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968Y1 - 외장패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외장패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968Y1
KR200472968Y1 KR2020130003694U KR20130003694U KR200472968Y1 KR 200472968 Y1 KR200472968 Y1 KR 200472968Y1 KR 2020130003694 U KR2020130003694 U KR 2020130003694U KR 20130003694 U KR20130003694 U KR 20130003694U KR 200472968 Y1 KR200472968 Y1 KR 200472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ver
support
coupling mechanism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
Original Assignee
신일건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건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일건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3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9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e.g. at the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장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 외장패널에서 제1축방향을 향하는 제1변(邊)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축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가 복수개가 결합되는 거치부, 및 외장패널에서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향하는 제2변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부들은 각각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기구, 상기 제1결합기구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커버기구, 상기 제1결합기구와 상기 제1커버기구 사이에 외장패널의 제1변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결합기구 및 상기 제1커버기구를 연결하는 제1연결기구, 및 상기 제1연결기구가 상기 거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연결기구에 형성되는 제1보강홈을 포함하는 외장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절곡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외장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중량을 줄임으로써 설치 및 운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외장패널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Outside Panel}
본 고안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외장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외장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외관에 대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외장패널을 이용하여 외벽을 마감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외장패널 지지장치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에 외장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0)는 외장패널(100)을 지지하기 위한 거치부(11), 및 상기 외장패널(100)을 상기 거치부(11)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기구(12)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11)는 건축물(미도시)에 결합된다. 상기 거치부(11)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서로 교차 결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외장패널(100)은 상기 거치부(11)에 직접 결합된다. 상기 외장패널(100)은 상기 거치부(11)에 복수개가 결합된다.
상기 체결기구(12)는 상기 거치부(11)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기구(12)로 스크류피스가 사용된다. 상기 체결기구(12)는 상기 외장패널(100)과 상기 거치부(1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상기 거치부(11)에 직접 결합시킨다.
상기 외장패널(100)은 상기 체결기구(12)에 의해 상기 거치부(11)에 직접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기구(12)가 체결되기 위한 돌출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재(110)는 건축물의 외관을 이루는 외장부재(1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기구(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재(110)를 관통하여 상기 거치부(1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상기 거치부(11)에 직접 결합시킨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0)는 외장패널(100)이 상기 거치부(11)에 직접 결합되도록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기 돌출부재(110)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외장패널(100)은 원자재에 대한 절단공정, 모서리에 대한 모따기공정, 절곡공정, 모서리에 대한 용접공정, 도장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0)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당히 복잡한 공정들을 거쳐 제조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0)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당한 개수의 공정을 거쳐 제조됨에 따라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함으로써,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공정에 대한 공정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0)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기 거치부(11)에 직접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재(110)에 상기 체결기구(12)가 체결되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공(미도시)을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110)는 상기 체결기구(12)를 가리기 위해 상기 외장패널(100)들 사이에 마감기구(13, 도 2에 도시됨)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외장부재(120)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0)는 상기 체결공들과 상기 돌출부재(11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장패널(100)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0)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운반, 적재, 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장패널(100)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0)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손상 내지 파손됨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공정에 대한 공정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0)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재(110)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외장패널(100)의 강도가 저하되므로, 상기 외장패널(100)의 크기, 소재 등을 다양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0)는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외장패널(100)을 이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건축물의 외벽 디자인을 다양하고 미려하게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외장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개수와 외장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비용을 줄임으로써,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공정에 대한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외장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장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외장패널에 대한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장패널을 운반, 적재, 시공하는 과정에서 외장패널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외장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외장패널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장패널을 다양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외벽 디자인을 다양하고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는 외장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는 외장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 건축물에 결합되고, 외장패널에서 제1축방향을 향하는 제1변(邊)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축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가 복수개가 결합되는 거치부; 및 외장패널에서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향하는 제2변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들은 각각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기구, 상기 제1결합기구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커버기구, 상기 제1결합기구와 상기 제1커버기구 사이에 외장패널의 제1변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결합기구 및 상기 제1커버기구를 연결하는 제1연결기구, 및 상기 제1연결기구가 상기 거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연결기구에 형성되는 제1보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들은 각각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기구, 상기 제2결합기구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2커버기구, 상기 제2결합기구와 상기 제2커버기구 사이에 외장패널의 제2변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결합기구 및 상기 제2커버기구를 연결하는 제2연결기구, 및 상기 제2연결기구가 상기 거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2연결기구에 형성되는 제2보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절곡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외장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중량을 줄임으로써 설치 및 운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외장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개수 및 외장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공정에 대한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외장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외장패널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장패널을 운반, 적재, 시공하는 과정에서 외장패널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공정에 대한 공정비용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소재로 제조된 