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936Y1 - 장식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장식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936Y1
KR200472936Y1 KR2020120008294U KR20120008294U KR200472936Y1 KR 200472936 Y1 KR200472936 Y1 KR 200472936Y1 KR 2020120008294 U KR2020120008294 U KR 2020120008294U KR 20120008294 U KR20120008294 U KR 20120008294U KR 200472936 Y1 KR200472936 Y1 KR 200472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pe
lighting device
presen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741U (ko
Inventor
박수정
Original Assignee
박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정 filed Critical 박수정
Priority to KR2020120008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93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7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9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4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pi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내 인테리어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의 점등 여부에 따라 차별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가지는 장식용 조명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은 벽면의 부착과, 전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형태로,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정면과 측면을 감싸며 프레임의 정면을 감싸는 부분에 조명기구 모양이 그려진 직물외피; 장착되는 전구가 상기 조명기구 모양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소켓; 및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식용 조명 장치는 점등시에는 조명기구 모양이 그려진 액자처럼 보이고, 점등시 그림속의 조명기구가 빛을 발산하는 것과 같은 장식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장식용 조명 장치{INTERIOR LIGHTING DEVICE}
본 고안은 실내 인테리어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의 점등 여부에 따라 차별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가지는 장식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장식용 조명 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장식용 조명 장치들은 점등된 상태와 소등된 상태에서 동일한 모양을 유지하고 있다.
본 고안은 소등된 상태에서는 그림 액자 처럼 보이고, 점등된 상태에서는 그림 속에서 빛이 나오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장식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벽면에 부착되거나 탁자 등의 가구 위에 놓여져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용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등 상태에서는 조명기구 그림이 그려진 액자처럼 보이고, 점등한 상태에서는 그림속 조명기구가 점등되어 있는 듯한 효과를 발휘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정면과 측면을 감싸며 프레임의 정면을 감싸는 부분에 조명기구 모양이 그려진 직물외피;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전구가 장착되는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상기 전구가 상기 조명기구 모양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직물외피의 조명기구 모양은 선도나 색구분 또는 명도의 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벽면의 부착과, 전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형태로,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정면과 측면을 감싸며 프레임의 정면을 감싸는 부분에 조명기구 모양이 그려진 직물외피; 장착되는 전구가 상기 조명기구 모양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소켓; 및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프레임은 배면에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영구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브래킷은 테두리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이 상기 프레임의 배면과 면착되도록 형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인테리어 효과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전구에서 발산되는 빛이 측면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투광공을 구비하되,
상기 투광공은 상기 조명기구 모양이 빛을 출사할 것으로 보이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에 형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는 소등된 상태에서는 단순한 조명기구 모양이 그려진 액자 처럼 보이나, 점등된 상태에서는 그림속의 조명기구 모양에서 빛이 발산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오는 장식용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벽멱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전구의 교체가 용이한 장식용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분라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소등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소등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고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이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엔 상기 어떤 구성요소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3의 수단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100)는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120)과, 프레임(120)의 정면과 측면을 감싸며 프레임의 정면을 감싸는 부분에 조명기구 모양(145)이 그려진 직물외피(140)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전구(165)가 장착되는 소켓(160)을 포함한다.
이 때, 소켓(160)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10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전구(165)가 조명기구 모양(145)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조명기구 모양(145) 상의 전구 위치로 예측되는 위치에, 소켓(160)에 장착되는 전구(165)가 배치되도록 한다.
직물외피(140)는 투광성을 가지는 직물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림을 그릴때 많이 사용하는 캔버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직물외피(140)는 프레임(120)의 정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정면과 측면을 모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배면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직물외피(140)에 형성되는 조명기구 모양(145)은 인쇄 등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다시말해 조명기구 모양(145)은 평면적으로 그려지는 것인데, 단순히 선도만을 이용하여 그려지거나, 색상 구분에 의하여 그려지거나, 명도의 구분에 의하여 그려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100)는 벽멱에 부착되거나, 테이블 등의 가구 위에 놓여질 수 있는데, 소등된 상태에서는 단순히 캔버스에 조명기구 모양이 그려진 그림 액자처럼 보이게 되나, 점등된 상태에서는 전구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하여 그림속의 조명기구가 점등된 것처럼 보이는 장식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분라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200)는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의 정면을 감싸며 상기 프레임의 정면을 감싸는 부분에 조명기구 모양(245)이 그려진 직물외피(240)와, 장착되는 전구(265)가 상기 조명기구 모양(245)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220)에 고정되는 소켓(260)과, 상기 프레임(220)의 배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브래킷(280)을 포함한다.
브래킷(280)과 브래킷(280)의 탈부착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브래킷(280)은 프레임(220)의 배면에 대응하는 판 형태를 가지며, 테두리(282)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브래킷(280)의 전면이 상기 프레임(220)의 배면에 면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브래킷(280)에는 벽체와의 고정 또는 배선의 관통을 위한 통공(284)이 구비될 수 있다.
