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583Y1 - Briquet boiler having enhanced efficiency - Google Patents

Briquet boiler having enhanced effici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583Y1
KR200472583Y1 KR2020140000083U KR20140000083U KR200472583Y1 KR 200472583 Y1 KR200472583 Y1 KR 200472583Y1 KR 2020140000083 U KR2020140000083 U KR 2020140000083U KR 20140000083 U KR20140000083 U KR 20140000083U KR 200472583 Y1 KR200472583 Y1 KR 200472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quettes
outer case
water
tan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0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보
Original Assignee
이경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보 filed Critical 이경보
Priority to KR2020140000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58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58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3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combustion chamber
    • F23B1/3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combustion chamber shaft-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는, 상측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되, 바닥판에 다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수직으로 적층되는 연탄이 2열 이상 안착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 일측의 급수단으로 물이 유입된 후 길이방향 타측의 배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코일형 가열관; 사전에 설정된 양의 물을 담을 수 있는 탱크 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코일형 가열관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세워지며, 상기 코일형 가열관을 지난 물을 유입받는 급수관과 상기 연탄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물을 상기 외부케이스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구비하는 가열탱크;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는, 화덕이 생략되어 가열효율이 향상되고, 화덕 생략을 통해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연탄 연소열로 물을 가열하는 과정이 2회에 걸쳐 반복되므로 열효율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uter case having an inner space such tha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a bottom plate and a vertically stacked briquette can be seated in two or more rows; A coil type heating tube having a pipe structure spirally wound arou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the coil type heating tube being configured such that water is introduced into one of the longitudinally directional supply means and then discharged through a delivery means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ype heating pipe, and the water heated by the combustion heat of the briquettes and the water heated by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A heating tank having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And a cover covering the upper opening of the outer case. 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in heating efficiency by omitting the furnace and simplifies the internal structure by omitting the furnac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process of heating the water by the combustion heat of briquetting is repeated twice, The advantage is very high.

Description

열효율이 향상된 연탄보일러 {Briquet boiler having enhanced efficiency}[0001] Briquet boiler having enhanced efficiency [0002]

본 고안은 연탄 연소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연탄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덕이 생략되고 연탄 연소열로 물을 가열하는 과정이 2회에 걸쳐 반복됨으로써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연탄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quetting boiler for heating water using the heat of combustion of briquettes, more specifically, a briquetting boiler which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process of heating the water by the heat of briquetting combustion is repeated twice, .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는 연료의 연소열(燃燒熱)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사용하거나 실내 난방을 하는 장치로서,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기름보일러, 가스보일러, 전기보일러 및 연탄보일러로 분류되는 바, 최근 유가(油價)의 상승으로 인해 연료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값이 싼 연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온수용 또는 난방용 보일러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Generally, a boiler is a device that uses hot water to heat water by the combustion heat of fuel (fuel burning heat) or indoor heating, and is classified into an oil boiler, a gas boiler, an electric boiler, and a briquet boiler according to the fuel used Recently, in order to reduce the fuel cost due to the increase of the oil price, the demand for the hot water boiler or the heating boiler using the relatively cheap briquettes as the fuel is increasing.

통상적인 연탄보일러는 하우징 상부에 덮개가 덮어지고, 하우징의 내부에 한 개 이상의 화덕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화덕의 둘레에는 배관이 감겨지고, 화덕과 하우징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채워져 화덕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배관을 따라 흐르는 물로 전달되면서 물이 가열되도록 구성된다. A conventional briquetting boiler is constructed such that a cover is cover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and one or more burners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while a pipe is wound around the burner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between the burner and the housing, And the water is heated while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water flowing along the pipe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구성된 연탄보일러에서는 화덕에 2장 내지 3장의 연탄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착화시키면 화덕의 하단에 위치한 연탄이 먼저 연소되는데, 이와 같이 연소되어 연탄이 연탄재로 변하게 되면 사용자는 연탄보일러의 화력을 높이기 위해 연소된 연탄재를 배출하고 새 연탄을 교체하여 장입하게 된다. In the briquet boile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wo or three briquettes are stacked in an oven, the briquette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oven are burned first. When the briquette is burned to be a briquette, the user can increase the firepower The burnt briquettes are discharged and replaced with new briquettes.

