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525Y1 -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525Y1
KR200472525Y1 KR2020120008414U KR20120008414U KR200472525Y1 KR 200472525 Y1 KR200472525 Y1 KR 200472525Y1 KR 2020120008414 U KR2020120008414 U KR 2020120008414U KR 20120008414 U KR20120008414 U KR 20120008414U KR 200472525 Y1 KR200472525 Y1 KR 200472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opening
closing
space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817U (ko
Inventor
양영호
Original Assignee
양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호 filed Critical 양영호
Priority to KR2020120008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525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8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5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냉온수기, 얼음정수기등에 사용되는 제빙기에서 얼음을 제빙한 뒤 저장된 얼음을 저빙함체에서 출빙(出氷)시키는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빙함체(2)와, 저빙함체(2)내에 형성되고, 얼음저장공간을 이루는 저빙공간(21)과, 저빙공간(21)의 일측에 제1출빙구(66)를 형성하고, 이 제1출빙구(66)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단에 편심축(612)을 병설하고, 그 내부에 작동공간(611)을 형성하고, 선단측에 제1출빙구(66)를 개폐하는 도어판(613)을 형성한 개폐부재(61)와, 이 개폐부재(61)가 내측에 편심 설치되고 그 외측으로 통공(621)과 제2출빙구(68)를 형성하여 설치되는 커버부재(62)와, 이 커버부재(62)의 일측에 지지구(623)를 병설하고, 이 지지구(623)에 고정설치하되 편심축부재(64)의 구동간(641)이 통공(621)측으로 넣어지게 구동모터(63)을 설치하고, 상기 개폐부재(611)의 작동공간(611)측에 상기 편심부재(64)의 구동간(641)이 회동가능하게 집어넣어진 출빙부(6)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를 제공하여, 편심축(612)의 편심회동에 따라 개폐부재(61)가 제1출빙구(66)를 개폐시킨다.

