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487Y1 - Height adjustable vehicle safety display appratus for mounting on vehicle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able vehicle safety display appratus for mounting o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487Y1
KR200473487Y1 KR2020130008979U KR20130008979U KR200473487Y1 KR 200473487 Y1 KR200473487 Y1 KR 200473487Y1 KR 2020130008979 U KR2020130008979 U KR 2020130008979U KR 20130008979 U KR20130008979 U KR 20130008979U KR 200473487 Y1 KR200473487 Y1 KR 200473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play panel
present
support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97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명진
Original Assignee
최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진 filed Critical 최명진
Priority to KR2020130008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48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48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안전 표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의 결함이나,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하여 차량이 도로에 정차중일 때 주행중인 다른 차량으로부터 안전을 유도하기 위해 차량의 루프 또는 트렁크 상부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다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안전 표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표시패널(110), 몸체(120), 지지대(130) 및 흡착부(140)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표지장치(100)를 제공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지지대(130)의 하부에 흡착부(140)가 설치됨에 따라 차량(10)의 루프 또는 트렁크의 상부에 장착이 용이하다. 그리고, 몸체(120)가 다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10)을 통해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충돌 및 추돌)시 경고신호를 알리는 표시부(111)를 제공함에 따라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충돌 및 추돌) 등의 이유로 교통 혼잡과 정체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교통 혼잡과 정체를 해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afety mar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afety marking device which is simple in the roof of a vehicle or in the upper part of a trunk to induce safety from another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stopped on the road due to a defect in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100 including a display panel 110, a body 120, a support 130 and an adsorption unit 140, The suction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10 or on the trunk of the vehicle 10 so that it is easy to mount. Also, since the height of the body 120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eps,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can easily recognize it from a long d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unit 111 that notifies a warning signal in the event of a vehicle failure or an accident (collision or collision) through the display panel 110, thereby preventing traffic congestion and congestion Traffic congestion and congestion can be solved in the situation that occurs.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차량 안전 표지장치{HEIGHT ADJUSTABLE VEHICLE SAFETY DISPLAY APPRATUS FOR MOUNTING ON VEHICLE}[0001] HEIGHT ADJUSTABLE VEHICLE SAFETY DISPLAY APPARATUS FOR MOUNTING ON VEHICLE [0002]

본 고안은 차량 안전 표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의 결함이나,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하여 차량이 도로에 정차중일 때 주행중인 다른 차량으로부터 안전을 유도하기 위해 차량의 루프 또는 트렁크 상부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다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안전 표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afety mar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afety marking device which is simple in the roof of a vehicle or in the upper part of a trunk to induce safety from another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stopped on the road due to a defect in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도로 상에는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충돌 및 추돌) 등의 이유로 차량들이 한데 밀집되어 한 공간에 정체되어 있을 수 있는 등 많은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 이러한 많은 위험 요소로 인해 해당 장소로 운행하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는 항상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도로 교통법이나 그 밖의 안전 수칙을 보면 운전자나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사고 발생 현장이나 공사 현장 등에 각종 안전 표시나 안전 구조물 등(이하, '안전 삼각대'라 함)을 설치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Generally, on the road, there are many risk factors such as the possibility that the vehicles are densely packed and stagnated in one space due to a failure of the vehicle or an accident (collision and collision). As a result of many of these hazards, the driver of the rearward vehicle that is moving to the place is always exposed to danger.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the driver or pedestri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afety tripod") to be installed in the building.