외장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구현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외장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외벽 디자인을 다양하고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에 외장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대한 마감 공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지지부에 대해 도 3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지지부, 제1외장패널 및 제2외장패널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지지부를 도 3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지지부에 대해 도 7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지지부를 도 3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결합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지지부를 도 3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지지부를 도 3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지지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 12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상단지지부를 도 12의 F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하단지지부를 도 12의 G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건축물(200, 도 4에 도시됨)에 결합되는 거치부(2, 도 5에 도시됨), 외장패널(10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3), 및 상기 외장패널(10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4)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2)는 상기 제1지지부(3) 및 상기 제2지지부(4)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3) 및 상기 제2지지부(4)에 지지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한다. 상기 제1지지부(3)는 제1축방향(X축 방향, 도 3에 도시됨)으로 상기 거치부(2)에 복수개가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Z축 방향, 도 3에 도시됨)으로 상기 거치부(2)에 복수개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들 및 상기 제2지지부(4)들은 상기 외장패널(100)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향하는 제1변(邊, 101)(도 5에 도시됨)들 및 상기 외장패널(100)에서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을 향하는 제2변(102, 도 5에 도시됨)들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들이 건축물(200)의 외벽을 이루며 설치되도록 상기 외장패널(100)들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들은 각각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되는 제1결합기구(31), 상기 제1결합기구(31)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커버기구(32), 상기 제1결합기구(31)와 상기 제1커버기구(32) 사이에 외장패널(100)의 제1변(101)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결합기구(31) 및 상기 제1커버기구(32)를 연결하는 제1연결기구(33), 및 상기 제1연결기구(33)가 상기 거치부(2)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연결기구(33)에 형성되는 제1보강홈(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보강홈(34)에 의해 상기 제1결합기구(31) 및 상기 제1연결기구(33)는 절곡된 구조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보강홈(34)으로 인해 상기 제1연결기구(33)가 갖는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1보강홈(34)으로 인해 상기 제1결합기구(31) 및 상기 제1연결기구(33)가 절곡된 구조로 구현됨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가 갖는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외장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지지부(3)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3)를 설치 및 운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기 제1지지부(3) 및 상기 제2지지부(4)를 통해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기 거치부(2)에 직접 결합되지 않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0, 도 1에 도시됨)와 달리 상기 외장패널(100)에 상기 돌출부재(110, 도 1에 도시됨)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개수 및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기 위한 비용을 줄임으로써, 건축물(200)의 외벽을 마감하는 공정에 대한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제2지지부(4)를 통해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되므로, 상기 외장패널(100)에 체결공들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장패널(10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운반, 적재, 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장패널(100)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건축물(200)의 외벽을 마감하는 공정에 대한 공정비용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장패널(10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외장패널(100)을 다양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200)의 외벽 디자인을 다양하고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거치부(2), 상기 제1지지부(3) 및 상기 제2지지부(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거치부(2)는 건축물(200, 도 4에 도시됨)에 결합된다. 상기 거치부(2)는 상기 제1지지부(3) 및 제2지지부(4)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3) 및 상기 제2지지부(4)에 지지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는 건축물(200)의 외벽이 복수개의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시공될 수 있도록 건축물(200)에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는 제1거치부재(21) 및 제2거치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부재(21)는 상기 제1지지부(3)들을 지지한다. 상기 제1거치부재(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거치부재(2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부재(21)는 건축물(200)에 복수개가 결합된다. 상기 제1거치부재(2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건축물(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거치부재(22)는 상기 제2지지부(4)들을 지지한다. 상기 제2거치부재(22)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거치부재(2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거치부재(22)는 건축물(200)에 복수개가 결합된다. 상기 제2거치부재(22)들은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건축물(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은 건축물(200)의 높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거치부재(22)는 상기 제1거치부재(21)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부(2)는 'ㅁ' 형태의 홈이 행렬을 이루도록 건축물(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는 상기 제1거치부재(21)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건축물(200)에 결합되고, 상기 제1거치부재(21)들 사이에 상기 제2거치부재(22)들이 위치되게 건축물(2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거치부(2)는 상기 제2거치부재(22들이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건축물(200)에 결합되고, 상기 제2거치부재(22)들 사이에 상기 제1거치부재(21)들이 위치되게 건축물(2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거치부재(22)와 상기 제1거치부재(21)는 스크류피스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건축물(2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지지한다.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거치부(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이 건축물(200, 도 4에 도시됨)의 외벽을 이루도록 상기 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들은 각각 상기 제1결합기구(31), 상기 제1커버기구(32), 상기 제1연결기구(33) 및 상기 제1보강홈(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기구(31)는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기구(31)는 상기 제1거치부재(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기구(31)는 상기 거치부(2)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크류피스(300, 도 4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결합기구(31)에는 상기 거치부(2)에 체결되는 스크류피스(300)가 삽입되기 위한 제1스크류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크류홀(311)은 상기 제1결합기구(3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피스(300)는 상기 제1스크류홀(311)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2)에 체결되면, 헤드 부분이 상기 제1결합기구(31)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3)를 상기 거치부(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기구(31)에는 상기 제1스크류홀(311)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스크류홀(311)들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기구(32)는 상기 제1결합기구(31)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상기 제1커버기구(32)는 상기 제1연결기구(33)를 통해 상기 제1결합기구(31)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기구(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구(33)는 상기 제1결합기구(31)와 상기 제1커버기구(32) 사이에 상기 외장패널(100)의 제1변(101)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결합기구(31) 및 상기 제1커버기구(32)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제1결합기구(31)와 상기 제1커버기구(3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이 건축물(200)의 외벽을 이루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돌출부재(110, 도 1에 도시됨) 없이도 상기 외장패널(100)이 건축물(200)의 외벽을 이루도록 지지할 수 있으므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장패널(10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다양한 소재로 제조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알루미늄, 전기아연도강판(EGI), 스테인리스, 유리, 목재, 압축석고(CRC) 보드, 