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385Y1 -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385Y1
KR200472385Y1 KR2020100011699U KR20100011699U KR200472385Y1 KR 200472385 Y1 KR200472385 Y1 KR 200472385Y1 KR 2020100011699 U KR2020100011699 U KR 2020100011699U KR 20100011699 U KR20100011699 U KR 20100011699U KR 200472385 Y1 KR200472385 Y1 KR 200472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reen
unit
wall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552U (ko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2020100011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38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3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7Optical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keyst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1/00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을 투사하도록 구비되는 프로젝터부 및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벽체 상에 구비되되, 프로젝터부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전달받아 분할 구획된 공간 양측에 대해 선택적으로 영상을 구현하도록 형성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POSSIBLE TWO-WAY VIEWING WALL DISPLAY APPARATUS OF THE PROJECTION METHOD}
본 고안은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터부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벽체 상에 승하강되는 슬라이딩 스크린 및 고정 스크린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목적에 맞게 선택적으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도로 복잡화된 정보전달체계인 멀티미디어가 대중화되면서 전기신호로 된 영상정보를 빛의 신호로 변환하는 인간과 정보기기 사이의 연결고리인 영상표현장치(이하,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요성이 필연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생동감 있는 영상을 보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는 크고 얇으며 가벼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을 촉진시키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한 공간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공간에서 영상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추가되어 비용 및 공간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로 복수 개의 공간에서 영상을 제공받아 비용 및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프로젝터부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벽체 상에 승하강되는 슬라이딩 스크린 및 고정 스크린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목적에 맞게 선택적으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영상을 투사하도록 구비되는 프로젝터부; 및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벽체 상에 구비되되, 상기 프로젝터부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전달받아 상기 분할 구획된 공간 양측에 대해 선택적으로 영상을 구현하도록 형성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벽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승하강 조작되어, 하강 조작 시 상기 분할 구획된 공간 일측으로 상기 프로젝터부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반사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슬라이딩 스크린; 및 상기 슬라이딩 스크린의 후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스크린의 승강 조작 시 상기 분할 구획된 공간 타측으로 투사된 영상을 투과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고정식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고정식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상기 투사되는 영상의 화면구배가 좌우 역전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벽체는, 거실과 방을 분할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분할 구획된 공간의 일측 천정에 단일 배치되며,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구비되며, 투사되는 영상의 화각 및 초점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부는 상기 스크린부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검출하여, 투사하는 영상의 화각 및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지령에 따라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렌즈부의 구동을 전기적 신호로 제어하는 원격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부로부터 투사된 영상에 대해 동기화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거실과 방의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벽체 상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하나의 프로젝터로 양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복수 개의 공간에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 및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스크린의 전후면을 활용하여 전면투사방식(Front project screen system) 및 후면투사방식(Rear project screen system)이 가능한 다용도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의 구성 및 작동을 통해 방에 설치된 프로젝터부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이 거실로 투과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부의 구성 및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벽체가 차광된 방에서만 시청이 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게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은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으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투사하도록 구비되는 프로젝터부(110)와, 상기 프로젝터부(110)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전달받아 영상을 구현하는 스크린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프로젝터부(110)로부터 투사된 영상에 대해 동기화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스피커부(150)를 더 포함한다.