참고로, 도로 교통법에서는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안하여 안전 삼각대를 주간에는 100m, 야간에는 200m 이상 사고 차량으로부터 후방에 설치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사고 발생시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차량 탑승자 등이 사고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 등에서는 노면에 위치하는 삼각대를 쉽게 인식하지 못하거나, 설사 인식하더라도 비상상태에 대처하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For reference, the Road Traffic Act stipulates that a safety tripod should be installed 100m in the daytime and 200m in the nighttime, from the accident vehicle, considering the speed of the vehicle that drives the road. However, in case of an accident, if you move to install a safety tripo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ehicle occupant may be exposed to an accident risk. Also, in a highway or the like where a vehicle is traveling at high speed, the tripod located on the road surface can not be easily recognized or even if it is recognized, it can not provide sufficient time to cope with an emergency condi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34588호(공개일 : 2012. 12. 12.), 대한민국 공개실용 20-2012-0001409호(공개일 : 2012. 02. 29.) 등에서는 안전 삼각대를 차량의 루프 또는 트렁크 상부에 장착하여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 발생시 해당 비상상황을 뒤따라오거나, 교행하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여 연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34588 (Publication date: December 12, 2012) and Korean Public Utility Publication No. 20-2012-0001409 (Release date: 2012. 02. 29.) Was mounted on the roof or trunk of the vehicle so as to prevent the chain accident by following the emergency situation in case of a breakdown or an accident or by taking appropriate measures so that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can easily detect it.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34588호는 단순히 안전 삼각대를 차량의 루프에 장착하는 구조로서, 안전 삼각대의 높이가 그다지 높지 않아 뒤따라 오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실용 20-2012-0001409호는 지지봉의 상부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는 구조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34588호에 비해 안전 삼각대의 높이를 높일 수는 있으나, 지지봉의 길이가 고정됨에 따라 후방상황에 따라 안전 삼각대의 높이를 높일 수 없어 여전히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안전 삼각대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34588 has a structure in which a safety tripod is simply mounted on a roof of a vehicle, and the height of the safety tripod is not so high,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driver of the rearward vehicle to recognize easily. The Korean Public Utility Application No. 20-2012-0001409 has a structure in which a safety tripo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rod. Although the height of the safety tripod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34588, The height of the safety tripod can not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rear situation, so that the driver of the rearward vehicle still can not recognize the safety tripod.

이외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41574호(공개일 : 2005. 05. 04.)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01341호(공개일 : 2007. 01. 04.) 등에서도 차량의 비상 상태를 알리는 차량 안전 표지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41574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01341호에서는 운전자의 조작 또는 충돌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안전 표지장치가 동작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emergency state of the vehicle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41574 (published on May 05, 2004)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07-0001341 (published date: 2007.04.04) However, 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5-0041574 and 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001341 disclose that a safety indicator is selectively operated by a driver's operation or a detection signal of a collision sens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installation is not easy.

더욱이,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는 안전 삼각대를 차량의 루프 또는 트렁크 상부에 직접 장착하거나, 혹은 지지봉을 통해 장착하는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에서는 단순히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1차원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로 상에서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충돌 및 추돌) 등의 이유로 교통 혼잡과 정체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교통 혼잡과 정체 해결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s, a safety tripod is mounted directly on the roof or trunk of a vehicle, or mounted via a support bar. In this structure, since only the one-dimension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rearward vehicl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raffic congestion and congestion are generated due to a breakdown of a vehicle or an accident (collision and collision) on the road, and thus it is not very helpful to solve traffic congestion and congestion.

KR 10-2012-0134588 A, 2012. 12. 12.KR 10-2012-0134588 A, 12/12/2012. KR 20-2012-0001409 U, 2012. 02. 29.KR 20-2012-0001409I, 2012. 02. 29. KR 10-2005-0041574 A, 2005. 05. 04.KR 10-2005-0041574 A, 2005. 05. 04. KR 10-2007-0001341 A, 2007. 01. 04.KR 10-2007-0001341 A, 2007. 01. 04.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차량의 루프 또는 트렁크 상부에 설치가 용이하면서, 원거리에서도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mounted vehicle safety devic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install on a roof or trunk of a vehicle, And to provide a labeling device.

