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004Y1 - Heli-deck having water drain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Heli-deck having water drain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004Y1
KR200472004Y1 KR2020120006707U KR20120006707U KR200472004Y1 KR 200472004 Y1 KR200472004 Y1 KR 200472004Y1 KR 2020120006707 U KR2020120006707 U KR 2020120006707U KR 20120006707 U KR20120006707 U KR 20120006707U KR 200472004 Y1 KR200472004 Y1 KR 200472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frame
inclined frame
helicop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7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0871U (en
Inventor
박주신
유남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004Y1/en
Publication of KR201400008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87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00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가 제공된다. 헬리콥터 데크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데크상판, 상기 데크상판의 하부에 상기 데크상판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데크하판, 상기 데크상판과 상기 데크하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데크상판을 지지하는 지주프레임 및, 상기 데크상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집수홀을 포함하되, 상기 지주프레임은, 상기 집수홀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집수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데크상판으로부터 각각 비스듬히 연장되어 일면이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제1 경사 프레임, 상기 데크하판으로부터 상기 데크상판을 향하여 각각 비스듬히 연장되어 일면이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제2 경사 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접합면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경사프레임의 접합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경사프레임과 상기 제2 경사프레임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한다.A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is provided. The helicopter deck includes a deck upper plate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deck lower plate disposed parallel to the deck upper plate at a lower portion of the deck upper plate, a support frame interposed between the deck upper plate and the deck lower plate to support the deck upper plate, And at least one catchment hole formed through the deck plate, wherein the support frame is positioned below the catchment hole and extends obliquely from the deck plate with the catchment hole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first inclined frame, a pair of second inclined frames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lower deck plate toward the deck upper plate, one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joint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frame; It is connected to the joint surface of the frame, and vertically supporting the first tilt frame and the second tilt frame It includes a vertical frame.

Description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 {Heli-deck having water draining structure}Helicopter deck with drainage structure {Heli-deck having water draining structure}

본 고안은 선박 등에 설치되는 헬리콥터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licopter deck installed in a ship or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시추선이나, 원유 또는 LNG 등의 불안정한 화물을 저장 이송하는 이송선 등 특정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대형 특수선박들에 헬리콥터 데크(Heli-deck)가 설치된다. 헬리콥터 데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328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평면 형태의 구조물로서, 선박의 일 측에 헬리콥터가 수직으로 이착륙 가능한 별도의 데크(Deck/갑판)를 형성한다. 헬리콥터 데크는 특수선박뿐만 아니라, 유조선이나 화물선과 같은 대형선박, 해상구조물, 또는 필요한 경우, 내륙의 고층 빌딩 등에도 설치가 가능하다.Helicopter decks are installed on large special ships designed for specific purposes, such as drilling ships and transfer ship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unstable cargo such as crude oil or LNG. Helicopter deck is a planar structure as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3280, etc., to form a separate deck (deck / deck) in which the helicopter can take off and lan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ship. Helicopter decks can be installed not only on special ships, but also on large ships, such as tankers and cargo ships, offshore structures, or, if necessary, on high-rise buildings inland.

이러한, 헬리콥터 데크에는, 대상 헬기의 자체하중, 헬기 부상시 데크 상부에 직접 가해지는 로터(Rotar)에 의한 상승추력 등으로 인해 크고 작은 외력이 가해지며, 이로 인해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른 파손 등을 방지하고 대상 헬기가 안정적으로 이착륙 할 수 있도록, 헬리콥터 데크는 견고하게 제작된다.Such a helicopter deck is subjected to large and small external forces due to self-loading of the target helicopter, upward thrust by the rotor (Rotar) applied directly to the deck when the helicopter is injured, and thus deformation occurs. Helicopter decks are solidly built to prevent damage and consequently and to allow the target helicopter to take off and land stably.

종래 헬리콥터 데크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그밖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재 프레임을 사용하여 강성을 높이는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하였으며, 데크의 상판과 하판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지주구조를 채용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데크 상판과 하판을 다만 수직으로 연결할 뿐인 종래의 구조로는 충분한 안정성을 보장받기 어려웠다. Conventional helicopter decks, using a metal frame made of aluminum, stainless steel, or other alloys to increase rigidity and reduce weight, and structural stability by adopting a strut structure that vertically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deck. . However, it was difficult to ensure sufficient stability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at merely connects the deck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vertically.