이때, 종래의 연탄보일러는 연탄과 배관 사이에 화덕이 존재하는바, 연탄의 연소열이 배관으로 전달되는 효율에 한계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화덕을 생략하면 연탄의 연소열을 배관으로 직접 전달시킬 수 있으나, 화덕이 생략되면 높게 적층된 연탄이 쉽게 쓰러질 수 있다는 단점이 발생된다.At this time, since the conventional briquetting boiler has an oven between the briquettes and the pip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ransferring the heat of the briquettes to the pipe is limited. Of course, if the furnace is omitted,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e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pipe, but if the furnace is omitted, the high stacked briquettes can be easily collapsed.

또한, 종래의 연탄보일러는 화덕을 감싸는 배관을 통해서만 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되므로, 온수 발생량에 한계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온수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briquetting boiler is configured to heat water only through the pipe surrounding the furn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generated hot water is limited and the hot water supply can not be continuously performed.

KR 10-2010-0110629 AKR 10-2010-0110629 A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화덕이 생략되어 가열효율이 증가되고,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연탄 연소열로 물을 가열하는 과정이 2회에 걸쳐 반복되어 효율이 향상된 연탄보일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heating a water by heating a briquetting combustion heat by repeating the process twic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briquetting boil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는, 상측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되, 바닥판에 다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수직으로 적층되는 연탄이 2열 이상 안착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 일측의 급수단으로 물이 유입된 후 길이방향 타측의 배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코일형 가열관; 사전에 설정된 양의 물을 담을 수 있는 탱크 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코일형 가열관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세워지며, 상기 코일형 가열관을 지난 물을 유입받는 급수관과 상기 연탄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물을 상기 외부케이스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구비하는 가열탱크; 상기 코일형 가열관의 하단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바닥판 사이의 이격공간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스커트 플레이트;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iquetting boiler comprising: a bottom plate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side thereof; An outer case having an inner space; A coil type heating tube having a pipe structure spirally wound arou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the coil type heating tube being configured such that water is introduced into one of the longitudinally directional supply means and then discharged through a delivery means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ype heating pipe, and the water heated by the combustion heat of the briquettes and the water heated by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A heating tank having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A ring-shaped skirt plate surrounding a spacing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oil type heating tube and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And a cover covering the upper opening of the outer case.

상기 가열탱크와 상기 연탄 간의 이격공간 또는 상기 가열탱크와 상기 코일형 가열관 간의 이격공간을 채우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가열탱크와 내부공간이 연통되는 보조탱크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한다.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auxiliary tank vertically installed to fill a space between the heating tank and the briquette or a space between the heating tank and the coil type heating tube and the heating tank and the inner spac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수직으로 세워지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연탄 사이의 빈공간 또는 상기 연탄과 상기 코일형 가열관 사이의 빈공간을 채우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통기공으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공간 상측으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순환봉을 더 포함한다.Wherein the baffle is vertically erected so as to fill an empty space between two adjacent briquet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an empty space between the briquette and the coil type heating pipe, And one or more air circulating rods for transmitting the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ase.

사전에 설정된 양의 물을 담을 수 있는 봉 구조로 제작되되,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연탄 사이의 빈공간 또는 상기 연탄과 상기 코일형 가열관 사이의 빈공간을 채우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며, 외부로부터 냉수를 전달받는 급수유로와 상기 연탄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유로를 구비하는 온수탱크를 더 포함한다.Shaped heating element, and is formed vertically so as to fill an empty space between two adjacent briquet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an empty space between the briquette and the coil-type heating tube, And a hot water tank having a water supply channel for receiving cold water from the briquettes and a drainage channel for discharging hot water heated by the combustion heat of the briquettes to the outside.

