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90Y1 - 감압 밸브 - Google Patents

감압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90Y1
KR200473790Y1 KR2020120010469U KR20120010469U KR200473790Y1 KR 200473790 Y1 KR200473790 Y1 KR 200473790Y1 KR 2020120010469 U KR2020120010469 U KR 2020120010469U KR 20120010469 U KR20120010469 U KR 20120010469U KR 200473790 Y1 KR200473790 Y1 KR 200473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diaphragm
bar
disc
stem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064U (ko
Inventor
양창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발브종합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발브종합메이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발브종합메이커
Priority to KR2020120010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9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0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0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 F16K17/1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with fracturing diaphragm ; Rupture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기본적인 밀폐성을 유지하면서 밸드 닫힘시 폐변력에 의한 압축강도를 제한하여 오프셋 정도를 최소화하는 감압 밸브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입구와 출구를 연통하는 유동유로가 입구 측 격벽과 출구 측 격벽에 의해 안내되고, 유로공이 형성된 시트가 상기 입구 측 격벽과 출구 측 격벽 사이에 마련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입구 측과 출구 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변형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 상기 다이아프램에 장착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해 상기 시트의 유동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유로공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 내에 설치되는 스템바와, 상기 스템바를 상기 다이아프램에 고정하기 위한 락킹부재와, 상기 스템바에 설치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한 상하 이동시 상기 유동 단면적을 조절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홀더와, 디스크워셔를 개재하여 상기 디스크홀더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부너트와 하부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스템바에 이중으로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스템유닛; 및 상기 스템유닛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템바가 결합된 틈새 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스템유닛과의 결합부위 주위에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스템바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저면에 접촉되는 러프면을 통해 상기 다이아프램을 지지하는 스템 상부지지부와, 바디의 유로공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템 상부지지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측벽에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템 중심부와, 상기 너트부재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측벽에 형성되고 단부가 하부커버에 삽입되는 스템 하부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스템 상부지지부와 상기 스템중심부 사이에는 오링이 게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구 측의 유압과 출구 측의 유압 간 압력차이로 인한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해 상기 스템바가 상하이동되고, 이 스템바의 상하이동 작용에 의해 상기 디스크와 상기 시트 사이 간격이 조절되면서 유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유동 단면적이 축소되거나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압 밸브 {PRESSURE REDUCING VALVE}
본 고안은 감압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적인 밀폐성을 유지하면서 밸브 닫힘시 폐변력에 의한 압축강도를 제한하여 오프셋(off set) 정도를 최소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감압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및 공공건물 등에 급수를 공급하는 관로에는 감압밸브가 설치된다. 감압밸브는 1차 측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압력을 설정 압력으로 감압시켜 2차 측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감압밸브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실용신안등록공보 : 20-0250648)"에서 공지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밸브장치는 순차적으로 세 개의 제1, 제2, 제3 격실(11)(12)(13)로 나뉘어지도록 연통공(14a)(15a)을 갖는 두 개의 격벽(14)(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실(11)에 연통되게 유입구(11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3 격실(13)에 연통되게 출구부(13a)가 형성된 양단 관통 형상의 밸브 바디(10)와, 제1 격실(11)을 통해 상기 연통공(14a)을 개폐하도록 밸브 바디(10)에 설치되는 스톱 밸브(20)와, 제2 격실(12)내에 배치되도록 밸브 바디(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금속성의 이물질을 흡착하는 자성체(31)가 구비된 스트레이너(30)와, 제3격실(13)측에 해당되는 출구부(13a)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통과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유량 밸브(40)와, 제2 격실(12)과 제3 격실(13)을 구획하는 격벽(15)의 연통공(15a)의 개폐 정도를 조정하도록 밸브 바디(10)에 설치되는 감압 밸브(5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배관을 설치한 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밸브 바디 내 틈새 부위에 이물질이 유입되고, 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 홀더의 고정이 긴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반복적인 진동 발생시 디스크 홀더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 되었다.