또한, 본 고안은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충돌 및 추돌)시 후방 차량에게 경고 신호를 알리는 표시부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충돌 및 추돌) 등의 이유로 교통 혼잡과 정체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교통 혼잡과 정체를 해결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unit for notifying a warning signal to a rear vehicle in the event of a vehicle failure or an accident (collision or collision), thereby causing traffic congestion and stagnation due to a vehicle failure or accident There is another purpose of providing a vehicle-mounted vehicle safety marking device capable of height-adjustable to solve traffic congestion and congestion in a situ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표시부(111)가 표시되는 표시패널(110)과, 상단부에 상기 표시패널(110)이 장착되고, 다단으로 전개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몸체(120)와, 상단부는 상기 몸체(120)의 하단부와 체결되어 상기 몸체(120)를 지지하는 지지대(130)와, 상기 지지대(130)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차량의 루프 또는 트렁크의 상부에 부착되는 흡착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110) on which a display unit (111)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a vehicle to a driver of a rear vehicle is displayed, and a display panel A support base 1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20 to support the body 120 and a lower support member 1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ase 130, And a suction unit (14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of or the trunk of the vehicle.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12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로드(121, 122, 123, 124)와, 상기 다수의 로드(121, 122, 123, 124)를 각각 잠금하는 잠금부재(125, 126, 1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body 120 includes a plurality of rods 121, 122, 123 and 124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a locking member 125 for locking the plurality of rods 121, 122, 123 and 124, respectively. 126, and 127,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몸체(120)의 하단부와 체결되는 체결부(131)와, 상측부가 각각 상기 체결부(131)의 측부와 힌지 체결된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와, 상측부가 상기 체결부(131)의 중앙에 연결되는 지주부(135)와, 상기 지주부(135)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주부(135)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부(136)와, 일측부가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와 각각 힌지 체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승강부(136)의 일측에 각각 힌지 체결된 제1 내지 제3 연결부(137, 138, 1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pport base 130 includes a coupling part 131 to b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ody 120, and an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130 includes first to third leg parts 132 hinged to the side parts of the coupling part 131 133 and 134 and an upper portion 135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131 and an upper portion 135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135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portion 135,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elevating part 136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to the first to third leg parts 132, And may include connecting portions 137, 138, and 139.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부(140)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의 하단부에 각각 체결된 흡착판(141)과, 상기 흡착판(141)을 상기 차량의 루프 또는 트렁크의 상부에 부착 고정하는 잠금부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uction unit 140 may include an adsorption plate 141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to third legs 132, 133 and 134, And a locking member (142) which is attached and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runk.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패널(110)의 상부 또는 상기 표시패널(110)을 상기 몸체(120)의 상부에 장착하는 장착부재(112)의 상부에 장착되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 패널(150)과, 상기 솔라셀 패널(150) 또는 상기 표시패널(110)에 설치되어 아답터 잭이 삽입되는 아답터 홀더(163)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Vin2) 중 어느 하나를 제공받아 충전하는 충전용 전지(166)와, 상기 표시패널(110)의 일측부에 노출되어 설치된 스위치(162)와, 상기 아답터 홀더(163)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Vin1)을 공급받아 제공하는 SMPS(164)와, 상기 SMPS(164) 또는 상기 솔라셀 패널(150)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Vin1, Vin2)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을 선택하여 상기 충전용 전지(166)로 제공하는 선택부(165)와,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67)와, 상기 선택부(165)를 통해 상기 SMPS(164)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Vin1) 또는 상기 충전용 전지(166)로부터 공급되는 내부전원 중 어느 하나를 제공받아 구동하고, 상기 스위치(162)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패널(110)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조도센서(167)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패널(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부(1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or on a mounting member 112 for mounting the display panel 11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0,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Vin2 supplied through the solar cell panel 150 or an adapter holder 163 installed in the display panel 110 and having an adapter jack inserted therein, A switch 162 expos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an SMPS 164 receiving and supplying an external power supply Vin1 supplied from the adapter holder 163, A selection unit 165 for selecting on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s Vin1 and Vin2 supplied from the SMPS 164 or the solar cell panel 150 and providing the selected power source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66, An illuminance sensor 167 for sensing brightness, and a controller 167 for controlling the SMPS 1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charging battery 166.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switch 162, And a driving circuit unit 16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in response to a sensing signal provided from the illuminance sensor 167.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표시패널(110), 몸체(120), 지지대(130) 및 흡착부(140)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표지장치(100)를 제공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simple by providing the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100 including the display panel 110, the body 120, the support stand 130, and the adsorption unit 140.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130)의 하부에 흡착부(140)가 설치됨에 따라 차량(10)의 루프 또는 트렁크의 상부에 장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120)가 다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dsorption unit 140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base 130, it is easy to install the upper body of the vehicle 10 on the roof or the trunk of the vehicle 10, Since the height can be adjusted,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can easily recognize from a distance.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110)을 통해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충돌 및 추돌)시 경고신호를 알리는 표시부(111)를 제공함에 따라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 등의 이유로 교통 혼잡과 정체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교통 혼잡과 정체를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unit 111 for notifying a warning signal when a vehicle malfunctions or crashes (collision and collision) i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panel 110, traffic congestion and congestion Traffic congestion and congestion can be solv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안전 표지장치의 본체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A'-A''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B'-B''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표시패널을 동작시키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표지장치가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면을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afety indicator for a vehicle mou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front side of the vehicle.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afety indicator shown in FIG. 1 seen from one side of the rear sid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of the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shown in Fig. 1 is deployed; Fig.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vehicle safety indicator shown in FIG. 3 viewed from the front;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shown in FIG. 4 along the A'-A '' perforation lin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shown in FIG. 4 along the B'-B '' perforation line.
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operating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oof of a vehicle.
Fig. 9 is a rear view of the drawing shown in Fig. 8; Fig.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he terms (mentioned)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후방 일측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viewed from a front side thereof for explaining a height-adjustable vehicle-mounted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 As viewed from one side of the rear sid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표지장치(100)는 표시패널(110)과, 몸체(120)와, 지지대(130)와, 흡착부(140)를 포함한다. 1 and 2, a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10, a body 120, a support 130, a suction unit 140, .