폴리카보네이트, 석재, 타일, 세라믹 패널, 아크릴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로 제조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서로 다른 소재로 제조된 외장패널(100)들을 동시에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외장패널(100) 및 목재로 제조된 외장패널(100)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지지함으로써, 건축물(200)의 외벽 디자인을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지면에 수평한 방향에 비해 건축물의 높이 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외장패널(100)들을 지지함으로써, 건축물(200)의 외벽 디자인을 다양하면서도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구(33)는 전체적으로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구(3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커버기구(32)는 상기 제1연결기구(33)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기구(33)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1연결기구(3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기구(31)는 상기 제1연결기구(33)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기구(33)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1연결기구(33)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하나의 제1지지부(3)가 2개의 외장패널(100)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홈(34)은 상기 제1연결기구(33)가 상기 거치부(2)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연결기구(33)에서 상기 거치부(2)를 향하는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보강홈(34)에 의해 상기 제1결합기구(31) 및 상기 제1연결기구(33)는 절곡된 구조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지지부(3)가 갖는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기구(31), 상기 제1연결기구(33) 및 상기 제1커버기구(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결합기구(31), 상기 제1연결기구(33) 및 상기 제1커버기구(32)는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보강홈(34)으로 인해 상기 제1연결기구(33)가 갖는 중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지지부(3)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3)를 설치 및 운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보강홈(34)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제1결합기구(3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제1보강기구(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기구(35)는 상기 제1결합기구(31)에서 상기 제1커버기구(3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기구(3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제1결합기구(31)와 상기 제1보강기구(35)가 절곡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기구(3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기구(35)는 상기 제1결합기구(31)와 상기 제1커버기구(3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기구(3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제1보강기구(35) 및 상기 제1연결기구(33)가 상기 제1결합기구(31)와 상기 제1커버기구(3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기구(31)가 상기 제1연결기구(33)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1연결기구(33)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제1결합기구(31)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보강기구(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지지부(3)는 2개의 제1보강기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기구(35)는 상기 제1결합기구(31)와 상기 제1커버기구(3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상기 제1스크류홀(311)에 삽입된 스크류피스(3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류피스(300)는 상기 제1보강기구(35) 및 상기 제1연결기구(33) 사이에 형성되는 제1스크류홈(35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기구(31)와 상기 제1커버기구(3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기 스크류피스(300)에 접촉됨에 따라 파손 내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홀(311)은 상기 제1결합기구(31)의 일면 및 상기 제1결합기구(31)의 타면에서 서로 동일한 크기로 상기 제1결합기구(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기구(31)의 일면은 상기 제1커버기구(32)를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1결합기구(31)의 타면은 상기 거치부(2)를 향하는 면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냄비머리 피스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제1지지부(3)를 제조하는 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결합기구(31)가 갖는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1결합기구(31)를 냄비머리 피스로 상기 거치부(2)에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제1스크류홀(311)은 상기 제1결합기구(31)의 타면에서 상기 제1결합기구(31)의 일면을 향할수록 크기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기구(31)는 상기 제1스크류홀(311)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강도가 저하되고, 상기 제1스크류홀(311)의 경사각을 냄비머리 피스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가공해야 하므로 가공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스크류홀(311)이 상기 제1결합기구(31)의 일면 및 상기 제1결합기구(31)의 타면에서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냄비머리 피스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제1스크류홀(311)로 인해 상기 제1결합기구(31)의 강도가 저하되는 정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제1결합기구(31)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스크류홀(311)의 경사각을 냄비머리 피스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1스크류홀(311)을 가공하는 공정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3)를 제조하는 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에 있어서 하나의 제1지지부(3)가 2개의 외장패널(100)을 지지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1커버기구(32)는 상기 제1연결기구(33)가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커버부재(321) 및 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커버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제1커버부재(321)와 상기 제1결합기구(31) 사이에 위치되는 제1삽입홈(323), 및 상기 제2커버부재(322)와 상기 제1결합기구(31) 사이에 위치되는 제2삽입홈(32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제1삽입홈(323)에 삽입된 제1외장패널(100') 및 상기 제2삽입홈(324)에 삽입된 제2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재(321)는 상기 제1외장패널(100')이 상기 제1삽입홈(323)에 삽입되면, 상기 제1외장패널(10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들은 각각 상기 제1삽입홈(323)에 삽입된 제1외장패널(100')이 상기 제1커버부재(321)에 지지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외장패널(10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3)들은 건축물(200)의 외벽에 대한 마감 공정을 시공한 후에, 건축물(200) 외부에서 상기 제1커버기구(32)와 상기 제1외장패널(100')이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건축물(200)의 외벽을 더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들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커버부재(321)는 상기 제1외장패널(100')에서 상기 수평방향을 향하는 제1변(101, 도 5에 도시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수평방향은 상기 건축물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이 경우, 상기 제1변(101, 도 5에 도시됨)은 상기 제1외장패널(100')의 세로 변일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322)는 상기 제2외장패널(100")이 상기 제2삽입홈(324)에 삽입되면, 상기 제2외장패널(10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들은 각각 상기 제2삽입홈(324)에 삽입된 제2외장패널(100")이 상기 제2커버부재(322)에 지지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외장패널(10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3)들은 건축물(200)의 외벽에 대한 마감 공정을 시공한 후에, 건축물(200) 외부에서 상기 제1커버기구(32)와 상기 제2외장패널(100")이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건축물(200)의 외벽을 더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들이 상기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커버부재(322)는 상기 제2외장패널(100")에서 세로 변에 해당하는 제1변(101, 도 5에 도시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323) 및 상기 제2삽입홈(324)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3)들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제1외장패널(100')과 제2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322)와 상기 제1커버부재(321)는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들은 각각 상기 제1삽입홈(323)과 상기 제2삽입홈(324)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커버부재(322)는 상기 제1커버부재(321)에 비해 짧은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삽입홈(324)은 상기 제1삽입홈(323)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들을 상기 제1지지부(3)들에 설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3)들은 각각 상기 수평방향으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인접하게 설치된 제1외장패널(100')과 상기 제2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삽입홈(323)과 상기 제2삽입홈(324)은 상기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건축물(200)의 코너부와 같이 절곡된 부분에 대해 외벽을 마감하는 공정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커버부재(322)와 상기 제1커버부재(321)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9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지지한다.