또한, 종래 헬리콥터 데크는, 견고함을 유지하기 위해 모듈화된 데크의 상판을 서로 밀접하게 결합함으로써, 헬리콥터 데크의 상부에 고인 빗물이나, 해양에서의 불안정한 이착륙시 헬기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연료 등이 데크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기 어려웠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elicopter deck, the top of the modular deck is closely coupled to each other to maintain the rigidity, so that rainwater accumulated on the top of the helicopter deck, or oil fuel flowing out of the helicopter during unstable takeoff and landing in the ocean of the deck It was difficult to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따라서, 배출되지 못한 빗물 등의 유체가 데크 내부에 유지되어 데크 전체의 하중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결국, 헬리콥터 데크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해양에서와 같이 수시로 기상이 악화되고, 폭우가 내리는 상황에서 이러한 문제는 더욱 가중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속히 배출되지 않은 기름 등의 유체는 데크의 상부 또는 내부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fluids such as rainwater that have not been discharged are maintained inside the deck to substantially increase the load of the entire deck, which in turn causes a problem of lowe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helicopter deck. This can be aggravated in times of bad weather and heavy rain, as in the ocea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uid such as oil that is not quickly discharged contaminates the top or the interior of the deck.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3280호, (2012.05.2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3280, (2012.05.25)

이러한 문제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헬리콥터 데크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빗물이나 그 밖의 오염물질 등을 신속히 배출 가능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such a problem situation is to provide a helicopter deck with a drainage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helicopter deck and at the same time can quickly discharge rainwater or other pollutants.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고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데크상판; 상기 데크상판의 하부에 상기 데크상판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데크하판; 상기 데크상판과 상기 데크하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데크상판을 지지하는 지주프레임; 및 상기 데크상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집수홀을 포함하되, 상기 지주프레임은, 상기 집수홀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집수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데크상판으로부터 각각 비스듬히 연장되어 일면이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제1 경사 프레임, 상기 데크하판으로부터 상기 데크상판을 향하여 각각 비스듬히 연장되어 일면이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제2 경사 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접합면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경사프레임의 접합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경사프레임과 상기 제2 경사프레임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한다.Helicopter deck formed with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k top plate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deck lower plat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eck upper plate at a lower portion of the deck upper plate; A support frame interposed between the deck upper plate and the deck lower plate to support the deck upper plate; And at least one catchment hole formed through the deck top plate, wherein the support frame is disposed below the catchment hole and extends obliquely from the deck top plate with the catchment hole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first inclined frame, a pair of second inclined frames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lower deck to the deck upper plate, one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joint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frame; It is connected to the joint surface of the inclined frame, and includes a vertical frame for vertically supporting the first inclined frame and the second inclined frame.

상기 데크상판, 상기 데크하판 및 상기 지주프레임은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갖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데크상판을 밑변으로 하고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접합면을 이에 대향하는 꼭지점으로 하는 역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The deck upper plate, the lower deck plate and the support frame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nd extend in one directio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has the deck upper plate as the base and the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is opposite thereto. It may be an inverted triangle shape to the vertex.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횡단면 형상이 이루는 역삼각형은 상기 데크상판으로부터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접합면까지의 수직거리인 높이가 상기 데크상판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향하는 종단 방향으로 점차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An inverted triangle form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may have a height, which is a vertical distance from the deck top plate to the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gradu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deck top plate to the other side. .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횡단면 형상이 이루는 역삼각형은 상기 높이가 중앙부에서 가장 낮고 양단으로 향할수록 점차 높아질 수 있다.The inverted triangle form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may be gradually higher as the height is lower in the center and directed to both ends.

상기 헬리콥터 데크는, 상기 데크상판이 상기 집수홀을 향하여 오목하게 만입되어 형성된 집수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licopter deck may further include a water collecting groove formed by recessing the deck upper plate toward the water collecting hole.

상기 집수홈은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을 따라 골을 형성하며, 상기 집수홀은 상기 집수홈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catchment groove may form a valley along the first inclined frame, and the catchment hole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catchment groove.

