악골마운팅부재(300)는 교정작업 초기에 결합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교정작업 초기에 조절된 조건(상, 하악골모형 사이의 간격 및 악력 등)이 항상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위치셋팅블록(200)에 의해 작업자가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하악골마운팅부재(100)에 결합시킬 때마다 동일한 조건을 만들기 위해, 상악골마운팅부재(30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별도의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도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2. 하악골모형 4. 상악골모형
6. 바이트 100. 하악골마운팅부재
110. 하부플레이트 120. 가이드바아
130. 조절바아 200. 위치세팅블록
202. 하측탄성부 203,364. 연결부
204. 하측고정부 210. 제1슬라이드공
220. 제1조절공 230. 제1수직절개부
240. 제1나사공 250. 제1조절나사
252. 제1조절헤드 254. 제1나사축
260. 제1변형수용공 262. 제1길이방향연장부
300. 상악골마운팅부재 310. 상부플레이트
314. 연결간 322. 제2슬라이드공
324. 제2조절공 326. 제2수직절개부
328. 상측탄성부 329. 상측고정부
330. 제2나사공 350. 제2조절나사
352. 제2조절헤드 354. 제2나사축
360. 제2변형수용공 362. 제2길이방향연장부

Claims (4)

  1. 전단부에 하악골모형(2)이 마운팅되는 하부베이스판(110)과, 상기 하부베이스판(110)의 후단부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는 조절바아(130)를 가지는 하악골마운팅부재(100);
    상기 조절바아(130)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제1조절공(22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절바아(130)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위치셋팅블록(200); 및
    전단부에 상악골모형(4)이 마운팅되는 상부베이스판(310)과, 상기 상부베이스판(310)의 후단부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조절바아(13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조절공(324)이 형성된 조절블록(320)을 가지는 상악골마운팅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셋팅블록(200) 및 조절블록(320)의 후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2조절공(220, 324)에 연통되는 제1, 2수직절개부(230, 326)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셋팅블록(200)과 조절블록(320)의 후단부는 상기 제1, 2수직절개부(230,326)에 의해 각각 하측탄성부(202)와 하측고정부(204) 및 상측탄성부(328)와 상측고정부(329)로 분할되고,
    상기 위치셋팅블록(200) 및 조절블록(320)에는 각각 상기 제1, 2수직절개부(230,326)를 가로지르도록 제1, 2나사공(240,3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나사공(240,330)에는 각각 제1, 2조절헤드(252,352)를 가지는 제1, 2조절나사(250,350)가 체결되어,
    상기 제1, 2조절헤드(252,352)를 제1, 2나사공(240,330)에 조이면, 상기 하측탄성부(202)와 상측탄성부(328)가 각각 가압되어 제1조절공(220) 및 제2조절공(324)의 내경이 축소됨으로써, 위치셋팅블록(200) 및 상악골마운팅부재(300)가 조절바아(130)에 승강된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위치셋팅블록(200)과 조절블록(300)에는 각각 기단부가 제1, 2조절공(220,324)과 연통되는 제1, 2변형수용공(260,360)이 상기 위치셋팅블록(200) 및 조절블록(300)의 전후 폭방향으로 형성되되, 선단부가 제1, 2조절나사(250,350)의 제1, 2조절헤드(252,352)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변형수용공(260,360)의 선단부에는 상기 위치셋팅블록(200)과 조절블록(320)의 전후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2길이방향연장부(262,362)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합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마운팅부재(100)의 후단부에는 상기 조절바아(130) 보다 내측에서 상기 조절바아(130)와 나란하도록 가이드바아(120)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셋팅블록(200) 및 조절블록(300)에는 상기 가이드바아(120)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슬라이드공(210) 및 제2슬라이드공(32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합기.
KR2020140003218U 2014-04-22 2014-04-22 치아 교합기 KR200473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18U KR200473893Y1 (ko) 2014-04-22 2014-04-22 치아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18U KR200473893Y1 (ko) 2014-04-22 2014-04-22 치아 교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893Y1 true KR200473893Y1 (ko) 2014-08-07