표시패널(1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장착부재(112)를 통해 몸체(12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는 표시부(111)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11)는 예를 들어, 화살표, 경고등, 경고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11)로 화살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1 and 2, the display panel 110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120 through the mounting member 112 and displays a display unit 111 for guiding the driver's direction of the vehicle to the rear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11 may include, for example, arrows, warning lights, warning bars, and the like.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1 will be described with an arrow as an example.

표시부(111)를 통해 표시된 화살표는 표시패널(110)의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이와 반대로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Arrow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1 may be formed diagonally from the right upper end of the display panel 110 to the left lower end, or vice versa.

본 고안에 따른 표시패널(11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Organic LED) 등과 같은 표시장치는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고 수명이 긴 LED 표시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pane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ny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However, Is preferably used.

표시패널(110)은 보관이 용이하도록 장착부재(112)를 통해 몸체(120)로부터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몸체(120)가 장착부재(112)의 관통공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112-1)를 조임 및 풀림하여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10 is mounted and detachable from the body 120 through a mounting member 112 for easy storage. For example, when the body 1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mounting member 112, the bolt 112-1 can be fastened and loosened to mount or separate.

표시패널(110)을 통해 표시되는 표시부(111)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점등 또는 설정시간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하거나, 혹은 주변 밝기에 따라 밝기의 세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11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panel 110 preferably has visibility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behind the vehicle can easily recognize even a long distance. For this purpose, the display unit 111 may be flickered at a lighting or set time interval, You can also adjust the intensity of the brightness. In addition, various colors may be sequentially changed to increase the visibility.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안전 표지장치의 본체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A'-A''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차량 안전 표지장치를 B'-B''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of the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shown in FIG. 1 is develope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shown in FIG. 3,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shown in FIG. 4 along the B'-B '' perforation lin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10)이 장착 고정되는 몸체(12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로드(121, 122, 123, 124)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다수의 로드(121, 122, 123, 124) 간의 상호 결합을 통해 다단으로 전개되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로드(121, 122, 123, 124)의 개수와 길이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3 and 4, a body 120 on which the display panel 110 is mounted and fixed includes a plurality of rods 121, 122, 123, and 124 having different diameters coupled to each other, (121, 122, 123, 124) to adjust the height. At this time, the number and length of the rods 121, 122, 123, and 124 are not limited.

몸체(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의 내부 또는 차량 내부에 보관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이웃하는 로드로 직경이 작은 로드를 완전 삽입시켜 비전개시키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 또는 트렁크의 상부에 부착하여 사용시에는 이웃하는 로드 중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이웃하는 로드로부터 직경이 작은 로드를 전개(신장)시켜 사용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body 120 is stored in a trunk or inside a vehicle, a rod having a small diameter is completely inserted into a neighboring rod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in order to minimize volume, 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a rod is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a loop or a trunk of a vehicle, a rod having a small diameter is expanded (stretched) from a neighboring rod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mong neighboring rods do.

본 고안에 따른 몸체(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 각 로드(121, 122, 123, 124)를 전개시킨 상태에서 각 로드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로드(121, 122, 123)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잠금부(125, 126, 12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body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ods 121, 122, and 123 for fixing the rods 121, 122, 123, And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125, 126, and 127, respectively, provided at upper ends of the locking portions 125, 126, and 127, respectively.

다수의 잠금부(125, 126, 127)는 각각 잠금바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바를 개방하면, 로드(121, 122, 123, 124)들의 잠금이 해제되어 자유롭게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고, 잠금바를 닫으면 로드(121, 122, 123, 124)들이 잠금되어 인입 및 인출이 제한된다. Each of the lock portions 125, 126, and 127 includes a lock bar. When the lock bar is opened, the locks of the rods 121, 122, 123, and 124 are released, The rods 121, 122, 123, and 124 are locked to limit the incoming and outgoing.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몸체(120)는 잠금부(125, 126, 127)를 통해 각 로드(121, 122, 123, 124)를 독립적으로 고정하여 잠금함으로써 자유롭게 몸체(120)의 높이를 조정하고, 이를 통해 후방에 위치한 장애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표시패널(11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ody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fix the height of the body 120 by independently locking and locking the respective rods 121, 122, 123, and 124 through the lock portions 125, 126, So that the height of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fre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rear obstacle,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130)는 예로 들어, 삼각대(트라이 포드) 또는 모노 포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삼각대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For example, a tripod (tripod) or a monopod may be used as the suppor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ripo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130)는 삼각대 구조로, 트러스 구조(truss structure)를 형성하기 위해 몸체(120)의 하단부와 체결되는 체결부(131)와, 상측부가 각각 체결부(131)의 측부와 힌지 체결된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와, 상측부가 체결부(131)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지주부(135)와, 지주부(135)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지주부(135)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부(136)와, 일측부가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와 각각 힌지 체결되고, 타측부가 승강부(136)의 일측에 각각 힌지 체결된 제1 내지 제3 연결부(137, 138, 139)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6, the suppor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ipod structure, a fastening part 131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20 to form a truss structure, The upper portion includes first to third leg portions 132, 133 and 134 hinged to th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131, a peripheral portion 135 to which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31, A lift part 136 which is coupled to surround the main part 135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part 135 and a lift part 136 which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first to third leg parts 132, 133 and 134, 138, and 139 that are hinged to one side of the lifting unit 136, respectively.