본 고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는, 데크의 상부에 고인 빗물이나 기름 등의 오염물질을 데크의 외부로 신속히 배출할 수 있으며, 데크에 가해진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헬리콥터 데크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데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elicopter deck formed with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charge the contaminants such as rain water and oil accumulated on the deck to the outside of the deck,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eck, the entire helicopter deck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deck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deck.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가 설치된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에 설치된 헬리콥터 데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헬리콥터 데크를 A-A' 선으로 자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헬리콥터 데크를 B-B' 선으로 자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헬리콥터 데크의 외력에 대한 변형 정도를 종래와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2의 헬리콥터 데크의 배수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p equipped with a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licopter deck installed in the vessel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the helicopter deck of FIG. 2.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licopter deck of FIG. 3 taken along line BB ′.
FIG. 5 is a graph showing a deformation degree of the helicopter deck of FIG. 2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orce.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drainage process of the helicopter deck of FIG. 2.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ttain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o give the owner a complete indication of the category of design, and the desig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가 설치된 선박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p equipped with a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태의 구조물로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연락용 헬리콥터가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착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헬리콥터 데크(10)는 선박(1)의 일 측, 예를 들어, 메인데크(선체의 상면: 주 갑판)위에 건조되어 선실이나 함교(Bridge) 등을 제공하는 선박(1)의 상부구조(Superstructure)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트러스와 같은 철재 골조구조를 이용하여 선박(1)과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선박(1)은 예를 들어, 시추탑 및 각종의 시추장비를 메인데크 위에 수용하고 있는 시추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유조선이나 화물선과 같은 대형선박, 또는 일반적인 선박(1)의 형태를 갖추지 못한 해상구조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 the helicopter deck 10 having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ar structure as shown, and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a contact helicopter can easily take off and land in a vertical direction. I can do it. The helicopter deck 10 is built on one side of the ship 1, for example, the main structure (upper surface of the hull: the main deck)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ship 1 to provide a cabin or bridge (bridge), etc. ( It can be installed on the superstructure, and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ship 1 by using a steel frame structure such as a truss. In this case, the vessel 1 may be, for example, a drilling vessel that accommodates a drilling tower and various drilling equipment on the main deck,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rge vessel such as an oil tanker or a cargo ship, or a general vessel (1). It may include all of the maritime structures that do not have the form of).

한편, 선박(1)은 주로 해상에 머물게 되므로 폭우와 같은 악천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평면 형태로 구성된 헬리콥터 데크의 상부에는 과량의 빗물이 고이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 때, 빗물이 신속히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 배출되지 못한 빗물은 데크의 상부에 유지되거나 데크 내부로 유입되고, 헬리콥터 데크 전체의 중량을 증가시켜 결국, 헬리콥터 데크의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혹한기에는 헬리콥터 데크 상부에 내린 눈이 녹거나, 눈과 함께 내린 빗물이 얼어 빙판을 형성하게 되므로 헬리콥터의 안전한 이착륙이 방해를 받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hip 1 is mainly staying at sea, it is continuously exposed to bad weather such as heavy rain, and thus, excessive rain water is often accumul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licopter deck having a flat shape. At this time, when the rainwater is not discharged quickly, the rainwater that is not discharged is maintained on the top of the deck or flows into the deck, and increases the weight of the helicopter deck as a whole, and eventually decrease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helicopter deck. In addition, during the cold season, the snow melt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licopter deck, or the rainwater falling with the snow freezes to form ice sheets, so that the safe takeoff and landing of the helicopter is hindered.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 데크 위에는 헬리콥터의 불안정한 이착륙 비행으로 인해 주변으로 누출된 기름 연료 등도 고여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름 연료는 헬리콥터 데크의 상부에 고착되어 지워지지 않거나 내부로 유입되어 데크를 오염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re may be oil fuel leaking above the helicopter deck due to the helicopter's unstable takeoff and landing. These oil fuels stick to the top of the helicopter deck and are not erased or introduced inside and contaminate the deck.