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거치부(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이 건축물(200, 도 9에 도시됨)의 외벽을 이루도록 상기 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지지부(4)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은 상기 건축물(200)의 높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4)는 외장패널(100)의 가로 변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부(3)는 외장패널(100)의 세로 변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들은 각각 제2결합기구(41), 제2커버기구(42) 및 제2연결기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기구(41)는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된다. 상기 제2결합기구(41)는 상기 제2거치부재(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기구(41)는 상기 거치부(2)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크류피스(300, 도 9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결합기구(41)에는 상기 거치부(2)에 체결되는 스크류피스(300)가 삽입되기 위한 제2스크류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크류홀(411)은 상기 제2결합기구(4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피스(300)는 상기 제2스크류홀(411)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2)에 체결되면, 헤드 부분이 상기 제2결합기구(41)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지지부(4)를 상기 거치부(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결합기구(41)에는 상기 제2스크류홀(411)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스크류홀(411)들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커버기구(42)는 상기 제2결합기구(41)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상기 제2커버기구(42)는 상기 제2연결기구(43)를 통해 상기 제2결합기구(41)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커버기구(42)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기구(43)는 상기 제2결합기구(41)와 상기 제2커버기구(42) 사이에 상기 외장패널(100)의 제2변(102, 도 5에 도시됨)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결합기구(41) 및 상기 제2커버기구(42)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제2결합기구(41)와 상기 제2커버기구(4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이 건축물(200)의 외벽을 이루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돌출부재(110, 도 1에 도시됨) 없이도 상기 외장패널(100)이 건축물(200)의 외벽을 이루도록 지지할 수 있으므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장패널(10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다양한 소재로 제조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서로 다른 소재로 제조된 외장패널(100)들을 동시에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연결기구(43)는 전체적으로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기구(43)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커버기구(42)는 상기 제2연결기구(43)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연결기구(43)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연결기구(4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기구(41)는 상기 제2연결기구(43)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연결기구(43)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연결기구(43)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하나의 제2지지부(4)가 2개의 외장패널(100)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들은 각각 상기 제2연결기구(43)에 형성되는 제2보강홈(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홈(44)은 상기 제2연결기구(43)가 상기 거치부(2)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2연결기구(43)에서 상기 거치부(2)를 향하는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보강홈(44)에 의해 상기 제2결합기구(41) 및 상기 제2연결기구(43)는 절곡된 구조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2지지부(4)가 갖는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결합기구(41) 및 상기 제2연결기구(4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결합기구(41) 및 상기 제2연결기구(43)는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2보강홈(44)으로 인해 상기 제2연결기구(43)가 갖는 중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지지부(4)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상기 제2지지부(4)를 설치 및 운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보강홈(44)은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들은 각각 상기 제2결합기구(4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제2보강기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기구(45)는 상기 제2결합기구(41)에서 상기 제2커버기구(4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결합기구(4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제2결합기구(41)와 상기 제2보강기구(45)가 절곡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기구(45)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기구(45)는 상기 제2결합기구(41)와 상기 제2커버기구(4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결합기구(4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제2보강기구(45) 및 상기 제2연결기구(43)가 상기 제2결합기구(41)와 상기 제2커버기구(4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기구(41)가 상기 제2연결기구(43)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연결기구(43)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제2결합기구(41)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보강기구(4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지지부(4)는 2개의 제2보강기구(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기구(45)는 상기 제2결합기구(41)와 상기 제2커버기구(4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상기 제2스크류홀(411)에 삽입된 스크류피스(3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류피스(300)는 상기 제2보강기구(45) 및 상기 제2연결기구(43) 사이에 형성되는 제2스크류홈(45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결합기구(41)와 상기 제2커버기구(4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기 스크류피스(300)에 접촉됨에 따라 파손 내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류홀(411)은 상기 제2결합기구(41)의 일면 및 상기 제2결합기구(41)의 타면에서 서로 동일한 크기로 상기 제2결합기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기구(41)의 일면은 상기 제2커버기구(42)를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2결합기구(41)의 타면은 상기 거치부(2)를 향하는 면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냄비머리 피스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제2지지부(4)를 제조하는 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결합기구(41)가 갖는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2결합기구(41)를 냄비머리 피스로 상기 거치부(2)에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제2스크류홀(411)은 상기 제2결합기구(41)의 타면에서 상기 제2결합기구(41)의 일면을 향할수록 크기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기구(41)는 상기 제2스크류홀(411)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강도가 저하되고, 상기 제2스크류홀(411)의 경사각을 냄비머리 피스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가공해야 하므로 가공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2스크류홀(411)이 상기 제2결합기구(41)의 일면 및 상기 제2결합기구(41)의 타면에서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냄비머리 피스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제2스크류홀(411)로 인해 상기 제2결합기구(41)의 강도가 저하되는 정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제2결합기구(41)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2스크류홀(411)의 경사각을 냄비머리 피스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2스크류홀(411)을 가공하는 공정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2지지부(4)를 제조하는 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에 있어서 하나의 제2지지부(4)가 2개의 외장패널(100)을 지지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2커버기구(42)는 상기 제2연결기구(43)가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3커버부재(421) 및 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4커버부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제3커버부재(421)와 상기 제2결합기구(41) 사이에 위치되는 제3삽입홈(423), 및 상기 제4커버부재(422)와 상기 제2결합기구(41) 사이에 위치되는 제4삽입홈(42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제3삽입홈(423)에 삽입된 제1외장패널(100') 및 상기 제4삽입홈(424)에 삽입된 제2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커버부재(421)는 상기 제1외장패널(100')이 상기 제3삽입홈(423)에 삽입되면, 상기 제1외장패널(10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4)들은 각각 상기 제3삽입홈(423)에 삽입된 제1외장패널(100')이 상기 제3커버부재(421)에 지지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외장패널(10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4)들은 건축물(200)의 외벽에 대한 마감 공정을 시공한 후에, 건축물(200) 외부에서 상기 제2커버기구(42)와 상기 제1외장패널(100')이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건축물(200)의 외벽을 더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들이 상기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3커버부재(421)는 상기 제1외장패널(100')에서 상기 수직방향을 향하는 제2변(102, 도 5에 도시됨)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변(102)은 상기 제1외장패널(100')의 가로 변일 수 있다.