Description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Ice dispenser door open/close device for use of ice maker}
본 고안은 각종 냉온수기, 얼음정수기등에 사용되는 제빙기(냉매순환에 따라 소정의 냉매를 압축,기화,증발,응축단계로 순환시키는 냉각시스템에서 증발관의 침지관이 제빙트레이(물접시)에 침지되게 형성하고 제빙된 얼음을 이빙후 일시 저장하는 얼음저장구조를 포함하는 일체의 제빙장치)에서 제빙후 저장된 얼음을 저빙함체(貯氷函體,Housing)에서 출빙(出氷)시키는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얼음정수기등에서 사용되는 제빙기는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빙고내에 저빙공간을 형성하고, 때로는 저빙고 바닥에 정수된 물을 이동하게 하여 얼음과 접촉시켜 냉수를 공급하게 하는 얼음정수기,냉온수기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얼음정수기,냉온수기에 적용된 얼음 출빙장치 혹은 얼음취출구 도어 개폐장치등은 저장탱크의 취출구 도어를 솔레노이드의 전기적 작동에 의해 개폐되게 하여 일정량의 얼음이 취출되게 하는 구조를 갖거나, 교류 동기모터의 출력축에 대형 크기의 캠 부품을 편심을 갖도록 연결하고, 취출구 도어에 연결된 봉이 편심캠을 따라 회전되게 하여 도어가 개폐되게 한 구조를 갖는다.
첨부 도면중 도 1a는 등록특허 제10-0611324호의 얼음토출구 개폐장치로서 얼음토출구의 출구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와 이 덮개를 동작시켜서 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레버, 그리고 토출레버의 전방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얼음들을 컵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구비한다. 덮개는 얼음토출구를 가릴 수 있는 크기를 가진 원형의 덮개부와 이 덮개부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로 이루어진다. 힌지부는 덮개부의 양측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 한 쌍의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한 쌍의 힌지축을 구비한다. 또한, 힌지부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지지축과, 이 지지축에 끼워져서 상기 덮개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커버스프링을 구비한다.
또한, 도 1b는 등록실용신안 20-0454151호의 얼음취출구 도어 개폐장치로서 상하 두 개의 부품으로 분리 결합되는 상하 케이스,상하 케이스 중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정,역회전이 가능하게 내장된 직류 전동 모터, 직류 전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한 웜 기어, 상하 케이스의 내부에 웜기어와 맞물리게 설치되는 2단 스피어 기어, 상하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2단 스피어 기어와 맞물리게 설치되는 3단 스피어 기어, 상하 케이스의 내부에 3단 스피어 기어와 맞물리게 설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출력 기어, 일단은 상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개폐 링크에 구비되고, 타단은 출력 기어에 형성된 봉형상 돌기에 지지되는 링크 레버, 얼음 저장탱크의 얼음 취출구에 구비되고 개폐 링크에 설치되며 링크 레버 회전시 개폐 링크와 함께 회전하면서 얼음 저장탱크의 얼음 취출구를 개폐하는 취출구 도어, 개폐링크에 권설된 상태로 일단은 개폐 링크에 고정되고, 타단은 얼음 저장탱크의 얼음 취출구 외주면에에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서 된다.
이러한 종래 얼음 출빙구조는 대부분 출빙측에 도어로서 개폐되게하는 구조이므로 반드시 도어를 개폐작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등의 작동구조를 구성하므로 조립 부품수가 많고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며, 진퇴 작동의 직선운동에 따른 넓은 공간의 필요성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이의 제작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증가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제빙장치의 얼음저장고의 출빙도어를 도어의 전기적 작동 없이 개폐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조립이 용이한 개폐모듈화한 출빙구 개폐장치가 필요로 되어 왔다.
본 고안은 얼음이 저장되는 저빙공간의 출빙구를 도어없이 출빙가능하게 하는 출빙구조를 제공하되 비교적 간편한 새로운 조립구조를 갖는 모듈화한 출빙구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얼음을 형성하는 얼음과 정수의 접촉에 의한 냉수 공급이 가능한 제빙기에서 특히 저빙공간의 바닥측에서 얼음이 출빙되는 저빙함체를 갖는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는,
저빙함체와, 이 저빙함체내에 형성되고, 얼음저장공간을 이루는 저빙공간 및, 상단에 편심축을 병설하고, 그 내부는 작동공간을 형성하고, 선단측에는 제1출빙구를 개폐하는 도어판을 형성한 개폐부재와, 이 개폐부재를 내측에 편심 회동되도록 수용하고, 그 외측의 일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통공,제2출빙구를 형성는 커버부재와,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동가능함과 아울러 일방으로 돌출되게 구동간을 선형으로 형성한 편심축부재로 이루어진 출빙부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 로서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의 상기 저빙공간의 바닥에서 얼음을 회전시켜 제1출빙구로 출빙시키도록 회전날개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얼음이 저장되는 저빙공간의 출빙구를 전,후진 도어방식을 지양함과 아울러 출빙구측에서 간단히 조립가능한 개폐모듈로 된 출빙구조를 제공하므로서 출빙구를 개폐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공하며, 이러한 출빙 개폐장치가 얼음을 형성하는 얼음과 정수의 접촉에 의한 냉수 공급이 가능한 제빙기에서 특히 저빙공간과 정수조로 부터 정수된 물이 공급되고 이 물은 냉수조를 통하여 제어 되면서 저빙공간의 바닥측에서 얼음과 접촉하는 저빙함체를 갖는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에 적용되므로서 제빙기의 얼음 출빙 개폐장치가 조립이 간편하고, 출빙 기능도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도 1a,1b는 종래 알려진 제빙기의 얼음 출빙용 도어개폐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개폐부재의 발췌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편심축부재의 발췌도이고,
도 3c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커버부재의 발췌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저빙함체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저빙공간과 출빙부를 나타내는개략 평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출빙 개폐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도 3a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개폐부재의 발췌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편심축부재의 발췌도이고, 도 3c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커버부재의 발췌도이고,도 4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저빙함체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는 저빙함체(2)와 이 저빙함체(2)의 내부에 형성된 저빙공간(21)과, 저빙공간(21)에서 얼음이 출빙되도록 설치되는 출빙부(6)로 이루어진다.
저빙함체(2)는 저빙공간(21),냉수조(22),정수조(23)를 형성한 제빙기의 얼음저장 하우징(housing)이다.
출빙부(6)는 개폐부재(61)와, 커버부재(62)로 구분된다.
개폐부재(61)는 저빙함체(2)내의 일측에 형성된 제1출빙구(66)에 위치하며, 제1출빙구(66)를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개폐부재(61)은 그 상단에 힌지구조로 이루어진 편심축(612)을 두 곳에 형성하며, 그 내부는 후술하는 구동간(641)이 상,하동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작동공간(611)을 형성하고, 이러한 작동공간(611)으로 이루어진 개폐부재(61)의 사각형상의 선단측에는 제1출빙구(66)로 삽입되어 돌출된 부분(부호생략)의 단부에 도어판(613)을 형성한다.
커버부재(62)는 개폐부재(61)를 내측에 편심되게 설치되도록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 사각형을 이루되 그 외측의 일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통공(621)과 제2출빙구(68)를 형성하여 된다.
즉, 커버부재(62)의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621)에는 지지구(623)를 간격을 두고 양측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 지지구(623) 양측에는 편심축부재(64)가 설치된다.
편심축부재(64)는 구동모터(63)의 회전축(부호생략)이 연결부(642)에 삽착,지지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그 일측에 봉형의 구동간(641)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이 구동간(641)은 통공(621)을 넣어져 개폐부재(611)의 작동공간(611)에 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간(641)의 회전 작동으로 작동공간(611)일체의 개폐부재(61)가 편심축(612)에서 전,후 이동함에 따라 제1출빙구(66)로 삽입되어 돌출된 도어판(613)이 제1출빙구(66)에서 후진하여 개방함과 동시에 얼음을 출빙시키거나 혹은 전진하여 제1출빙구(66)를 차단(폐쇄)하게 된다.
상기 저빙공간(21)의 바닥중심부에는 얼음을 회전시켜 상기 제1출빙구(66)로 밀어내는 회전날개(215)를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경사진 안내턱부(도 4의 회전날개 근처 경사진 실선칭하며,부호생략함)를 저빙공간(21) 벽면에 형성하므로서 얼음의 회전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5a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저빙공간과 출빙부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 제빙기 출빙개폐장치의 출빙 개폐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의 작동은 저빙공간(21)의 일측에 제1출빙구(66)를 도어판(613)이 차단하고 있다가 편심축부재(64)의 구동간(641)이 개폐부재(61)의 작동공간(611)에서 반시계방향 회동하면 개폐부재(61)의 작동공간(611)에서 하향 이동하면서 개폐부재(61)을 편심 회전시키게 되고, 개폐부재(61)가 편심축(612)를 축으로 후방으로 회동된다.
반대로 제1출빙구(66)를 차단하려면 구동모터(63)을 반대회전시켜 편심축부재(64)의 구동간(641)을 작동공간(611)에서 시계방향 회동시키면 개폐부재(61)는 작동공간(611)에서 상향 이동하면서 개폐부재(61)을 저빙공간(21)측으로 편심 회전시키게 되고, 개폐부재(61)가 편심축(612)을 축으로 전방 제1출빙구(66)측으로 회동하여 얼음의 출빙을 차단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개폐부재(61)의 반복회전범위는 구동모터(63)의 속도제어와 정지, 작동등의 개폐주기로 조정할 수 있다.
2:저빙함체, 21:저빙공간, 6:출빙부, 61:개폐부재, 611:작동공간,
612:편심축, 613:도어판, 62:커버부재, 621:통공, 623:지지구,
63:구동모터, 64:편심축부재, 641:구동간, 642:연결부,