본 고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10)는 데크의 상부로 쏟아지는 빗물뿐만 아니라 기름연료 등의 오염물질을 데크의 외부로 신속히 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헬리콥터 데크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헬리콥터 데크 전체가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수구조는 별도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헬리콥터 데크에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데크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구조를 이용한 것으로,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이로 인해,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10)는 빗물 및 오염물질 등을 용이하게 배출하는 동시에 구조적으로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Helicopter deck 10 formed with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discharge the pollutants such as oil fuel, as well as rainwater pouring to the top of the deck, thereby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helicopter deck, You can keep the entire helicopter deck clean. In addition, the drainage structure is not formed separately, but using a support structure formed inside the deck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elicopter deck, has the advantage that does not require a complicated configuration. As a result, the helicopter deck 10 having the drainage structure is easily discharged from rainwater and pollutants, and can be more structurally stable.

이하, 각각의 구성부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is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도 1의 선박에 설치된 헬리콥터 데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licopter deck installed in the vessel of FIG.

이어서 도 2를 참조하면,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10)는 크게 상부에 위치하는 데크본체(10a) 및 하부에 위치하여 데크본체(10a)를 지지하는 지지부(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2, the helicopter deck 10 having a drainage structure may be composed of a deck body 10a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upport portion 10b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support the deck body 10a.

데크본체(10a)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데크상판(100), 데크상판(100)의 하부에 데크상판(10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데크하판(200), 데크상판(100)과 데크하판(200)의 사이에 개재되어 데크상판(100)을 지지하는 지주프레임(300), 및 데크상판(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수홀(110)을 포함한다. 데크상판(100), 데크하판(200), 지주프레임(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횡단면 형상(도면상의 x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 형상)을 갖고 종단방향(도면상의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모듈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와 다른 하나가 횡단방향(도면상의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밀접하게 결합되어 데크본체(10a)를 형성한다. Deck body (10a) is a deck upper plate 100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eck lower plate 200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eck upper plate 1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ck upper plate 100, the deck upper plate 100 and the deck lower plate ( It includes a support frame 300 interposed between the 200 to support the deck top plate 100, and at least one collecting hole 110 formed through the deck top plate 100. The deck upper plate 100, the deck lower plate 200, the support frame 300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cross-sectional shape cut along the x-axis direction on the drawing) as sh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n the drawing) It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ong extension, one and the other is closely coupled to each other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x-axis direction on the drawing) to form the deck body (10a).

한편, 지지부(10b)는 전술한 횡단방향을 따라 데크하판(200)과 밀접하게 배치되는 가로빔(410), 및 가로빔(410)과 적층되어 전술한 종단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빔(4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로빔(410)과 세로빔(420)의 사이에는 연결판(430)이 결합될 수 있다. 연결판(430)은 가로빔(410)과 세로빔(420)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직교하는 가로빔(410)과 세로빔(420) 서로간의 결합강도를 높이고, 상부에 위치한 가로빔(410)과 하부에 위치한 세로빔(420)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가로빔(410), 세로빔(420), 및 연결판(430)은 볼트 결합방식을 통해 용이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데크본체(10a) 및 지지부(10b)를 포함하는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1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경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중량의 감소를 도모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10b is a horizontal beam 410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eck lower plate 200 in the above-described transverse direction, and a vertical beam 420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tacked with the horizontal beam 410 The combination plate 430 may be coupled between the horizontal beam 410 and the vertical beam 420. The connecting plate 430 is interposed between the horizontal beam 410 and the vertical beam 420 to increase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horizontal beam 410 and the vertical beam 420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horizontal beam 410 located on the top And a buffer function between the vertical beam 420 located below. The horizontal beam 410, the vertical beam 420, and the connecting plate 430 may b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bolt coupling method. The helicopter deck 10 having a drainage structure including the deck body 10a and the supporting portion 10b is formed of, for example, an aluminum alloy or stainless steel to improve hardness and reduce weight. can do.