상기 가열탱크는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공간의 중심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탄은 상기 가열탱크를 둘러싸도록 적층된다.
The heating tank is installed vertically to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ase, and the briquettes are stacked so as to surround the heating tank.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는, 화덕이 생략되어 가열효율이 향상되고, 화덕 생략을 통해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연탄 연소열로 물을 가열하는 과정이 2회에 걸쳐 반복되므로 열효율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in heating efficiency by omitting the furnace and simplifies the internal structure by omitting the furnac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process of heating the water by the combustion heat of briquetting is repeated twice, The advantage is very high.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 제2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 제3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 제3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열효율이 향상된 연탄보일러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briquetting boiler with improved therm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는 연탄(10)이 적재되어 연소되는 외부케이스(100)와, 상기 외부케이스(10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탄(10)의 연소열을 받아 내부를 지나는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코일형 가열관(200)과,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600)를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가지며, 열효율이 현저히 향상되고 온수 제공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즉, 연탄(10)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과정을 2회에 걸쳐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을 지난 물을 유입받는 급수관(310)과 상기 연탄(10)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물을 상기 외부케이스(100)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수관(320)을 구비하는 가열탱크(300)가 추가로 구비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uter case 100 in which the briquettes 10 are burnt and burnt, and a heat exchanger 120 disposed inside the outer case 100 to receiv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10, The briquette 10 is provided with a coil type heating pipe 200 and a lid 600 covering the upper opening of the outer case 100. The briquette 10 has a thermal efficiency of significantly increased, The heat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310 through the coil heating pipe 200 and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e 10 so that the process of heating the water by using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10 can be repeated twice. And a drain pipe 320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00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at a heating tank 300 is additionally provided.

종래의 연탄보일러는 코일형 가열관(200)을 지나면서 가열된 온수를 그대로 외부로 제공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는 코일형 가열관(200)을 지나면서 일정 수준 가열된 물이 가열탱크(300)를 지나면서 한 번 더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높은 온도의 온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물을 가열하는 열효율이 높아지면, 단위 시간 내에 기준치 이상의 물을 더욱 많이 제공할 수 있으므로, 온수 제공량 역시 현저히 높아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열탱크(300)는 일정량 이상의 온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볼륨을 가지는바, 온수보유량이 매우 높아지고, 이에 따라 한 번에 많은 양의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However, the briquet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in that water heated to a certain level passes through the coil-type heating pipe 200 and flows into the heating tank 200 through the coil-type heating pipe 200, The hot water is heated once more through the heat exchanger 300, thereby providing hot water of a higher temperature. When the thermal efficiency for heating the water is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water than the standard value within a unit time, and thus the hot water supply amount i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lso, since the heating tank 300 has a volume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hot water, the hot water holding amount is extremely high,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rge amount of hot water at a time.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는 별도의 화덕을 구비하지 아니하더라도 외부케이스(100) 내부의 연탄(10)이 정상적으로 연소될 수 있도록, 상기 연탄(10)이 안착되는 외부케이스(100)의 바닥판에 다수 개의 통기공(110)이 형성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외부케이스(100) 바닥판에 통기공(110)이 형성되면, 상기 연탄(10)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상승기류에 의해 외부케이스(100)의 하측을 지나는 외기가 통기공(110)을 통해 외부케이스(100)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바, 연탄(10)이 외부케이스(100)의 바닥판에 직접 안착되더라도 연탄(10)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탄(10)이 정상적으로 연소될 수 있게 된다.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100 on which the briquettes 10 are seated so that the briquettes 10 in the outer case 100 can be normally burn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10 are formed in the plate (see FIG. 5). When the ventilation hole 110 is formed in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00 as described above,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outer case 100 by the upward flow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briquetting vessel 10, Even if the briquettes 10 are directly plac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00, the oxygen necessary for the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10 can be sufficiently supplied, (10) can be normally burned.