Claims (2)

  1.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에 있어서,
    저빙함체(2);
    저빙함체(2)내에 형성되고, 얼음저장공간을 이루는 저빙공간(21); 및
    상단에 편심축(612)을 병설하고, 그 내부는 작동공간(611)을 형성하고, 선단측에는 제1출빙구(66)를 개폐하는 도어판(613)을 형성한 개폐부재(61)와, 개폐부재(61)를 내측에 편심 회동되도록 수용하고, 그 외측의 일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통공(621)과 제2출빙구(68)를 형성는 커버부재(62)와, 구동모터(63)와 연결되어 회동가능함과 아울러 일방으로 돌출되게 구동간(641)을 선형으로 형성한 편심축부재(64)로 이루어져, 편심축부재(64)의 구동간(641)이 커버부재(62)에 수용된 개폐부재(611)의 작동공간(611)에 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저빙공간(21)의 일측에 형성된 제1출빙구(66)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출빙부(6)를 포함하여,
    편심축(612)의 편심회동에 따라 개폐부재(61)가 제1출빙구(66)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빙공간(21)의 바닥에서 얼음을 회전시켜 제1출빙구(66)로 출빙시키도록 회전날개(21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
KR2020120008414U 2012-09-20 2012-09-20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 KR200472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414U KR200472525Y1 (ko) 2012-09-20 2012-09-20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414U KR200472525Y1 (ko) 2012-09-20 2012-09-20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817U KR20140001817U (ko) 2014-03-28
KR200472525Y1 true KR200472525Y1 (ko) 2014-05-07

Family

ID=5244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414U KR200472525Y1 (ko) 2012-09-20 2012-09-20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52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773A (ja) 2000-03-30 2001-10-10 Daiwa Industries Ltd 製氷機のドアー開閉機構
KR100690671B1 (ko) 2005-03-11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아이스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773A (ja) 2000-03-30 2001-10-10 Daiwa Industries Ltd 製氷機のドアー開閉機構
KR100690671B1 (ko) 2005-03-11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아이스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817U (ko)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423B1 (ko) 냉장고
KR101212087B1 (ko) 냉장고
JP5571746B2 (ja) 冷蔵庫
EP2549207B1 (en) Ice maker
US8746002B2 (en)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ice discharging therein
EP2407737B1 (en) Refrigerator
EP1916489B1 (en) Ice making apparatus
EP2263055B1 (en) Water funnel and ice maker fo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080163639A1 (en) Ice 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EP2250450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541173B1 (en) Ice bank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KR20080103350A (ko) 냉장고용 아이스트레이와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제빙장치
KR20110072367A (ko) 냉장고
US20130327081A1 (en) Refrigerator
KR20080020126A (ko) 냉장고
KR101258437B1 (ko)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472525Y1 (ko)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
KR101123710B1 (ko) 냉장고
KR100983136B1 (ko)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
KR200469930Y1 (ko) 제빙기의 출빙장치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KR20090005753U (ko) 냉장고
KR200469931Y1 (ko) 제빙기의 출빙 개폐장치
CN115235157B (zh) 碎冰机及冰箱
KR101691226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