체결부(131)는 몸체(12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체결 고정되고, 측부에는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가 각각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힌지 체결되어 있다. The fastening part 131 is fastened and fixed so as to surround the lower end of the body 120 and the first to third leg parts 132, 133 and 134 are hinged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는 각각 상단부가 체결부(131)의 측부에 힌지 체결되고, 이를 통해 체결부(131)의 측부를 축으로 지주부(135)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혀지며, 반대로 지주부(1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져 트러스 구조를 형성한다.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leg portions 132, 133 and 134 is hing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31 and the side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31 is pivotally rotated about the pivot portion 135 On the contrar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pport portion 135, thereby forming a truss structure.

본 고안에 따른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로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몸체(12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로드와, 상기 로드들을 잠금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6, the first to third leg portions 132, 133, and 13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ingle rod structure. However, 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the body 120, And a locking member for locking the rods.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137, 138, 139)를 통해 승강부(136)에 체결되어 승강부(136)가 지주부(135)를 따라 상방으로 상승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연결부(137, 138, 139)를 통해 이끌려 지주부(135) 방향으로 접혀지고, 이와 반대로, 승강부(136)가 지주부(135)를 따라 하방으로 하강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연결부(137, 138, 139)를 통해 밀려나 지주부(13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The first to third leg portions 132, 133 and 134 are fastened to the lift portion 136 through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portions 137, 138 and 139 so that the lift portion 136 can support the support portion 135 The lifting portion 136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n main body 135 through 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portions 137, 138 and 139 and the lifting portion 136 is moved downward along the supporting portion 135 It is push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portions 137, 138, and 139 and sprea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portion 135.

제1 내지 제3 연결부(137, 138, 139)는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를 상호 연결한다. 즉, 제1 내지 제2 연결부(137, 138, 139)의 일측부는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부는 승강부(136)의 측부와 힌지 결합된다.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portions 137, 138, and 139 connect the first to third leg portions 132, 133, and 134 with each other.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37, 138 and 139 is hinged to the first to third leg portions 132, 133 and 134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lift portion 136, .

승강부(136)는 지주부(135)의 외경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지주부(135)의 외경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는 지주부(135) 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혹은 지주부(13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The elevating portion 136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ing portion 135 and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ing portion 135. The first to third leg portions 132, 133 and 134 may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35 or may be extend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upport portion 135.

지주부(135)는 도 2와 같이, 상부가 체결부(131)의 중앙에 연결되고 하부가 승강부(136)와 결합된다. 이러한 지주부(135)는 봉 구조로 몸체(120)의 하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upporting portion 135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131 and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elevating portion 136. The support portion 13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ody 120 in a bar structure.

본 고안에 따른 흡착부(14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지지대(130)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차량의 루프 또는 트렁크의 상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흡착부(140)는 지지대(130)의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의 하단부에 각각 체결된 흡착판(141)과, 흡착판(141)을 차량의 루프 또는 트렁크의 상부에 부착 고정하는 잠금부재(14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dsorpt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er 130 and attached to the roof or trunk of the vehicle. The adsorption unit 140 includes an adsorption plate 141 fasten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to third legs 132, 133 and 134 of the supporter 130 and a suction plate 141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op or trunk of the vehicle (Not show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표시패널을 동작시키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럭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operating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표지장치(100)는 표시패널(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 패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7, the vehicle safety indicat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olar cell panel 150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panel 110 .

솔라셀 패널(150)은 표시패널(110)의 상부에 설치되거나, 혹은 장착부재(112)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솔라셀과, 상기 솔라셀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과, 상기 솔라셀들을 보호하는 투명 보호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olar cell panel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panel 110 or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member 112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olar cells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 transparent protection plate for protecting the solar cells.

