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435Y1 -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435Y1
KR200473435Y1 KR2020120004375U KR20120004375U KR200473435Y1 KR 200473435 Y1 KR200473435 Y1 KR 200473435Y1 KR 2020120004375 U KR2020120004375 U KR 2020120004375U KR 20120004375 U KR20120004375 U KR 20120004375U KR 200473435 Y1 KR200473435 Y1 KR 200473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control unit
unit
central body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943U (ko
Inventor
백승권
Original Assignee
백승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권 filed Critical 백승권
Priority to KR2020120004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43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4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detecting audible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7/00Apparatus for performing colour-mus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조명을 연출하는 다수의 조명 유닛; 및 상기 조명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설정되는 다양한 음(sound)에 해당되는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정보를 형성하도록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명 시스템{LIGHTING SYSTEM}
본 고안은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다양한 음의 정보에 따라 다양한 조명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에 사용되는 음향이나 조명의 시스템은 단순히 사용자가 노래방 반주기에 곡을 선정하고 반주를 개시하면, 조명이 점등되거나 회전하는 형태로 조명 시스템을 사용한다.
상기 음향, 조명 시스템은 단순히 반주기의 시작과 종료에 따라 단순하게 정해진 신호에 따라 조명이 극히 단순하게 작동한다.
이러한 종래의 음향, 조명 시스템은 노래의 장르나 템포에 관계없이 정해진 하나의 포멧에 의해 조명이 작동하므로, 조명 사용에 대한 선택권이 사용자에게 없다.
그리고, 사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반주기의 시작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조명을 일괄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노래방을 이용하는 사람이 노래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기에 미흡하다.
또한, 반주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쉽게 반주기를 외면하므로, 노래방을 찾는 횟수를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노래방을 경영하는 관리자가 경제적 손실과 함께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제한된 실내에 다양한 조명기기들을 개별적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가 어렵고, 설치 공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96796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노래방 반주기에 음향과 조명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형성하여, 음향의 강약, 고저, 템포, 장르에 따라, 노래방에 설치되는 조명의 표현 형태를 자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다양한 음의 정보에 따라 다양한 조명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입향정보가 설정되거나 다양한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조명을 연출하는 다수의 조명 유닛; 및 상기 조명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설정되는 다양한 음(sound)에 해당되는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정보를 형성하도록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조명 유닛은, 중앙홀이 형성되는 평판형상의 중앙몸체와, 상기 중앙몸체의 양측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측부 몸체를 갖는 조명 유닛몸체와, 상기 중앙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중앙홀과 연결되는 설치홀이 형성되는 전자 플래시와, 상기 설치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 형상의 핀볼 조명과, 상기 측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빔 서포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 유닛몸체에는, 상기 제어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각 조명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연결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에 상기 다양한 음을 입력하는 입력 유닛과 연결되는 장치 연결 단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몸체에는, 상기 제어유닛이 설치되는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은 탈착 가능한 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유닛은, 입력 유닛과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되, 상기 입력 유닛은, 외부 음(sound)을 상기 제어 유닛에 입력하는 마이크 또는 반주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유닛에는, 다수의 음의 흐름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음원 정보가 설정되고, 상기 각 음원 정보의 음원 장르가 그룹핑되어 설정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음원 장르 및 상기 음원 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조명 유닛의 연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볼 조명은,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핀볼 조명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연결된다.
상기 연출 정보는, 상기 전자 플래시와 상기 빔서포트의 조명 강약 및 조명 간격, 상기 회전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상기 핀볼 조명의 회전속도 및 회전 방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측부 몸체는, 상기 중앙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측부 몸체는,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를 통해 상기 중앙몸체의 양측부에서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측부 몸체의 회전 동작은, 상기 연출 정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유닛에는,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 정보 기준 사용한도가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일정 기간 동안, 연출되는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 정보에 대한 사용량을 누적시켜 저장하고,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 정보에 대한 사용량을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 정보 기준 사용한도에 이르렀는지를 판단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기를 사용하여 상기 판단한 결과를 외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다양한 음의 정보에 따라 다양한 조명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입향정보가 설정되거나 다양한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르는 조명유닛몸체에 제어유닛이 장착되는 일 예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한 쌍의 측부 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은 크게 다수의 조명 유닛(100)과, 제어 유닛(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조명 유닛(100)은 조명유닛몸체(2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전자플래시(110)와, 핀볼조명(120)과, 빔 서포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몸체(200)는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실내의 측벽에도 설치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몸체(200)는, 중앙몸체(210)와, 한 쌍의 측부 몸체(220)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몸체(210)는 일정폭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각 측부 몸체(220)는 상기 중앙몸체(210)의 양측부에서 상방으로 일정 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앙몸체(210)에는, 중앙홀(211)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몸체(210)의 상단에는 회전모터(1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몸체(200)에는 연결단자(201)와, 장치 연결 단자(20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단자(201)는 상기 중앙몸체(210)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장치연결단자(202)는 상기 중앙몸체(210)의 상단 타측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단자(201)는 전자플래시(110), 핀볼 조명(120) 및 빔 서포트(1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단자이다.