[실용신안등록문헌]
(실용신안등록문헌 1) 실용신안등록공보 20-0250648 (2001.10.4)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들간의 조립강도를 향상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감압 밸브는, 입구와 출구를 연통하는 유동유로가 입구 측 격벽과 출구 측 격벽에 의해 안내되고, 유로공이 형성된 시트가 상기 입구 측 격벽과 출구 측 격벽 사이에 마련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입구 측과 출구 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변형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상기 다이아프램에 장착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해 상기 시트의 유동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유로공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 내에 설치되는 스템바와, 상기 스템바를 상기 다이아프램에 고정하기 위한 락킹부재와, 상기 스템바에 설치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한 상하 이동시 상기 유동 단면적을 조절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홀더와, 디스크워셔를 개재하여 상기 디스크홀더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부너트와 하부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스템바에 이중으로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스템유닛; 및 상기 스템유닛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템바가 결합된 틈새 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스템유닛과의 결합부위 주위에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스템바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저면에 접촉되는 러프면을 통해 상기 다이아프램을 지지하는 스템 상부지지부와, 바디의 유로공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템 상부지지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측벽에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템 중심부와, 상기 너트부재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측벽에 형성되고 단부가 하부커버에 삽입되는 스템 하부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스템 상부지지부와 상기 스템중심부 사이에는 오링이 게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구 측의 유압과 출구 측의 유압 간 압력차이로 인한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해 상기 스템바가 상하이동되고, 이 스템바의 상하이동 작용에 의해 상기 디스크와 상기 시트 사이 간격이 조절되면서 유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유동 단면적이 축소되거나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크는 상기 시트와의 밀착시 이들 간의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재질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은 디스크와 시트 간의 기본적인 밀폐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밸브의 닫힘시 폐변력에 의한 압축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오프셋 정도를 최소화하여 제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디스크 홀더의 하측에 디스크 워셔를 취부함으로써, 디스크 홀더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고안은 디스크 홀더의 긴밀한 고정을 위해 너트부재를 이중으로 장착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디스크 홀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급수용 복합 밸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감압 밸브를 도시한 결합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감압 밸브의 스템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감압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감압 밸브는, 크게 바디(100), 다이아프램(200), 상부커버(300), 스템유닛(400) 및 하부커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바디(100)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102) 측에 마련되는 입구(102) 측 격실(121)과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101) 측에 마련되는 출구(101) 측 격실(111)을 가지며, 이 입구(102) 측 격실(121) 및 출구(101) 측 격실(111)은 입구 측 격벽(120) 및 출구 측 격벽(110)에 의해 분리된다. 그리고 이들 입구 측 격벽(120)과 출구 측 격벽(110) 사이에는 입구(102)를 통해 입구(102) 측 격실(121)로 유입된 유체가 출구(101) 측 격실(111)을 통해 출구(101)로 이동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유로공(131)이 형성된다.
또한, 입구 측 격벽(120)의 선단과 출구 측 격벽(110)의 선단에는, 시트(130)가 형성된다. 이 시트(130) 측 유동 단면적은 후술하는 스템유닛(400)의 디스크(430) 상하 이동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입구(102) 측 유압과 출구(101) 측 유압이 동일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고, 유동유로(W)를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100)의 상측에는 본체 바디(100)의 입구(102) 측과 출구(101) 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변형되는 다이아프램(200)이 마련된다. 다이아프램(200)은 입구(102) 측 압력과 출구(101) 측 간의 압력차에 의해 압력이 낮은 쪽으로 구부러져 변형되는 구조로, 다이아프램(200)의 중심부는 스템유닛(400)이 고정 결합 된 상태에서 탄성부재(31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다이아프램(200)의 가장자리부는 바디(100)의 상부에 결합 되는 상부커버(300)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써, 바디(100)의 입구(102) 측에 유체가 유입되면, 다이아프램(200)은 변형되면서 입구(102) 측 유체의 압력이 설정 압력으로 감압 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커버(300)는 바디(100)의 유로공(131) 상측으로 연통 되는 중공 형태의 상부케이스(300b)로 이루어지며, 해당 내부공간에는 소정의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부재(310)가 마련되고, 해당 상부에는 탄성부재(310)의 상부를 지지하는 탄성지지편(320)을 고정하기 위해 상부캡(300a)이 오링(O-Ring)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해당 하부에는 다이아프램(200)에 고정되는 스템유닛(400)이 배치된다.