상기 제4커버부재(422)는 상기 제2외장패널(100")이 상기 제4삽입홈(424)에 삽입되면, 상기 제2외장패널(10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4)들은 각각 상기 제4삽입홈(424)에 삽입된 제2외장패널(100")이 상기 제4커버부재(422)에 지지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외장패널(10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4)들은 건축물(200)의 외벽에 대한 마감 공정을 시공한 후에, 건축물(200) 외부에서 상기 제2커버기구(42)와 상기 제2외장패널(100")이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건축물(200)의 외벽을 더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들이 상기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4커버부재(422)는 상기 제2외장패널(100")에서 가로 변에 해당하는 제2변(102)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삽입홈(423) 및 상기 제4삽입홈(424)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4)들은 각각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제1외장패널(100')과 제2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4커버부재(422)와 상기 제3커버부재(421)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4커버부재(422)와 상기 제3커버부재(421)는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 도 7,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2지지부(4)들은 상기 제2커버기구(42)가 상기 제2연결기구(43)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커버기구(42)는 상기 제2결합기구(41)가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기구(4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설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거치부(2)들에 상기 제2결합기구(41)들을 결합시킨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제2결합기구(41)들을 상기 스크류피스(300)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거치부재(22, 도 5에 도시됨)들에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결합기구(41)들이 상기 거치부(2)들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2결합기구(41)들과 일체로 형성된 제2연결기구(43)들이 함께 상기 거치부(2)들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결합기구(41)들은 상기 제1지지부(3, 도 5에 도시됨)들이 상기 거치부(2)들에 결합된 후에, 상기 거치부(2)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기구(41)들이 상기 거치부(2)들에 결합된 후에, 상기 제1지지부(3)들이 상기 거치지구(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패널(100, 도 5에 도시됨)들의 제1변들(101, 도 5에 도시됨)이 상기 제1삽입홈(323)과 상기 제2삽입홈(324)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3)들에 설치한다. 이 경우, 상기 외장패널(100)들은 상기 제1커버부재(321)와 상기 제2커버부재(322)가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3)들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장패널(100)은 상기 제2변들(102, 도 5에 도시됨)이 상기 제2연결기구(43)들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3)들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커버기구(42)들을 상기 제2결합기구(41)들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외장패널(100)들은 상기 제2변들(102)이 상기 제3삽입홈(423, 도 10에 도시됨)과 상기 제4삽입홈(424, 도 10에 도시됨)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3)들과 상기 제2지지부(4)들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설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들 중에서 일부가 손상 내지 파손됨에 따라 교체가 필요할 경우, 상기 제2커버기구(42)들을 상기 제2결합기구(41)들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손상 내지 파손된 외장패널(10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2연결기구(43)는 상기 제2커버기구(42)가 삽입되는 탈착홈(431), 상기 탈착홈(431)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432) 및 제2결합부재(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기구(42)는 상기 제1결합부재(432)와 상기 제2결합부재(433)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탈착홈(431)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재(425) 및 제2삽입부재(4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재(425) 및 상기 제2삽입부재(426)는 상기 제1결합부재(432)와 상기 제2결합부재(433)가 서로 이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삽입부재(425)와 상기 제2삽입부재(426)가 하나의 원통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탈착홈(43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제2연결기구(43) 및 상기 제2커버기구(42)를 더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1삽입부재(425)와 상기 제2삽입부재(426)가 하나의 원통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탈착홈(43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커버기구(42)는 상기 제2연결기구(43)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삽입부재(425)와 상기 제2삽입부재(426)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커버기구(42)가 상기 제2연결기구(43)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2지지부(4)들이 상기 외장패널(10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건축물(200)의 외벽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432), 상기 제2결합부재(433), 상기 제1삽입부재(425) 및 상기 제2삽입부재(426)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재(425)는 상기 탈착홈(43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삽입부재(426)에 비해 짧은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2커버기구(42)가 상기 제2연결기구(4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부재(425)가 상기 탈착홈(43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부재(425) 및 상기 제2연결기구(43) 사이에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2커버기구(42)를 상기 제2연결기구(43)에 결합시키는 작업 및 상기 제2커버기구(42)를 상기 제2연결기구(43)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432)는 상기 제1삽입부재(425)에 삽입되는 제1걸림돌기(43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돌기(432a)는 상기 탈착홈(431)에 삽입된 제1삽입부재(425)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삽입부재(425)는 상기 제1걸림돌기(432a)가 삽입되기 위한 제1걸림홈(42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홈(425a)은, 상기 탈착홈(431)에 삽입된 제1삽입부재(425)에서 상기 제1걸림돌기(432a)를 향하는 일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커버기구(42)는 상기 제1삽입부재(425)가 상기 탈착홈(43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걸림돌기(432a)가 상기 제1걸림홈(425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연결기구(4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돌기(432a)는 상기 탈착홈(431)에 삽입된 제1삽입부재(425)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2커버기구(42)를 상기 제2연결기구(43)에 결합시키는 작업 및 상기 제2커버기구(42)를 상기 제2연결기구(43)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돌기(432a)는 상기 탈착홈(431)에 삽입된 제1삽입부재(425)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이 첨단(尖端)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삽입부재(425)는 상기 제1걸림홈(425a)에 의해 절곡된 구조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삽입부재(425)가 갖는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제2커버기구(42)가 상기 제2연결기구(43)에 반복적으로 탈부착되더라도, 상기 제1삽입부재(425)가 파손 내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부재(432)는 상기 제1걸림돌기(432a)가 상기 제1걸림홈(425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부재(425)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재(432)는 상기 제1삽입부재(425)가 상기 탈착홈(43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삽입부재(426)에 비해 짧은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커버기구(42) 및 상기 제2결합기구(41)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삽입부재(425)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33)는 상기 제2삽입부재(426)에 삽입되는 제2걸림돌기(43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돌기(433a)는 상기 탈착홈(431)에 삽입된 제2삽입부재(426)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삽입부재(426)는 상기 제2걸림돌기(433a)가 삽입되기 위한 제2걸림홈(426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홈(426a)은, 상기 탈착홈(431)에 삽입된 제2삽입부재(426)에서 상기 제2걸림돌기(433a)를 향하는 일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커버기구(42)는 상기 제2삽입부재(426)가 상기 탈착홈(43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걸림돌기(433a)가 상기 제2걸림홈(426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연결기구(4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 도 11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단지지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부(5)는 건축물(200)의 높이 방향으로 최상측에 위치되게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된다. 상기 상단지지부(5)는 건축물(200)의 높이 방향으로 최상측에 위치되는 외장패널(100)들을 지지한다. 상기 상단지지부(5)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도 5에 도시됨)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상단지지부(5)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부(5)들은 각각 상단결합기구(51), 상단커버기구(52) 및 상단연결기구(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결합기구(51)는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된다. 