또한, 상기 장치연결단자(202)는 마이크 또는 반주기와 같은 입력유닛(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단자이다.
여기서, 중앙몸체(210)는 상방으로 경사진 한 쌍의 측부 몸체(220)로 인하여 골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201)와 장치연결단자(202)는 상기 골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중앙몸체(210)의 상단에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전자 플래시(110)는 잔상의 효과를 발생시키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중앙몸체(210)의 저면과 전후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자 플래시(110)에는 상기 중앙홀(211)과 연결되는 설치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핀볼 조명(120)은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211)과 설치홀(111)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핀볼 조명(120)은 상기 중앙몸체(210)의 상단에 설치되는 회전모터(121)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모터(121)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일정 속도 및 일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빔 서포트(130)는 외부전원을 인가 받아 일정의 조도를 이루어 광을 출사하는 장치로서, 상기 각 측부 몸체(220)의 하단에 일정 간격을 형성하여 설치된다.
본 고안에서 기술되는 전자플래시(110), 핀볼 조명(120) 및 빔 서포트(130)의 설치 위치는 상기에 기술되는 위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도 4는 안착홀에 제어유닛이 장착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조명유닛몸체(200)에는 제어유닛(300)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조명 유닛몸체(200)에 형성되는 안착홀(230)에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홀(230)은 개폐커버(231)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다. 상기 개폐커버(231)는 회전식 개폐방식일 수도 있고, 슬라이딩 개폐 방식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300)은 입력 유닛(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입력유닛(400)은 외부 음을 제어유닛(300)에 입력하는 마이크 또는 반주기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또는 반주기는 연결단자(201)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단자(201)는 제어유닛(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은, 상기 제어유닛(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유닛(300)은 기설정되는 다양한 음(sound)에 해당되는 상기 각 조명 유닛(100)의 연출정보를 형성하도록 상기 각 조명 유닛(100)의 연출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300)에는 상기 다양한 음(sound)에 해당되는 상기 각 조명 유닛(100)의 연출정보가 기설정된다.
상기 다양한 음은, 상술한 입력유닛(40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연출정보는 전자플래시(110)와 빔서포트(130)의 조명의 강약 및 조명 간격, 핀볼 조명(12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유닛(400)을 통하여 다양한 음이 제어유닛(300)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입력되는 각 음에 해당되는 각 조명 유닛(100)의 연출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연출정보를 이루도록 각 조명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더하여,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한 쌍의 측부 몸체가 회전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한 쌍의 측부 몸체(220)는 중앙몸체(210)의 양측부에서 다른 회전모터(221)를 통해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른 회전모터(221)는 제어유닛(30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220)의 회전동작 역시, 상기 연출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300)은 다양한 음이 입력되면, 이에 해당되는 연출정보에 측부 몸체(220)의 상하회전 동작을 포함하여 연출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300)에는, 다수의 음의 흐름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음원 정보가 설정되고, 상기 각 음원 정보의 음원 장르가 그룹핑되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300)은, 상기 음원 장르 및 상기 음원 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조명 유닛(100)의 연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각 조명 유닛(100)의 연출을 제어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조명 시스템은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되, 각 조명 유닛(100)이 하나의 조명 유닛몸체(200)에 형성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유닛(300) 역시 조명 유닛몸체(200)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는 실시예는 조명 유닛(100)의 설치를 쉽게 하고, 미관상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마이크 또는 반주기와 같은 입력유닛(400)이 연결되는 장치연결단자(202) 및 조명 유닛(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10)와 연결되는 연결단자(201)를 조명 유닛몸체(200)에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장치와의 연결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입력유닛(400)을 사용하여 외부 음, 예컨대, 사용자의 음성 또는 반주기를 통한 음을 제어유닛(300)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입력되는 다양한 음에 해당되는 각 조명 유닛(100)의 연출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설정되는 연출정보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 조명 유닛(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조명 유닛(100)의 작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플래시(110), 핀볼조명(120)의 회전, 빔서포트(130) 등의 조명 강약 및 조명 간격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는 제어유닛(300)은 입력되는 다양한 음에 해당되는 조명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입력유닛(400)을 통하여 다양한 음의 흐름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음원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예컨대, 어느 하나의 노래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유닛(300)은 이에 해당되는 음원장르들 중 해당 음원장르를 설정한다.