먼저, 프로젝터부(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프로젝터부(110)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며,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프로젝터부(110)는, 분할 구획된 공간의 일측 천정에 단일 배치되며,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몸체부(도 3의 112)와, 상기 몸체부(도 3의 112)의 전방에 구비되며, 투사되는 영상의 화각 및 초점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렌즈부(도 3의 114)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스크린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스크린부(130)는,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벽체(W) 상에 구비되되, 상기 프로젝터부(110)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전달받아 상기 분할 구획된 공간 양측에 대해 선택적으로 영상을 구현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벽체(W)는, 거실과 방을 분할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스크린부(130)의 자세한 구성 및 작동과정은 도 2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의 구성 및 작동을 통해 방에 설치된 프로젝터부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이 거실로 투과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린부(130)는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벽체(W) 상에 구비되되, 상기 프로젝터부(110)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전달받아 상기 분할 구획된 공간 양측에 대해 선택적으로 영상을 구현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벽체(W)는, 거실과 방을 분할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부(130)는, 벽체(W)의 길이 방향에 대해 승하강 조작되어, 하강 조작 시 상기 분할 구획된 공간 일측으로 상기 프로젝터부(110)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반사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슬라이딩 스크린(132)과, 상기 슬라이딩 스크린(132)의 후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스크린(132)의 승강 조작 시 상기 분할 구획된 공간 타측으로 투사된 영상을 투과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고정식 스크린(134)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스크린(132)이 승강한 후 방에 설치된 상기 프로젝터부(110)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상기 고정식 스크린(134)을 거실로 투과된다. 이때, 투과된 영상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반대방향으로 전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원활하게 화면을 보기 위해서는 상기 프로젝터부(110)는 상기 고정식 스크린(134)에 투사되는 영상의 화면구배가 좌우 역전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스크린(132)은, 사용자가 방에서 시청을 하게 되는 경우와, 거실에서 시청하게 되는 경우를 선택하여 승강 및 하강을 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부의 구성 및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젝터부(110)는 방의 천장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영상을 투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프로젝터부(110)는, 분할 구획된 공간의 일측 천정에 단일 배치되며,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몸체부(112)와, 상기 몸체부(112)의 전방에 구비되며, 투사되는 영상의 화각(θ1 ,θ2, θ3) 및 초점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렌즈부(1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렌즈부(114)는 상기 스크린부(130)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검출하여, 투사하는 영상의 화각(θ1 ,θ2, θ3) 및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부(11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지령에 따라 상기 몸체부(112) 및 상기 렌즈부(114)의 구동을 전기적 신호로 제어하는 원격 스위치(116)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부(110)는 각 거리마다 화각(θ1 ,θ2, θ3) 및 초점 조절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어, 상기 원격 스위치(116)의 조작만으로도 간편하게 조정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돕는데 효과가 있다.
즉, 상기 프로젝터부(110)의 위치에 따라 각 화각(θ1 ,θ2, θ3)이 틀려지며, 상기 렌즈부(114)의 초점이 자동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부(110)는 자동으로 설정되지 않게 하여 일일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벽체가 차광된 방에서만 시청이 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투사하도록 구비되는 프로젝터부(110)와, 상기 프로젝터부(110)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크린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부(130)는 상기 프로젝터부(110)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반사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슬라이딩 스크린(132)과, 상기 슬라이딩 스크린(132)의 후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고정식 스크린(13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식 스크린(134)이 승강하지 않고, 하강되어 있을 때 차광의 역할을 담당하여 상기 프로젝터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이 그대로 복사되어 방에 있는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그리하여 전달된 영상은 상기 사용자에 제공되어, 거실에는 영상이 투과되지 않아 방에 있는 사용자에게만 영상이 제공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벽체(W) 상에 구비된 상기 스크린부(130) 중 슬라이딩 스크린(132)을 승강 및 하강 조절을 통하여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공간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거실과 방의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벽체(W) 상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하나의 프로젝터로 양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복수 개의 공간에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 및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스크린의 전후면을 활용하여 전면투사방식(Front project screen system) 및 후면투사방식(Rear project screen system)이 가능한 다용도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내용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수 있다.