이때, 외부케이스(100)의 바닥판에 다수 개의 통기공(110)이 형성된다 하더라도, 외부케이스(100)의 바닥판에 다수 개의 연탄(10)이 수직으로 적재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연탄(10)까지는 산소가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든 연탄(10)이 고르게 연소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00)의 바닥판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파이프 형상의 공기순환봉(400)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even whe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10 are form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00, when a plurality of briquettes 10 are vertically stack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00, 10) may not be supplied with sufficient oxygen, and there is a fear that all the briquettes 10 may not be uniformly combusted. 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pipe-shaped air circulation rods 40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00 so a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이와 같이 공기순환봉(400)이 추가로 구비되면, 통기공(110)을 통해 공기순환봉(400) 내측으로 유입된 산소는 아래에 위치하는 연탄(10) 연소에 사용되지 아니하고 공기순환봉(400) 내부를 따라 상승하여 외부케이스(100)의 내부공간 중 상측으로 전달됨으로써, 상측에 적재되어 있는 연탄(10)의 연소에 활용된다. 즉,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의 연탄(10)이 적재되었을 때 하측에 위치하는 연탄(10)은 외기가 통기공(110)을 통해 직접 유입되므로 정상적인 연소가 가능해지고, 상측에 위치하는 연탄(10) 역시 공기순환봉(400)을 통해 외기를 전달받게 되므로 정상적인 연소가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air circulation rods 400 are additionally provided, the oxygen introduced into the air circulation rods 400 through the vent holes 110 is not used for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10 located below, 400, and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ase 100, so that it is used for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10 stacked on the upper side. That is, when a plurality of briquettes 10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riquettes 1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riquettes 10 flow directly through the air holes 110, so that normal combustion can be performed, Since the outside air is received through the air circulation rods 400, it is possible to achieve normal combustion.

이때, 상기 공기순환봉(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연탄(10) 사이의 빈공간 또는 상기 연탄(10)과 상기 코일형 가열부 사이의 빈공간을 채우도록 수직으로 세워짐이 바람직하다. 다수 개의 연탄(10)이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적층되면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화력이나 외력에 의해 적층되어 있던 연탄(10)들이 쓰러질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상기 공기순환봉(400)이 연탄(10)과 인접하게 세워지면 상기 공기순환봉(400)이 연탄(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수직으로 적층된 연탄(10)들은 쓰러질 우려 없이 끝까지 완전 연소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1 and 2, the air circulating rods 400 ar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wo adjacent briquettes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between a space between the briquettes 10 and the coil- It is preferable to stand vertically to fill the space. When a plurality of briquettes 10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riquettes 10 stacked due to thermal power or external force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may collap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ir circulation rods 400 are briquetted The air circulation rods 400 support the side surfaces of the briquettes 10 so that the vertically stacked briquettes 10 can be completely burned to the end without fear of collapse There are advantages.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작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공기순환봉(400)이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공기순환봉(40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원형파이프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순환봉(400)은 다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연탄(10)과 코일형 가열관(200) 사이의 빈공간을 꽉 채울 수 있도록 기하학적인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물론, 공기순환봉(400)은 다각형 파이프 형상이나 기하학적인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더라도, 통기공(110)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파이프 구조는 그대로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air circulating rods 400 are formed in a circular pipe shap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n manufacturing. However, the air circulating rods 4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circular pipe shape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Shape. For example, the air circulating rods 4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ipe, or may be formed into a geometric pipe shape so as to fill the empty space between the briquettes 10 and the coil-type heating pipe 200 . Of course, even if the air circulation rods 40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ipe or a geometric pipe, the pipe structure penetrating the air circulation rods 400 in the up-and-down direction must be maintained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holes 110 can be transmitted upward .