예컨대, 발라드 스타일의 음원정보가 입력되면, 제어유닛(300)은 해당 발라드 음원장르를 설정한다.
이어, 상기 제어유닛(300)은 발라드 음원장르에 해당되는 각 조명 유닛(100)의 연출정보를 형성하도록 각 조명 유닛(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는 실시예는,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거나, 반주기를 통하여 반주가 입력되거나, 어느 하나의 장르를 이루는 노래가 입력되는 경우에, 이에 해당되는 조명 분위기를 서로 다르게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는 제어유닛(300)에는 상기 각 조명 유닛(100)의 연출 정보 기준 사용한도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닛(300)은, 일정 기간 동안, 연출되는 상기 각 조명 유닛(100)의 연출 정보에 대한 사용량을 누적시켜 저장하고, 상기 각 조명 유닛(100)의 연출 정보에 대한 사용량을 상기 각 조명 유닛(100)의 연출 정보 기준 사용한도에 이르렀는지를 판단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기(310)를 사용하여 상기 판단한 결과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는 실시예는, 각 조명 유닛(100)의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조명 유닛(100)의 교체시기를 외부로 알려줄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다양한 조명 연출로 인하여 조명 유닛(110)이 파손된 상태로 비정상적인 조명연출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고안에 따르는 조명 유닛몸체(200)에서, 한 쌍의 측부 몸체(220)는 중앙몸체(210)의 양측부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측부 몸체(220)는 중앙몸체(210)의 양측부에 끼움결합될 수도 있으며, 볼트 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는 실시예는 중앙 몸체(210) 및 각 측부 몸체(220)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할 수도 있다.
100 : 조명 유닛 110 : 전자 플래시
120 : 핀볼 조명 130 : 빔 서포트
200 : 조명유닛몸체 201 : 연결단자
202 : 장치연결단자 210 : 중앙몸체
220 : 측부 몸체 300 : 제어유닛
400 : 입력유닛

Claims (10)

  1. 서로 다른 조명을 연출하는 다수의 조명 유닛; 및
    상기 조명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설정되는 다양한 음(sound)에 해당되는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정보를 형성하도록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유닛은, 중앙홀이 형성되는 평판형상의 중앙몸체와, 상기 중앙몸체의 양측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중앙몸체의 양측부와 골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부 몸체를 갖는 조명 유닛몸체에 설치되되,
    상기 중앙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중앙홀과 연결되는 설치홀이 형성되는 전자 플래시와, 상기 설치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 형상의 핀볼 조명과, 상기 측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빔 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 유닛몸체에는, 상기 제어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각 조명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연결 단자가 상기 중앙몸체의 일측부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 중 어느 하나 사이에 형성되는 골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에 상기 다양한 음을 입력하는 입력 유닛과 연결되는 장치 연결 단자가 상기 중앙몸체의 타측부와 상기 한 쌍의 측부 몸체 중 다른 하나 사이에 형성되는 골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몸체에는, 상기 제어유닛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안착홀과, 상기 안착홀을 회전 개폐하는 개폐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홀은 회전 개폐되는 상기 개폐커버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입력 유닛과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되,
    상기 입력 유닛은, 외부 음(sound)을 상기 제어 유닛에 입력하는 마이크 또는 반주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어 유닛에는,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 정보 기준 사용한도가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일정 기간 동안, 연출되는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 정보에 대한 사용량을 누적시켜 저장하고,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 정보에 대한 사용량을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 정보 기준 사용한도에 이르렀는지를 판단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기를 사용하여 상기 판단한 결과를 외부에 표시하여 상기 각 조명 유닛의 교체 시기를 외부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에는, 다수의 음의 흐름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음원 정보가 설정되고, 상기 각 음원 정보의 음원 장르가 그룹핑되어 설정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음원 장르 및 상기 음원 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조명 유닛의 연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각 조명 유닛의 연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볼 조명은,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핀볼 조명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연출 정보는,