Family

ID=5198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218U KR200473893Y1 (ko) 2014-04-22 2014-04-22 치아 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8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665B1 (ko) 2017-09-26 2018-11-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모형물 고정용 지그
KR20190087445A (ko) * 2017-06-22 2019-07-24 썬전 어헤드 피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임플란트 홀 형성 기구의 고정 방법, 및 임플란트 홀을 형성하기 위한 치아교합을 통한 조절 가능한 제어 핸드피스 가이드 플레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995A (en) 1983-09-22 1984-11-06 Tate Ronald L Apparatus for use in fabricating orthodontic appliances
JPH0666958U (ja) * 1993-03-02 1994-09-20 仁 池田 咬合器の顆路調節機構
KR200390823Y1 (ko) 2005-04-29 2005-07-28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치아 악교정 모형물 고정장치
KR100633016B1 (ko) * 2005-04-29 2006-10-12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치아 악교정 모형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995A (en) 1983-09-22 1984-11-06 Tate Ronald L Apparatus for use in fabricating orthodontic appliances
JPH0666958U (ja) * 1993-03-02 1994-09-20 仁 池田 咬合器の顆路調節機構
KR200390823Y1 (ko) 2005-04-29 2005-07-28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치아 악교정 모형물 고정장치
KR100633016B1 (ko) * 2005-04-29 2006-10-12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치아 악교정 모형물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445A (ko) * 2017-06-22 2019-07-24 썬전 어헤드 피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임플란트 홀 형성 기구의 고정 방법, 및 임플란트 홀을 형성하기 위한 치아교합을 통한 조절 가능한 제어 핸드피스 가이드 플레이트
KR102359339B1 (ko) * 2017-06-22 2022-02-07 썬전 어헤드 피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임플란트 홀 형성 기구의 고정 방법, 및 임플란트 홀을 형성하기 위한 치아교합을 통한 조절 가능한 제어 핸드피스 가이드 플레이트
KR101918665B1 (ko) 2017-09-26 2018-11-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모형물 고정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9322B2 (en) Set of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s with adjustable advancement, kit for mandibular advancement and method of adjusting mandibular advancement using same
JP2006263471A (ja) 歯を配列するための配列補助装置
EP2921128B1 (en) Guide jig
KR100737442B1 (ko) 치열교정을 위한 구치(臼齒)용 후크
AU2018267129B2 (en) Reference denture alignment jig, kit for preparing dentures,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s using same
KR101823549B1 (ko) 무치악 환자용 교합 채득 도구
KR200473893Y1 (ko) 치아 교합기
EP0950384B1 (en) Apparatus for tracing centric relation of mandible
JP2011045530A (ja) 歯科用顎位矯正装置
US20100261130A1 (en) Biased palatal bone expander
WO2005099614A1 (ja) 咬合面トランスファー器具、咬合器、咬合面設定用器具及びそれらを用いた差し歯製作方法
KR100594356B1 (ko)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WO2022153968A1 (ja) 床矯正装置、及び床間隔調整器
US1188416A (en) Occlusal-plane gage.
KR101422992B1 (ko) 치과용 페이스 보우
KR20200002673U (ko) 치과용 콤보 토크 렌치팁
FI3866725T3 (en) DEVICE FOR POSITIONING THE LOWER AND UPPER JAW OF A PERSON
KR101646504B1 (ko) 치열교정용 임플란트 장치
KR20160033395A (ko) 탈착 가능한 치과용 교합기의 결합구조
KR102341063B1 (ko) 맞춤형 어금니 이동 교정장치
US1479439A (en) Dental clasp
KR20200005047A (ko) 치열 교정장치
KR20230000947U (ko)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KR100633016B1 (ko) 치아 악교정 모형물 고정장치
JP3954568B2 (ja) 咬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