브래킷(280)과 프레임(220)의 탈부착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도구 없이 손쉬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영구자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브래킷(280)은 통상 철판 재질을 주로 사용하므로, 프레임(220)의 배면측에 영구자석(270)을 내장하여, 영구자석의 자기력으로 프레임(220)이 브래킷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소등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제 3 실시예는 브래킷(380)에 빛이 측면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투광공(38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 직물외피, 소켓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때, 투광공(386)은 직물외피(340)에 그려진 조명기구 모양(345)이 빛을 출사하는 방향과 유사한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조명기구 모양(345)이 하부로 빛을 유도하는 전등갓 형태을 가지고 있으므로, 투광공(386)을 전등갓 모양에서 빛이 발산될 것으로 예측되는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다.
조명기구 모양(345)이 빛을 출사하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에 투광공(386)을 형성하게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구를 점등한 상태에서 투광공(386)으로 빛이 출사되게 되고, 이러한 외형은 마치 그림속의 조명기구가 점등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소등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 장치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제 4 실시예는 직물외피(440)에 그려진 조명기구 모양(445)이 등대 모양이고, 등대에서 출사되는 빛은 양측으로 향할 것 같은 모양이다.
프레임, 직물외피, 소켓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기구 모양(445)인 등대 모양이 빛을 출사하게 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에 투광공(86)을 형성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점등된 상태에서 그림속의 등대가 빛을 비추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OO, 200, 300, 400 : 조명 장치
120, 220 : 프레임
140, 240, 340, 440 : 직물외피
145, 245, 345, 445 : 조명기구 모양
160, 260 : 소켓
165, 265 : 전구
270 : 영구자석
280, 380, 480 : 브래킷
282, 382, 482 : 테두리
386, 486 : 투광공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정면과 측면을 감싸며 프레임의 정면을 감싸는 부분에 조명기구 모양이 그려진 직물외피; 장착되는 전구가 상기 조명기구 모양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소켓; 및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배면에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영구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테두리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이 상기 프레임의 배면과 면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전구에서 발산되는 빛이 측면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투광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공은
    상기 조명기구 모양이 빛을 출사할 것으로 보이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
KR2020120008294U 2012-09-17 2012-09-17 장식용 조명 장치 KR200472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94U KR200472936Y1 (ko) 2012-09-17 2012-09-17 장식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94U KR200472936Y1 (ko) 2012-09-17 2012-09-17 장식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41U KR20140001741U (ko) 2014-03-26
KR200472936Y1 true KR200472936Y1 (ko) 2014-06-02

Family

ID=5148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294U KR200472936Y1 (ko) 2012-09-17 2012-09-17 장식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93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51Y1 (ko) * 2003-02-28 2003-05-27 김경호 조명기구
JP2004228007A (ja) 2003-01-24 2004-08-12 Tatsumura Bijutsu Orimono:Kk 照明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12767U (ko) * 2009-06-16 2010-12-24 전학배 벽걸이용 조명액자
KR200461122Y1 (ko) * 2011-03-25 2012-06-21 박승기 조명등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8007A (ja) 2003-01-24 2004-08-12 Tatsumura Bijutsu Orimono:Kk 照明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14451Y1 (ko) * 2003-02-28 2003-05-27 김경호 조명기구
KR20100012767U (ko) * 2009-06-16 2010-12-24 전학배 벽걸이용 조명액자
KR200461122Y1 (ko) * 2011-03-25 2012-06-21 박승기 조명등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41U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536B2 (en) LED light fixture
TWM474657U (zh) 車燈導光結構
JP2014120400A (ja) Led照明装置
KR101587544B1 (ko) Led 다운 라이트 구조
KR20130134778A (ko) 천장 매립형 조명장치용 커버
KR200472936Y1 (ko) 장식용 조명 장치
JP2012028141A (ja) 非接触式照明システム
KR101120998B1 (ko) 자성체를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101284565B1 (ko) 측면발광형 조명장치
KR101809668B1 (ko) 다용도 조명장치
KR200483081Y1 (ko) 전등 커버 고정구
KR200467344Y1 (ko) 장식용 조명등 장치
KR20110093127A (ko) 조명기구
KR102612888B1 (ko)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KR200470726Y1 (ko) 슬라이드 체결 커버를 구비한 led 조명기구
KR20200045593A (ko) 조명기구
KR101294376B1 (ko) 평판형 엘이디 등기구
KR20110009436U (ko) 전시 조명장치
KR200448262Y1 (ko) 조명기구
ATE396362T1 (de) Anbauleuchte
JP2008098127A (ja) 発光ダイオード装飾灯
KR20040017263A (ko) 조명 수단이 구비된 선반
JP3192827U (ja) 展示装置
KR200349017Y1 (ko) 조명 수단이 구비된 선반
KR200330099Y1 (ko) 간접조명의 효과를 갖는 천정 직부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