상기 솔라셀들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실리콘 솔라셀 또는 박막 솔라셀(비정질 실리콘 박막, CDTe 화합물 박막 또는 CIGS 화합물 박막)일 수 있다. 상기 솔라셀들에서 집광된 에너지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 후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구동 회로부(161)로 제공될 수 있다. The solar cells may be silicon solar cells or thin film solar cells (amorphous silicon thin film, CDTe compound thin film or CIGS compound thin film) which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The condensed energy in the solar cells may be converted into electric energy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n provided to the driving circuit unit 161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솔라셀 패널(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직접 표시패널(110)로 공급되지 않고 선택부(165)를 통해 충전용 전지(166)에 1차로 충전된 후, 충전용 전지(166)로부터 표시패널(110)로 공급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 표지장치는 충전용 전지(166)를 사용하고 있으나, 충전용 전지(166) 대신에 일회용 건전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The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panel 150 is not directly supplied to the display panel 110 but is firstly charged to the charging battery 166 through the selection unit 165, (110). Here, the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rechargeable battery 166, but a disposable battery may be used in plac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66.

충전용 전지(166)로는 예를 들어, 니켈 카드뮴(Ni-Cd), 알카라인 전지, 니켈 수소(Ni-Mh), 밀폐형 납산(SLA), 리튬 이온(Liion), 리튬 폴리머(Li-polym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리튬 이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리튬 이온은 니켈 카드뮴이나 니켈 수소 건전지에 비해 가볍고 건전지의 수명이 길기 때문이다.Examples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66 include nickel cadmium (Ni-Cd), alkaline batteries, Ni-Mh, sealed lead acid (SLA), lithium ion, lithium polymer Can be used. Of these, lithium ions are preferably used. This is because lithium ion is lighter than nickel cadmium or nickel metal hydride batteries and has a longer battery life.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 표지장치(100)는 솔라셀 패널(150) 이외에도,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아답터 잭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아답터 홀더(16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아답터 잭으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은 표시패널(110)에 설치된 아답터 홀더(163)를 통해 표시패널(110)로 공급되어 이들을 구동시키거나, 충전용 전지(166)를 충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apter holder 163 in which an adapter jack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is inser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to the solar cell panel 150. The external power supplied from the adapter jack may be supplied to the display panel 110 through an adapter holder 163 provided in the display panel 110 to drive them or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166.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 표지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164), 선택부(165) 및 조도센서(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witched-Mode Power Supply (SMPS) 164, a selection unit 165 and an illuminance sensor 167, as shown in FIG.

SMPS(164)는 아답터 홀더(163)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Vin1)을 공급받아 선택부(165)로 공급하고, 선택부(165)는 SMPS(164) 또는 솔라셀 패널(150)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Vin1, Vin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충전용 전지(166)로 공급한다. The SMPS 164 supplies the external power supply Vin1 supplied from the adapter holder 163 to the selection unit 165 and the selection unit 165 supplies the external power Vin1 supplied from the SMPS 164 or the solar cell panel 150 Selects on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s (Vin1, Vin2) and supplies it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66).

또한, 선택부(165)는 SMPS(164)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Vin1) 또는 충전용 전지(166)로부터 공급되는 내부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 회로부(161)로 제공한다. The selection unit 165 selects either the external power supply Vin1 supplied from the SMPS 164 or the internal power supply supplied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166 and supplies the selected power supply to the drive circuit unit 161. [