상기 상단결합기구(51)는 상기 제2거치부(22, 도 5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단결합기구(51)는 상기 거치부(2)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크류피스(300)를 통해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단결합기구(51)에는 상기 거치부(2)에 체결되는 스크류피스(300)가 삽입되기 위한 상단스크류홀(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스크류홀(511)은 상기 상단결합기구(5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피스(300)는 상기 상단스크류홀(511)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2)에 체결되면, 헤드 부분이 상기 상단결합기구(51)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단지지부(5)를 상기 거치부(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상단결합기구(51)에는 상기 상단스크류홀(511)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단스크류홀(511)들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단커버기구(52)는 상기 상단결합기구(51)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상기 상단커버기구(52)는 상기 상단연결기구(53)를 통해 상기 상단결합기구(51)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단커버기구(52)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커버기구(52)가 상기 상단결합기구(51)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됨에 따라, 상기 상단지지부(5)는 상기 상단커버기구(52)와 상기 상단결합기구(51) 사이에 위치되는 상단홈(5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커버기구(52)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기 상단홈(521)에 삽입되면, 상기 외장패널(10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단지지부(5)들은 각각 상기 상단홈(521)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이 상기 상단커버기구(52)에 지지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지지부(5)들은 건축물(200)의 외벽에 대한 마감 공정을 시공한 후에, 건축물(200) 외부에서 상기 상단커버기구(52)와 상기 외장패널(100)이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건축물(200)의 외벽을 더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외장패널(100)은 제2변(102)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변(102)이 상기 상단홈(5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단지지부(5)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상단홈(521)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제2변(102)은 상기 제2지지부(4, 도 5에 도시됨)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상단홈(521)에 제2변(102)이 삽입된 외장패널(100)은 제1변(101, 도 5에 도시됨)들이 상기 제1지지부(3, 도 5에 도시됨)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상단연결기구(53)는 상기 상단결합기구(51)와 상기 상단커버기구(52) 사이에 상기 외장패널(100)의 제2변(102)이 삽입되도록 상기 상단결합기구(51) 및 상기 상단커버기구(52)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단지지부(5)는 상기 상단결합기구(51)와 상기 상단커버기구(5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이 건축물(200)의 외벽을 이루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돌출부재(110, 도 1에 도시됨) 없이도 상기 외장패널(100)이 건축물(200)의 외벽을 이루도록 지지할 수 있으므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장패널(10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다양한 소재로 제조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서로 다른 소재로 제조된 외장패널(100)들을 동시에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상단연결기구(53)는 전체적으로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연결기구(53)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단커버기구(52)는 상기 상단연결기구(53)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상단연결기구(5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단결합기구(51)는 상기 상단연결기구(53)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상단연결기구(5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부(5)들은 각각 상기 상단연결기구(53)에 형성되는 상단보강홈(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보강홈(54)은 상기 상단연결기구(53)에서 상기 거치부(2)를 향하는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상단보강홈(54)에 의해 상기 상단결합기구(51) 및 상기 상단연결기구(53)는 절곡된 구조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상단지지부(5)가 갖는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단결합기구(51), 상기 상단연결기구(53) 및 상기 상단커버기구(5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단결합기구(51), 상기 상단연결기구(53) 및 상기 상단커버기구(52)는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상단보강홈(54)으로 인해 상기 상단연결기구(53)가 갖는 중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상단지지부(5)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상기 상단지지부(5)를 설치 및 운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단보강홈(54)은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부(5)들은 각각 상기 상단결합기구(5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상단보강기구(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보강기구(55)는 상기 상단결합기구(51)에서 상기 상단커버기구(5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단결합기구(5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단지지부(5)는 상기 상단결합기구(51)와 상기 상단보강기구(55)가 절곡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상단보강기구(55)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보강기구(55)는 상기 상단결합기구(51)와 상기 상단커버기구(5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단결합기구(5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단지지부(5)는 상기 상단보강기구(55) 및 상기 상단연결기구(53)가 상기 상단결합기구(51)와 상기 상단커버기구(5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단보강기구(55)는 상기 상단결합기구(51)와 상기 상단커버기구(5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상기 상단스크류홀(511)에 삽입된 스크류피스(3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류피스(300)는 상기 상단보강기구(55) 및 상기 상단연결기구(53) 사이에 형성되는 상단스크류홈(55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단결합기구(51)와 상기 상단커버기구(5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기 스크류피스(300)에 접촉됨에 따라 파손 내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에 있어서, 상기 상단스크류홀(511)은 상기 상단결합기구(51)의 일면 및 상기 상단결합기구(51)의 타면에서 서로 동일한 크기로 상기 상단결합기구(5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결합기구(51)의 일면은 상기 상단커버기구(52)를 향하는 면이다. 상기 상단결합기구(51)의 타면은 상기 거치부(2)를 향하는 면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냄비머리 피스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상단지지부(5)를 제조하는 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단결합기구(51)가 갖는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부(5)는 상기 상부커버부재(332)가 돌출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단돌기(56, 도 1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돌기(56)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지지부(5)는 상기 상단돌기(56)가 상기 거치부(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단돌기(56)는 건축물의 최상측을 마감하기 위한 상부마감재(4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마감재(400)는 상기 상단지지부(5)가 결합된 거치부(2)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마감재(400)는 상기 상단돌기(56)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거치부(2)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상단돌기(56)는 전체적으로 'ㅁ'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11 및 도 1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하단지지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지지부(6)는 건축물(200)의 높이 방향으로 최하측에 위치되게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된다. 상기 하단지지부(6)는 건축물(200)의 높이 방향으로 최하측에 위치되는 외장패널(100)들을 지지한다. 상기 하단지지부(6)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도 5에 도시됨)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하단지지부(6)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지지부(6)들은 각각 하단결합기구(61), 하단커버기구(62) 및 하단연결기구(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결합기구(61)는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된다. 