이 때, 데크상판(100)과 데크하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지주프레임(300)은 데크상판(100)과 데크하판(200)의 사이를 단순히 직선형태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며, 수직방향(도면상의 z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330)과, 수직프레임(330)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제1 경사프레임(310) 및 제2 경사프레임(320)의 조합을 통해 데크상판(100)과 데크하판(200)을 입체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로써 데크에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데크 전체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ding frame 300 interposed between the deck upper plate 100 and the deck lower plate 200 is not simply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between the deck upper plate 100 and the deck lower plate 200, the vertical direction ( Deck plate 100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vertical frame 330 disposed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and the second inclined frame 320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frame 330. ) And the lower deck plate 200 will be supported in three dimensions. This effectively distribute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eck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entire deck,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또한, 제1 경사프레임(310)은 집수홀(110)의 직하방에 집수홀(110)을 향해 벌어진 형태로 배치되며, 이러한 형상의 특징을 이용하여 집수홀(110)로 유입된 빗물이나 기름 연료 등의 오염물질을 신속하게 배출하는 배수로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지주프레임(300)은 1차적으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집수홀(110)과 함께 배수구조를 형성하여 빗물 등의 유입으로 인한 데크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고, 이를 통해 2차적으로, 데크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배수구조는 물뿐만 아니라 기름 연료 등의 오염물질 역시 신속히 배출하여 데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is disposed in a shape that is open toward the collection hole 110 directly below the collection hole 110, rainwater or oil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hole 110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hape. It can function as a drain to quickly discharge pollutants such as fuel. That is, the strut frame 300 primarily improve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helicopter deck 10 in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is formed, and also forms the drainag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collection hole 110 so that the weight of the deck due to the inflow of rainwater. This is to suppress the increase of and, secondly, to prevent degradation of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entire deck. In addition, this drainage structure can be quickly discharged pollutants such as oil fuel as well as water to prevent the deck from being contaminated.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데크상판(100), 데크하판(200), 및 지주프레임(300)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구조와, 집수홀(110)을 포함하는 배수구조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의 요지를 좀 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10)에서 지지부(10b)의 도시는 생략되었다.Hereinafter, a support structure formed by the deck upper plate 100, the deck lower plate 200, and the support frame 300 and the drainage structure including the collecting hole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It explains in detail. Hereinafter, 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ion of the support 10b is omitted in the helicopter deck 10 in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is formed.

도 3은 도 2의 헬리콥터 데크를 A-A' 선으로 자른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헬리콥터 데크를 B-B' 선으로 자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헬리콥터 데크의 외력에 대한 변형 정도를 종래와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licopter deck of FIG. 2 taken along line AA ′, and FIG.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licopter deck of FIG. 3 taken along line BB ′,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formation degree of the helicopter deck of FIG. 2 with respect to external force. It is a graph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데크상판(100)은 수평방향(도면상의 x축 방향이며 전술한 횡단방향과 같다)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헬리콥터가 데크상판(100)위에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착륙할 수 있다. 또한, 데크상판(100)의 단부에는 인접한 데크상판(100)과 밀접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부(130)가 형성된다. 연결부(130)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이를 테면 끼움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eck top plate 100 is first arranged in paralle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on the drawing and the same as the transverse direction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helicopter can easily take off and land on the deck top plat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13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deck upper plate 1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djacent deck upper plate 100.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may be coupled through a fitting coupling.

데크하판(200) 역시 데크상판(10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데크하판(2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데크상판(1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전술한 지지부(10b)와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데크하판(200)은 데크상판(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Deck lower plate 200 is also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eck upper plate (100). The lower deck plate 200 is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eck upper plate 100 at regular intervals, it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above-described support (10b). At this time, the lower deck plate 200 may be formed in a relatively narrow width than the deck upper plate (100).

집수홀(110)은 데크상판(10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집수홀(110)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데크상판(100)을 따라 일 방향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종단방향(도면상의 y축 방향)으로 따라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집수홀(110)은 데크상판(100)에 고인 빗물이나 그 밖의 오염물질들이 유입되는 유입구로 기능한다. 집수홀(110)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collecting hole 110 is formed through the deck top plate 100. A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110 may be formed, and may be formed in a line along the deck top plate 100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n the drawing) illustrated in FIG. 2. The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110 function as an inlet through which rainwater or other pollutants accumulated in the deck top plate 100 are introduced. The collecting hole 110 and the drainag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지주프레임(300)은 수직방향(도면상의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프레임(330)과 수직프레임(330)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제1 경사프레임(310) 및 제2 경사프레임(320)을 포함한다. The strut frame 300 includes a vertical frame 330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n the drawing) and a first inclined frame 310 and a second inclined frame 320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frame 330. It includes.