한편, 코일형 가열관(200) 내측으로 유입된 물은 연탄(10)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될 때 대류현상에 의해 위로 올라가게 되는바, 상대적으로 차가운 물이 유입되는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의 급수단(210)은 하측에 위치되고, 상대적으로 뜨거운 물이 유출되는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의 배수단(220)은 상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급수단(210)이 하측에 위치되고 배수단(220)이 상측에 위치되면, 코일형 가열관(200) 내부에서는 대류현상에 의해 상향 유동이 발생되는바, 물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수압을 인가하는 펌프의 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가열탱크(300) 내측으로 유입된 물 역시 연탄(10)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위로 올라가게 되므로, 가열탱크(300)의 급수관(310)은 하측에 위치되고, 가열탱크(300)의 배수관(320)은 상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oil type heating tube 200 is raised by the convection phenomenon when heated by the combustion heat of the briquettes 10, so that the coil type heating tube 20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and the discharging means 220 of the coil type heating pipe 200 through which relatively hot water flows out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upper side. When the feeding means 210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and the discharging means 220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as described above, upward flow is generated in the coil type heating tube 200 by the convection phenomen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pacity of the pump to be applied can be minimized. The water supplied into the heating tank 300 is also raised by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10 so that the water supply pipe 310 of the heating tank 30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in pipe 32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는, 연탄(10) 연소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온수 저장량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탄(10) 간의 이격공간 또는 상기 가열탱크(300)와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 간의 이격공간을 채우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기 가열탱크(300)와 내부공간이 연통되는 보조탱크(330)가 하나 이상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Also, 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briquettes 10 or in the space between the heating tank 300 and the coil-type heating pipe (not shown) so as to more effectively utilize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10, 200 and the auxiliary tank 330,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heating tank 300 and the inner space and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이와 같이 보조탱크(330)가 추가로 구비되면, 외부케이스(100) 내에서 저장되는 온수량이 더욱 증대될 뿐만 아니라, 연탄(10)의 연소열과 열교환을 이루는 면적이 현저히 증대되므로 열효율이 매우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탱크(330)가 연탄(10) 간의 이격공간 또는 상기 가열탱크(300)와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 간의 이격공간을 채우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기 공기순환봉(400)과 마찬가지로 수직으로 적층된 연탄(10)이 쓰러지지 아니하도록 연탄(10)의 측면을 지지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auxiliary tank 330 is further provided, the amount of hot water stored in the outer case 100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area of heat exchange with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10 is remarkably increased, so that the thermal efficiency is extremely high . As show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auxiliary tank 330 is vertically erected so as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briquettes 10 or the space between the heating tank 300 and the coiled heating tube 200 The air circulation bar 400 can also function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briquette 10 so that the vertically stacked briquettes 10 do not collapse.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가열탱크(300)에 3개의 보조탱크(330)가 연통되는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보조탱크(330)의 개수는 외부케이스(100)의 형상 및 가열탱크(300)의 형상, 연탄(10)의 적층 패턴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330)의 형상 역시 공기순환봉(400)과 마찬가지로, 다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연탄(10)과 코일형 가열관(200) 사이의 빈공간을 꽉 채울 수 있도록 기하학적인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only three auxiliary tanks 330 communicate with one heating tank 300. However, the number of the auxiliary tanks 330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uter case 100 and the number of the auxiliary tanks 330 300, and the laminated pattern of the briquettes 10, and the like. The auxiliary tank 33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ipe as in the case of the air circulation bar 400 or may be formed so as to fill the empty space between the briquettes 10 and the coil- Or may be made in a geometric pipe shape.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의 저면사시도이다.FIG. 4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경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더 명확하게는 코일형 가열관(200)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다수 개의 연탄(10)을 적층시켜 연소하면서, 코일형 가열관(200)의 급수단(210)으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급수단(210)으로 공급된 물은 코일형 가열관(200)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위로 올라간 후 배수단(220)으로 배출되며, 상기 배수단(220)으로 배출된 온수는 그대로 외부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가열탱크(300)의 급수단(210)으로 유입되어 상기 가열탱크(300) 내에서 한 번 더 가열된 후, 가열탱크(300)의 배수관(320)을 통해 외부로 제공된다.When water is heated using 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riquettes 10 are stacked in the interior of the outer case 100 (more specifically, the space surrounded by the coil-type heating tube 200) ,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feeding means (210) of the coil type heating tube (200).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means 210 is spirally wound along the coil type heating pipe 200 and is lifted up to the discharge means 220. The hot wate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means 2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320 of the heating tank 300 after being once heated in the heating tank 300. The heating tank 300 is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300 through the drain pipe 320,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연탄(10)파이프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코일형 가열관(200)을 지나면서 가열되는 것으로 가열공정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가열탱크(300)를 지나면서 한 번 더 가열되는바, 보다 높은 온도의 온수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riquetting pip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by passing the wat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il-type heating pipe 200, so that the heating process is not finished but the heating pipe 300 is heated once more The hot water of a higher temperature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한편, 외부케이스(100)의 바닥판에 안착된 연탄(10)이 정상적으로 연소되기 위해서는,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통기공(110)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전달 받아야 한다. 이때,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은 외부케이스(100)의 내측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배열되므로,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과 외부케이스(100) 바닥판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통기공(110)을 통해 유입된 외기의 일부는 연탄(10)으로 공급되지 아니하고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의 하단과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바닥판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케이스(100)의 상측 개구부로 배출되는바, 상기 연탄(10)이 정상적으로 연소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briquettes 10 moun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00 to be normally burnt, it is necessary to receive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air holes 110 formed in the bottom plate. At this time, since the coil type heating tube 200 is arranged so as to spirally surrou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 spacing space is generated between the coil type heating tube 200 and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00 There is no other choice. Therefore, a part of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 hole 110 is not supplied to the briquettes 10 but is discharg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oil type heating pipe 200 and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00 The briquettes 10 are discharg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case 100, so that the briquettes 10 may not be burnt normally.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는 외부케이스(100) 바닥판에 형성된 통기공(110)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코일형 가열관(200)의 하단과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바닥판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배출되지 아니하고 연탄(10)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의 하단과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공간 바닥면 사이의 이격공간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스커트 플레이트(50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 hole 110 formed in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0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end of the coil-shaped heating pipe 200 and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00 Shaped skirt plate surrounding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oiled heating tube 200 and the inner spac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so as not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space but to be provided with the briquettes 10, (500).