100 :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110 : 프로젝터부
112 : 몸체부
114 : 렌즈부
116 : 원격 스위치
130 : 스크린부
132 : 슬라이딩 스크린
134 : 고정식 스크린
150 : 스피커부
B : 침대
C : 의자
W : 벽체
θ1 ,θ2, θ3 : 화각

Claims (8)

  1. 영상을 투사하도록 구비되는 프로젝터부; 및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벽체 상에 구비되되, 상기 프로젝터부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전달받아 상기 분할 구획된 공간인 상기 벽체의 양측에 대해 선택적으로 영상을 구현하도록 형성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벽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승하강 조작되어, 하강 조작 시 상기 분할 구획된 공간 일측으로 상기 프로젝터부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반사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슬라이딩 스크린; 및
    상기 슬라이딩 스크린의 후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스크린의 승강 조작 시 상기 분할 구획된 공간 타측으로 투사된 영상을 투과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고정식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고정식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상기 투사되는 영상의 화면이 지면과의 수평방향으로 좌우 역전되도록 조정되며,
    상기 고정식 스크린은 벽체 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스크린의 승강 및 하강만을 조절하여 영상을 제공하며,
    상기 벽체는 거실과 방을 분할 구획하는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분할 구획된 공간의 일측 천정에 단일 배치되며, 렌즈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구비되며, 투사되는 영상의 화각 및 초점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스크린부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검출하여, 투사하는 영상의 화각 및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지령에 따라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렌즈부의 구동을 전기적 신호로 제어하는 원격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로부터 투사된 영상에 대해 동기화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100011699U 2010-11-12 2010-11-12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72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99U KR200472385Y1 (ko) 2010-11-12 2010-11-12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99U KR200472385Y1 (ko) 2010-11-12 2010-11-12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52U KR20120003552U (ko) 2012-05-22
KR200472385Y1 true KR200472385Y1 (ko) 2014-04-25

Family

ID=4661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699U KR200472385Y1 (ko) 2010-11-12 2010-11-12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3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0767B2 (ja) * 2019-03-14 2023-01-10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WO2023219246A1 (ko) * 2022-05-09 2023-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가능한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362Y1 (ko) * 2004-03-10 2004-08-21 선상규 다중 롤 스크린 장치
JP2008309891A (ja) * 2007-06-12 2008-12-25 Funai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362Y1 (ko) * 2004-03-10 2004-08-21 선상규 다중 롤 스크린 장치
JP2008309891A (ja) * 2007-06-12 2008-12-25 Funai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52U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447B1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관람용 의자를 포함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및 방법
US10330292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 remotely located luminaire
US20110157330A1 (en) 2d/3d projection system
CN107206285A (zh) 具有动态屏幕的沉浸剧院环境的系统和方法
BRPI0924076B1 (pt) Sistema de telepresença e método de telepresença
KR20160008994A (ko) 곡률을 갖는 스크린이 설치된 상영관 및 그 의자 제어 시스템
ES2636782B1 (es) Sistema para proyectar contenidos audiovisuales inmersivos
EP2920646B1 (en) Multi-projection system and method comprising direction-changeable audience seats
US201601426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ulti-projection images
TW201715883A (zh) 影像投影裝置、舞臺裝置以及影像投影方法
CA3003206C (en) Immersive all-in-one pc system
KR200472385Y1 (ko)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TW201715132A (zh) 沉浸式一體電腦顯示器系統
KR101611174B1 (ko) 다면 상영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665080B1 (ko) 워터 스크린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워터 스크린 시스템 및 워터 스크린 구현 방법
US10534430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mersive visual representations and individual head equipment
KR101668243B1 (ko) 다면 상영용 영상 투사 시스템 및 방법
CN105549309A (zh) 显示装置、显示控制方法
CN207117845U (zh) 一种2d和3d切换的显示器
CN206023911U (zh) 虚拟现实系统
CN103149786B (zh) 全景屏幕、全景屏幕系统及其操作方法
JP2011118253A (ja) 映像投映方法、映像投映装置、投映台及び映像投映システム
Stuerzlinger et al. TIVS: temporary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at simon fraser university: a non-permanent CAVE
KR101763123B1 (ko) 증강된 가상공간 제공용 프로젝션 함체
CN205539896U (zh) 一种下沉式虚拟观影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