조도센서(167)는 주변 밝기를 감지하여 구동 회로부(161)로 제공하고, 구동 회로부(161)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操作)되는 스위치(162)에 응답하여 동작하되, 조도센서(167)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표시패널(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주변 밝기에 따라 표시패널(110)의 표시부(111)를 점등 또는 점멸하거나, 혹은 표시부(111)의 밝기를 조정하거나, 다양한 색상으로 변경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도 있다. The illuminance sensor 167 senses the ambient brightness and provides it to the driving circuit unit 161. The driving circuit unit 161 operates in response to the switch 162 operated by the us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in response to the provided sensing signal. That is, the display unit 111 of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turned on or off,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1 may be adjusted, or various color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brightness to improve visibility.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표지장치가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면을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oof of a vehicle, and FIG. 9 is a rear view of the view shown in FIG.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표지장치(100)는 표시패널(110), 몸체(120), 지지대(130) 및 흡착부(140)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다. 그리고, 지지대(130)의 하부에 흡착부(140)가 설치됨에 따라 차량(10)의 루프 또는 트렁크의 상부에 장착이 용이하다. 또한, 몸체(120)가 다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10)을 통해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충돌 및 추돌)시 후방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표시부(111)를 제공함에 따라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 등의 이유로 교통 혼잡과 정체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교통 혼잡과 정체를 해결할 수 있다.
8 and 9, a vehicle safety mar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10, a body 120, a support 130, and a suction unit 140 The structure is simple. Since the adsorption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base 130, it is easy to mount on the roof of the vehicle 10 or on the trunk of the vehicle. Further, since the height of the body 120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eps,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can easily recognize from a distance. 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111 for guid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ear vehicle in the event of a failure or an accident (collision or collision) of the vehicle, traffic congestion and congestion occur due to a failure of the vehicle or an accident Traffic congestion and congestion can be solv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not limiting.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차량 100 : 차량 안전 표지장치
110 : 표시패널 111 : 표시부
112 : 장착부재 112-1 : 볼트
120 : 몸체 121~124 : 로드
125~127 : 잠금부 130 : 지지대
131 : 체결부 132~134 : 제1 내지 제3 다리부
135 : 지주부 136 : 승강부
137~139 : 제1 내지 제3 연결부 140 : 흡착부
141 : 흡착판 142 : 잠금부재
10: vehicle 100: vehicle safety indicator
110: display panel 111:
112: mounting member 112-1: bolt
120: bodies 121 to 124: rod
125 to 127: locking part 130: support
131: fastening parts 132 to 134: first to third leg parts
135: support part 136:
137 to 139: first to third connecting parts 140:
141: attracting plate 142: locking member

Claims (5)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표시부(111)가 표시되는 표시패널(110);
상단부에 상기 표시패널(110)이 장착되고, 다단으로 전개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몸체(120);
상단부는 상기 몸체(120)의 하단부와 체결되어 상기 몸체(120)를 지지하는 지지대(130);
상기 지지대(130)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차량의 루프 또는 트렁크의 상부에 부착되는 흡착부(140);
상기 표시패널(110)의 상부 또는 상기 표시패널(110)을 상기 몸체(120)의 상부에 장착하는 장착부재(112)의 상부에 장착되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 패널(150);
상기 솔라셀 패널(150) 또는 상기 표시패널(110)에 설치되어 아답터 잭이 삽입되는 아답터 홀더(163)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Vin2) 중 어느 하나를 제공받아 충전하는 충전용 전지(166);
상기 표시패널(110)의 일측부에 노출되어 설치된 스위치(162);
상기 아답터 홀더(163)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Vin1)을 공급받아 제공하는 SMPS(164);
상기 SMPS(164) 또는 상기 솔라셀 패널(150)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Vin1, Vin2)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을 선택하여 상기 충전용 전지(166)로 제공하는 선택부(165);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67); 및
상기 선택부(165)를 통해 상기 SMPS(164)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Vin1) 또는 상기 충전용 전지(166)로부터 공급되는 내부전원 중 어느 하나를 제공받아 구동하고, 상기 스위치(162)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패널(110)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조도센서(167)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패널(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부(161)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2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로드(121, 122, 123, 124)와, 상기 다수의 로드(121, 122, 123, 124)를 각각 잠금하는 잠금부재(125, 126, 127)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몸체(120)의 하단부와 체결되는 체결부(131)와, 상측부가 각각 상기 체결부(131)의 측부와 힌지 체결된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와, 상측부가 상기 체결부(131)의 중앙에 연결되는 지주부(135)와, 상기 지주부(135)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주부(135)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부(136)와, 일측부가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와 각각 힌지 체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승강부(136)의 일측에 각각 힌지 체결된 제1 내지 제3 연결부(137, 138, 139)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140)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132, 133, 134)의 하단부에 각각 체결된 흡착판(141)과, 상기 흡착판(141)을 상기 차량의 루프 또는 트렁크의 상부에 부착 고정하는 잠금부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차량 안전 표지장치.
A display panel (110) on which a display unit (111) for guiding the driver 's direction to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is displayed;
A body 120 on which the display panel 110 is mounted at an upper end and which can be deployed in multiple stages to adjust the height;
The upper part includes a support 13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ody 120 to support the body 120.
A suction unit 140 fasten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er 130 and attached to a roof or trunk of the vehicle;
A solar cell panel 150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or a mounting member 112 for mounting the display panel 11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0 to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A rechargeable battery 166 for receiving and charging any on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Vin2 supplied through the solar cell panel 150 or the adapter holder 163 installed i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adapter jack is inserted, ;
A switch 16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An SMPS 164 which receives and supplies an external power supply Vin1 supplied from the adapter holder 163;
A selection unit 165 for selecting on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s Vin1 and Vin2 supplied from the SMPS 164 or the solar cell panel 150 and providing the selected power source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66;
An illuminance sensor 167 for sensing ambient brightness;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Vin1 supplied from the SMPS 164 or the internal power supply supplied from the charging battery 166 through the selection unit 165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switch 162 And a driving circuit unit (16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in response to a sensing signal provided from the illuminance sensor (167)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The body 120 includes a plurality of rods 121, 122, 123 and 124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locking members 125, 126 and 127 for locking the plurality of rods 121, 122, 123 and 124, ),
The support base 130 includes a coupling part 131 to b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ody 120 and a first to third leg parts 132, 133, and 133, which are hinged to the sides of the coupling part 131, And a lifting portion 136 which is coupled to cover the support portion 135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portion 135. The lifting portion 136 133 and 134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elevating part 136. 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parts 137 and 137 are hinged to the first to third leg parts 132, , 138, 139)
The suction unit 140 includes a suction plate 141 fasten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through third legs 132, 133 and 134 and a suction plate 141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op or trunk of the vehicle And a locking member (142)
Wherein the height of the vehicle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30008979U 2013-11-01 2013-11-01 Height adjustable vehicle safety display appratus for mounting on vehicle KR2004734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79U KR200473487Y1 (en) 2013-11-01 2013-11-01 Height adjustable vehicle safety display appratus for mounting o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79U KR200473487Y1 (en) 2013-11-01 2013-11-01 Height adjustable vehicle safety display appratus for mounting on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487Y1 true KR200473487Y1 (en) 2014-07-04