이와 같이 스커트 플레이트(500)가 구비되면, 통기공(110)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코일형 가열관(200)으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으로만 흐르게 되므로, 상기 연탄(10)의 연소율이 매우 높아지고,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의 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When the skirt plate 50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 hole 110 flows only into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coil-type heating tube 200, the burning rate of the briquetting vessel 10 becomes very high, The efficiency of 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에 포함되는 외부케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탄(10)이 2개 층으로 적재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층으로 적재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탄(10)이 3개의 열로 적층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포함되는 외부케이스(100)는 연탄(10)이 2개의 열로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연탄(10)이 2개의 열로 적층되는 경우, 외부케이스(100) 내부의 나머지 공간이 모두 가열탱크(300)와 보조탱크(330)로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가열탱크(300)와 보조탱크(330)의 형상 및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Meanwhile, the outer case 100 included in 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size such that the briquettes 10 can be stacked in two layers as shown in FIGS. 1 to 3, As shown in FIG. 3B. In this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the briquettes 10 are laminated in three rows is shown. However, the outer case 1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riquettes 10 are stacked in two rows. Of course, when the briquettes 10 are stacked in two rows, the remaining space in the outer case 100 may be filled with the heating tank 300 and the auxiliary tank 330, The shape and number of the auxiliary tanks 330 can be changed.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 제2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바닥판에 형성된 통기공(110)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측에 위치하는 연탄(10) 측으로도 일부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공기순환봉(400)이 요구될 수 있는데, 상기 통기공(110)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양이 충분하여 상기 공기순환봉(400) 없이도 상측에 위치하는 연탄(10)이 정상적으로 연소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순환봉(400)이 생략될 수 있다.In order to partially transfer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 hole 110 formed in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00 to the upper side of the briquettes 10, The air circulation rods 400 installed vertically as shown in FIG. 10A may be required. The amount of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 holes 110 is sufficient to allow the briquettes 10 The air circulation rods 400 may be omitted.

이와 같이 공기순환봉(400)이 생략되는 경우, 상기 공기순환봉(400)이 위치하였던 자리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온수탱크(7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탱크(300)나 보조탱크(330) 이외에 별도의 온수탱크(700)가 추가로 구비되면, 연탄(10)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온수의 양이 더욱 많아지므로, 한 번에 더욱 많은 양의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6, at least one hot water tank 70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air circulation rods 400 are located, if the air circulation rods 400 are omitted. When the hot water tank 700 is additionally provided in addition to the heating tank 300 and the auxiliary tank 330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hot water obtained by using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10 is further increa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arger amount of hot water can be used.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온수탱크(700)가 구비되면, 가열탱크(300) 및 보조탱크(330)를 통해 얻어지는 온수는 난방용으로 사용하고, 상기 온수탱크(700)를 통해 얻어지는 온수는 생활용수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난방수와 생활용수를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hen a separate hot water tank 700 is provided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hot water obtained through the heating tank 300 and the auxiliary tank 330 is used for heating, and the hot water obtained through the hot water tank 700 Since the hot water obtained can be used separately for domestic wa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ot water and the domestic water can be used separately.

