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96Y1 - 커피추출기의 노즐구조 - Google Patents

커피추출기의 노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696Y1
KR200472696Y1 KR2020120010393U KR20120010393U KR200472696Y1 KR 200472696 Y1 KR200472696 Y1 KR 200472696Y1 KR 2020120010393 U KR2020120010393 U KR 2020120010393U KR 20120010393 U KR20120010393 U KR 20120010393U KR 200472696 Y1 KR200472696 Y1 KR 200472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asket
lower cap
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래
Original Assignee
이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래 filed Critical 이상래
Priority to KR2020120010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09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47J31/3614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피추출기의 노즐구조에 관한 것으로, 노즐이 바스켓의 하부캡에 삽입시 물을 바스켓으로 공급함은 물론, 노즐이 하부캡으로부터 이탈시 케이스가이드내로 후진하여 노즐의 제1,제2오링이 막혀 분출구가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회전판(4)에 3개의 동일크기의 바스켓(6)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6)의 하부에 수직이동되도록 설치된 하부캡(5)에 연결부(5a)를 형성하고, 케이스가이드(1)에는 관통되도록 노즐(2)을 설치하며, 상기 케이스가이드(1)에 돌출되게 돌출부(3)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2)의 후진시 노즐(2)의 끝단에 설치된 제1오링(2a)과 제2오링(2b)이 케이스가이드(1)의 돌출부(3)내에 들어가 자동적으로 물공급이 차단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추출기의 노즐구조{A nozzel structure of the coffee extractor}
본 고안은 커피추출기의 노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즐이 바스켓의 하부캡에 삽입시 물을 바스켓으로 공급함은 물론, 노즐이 하부캡으로부터 이탈시 케이스가이드내로 후진하여 노즐의 제1,제2오링이 막혀 분출구가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추출기는 하나의 바스켓을 사용하여 커피분말이 유입되면 이를 압축하여 커피원액을 추출하고 이어 커피찌꺼기를 배출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을 하나의 바스켓에서 수행하므로 커피원액추출의 진행이 매우 느려지는 결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하나의 회전판에 3개의 동일한 크기의 바스켓을 형성하고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커피압축과 배출을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노즐을 통하여 물 공급시, 노즐이 하부캡에 착탈되는 수단에만 의지하므로 노즐이 하부캡에서 이탈시 물이 정지되지 않고 흘러나오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노즐이 하부캡에서 이탈되면 자동적으로 케이스가이드 속으로 후진하여 노즐끝단에 설치된 제1,제2오링에 의해 분출구가 막혀 별도의 장치없이도 물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커피추출기의 노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노즐의 후진시 노즐끝단의 제1링과 제2링이 케이스가이드의 돌출부내에 위치하여 분출구가 차단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노즐이 바스켓으로 물을 공급한 후 이탈시 자동적으로 케이스가이드속으로 노즐끝단까지 들어가도록 하여 제1,제2오링에 의해 분출구가 막히도록 하므로 별도의 노즐차단장치가 없어도 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노즐이 전진하여 하부캡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노즐이 후진하여 하부캡의 연결부에서 이탈되어 돌출부에 위치되면서 물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노즐이 링크에 의해 전후진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회전판(4)에 3개의 동일크기의 바스켓(6)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6)의 하부에 수직이동되도록 설치된 하부캡(5)에 연결부(5a)를 형성하고, 케이스가이드(1)에는 관통되도록 수평적으로 노즐(2)을 설치하며, 상기 케이스가이드(1)에 돌출되게 돌출부(3)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2)이 전후진하면서 하부캡(5)의 연결부(5a)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커피 추출기는 회전판(4)에 동일크기의 3개의 바스켓이 구비됨과 함께 각각의 바스켓하부에는 가이드핀(6a)에 의해 수직으로 개폐되는 하부캡(5)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판(4)이 120도씩 회전하면서 커피압축, 찌꺼기배출 등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예컨대, 바스켓(6)으로 커피가루가 유입되면 실린더가 내려와 커피가루를 압축하고 이때, 바스켓(6)에 노즐(2)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커피원액이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커피원액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회전판의 회전에 따른 찌꺼기 배출과정 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노즐(2)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케이스가이드(1) 하단에 노즐(2)이 수평적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바스켓(6)의 하부캡(5)에는 노즐(2)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5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노즐(2)이 모터 등의 구동에 의해 하부캡(5)의 연결부(5a)에 착탈가능하게 된다.
첫째로, 노즐(2)이 전진하여 하부캡(5)의 연결부(5a)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노즐(2)이 케이스가이드(1)를 통하여 전진하면 제1오링(2a)과 제2오링(2b) 그리고 이들 사이에 설치된 분출구(2d)가 하부캡(5)의 연결부(5a)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통로(2c)를 통하여 이동된 물이 제1오링(2a)과 제2오링(2b)사이의 분출구(2d)를 통하여 하부캡(5)속으로 공급되어 압축된 커피와 섞여 원액으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둘째로, 노즐(2)이 후진하여 하부캡(5)의 연결부(5a)에서 이탈하는 경우에는, 노즐(2) 끝단의 제1오링(2a)과 제2오링(2b)이 케이스가이드(1)의 돌출부(3)내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오링(2a)과 제2오링(2b) 가운데 위치한 분출구(2d)가 제1오링(2a)과 제2오링(2b) 및 돌출부(3)사이에서 막혀 노즐(2)의 통로(2c)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자동적으로 차단된다.
즉, 노즐(2)이 케이스가이드(1)내로 이동되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물공급이 차단된다.
상기 노즐(2)이 전진하는 경우 또는 후진하는 경우의 구동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가 하강할 때에는 링크(7)가 회전하여 노즐(2)이 전진하고, 반대로 실린더가 상승할 때에는 링크(7)가 반대로 회전하여 노즐(2)이 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1:케이스가이드 2:노즐
2a:제1오링 2b:제2오링
2c:통로 2d:분출구
3:돌출부 4:회전판
5:하부캡 5a:연결부
6:바스켓 7:링크