상기 하단결합기구(61)는 상기 제2거치부(22, 도 5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단결합기구(61)는 상기 거치부(2)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크류피스(300)를 통해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단결합기구(61)에는 상기 거치부(2)에 체결되는 스크류피스(300)가 삽입되기 위한 하단스크류홀(6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스크류홀(611)은 상기 하단결합기구(6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피스(300)는 상기 하단스크류홀(611)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2)에 체결되면, 헤드 부분이 상기 하단결합기구(61)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하단지지부(6)를 상기 거치부(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하단결합기구(61)에는 상기 하단스크류홀(611)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단스크류홀(611)들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단커버기구(62)는 상기 하단결합기구(61)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상기 하단커버기구(62)는 상기 하단연결기구(63)를 통해 상기 하단결합기구(61)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단커버기구(62)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커버기구(62)가 상기 하단결합기구(61)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됨에 따라, 상기 하단지지부(6)는 상기 하단커버기구(62)와 상기 하단결합기구(61) 사이에 위치되는 하단홈(6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커버기구(62)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기 하단홈(621)에 삽입되면, 상기 외장패널(10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단지지부(6)들은 각각 상기 하단홈(621)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이 상기 하단커버기구(62)에 지지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지지부(6)들은 건축물(200)의 외벽에 대한 마감 공정을 시공한 후에, 건축물(200) 외부에서 상기 하단커버기구(62)와 상기 외장패널(100)이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건축물(200)의 외벽을 더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외장패널(100)은 제2변(102)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변(102)이 상기 하단홈(6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단지지부(6)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단홈(621)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제2변(102)은 상기 제2지지부(4, 도 5에 도시됨)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단홈(621)에 제2변(102)이 삽입된 외장패널(100)은 제1변(101, 도 5에 도시됨)들이 상기 제1지지부(3, 도 5에 도시됨)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단연결기구(63)는 상기 하단결합기구(61)와 상기 하단커버기구(62) 사이에 상기 외장패널(100)의 제2변(102)이 삽입되도록 상기 하단결합기구(61) 및 상기 하단커버기구(62)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단지지부(6)는 상기 하단결합기구(61)와 상기 하단커버기구(6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이 건축물(200)의 외벽을 이루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돌출부재(110, 도 1에 도시됨) 없이도 상기 외장패널(100)이 건축물(200)의 외벽을 이루도록 지지할 수 있으므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외장패널(1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장패널(10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다양한 소재로 제조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서로 다른 소재로 제조된 외장패널(100)들을 동시에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외장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200)의 외벽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하단연결기구(63)는 전체적으로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연결기구(63)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단커버기구(62)는 상기 하단연결기구(63)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하단연결기구(6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단결합기구(61)는 상기 하단연결기구(63)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하단연결기구(6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단지지부(6)들은 각각 상기 하단연결기구(63)에 형성되는 하단보강홈(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보강홈(64)은 상기 하단연결기구(63)에서 상기 거치부(2)를 향하는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단보강홈(64)에 의해 상기 하단결합기구(61) 및 상기 하단연결기구(63)는 절곡된 구조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하단지지부(6)가 갖는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단결합기구(61), 상기 하단연결기구(63) 및 상기 하단커버기구(6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단결합기구(61), 상기 하단연결기구(63) 및 상기 하단커버기구(62)는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하단보강홈(64)으로 인해 상기 하단연결기구(63)가 갖는 중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하단지지부(6)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상기 하단지지부(6)를 설치 및 운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단보강홈(64)은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지지부(6)들은 각각 상기 하단결합기구(6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하단보강기구(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보강기구(65)는 상기 하단결합기구(61)에서 상기 하단커버기구(6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단결합기구(6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단지지부(6)는 상기 하단결합기구(61)와 상기 하단보강기구(65)가 절곡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상기 하단보강기구(65)는 상기 제2축방향(Z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보강기구(65)는 상기 하단결합기구(61)와 상기 하단커버기구(6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단결합기구(6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단지지부(6)는 상기 하단보강기구(65) 및 상기 하단연결기구(63)가 상기 하단결합기구(61)와 상기 하단커버기구(6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단보강기구(65)는 상기 하단결합기구(61)와 상기 하단커버기구(6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상기 하단스크류홀(611)에 삽입된 스크류피스(3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류피스(300)는 상기 하단보강기구(65) 및 상기 하단연결기구(63) 사이에 형성되는 하단스크류홈(65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단결합기구(61)와 상기 하단커버기구(62)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외장패널(100)이 상기 스크류피스(300)에 접촉됨에 따라 파손 내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에 있어서, 상기 하단스크류홀(611)은 상기 하단결합기구(61)의 일면 및 상기 하단결합기구(61)의 타면에서 서로 동일한 크기로 상기 하단결합기구(6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결합기구(61)의 일면은 상기 하단커버기구(62)를 향하는 면이다. 상기 하단결합기구(61)의 타면은 상기 거치부(2)를 향하는 면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냄비머리 피스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하단지지부(6)를 제조하는 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단결합기구(61)가 갖는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고정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제1커버기구(32)와 상기 외장패널(100)에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제1커버기구(32)와 상기 외장패널(100)에 사이에 삽입되면서 탄성적으로 압축된 후, 복원력에 의해 상기 외장패널(100)을 상기 제1커버기구(32)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을 상기 제1지지부(3)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7)는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외장패널(100)들이 상기 제1지지부(3)에 설치된 후에 상기 제1커버기구(32)와 상기 외장패널(100)에 사이에 삽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사각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고정부(7)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들은 상기 제1지지부(3, 도 3에 도시됨), 상기 제2지지부(4, 도 3에 도시됨), 상기 상단지지부(5, 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하단지지부(6, 도 3에 도시됨) 각각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들을 지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코킹부(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킹부(8)는 상기 제1커버기구(32)와 상기 외장패널(100)에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커버기구(32)와 상기 외장패널(10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킹부(8)는 누수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코킹부(8)는 누수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실리콘 실런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킹부(8)는 상기 외장패널(100)들이 상기 제1지지부(3)에 설치된 후에 상기 제1커버기구(32)와 상기 외장패널(100)에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킹부(8)는 상기 고정부(7)가 상기 제1지지부(3)에 설치된 후에 상기 제1커버기구(32)와 상기 외장패널(100)에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장패널 지지장치(1)는 상기 코킹부(8)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킹부(8)들은 상기 제1지지부(3, 도 3에 도시됨), 상기 제2지지부(4, 도 3에 도시됨), 상기 상단지지부(5, 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하단지지부(6, 도 3에 도시됨) 각각에 설치됨으로써, 누수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외장패널 지지장치 2 : 거치부
3 : 제1지지부 4 : 제2지지부
5 : 상단지지부 6 : 하단지지부
7 : 고정부 8 : 코킹부
100 : 외장패널 200 : 건축물

Claims (12)

  1. 외장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
    건축물에 결합되고, 외장패널에서 제1축방향을 향하는 제1변(邊)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축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가 복수개가 결합되는 거치부; 및