이때 상기 온수탱크(700)는 보조탱크(330)와 마찬가지로 사전에 설정된 양의 물을 담을 수 있는 봉 구조로 제작되되,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연탄(10) 사이의 빈공간 또는 상기 연탄(10)과 상기 코일형 가열부 사이의 빈공간을 채우도록 수직으로 세워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탱크(300) 및 보조탱크(330)와 구분하여 냉수를 공급받고 온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냉수를 전달받는 급수유로(710)와, 상기 연탄(10)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유로(7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hot water tank 700 is made of a rod structure capable of hol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 the same manner as the auxiliary tank 330, and the empty space between two adjacent briquettes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0) and the coil-shaped heating section. A water supply channel 710 for receiving cold water from the outside so as to supply cold water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300 and the auxiliary tank 330 and to supply hot water to the auxiliary tank 330; It is preferable that a drainage channel 720 for discharging the heated water to the outside is provided.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 제3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 제3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연탄보일러는, 코일형 가열관(200)을 지난 물을 한 번 더 가열시키는 가열탱크(300)가 연탄(10)의 연소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상기 가열탱크(300)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공간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기 연탄(10)이 가열탱크(300)를 둘러싸도록 적재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탄(10)이 가열탱크(3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열되면, 상기 가열탱크(300)는 전후 및 좌우 측 사방에서 연탄(10)의 연소열을 전달 받으므로, 물 가열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The briquetting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heating tank 300 for heat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oil-type heating tube 200 more efficiently receives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ing vessel 10, The briquettes 10 may be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ase 100 and may be stacked so as to surround the heating tank 300. When the briquettes 10 are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heating tank 300, the heating tank 300 receives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10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

물론, 본 실시예와 같이 가열탱크(300)가 외부케이스(100) 내부공간의 중심에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연탄(10)과 코일형 가열관(200) 사이의 빈 공간에 공기순환봉(400) 및 온수탱크(700)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heating tank 30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ase 100 as in this embodiment, the air circulation rods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briquettes 10 and the coil- 400 and a hot water tank 700 may be provided.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연탄 100 : 외부케이스
110 : 통기공 200 : 코일형 가열관
210 : 급수단 220 : 배수단
300 : 가열탱크 310 : 급수관
320 : 배수관 330 ; 보조탱크
400 : 공기순환봉 500 : 스커트 플레이트
600 : 덮개 700 : 온수탱크
710 : 급수유로 720 : 배수유로
10: Briquette 100: External case
110: vent hole 200: coil type heating tube
210: feeding means 220: feeding means
300: Heating tank 310: Water supply pipe
320: drain pipe 330; Auxiliary tank
400: air circulation rod 500: skirt plate
600: cover 700: hot water tank
710: water supply channel 720: drain water channel

Claims (5)