Claims (2)

  1. 회전판(4)에 3개의 동일크기의 바스켓(6)이 형성된 커피추출기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6)의 하부에 수직이동되도록 설치된 하부캡(5)에 연결부(5a)를 형성하고, 돌출부(3)가 형성된 케이스가이드(1)에는 상기 돌출부(3)에 관통되도록 분출구(2d)가 형성된 노즐(2)을 설치하여 링크(7)에 의해 노즐(2)의 전진시 연결부(5a)에 연결되어 분출구(2d)를 통해 물이 공급되게 구성하고, 노즐(2)의 후진시에는 연결부(5a)에서 이탈되어 노즐(2)의 분출구(2d) 및 오링(2a)(2b)이 돌출부(3)내에 위치되어 물이 자동차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기의 노즐구조.
  2. 삭제
KR2020120010393U 2012-11-14 2012-11-14 커피추출기의 노즐구조 KR200472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393U KR200472696Y1 (ko) 2012-11-14 2012-11-14 커피추출기의 노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393U KR200472696Y1 (ko) 2012-11-14 2012-11-14 커피추출기의 노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696Y1 true KR200472696Y1 (ko) 2014-05-15

Family

ID=5149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393U KR200472696Y1 (ko) 2012-11-14 2012-11-14 커피추출기의 노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9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0590A2 (en) 2008-03-27 2009-10-01 The Coca-Cola Company Brewing mechanism
KR20100068187A (ko) * 2008-12-12 2010-06-22 쥬라 엘렉트로아파라테 아게 커피제조장치용 드라이브 및 커피제조장치
KR20100117252A (ko) * 2009-04-24 2010-11-03 이경수 원액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액 추출방법
KR20110038610A (ko) * 2008-04-28 2011-04-14 타타 글로벌 베버리지즈 리미티드 신선한 고온 음료를 위한 자동 포드 이송기 및 추출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0590A2 (en) 2008-03-27 2009-10-01 The Coca-Cola Company Brewing mechanism
KR20110038610A (ko) * 2008-04-28 2011-04-14 타타 글로벌 베버리지즈 리미티드 신선한 고온 음료를 위한 자동 포드 이송기 및 추출기 조립체
KR20100068187A (ko) * 2008-12-12 2010-06-22 쥬라 엘렉트로아파라테 아게 커피제조장치용 드라이브 및 커피제조장치
KR20100117252A (ko) * 2009-04-24 2010-11-03 이경수 원액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액 추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26328A (zh) 具有实心型过滤器的果汁提取装置和包括该装置的榨汁机
CN106039831B (zh) 一种离心过滤的水处理设备
CN109759206A (zh) 一种中医科药材粉碎研磨装置
CN201911854U (zh) 果蔬提汁机
KR200472696Y1 (ko) 커피추출기의 노즐구조
CN204841545U (zh) 气水辅助搅拌槽
CN113926801A (zh) 可防止干冰颗粒堆积的出冰机构、干冰清洗机
CN214019449U (zh) 一种刺梨榨汁用果汁过滤设备
KR101698839B1 (ko) 녹즙 및 천연 마스크 팩 제조기
CN203938825U (zh) 一种喷水织机的蓄水箱
CN108098448A (zh) 一种铣削冷却液过滤装置
CN210211011U (zh) 一种用于废弃塑料的回收处理装置
CN208865728U (zh) 一种果蔬连续制泥调理装置
CN201217006Y (zh) 容器内壁清洗机
CN205409559U (zh) 一种大豆清洗装置
CN215995808U (zh) 一种具有自清洗功能的生物提取装置
CN204816274U (zh) 一种无尘免清洗双轴搅拌机
CN210759795U (zh) 一种环保的印刷机油墨盒清洁系统
CN105032264B (zh) 一种气水辅助搅拌槽
CN208523696U (zh) 一种蛋液均质及喷雾干燥系统
CN209439444U (zh) 一种用于加工高氮钛合金的破碎机
KR20150017618A (ko) 역류 방지 주서기
CN203591195U (zh) 一种方便清洁的果汁杯
CN205628229U (zh) 一种气流磨加工设备
CN209350559U (zh) 一种混凝土搅拌机专用冲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