Family

ID=5199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979U KR200473487Y1 (en) 2013-11-01 2013-11-01 Height adjustable vehicle safety display appratus for mounting o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487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27Y1 (en) 2014-10-14 2015-01-30 조일봉 Safety tripod for a car
KR102106088B1 (en) * 2019-09-03 2020-04-29 주식회사 정우세이프티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for vehicle sign boar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180Y1 (en) * 2004-10-22 2005-03-18 김영일 A signpost
KR200390328Y1 (en) 2005-04-25 2005-07-21 주식회사 한텍하이브리드 A safe signal board for vehicles with high 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s
KR100732916B1 (en) * 2006-06-08 2007-06-28 주식회사 우전그린 Safety lighting guard rail for road
KR20120000560U (en) * 2010-07-14 2012-01-20 길상원 attachment type display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180Y1 (en) * 2004-10-22 2005-03-18 김영일 A signpost
KR200390328Y1 (en) 2005-04-25 2005-07-21 주식회사 한텍하이브리드 A safe signal board for vehicles with high 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s
KR100732916B1 (en) * 2006-06-08 2007-06-28 주식회사 우전그린 Safety lighting guard rail for road
KR20120000560U (en) * 2010-07-14 2012-01-20 길상원 attachment type display pan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27Y1 (en) 2014-10-14 2015-01-30 조일봉 Safety tripod for a car
KR102106088B1 (en) * 2019-09-03 2020-04-29 주식회사 정우세이프티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for vehicle sign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100B2 (en) Portable solar light tower
US7471213B2 (en) Emergency response warning system
KR100804577B1 (en) Apparatus showing the direction for sign-car
KR101064132B1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for traffic light
KR200449936Y1 (en) A stop using solar light
WO2017035888A1 (en) Foldable warning triangle rack
KR200473487Y1 (en) Height adjustable vehicle safety display appratus for mounting on vehicle
CN105066022A (en) Road lamp with adjustable height
JP5187855B2 (en) Portable lighting device
JP2013214463A (en) Security street light
KR101034772B1 (en) Integrated bus station with solar photovoltaic panels
CN204915431U (en) Equipment is salvageed to electric power
CN208055911U (en) A kind of double-sided display municipal works road indicating device
CN211948055U (en) Traffic warning device
KR20180031563A (en) The vehicle automatic unfolding emergency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7499228B (en) Parking alarm warning sign
CN202492815U (en) Solar warning light
KR20210071756A (en) A safety sign device for central separator using solar generation
CN105845057A (en) Solar construction guiding board
KR20210046215A (en) Portable traffic control device
CN206040158U (en) Led electronic guide board
CN214890875U (en) Road lighting system and automatic fault detection equipment thereof
KR20210046225A (en) Portable traffic control device
CN205737361U (en) Solar-powered auxiliary power supply system and motor vehicles
CN213869118U (en) Flexible thin-film solar intelligent bus she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