스템유닛(400)은 다이아프램(200)의 변형에 의해 시트(130)의 유동 단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템바(410), 락킹부재(420), 디스크(430), 디스크홀더(440) 및 너트부재(450)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스템유닛(400)의 스템바(410)는 시트(130)의 유로공(131)을 관통하도록 바디(100) 내에 위치되어 다이아프램(200)의 변형 작용에 따라, 시트(130)의 유로공(131)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보다 상세하게 스템바(410)는 다이아프램(200)의 저면에 접촉되는 러프면(411a)을 통해 다이아프램(200)을 지지하는 스템 상부지지부(411)와, 스템 상부지지부(411)의 하부에 연결되고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412a)이 측벽에 형성되는 스템 중심부(412)와, 너트부재(450)가 체결되는 나사산(413a)이 측벽에 형성되고 단부가 하부커버(500)에 삽입되는 스템 하부지지부(4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템유닛(400)의 락킹부재(420)는 스템바(410)를 다이아프램(20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다이아프램(200) 플레이트(470) 및 다이아프램(200)을 관통하여 스템바(410)의 상부에 나사 결합 된다. 너트부재(450)는 디스크워셔(460)를 개재하여 디스크홀더(440)의 하부에 결합 되고, 디스크(430) 홀더의 긴밀한 고정을 위해 스템바(410)에 이중으로 결합되는 상부너트(450a)와 하부너트(450b)로 구성된다. 디스크(430)는 스템유닛(400)의 경사면 하측에 마련되어, 다이아프램(200)의 변형에 따른 스템바(410)의 상하 이동시 시트(130)와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유동 단면적이 조절되도록 한다.
따라서, 입구(102) 측의 유압과 출구(101) 측의 유압 간 압력차이로 인해 다이아프램(200)이 변형되면, 다이아프램(200)의 변형에 의해 스템바(410)가 상하이동되고, 스템바(410)의 상하이동 작용에 의해 디스크(430)와 시트(130) 사이 간격이 조절되면서 유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유동 단면적이 축소하거나 확장되는 것이다. 이때, 디스크(430)는 시트(130)와의 밀착시 이들 간의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커버(500)는 바디(100)의 하부에 결합 되어 스템유닛(4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커버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때, 하부커버(500)의 결합부위(511) 주위에 오목홈부(510)가 형성된다. 이 하부커버(500)의 오목홈부(510)는 스템바(410)와의 결합부위(511)가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구성함으로써, 하부커버(500)에 이물질이 누적되더라도 스템바(410)가 결합 된 틈새 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구(102) 측의 유압이 출구(101) 측의 유압보다 높은 경우, 입구(102) 측 격실(121)의 압력이 출구(101) 측 격실(111)의 압력보다 높게 되는데, 이 압력차이로 인해 다이아프램(200)의 중심부가 구부러지는 변형이 발생 되고, 이 다이아프램(200)의 변형에 의해 스템유닛(400)이 이동되어 스템유닛(400)의 디스크(430)와 시트(130) 사이의 유동 단면적이 축소된다.