    외장패널에서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향하는 제2변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들은 각각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기구, 상기 제1결합기구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커버기구, 상기 제1결합기구와 상기 제1커버기구 사이에 외장패널의 제1변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결합기구 및 상기 제1커버기구를 연결하는 제1연결기구, 및 상기 제1연결기구가 상기 거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연결기구에 형성되는 제1보강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들은 각각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기구, 상기 제2결합기구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2커버기구, 및 상기 제2결합기구 및 상기 제2커버기구를 연결하는 제2연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기구는 상기 제2커버기구가 삽입되는 탈착홈, 및 상기 탈착홈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기구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탈착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재 및 상기 탈착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부재에 비해 긴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제1걸림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걸림홈에 의해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걸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커버기구 및 상기 제2결합기구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삽입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들은 각각 상기 제1결합기구에서 상기 제1커버기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기구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보강기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보강기구들 및 상기 제1연결기구는 상기 제1결합기구와 상기 제1커버기구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기구에는 상기 거치부에 체결되는 스크류피스가 삽입되기 위한 제1스크류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크류홀은 상기 제1커버기구를 향하는 제1결합기구의 일면 및 상기 거치부를 향하는 제1결합기구의 타면에서 서로 동일한 크기로 상기 제1결합기구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기구는 상기 제1결합기구와 상기 제1커버기구 사이에 삽입된 외장패널을 상기 제1스크류홀에 삽입된 스크류피스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기구는 상기 제1연결기구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커버부재, 및 상기 제1연결기구로부터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2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2커버부재는 상기 제1연결기구로부터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지지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들은 각각 상기 제2연결기구가 상기 거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2연결기구에 형성되는 제2보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지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재 및 상기 제2삽입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가 서로 이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지지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건축물의 높이 방향으로 최하측에 위치되는 외장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하단지지부, 및 건축물의 높이 방향으로 최상측에 위치되는 외장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상단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지지부는 상기 거치부를 향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하단보강홈, 및 상기 거치부를 향하는 일면에 대해 반대되는 타면에 형성되는 하단스크류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지지부는 상기 거치부를 향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상단보강홈, 및 상기 거치부를 향하는 일면에 대해 반대되는 타면에 형성되는 상단스크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지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들은 각각 제1외장패널의 제1변이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홈, 및 제2외장패널의 제2변이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은 상기 제1지지부가 건축물의 코너부에 위치되는 제1외장패널 및 제2외장패널을 지지하도록 서로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지지장치.
  12. 외장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
    건축물에 결합되고, 외장패널에서 제1축방향을 향하는 제1변(邊)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축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가 복수개가 결합되는 거치부; 및
    외장패널에서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향하는 제2변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들은 각각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기구, 상기 제2결합기구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2커버기구, 및 상기 제2결합기구 및 상기 제2커버기구를 연결하는 제2연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기구는 상기 제2커버기구가 삽입되는 탈착홈, 및 상기 탈착홈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기구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탈착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재 및 상기 탈착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부재에 비해 긴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삽입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제1걸림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걸림홈에 의해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걸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지지장치.
KR2020130003694U 2013-05-10 2013-05-10 외장패널 지지장치 KR200472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94U KR200472968Y1 (ko) 2013-05-10 2013-05-10 외장패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94U KR200472968Y1 (ko) 2013-05-10 2013-05-10 외장패널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968Y1 true KR200472968Y1 (ko) 2014-06-03

Family

ID=5148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694U KR200472968Y1 (ko) 2013-05-10 2013-05-10 외장패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9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6627A (zh) * 2017-11-14 2018-05-29 浙江未来加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复合墙板快速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580B1 (ko) * 2007-04-12 2008-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데크 고정용 패스너
KR20090009024U (ko) * 2008-03-05 2009-09-09 한 기 김 건축물의 내장용 장식판재 고정구
JP2012154062A (ja) * 2011-01-25 2012-08-16 Panasonic Corp 外壁用役物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1215934B1 (ko) * 2012-04-12 2012-12-27 신일건업 주식회사 건축용 몰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580B1 (ko) * 2007-04-12 2008-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데크 고정용 패스너
KR20090009024U (ko) * 2008-03-05 2009-09-09 한 기 김 건축물의 내장용 장식판재 고정구
JP2012154062A (ja) * 2011-01-25 2012-08-16 Panasonic Corp 外壁用役物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1215934B1 (ko) * 2012-04-12 2012-12-27 신일건업 주식회사 건축용 몰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6627A (zh) * 2017-11-14 2018-05-29 浙江未来加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复合墙板快速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08086627B (zh) * 2017-11-14 2023-12-12 浙江未来加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复合墙板快速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6805B (zh) 固定玻璃片於電梯門之裝置
ES2459919T3 (es) Revestimiento de pared
JP5284368B2 (ja) 照明器具
US11091906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EP2108776A1 (en) Connecting device for curtain wall units
KR20170039915A (ko) 커튼월 프레임용 단열소재
KR200472968Y1 (ko) 외장패널 지지장치
CN101855459A (zh) 连接配件及组装组件
KR101215934B1 (ko) 건축용 몰딩장치
KR20160136945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408429B1 (ko) 인테리어용 장식 보드
KR200451348Y1 (ko) 패널 고정구조
KR101680111B1 (ko) 판 스크린 타입 루버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루버 연결 부재
KR20110086316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094495B1 (ko) 커튼월 외장 시스템의 외부 장식물 설치 구조
KR102284857B1 (ko)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KR100993209B1 (ko) 외관이 개선된 보강 일체형 커튼월 구조
KR101655088B1 (ko)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
JP2011080266A (ja) 建物の外壁構造
JP5758607B2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JP2010203058A (ja) 壁構造体
KR101571005B1 (ko) 판 스크린 타입 루버 시공 방법
CN216552842U (zh) 一种伸缩式挂墙收口结构
KR101506765B1 (ko) 파티션 프레임
KR101754933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조립체 상부 마감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