상측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되, 바닥판에 다수 개의 통기공(110)이 형성되며, 수직으로 적층되는 연탄(10)이 2열 이상 안착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외부케이스(100);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 일측의 급수단(210)으로 물이 유입된 후 길이방향 타측의 배수단(220)을 통해 배출되는 코일형 가열관(200);
사전에 설정된 양의 물을 담을 수 있는 탱크 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세워지며,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을 지난 물을 유입받는 급수관(310)과 상기 연탄(10)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물을 상기 외부케이스(100)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수관(320)을 구비하는 가열탱크(300);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의 하단과 상기 외부케이스(100) 바닥판 사이의 이격공간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스커트 플레이트(500);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600);
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탱크(300)와 상기 연탄(10) 간의 이격공간 또는 상기 가열탱크(300)와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 간의 이격공간을 채우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가열탱크(300)와 내부공간이 연통되는 보조탱크(330)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효율이 향상된 연탄보일러.
An outer case 100 having an inner space such tha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10 are formed on the bottom plate and vertically stacked briquettes 10 can be seated in two or more rows, ;
And a coil unit 210 having a pipe structure spirally woun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supply unit 210 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elivery means 220 at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eating tube 200;
A water supply pipe 310 which is installed in a space enclosed by the coil type heating pipe 200 and has a tank structure capable of containing a preset amount of water and receives water passing through the coil type heating pipe 200, A heating tank (300) having a drain pipe (320) for discharging water heated by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10)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00);
A ring-shaped skirt plate 500 surrounding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oil-type heating tube 200 and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00;
A lid 600 covering an upper opening of the outer case 100;
Lt; / RTI >
The heating tank 300 and the briquettes 10 or the space between the heating tank 300 and the coil type heating tube 200. The heating tank 300 and the briquetting tank 200 are vertically installed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heating tank 300 and the briquettes 10,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auxiliary tank (330) through which the space is communica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연탄(10) 사이의 빈공간 또는 상기 연탄(10)과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 사이의 빈공간을 채우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통기공(110)으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공간 상측으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순환봉(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효율이 향상된 연탄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is vertically erected so as to fill an empty space between two horizontally adjacent briquettes 10 or an empty space between the briquettes 10 and the coiled heating tube 200 And one or more air circulation rods (400) for transferring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vent hole (110) to the upper sp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ase (100).
제1항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된 양의 물을 담을 수 있는 봉 구조로 제작되되,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연탄(10) 사이의 빈공간 또는 상기 연탄(10)과 상기 코일형 가열관(200) 사이의 빈공간을 채우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며, 외부로부터 냉수를 전달받는 급수유로(710)와 상기 연탄(10)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유로(720)를 구비하는 온수탱크(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효율이 향상된 연탄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iquettes 10 and the empty space between the briquettes 10 and the coiled heating tube 200 can be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 hot water tank 700 having a water supply channel 710 for receiving cold water from the outside and a drain channel 720 for discharging hot water heated by the combustion heat of the briquettes 10 to the outside, Wherein the briquetting boiler further comprises a briquette boiler having an improved thermal efficie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3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 내부공간의 중심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탄(10)은 상기 가열탱크(300)를 둘러싸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효율이 향상된 연탄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tank 300 is vertically installed at a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ase 100 and the briquettes 10 are stacked so as to surround the heating tank 300. [ Boiler.
KR2020140000083U 2014-01-06 2014-01-06 Briquet boiler having enhanced efficiency KR2004725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83U KR200472583Y1 (en) 2014-01-06 2014-01-06 Briquet boiler having enhanced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83U KR200472583Y1 (en) 2014-01-06 2014-01-06 Briquet boiler having enhanced efficie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583Y1 true KR200472583Y1 (en) 2014-05-09

Family

ID=5353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083U KR200472583Y1 (en) 2014-01-06 2014-01-06 Briquet boiler having enhanced effici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58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3770A (en) Combination hydronic space heater and tankless hot water heater
KR101284544B1 (en) Water heating apparatus using exhaust heat of chinese range
KR200472583Y1 (en) Briquet boiler having enhanced efficiency
KR100673620B1 (en) A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apparatus of a briquet boiler
KR101650529B1 (en) A Prefabricated Boiler
KR20090070462A (en) A boiler using heat transfer fluid
EP2633246A2 (en) A water storage tank and heating apparatus for the water storage tank, and a method for heating water in a water storage tank
KR101281464B1 (en) A briquet stove
KR100815719B1 (en) A electric boiler
KR101640938B1 (en) Boiler using heat medium oil
KR101407601B1 (en) Coal briquette boiler
KR101407600B1 (en) Assembly type boiler
JP7090321B2 (en) Ingredient boiling machine
KR20110127933A (en) Boiler
KR101758229B1 (en) Briquet boiler having a fire pot
KR101828122B1 (en) Regenerative firewood briquet combined boiler
KR200480396Y1 (en) Portable hot-water boiler
KR101380867B1 (en) Combustion type boiler
KR200379073Y1 (en) For both briquet and firewood boiler
KR200226266Y1 (en) Electric water heater
KR20140110437A (en) A high efficient briquet boiler
KR101476630B1 (en) Briquette boiler exhaust downstream expression
KR200437623Y1 (en) Briquette boiler using heating room and hot water
CN214678650U (en) Instant heating type bottled water ware that draws water
US2408820A (en) Water heater and bo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