    상기 전자 플래시와 상기 빔서포트의 조명 강약 및 조명 간격, 상기 회전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상기 핀볼 조명의 회전속도 및 회전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 몸체는, 상기 중앙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 몸체는,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를 통해 상기 중앙몸체의 양측부에서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측부 몸체의 회전 동작은, 상기 연출 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10. 삭제
KR2020120004375U 2012-05-24 2012-05-24 조명 시스템 KR200473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375U KR200473435Y1 (ko) 2012-05-24 2012-05-24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375U KR200473435Y1 (ko) 2012-05-24 2012-05-24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43U KR20130006943U (ko) 2013-12-04
KR200473435Y1 true KR200473435Y1 (ko) 2014-07-03

Family

ID=5199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375U KR200473435Y1 (ko) 2012-05-24 2012-05-24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4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957A1 (ko) * 2014-09-30 2016-04-07 백승권 천정 설치형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757B1 (ko) * 2014-09-29 2017-01-23 백승권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364Y1 (ko) * 2002-07-12 2002-10-19 서광석 천정설치용 무대조명장치
KR200414178Y1 (ko) 2005-12-08 2006-04-18 주식회사 라이브미디어테크 노래방 조명장치
KR200420531Y1 (ko) * 2006-03-30 2006-07-04 주식회사 비즈렌코 노래방 분위기 연출장치
KR20110011290A (ko) * 2009-07-28 2011-02-08 글로엔텍 주식회사 최적의 조명효과를 제공하는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364Y1 (ko) * 2002-07-12 2002-10-19 서광석 천정설치용 무대조명장치
KR200414178Y1 (ko) 2005-12-08 2006-04-18 주식회사 라이브미디어테크 노래방 조명장치
KR200420531Y1 (ko) * 2006-03-30 2006-07-04 주식회사 비즈렌코 노래방 분위기 연출장치
KR20110011290A (ko) * 2009-07-28 2011-02-08 글로엔텍 주식회사 최적의 조명효과를 제공하는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957A1 (ko) * 2014-09-30 2016-04-07 백승권 천정 설치형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43U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1248B2 (en) Battery powered electronic candle with speaker
US8113490B2 (en) Wind-water ultrasonic humidifier
US6135604A (en) Decorative water lamp
KR101081596B1 (ko) 음악분수 시스템 및 연출 방법
US7227075B2 (en) Lighting controller
KR100861224B1 (ko) Dmx512 기반의 멀티미디어 음악분수시스템 및 이의연출방법
JP2007061475A (ja) 遊技機
KR200473435Y1 (ko) 조명 시스템
KR100250017B1 (ko) 감성조명오디오시스템
JP2004008477A (ja) 遊技機
US20090072763A1 (en) Controller for multiple circuits of display lighting
KR20120003564U (ko) 디스플레이형 가습기
KR100849388B1 (ko) 컴퓨터 테이블
JP2007079320A (ja) 植物の二酸化炭素吸収実験装置
US9677756B1 (en) Curio door
KR100951003B1 (ko) 관람자 참여형 음악분수 연출 장치
KR101890052B1 (ko) 음악 소리 생성장치
CN206472290U (zh) 3d球形蓝牙音箱
JP2010264240A (ja) 教育及び遊戯の機能を持つ多機能セラピー装置
JP2737270B2 (ja) シャワー装置
KR200420531Y1 (ko) 노래방 분위기 연출장치
US3016783A (en) Mechanical audio and visual signal coordinating device
JPH0379953A (ja) シャワー装置
KR101772041B1 (ko) 싸이키 조명과 메인 조명이 일체로 형성된 노래방 조명기기
CN206236432U (zh) 一种带呼吸灯的音频播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