이후, 시트(130)에서 출구(101) 측으로 통하는 단면적이 축소되면, 출국 측 유압이 점차 상승하여 입구(102) 측 유압과 동일해지고, 입구(102) 측 유압과 출구(101) 측 유압이 동일해지면, 입구(102) 측 격실(121)의 압력이 출구(101) 측 격실(111)의 압력이 평형상태에 이르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바디 120 : 입구 측 격벽
110 :출구 측 격벽 130 :시트
200 :다이아프램 300 :상부커버
310 :탄성부재 320 :탄성지지편
400 :스템유닛 410 :스템바
420 :락킹부재 430 :디스크
440 :디스크홀더 450 :너트부재
460 :디스크워셔 500 :하부커버

Claims (5)

  1. 입구와 출구를 연통하는 유동유로가 입구 측 격벽과 출구 측 격벽에 의해 안내되고, 유로공이 형성된 시트가 상기 입구 측 격벽과 출구 측 격벽 사이에 마련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입구 측과 출구 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변형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
    상기 다이아프램에 장착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해 상기 시트의 유동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유로공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 내에 설치되는 스템바와, 상기 스템바를 상기 다이아프램에 고정하기 위한 락킹부재와, 상기 스템바에 설치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한 상하 이동시 상기 유동 단면적을 조절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홀더와, 디스크워셔를 개재하여 상기 디스크홀더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부너트와 하부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스템바에 이중으로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스템유닛; 및
    상기 스템유닛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템바가 결합된 틈새 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스템유닛과의 결합부위 주위에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스템바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저면에 접촉되는 러프면을 통해 상기 다이아프램을 지지하는 스템 상부지지부와, 바디의 유로공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템 상부지지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측벽에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템 중심부와, 상기 너트부재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측벽에 형성되고 단부가 하부커버에 삽입되는 스템 하부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스템 상부지지부와 상기 스템중심부 사이에는 오링이 게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구 측의 유압과 출구 측의 유압 간 압력차이로 인한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해 상기 스템바가 상하이동되고, 이 스템바의 상하이동 작용에 의해 상기 디스크와 상기 시트 사이 간격이 조절되면서 유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유동 단면적이 축소되거나 확장되는, 감압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시트와의 밀착시 이들 간의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KR2020120010469U 2012-11-15 2012-11-15 감압 밸브 KR200473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469U KR200473790Y1 (ko) 2012-11-15 2012-11-15 감압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469U KR200473790Y1 (ko) 2012-11-15 2012-11-15 감압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64U KR20140003064U (ko) 2014-05-27
KR200473790Y1 true KR200473790Y1 (ko) 2014-07-31

Family

ID=5198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469U KR200473790Y1 (ko) 2012-11-15 2012-11-15 감압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9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013U (ja) * 1992-11-25 1994-06-28 株式会社東芝 減圧弁
JP2002014730A (ja) * 2000-06-29 2002-01-18 Yoshitake Inc 減圧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013U (ja) * 1992-11-25 1994-06-28 株式会社東芝 減圧弁
JP2002014730A (ja) * 2000-06-29 2002-01-18 Yoshitake Inc 減圧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64U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90245B2 (en) Actuator apparatus having internal passageways
KR200473790Y1 (ko) 감압 밸브
JP4781787B2 (ja) 排気弁
JP3863550B1 (ja) ウエハー形直動式バルブ
US10338611B2 (en) Regulator
JP5431034B2 (ja) 排気弁
WO1985002241A1 (en) Silencer
CN208474572U (zh) 一种带止逆功能的减压阀
JP2007138987A (ja) 排気弁
JP5416463B2 (ja) 排気弁
KR101138956B1 (ko) 감압밸브
US20100229971A1 (en) Back-pressure responsive valve
KR101049089B1 (ko) 소음완화용 감압 컨트롤밸브
KR200416106Y1 (ko) 동축 유동형 솔레노이드 밸브
KR100545038B1 (ko) 콘트롤 밸브
CN216242524U (zh) 一种无骨架水力主阀
KR200374392Y1 (ko) 소음 저감형 감압밸브
JPH0738773Y2 (ja) 減圧型定流量弁
CN211344143U (zh) 易清洗减压器
KR200448694Y1 (ko) 복합 정유량 밸브
CN215445542U (zh) 一种管道减震装置及冲洗系统
KR200382012Y1 (ko) 콘트롤 밸브
JP2002055720A (ja) 減圧弁
CN113551072A (zh) 一种无骨架水力主阀
JP2021043515A (ja) 減圧弁と、これに用いる上層ダイヤフラム追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