제1 경사프레임(310)은 집수홀(110)의 하방에 위치하며 한 쌍이 형성된다. 제1 경사프레임(310)은 집수홀(110)을 사이에 두고 데크상판(100)의 하방으로 서로를 향해 각각 비스듬히 연장되어 일면이 서로 접하게 되며, 제1 경사프레임(310)의 서로 접한 일면은 접합면(311)을 형성하여 수직프레임(330)의 단부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경사프레임(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의 형상(도면상의 x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 형상)이 데크상판(100)을 밑변으로 하고 접합면(311)을 이에 대향하는 꼭지점으로 하는 역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frame 310 is located below the collecting hole 110 and a pair is formed.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extends at an angle toward each other downwardly below the deck top plate 100 with the collecting hole 110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joining surface 311 is formed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frame 330. Accordingly,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is a cross-sectional shape (cross-sectional shape cut along the x-axis direction on the drawing) as shown in the deck top plate 100 to the bottom side and the joining surface 311 facing it An inverted triangle shape can be achieved.

즉, 제1 경사프레임(310)은 수직프레임(330)의 일단부와 데크상판(100)을 연결하되, 수직프레임(330)으로부터 데크상판(100)을 향해 펼쳐진 형태로 입체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경우, 헬리콥터의 자중 및 로터(Rotar)의 추력에 의해 데크상판(100)에 가해지는 외력은 단순히 수직방향(도면상의 z축 방향)으로만 형성되지 않으며, 수직방향과 횡단방향(도면상의 x축 방향)이 서로 혼합된 복잡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상판(100)은 예기치 못한 형상으로 변형되는데, 종래의 지지구조는 단순히 수직방향으로만 외력을 분산시킬 뿐 횡단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서는 취약하였다. 역삼각형 형상의 지지구조를 이루는 제1 경사프레임(310)은 경사구조를 통해 외력을 수직방향 및 횡단방향으로 적절히 분산시키고 이를 수직프레임(330)으로 전달함으로써 데크상판(100)의 변형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330 and the deck top plate 100, it is connected three-dimensionally in a form unfolded toward the deck top plate 100 from the vertical frame 330. When the helicopter takes off and lands, the external force exerted on the deck plate 100 by the weight of the helicopter and the thrust of the rotor is not mere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n the drawing), b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 X-axis direction on the drawing) may be formed in a complex direction mix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deck top plate 100 is deformed into an unexpected shape, the conventional support structure was only weak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ly to distribute the external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constitut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inverted triangle shape effectively distributes the external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the inclined structure and transmits it to the vertical frame 330 to effectively reduce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deck top plate 100. It can be done.

제2 경사프레임(320)은 데크하판(200)과 연결된다. 제2 경사프레임(320) 역시 한 쌍이 형성되며, 데크하판(200)으로부터 데크상판(100)을 향해 각각 비스듬히 연장되어 일면이 서로 접하고, 접하는 면에 접합면(321)이 형성된다. 제1 경사프레임(310)과 마찬가지로, 제2 경사프레임(320)의 접합면(321) 역시 수직프레임(330)의 단부와 연결되어 데크하판(200)을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2 경사프레임(320) 역시 데크하판(200)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켜 수직프레임(330)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반대로, 데크상판(100)으로부터 수직프레임(330)을 통해 전달된 외력을 재차 분산시켜 데크하판(200)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각각 역삼각형 및 삼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이루는 제1 경사프레임(310) 및 제2 경사프레임(320)은, 수직프레임(33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inclined frame 320 is connected to the deck lower plate 200. The second inclined frame 320 is also a pair is formed, each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deck upper plate 100 from the lower deck plate 200,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onding surface 321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Like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the joint surface 321 of the second inclined frame 32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frame 330 to form a triangular shape of the deck bottom plate 200 as a base. Therefore, the second inclined frame 320 may also effectively transmit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eck lower plate 200 to the vertical frame 330. On the contrary, the second inclined frame 320 may be transmitted from the deck upper plate 100 through the vertical frame 330. By dispersing the external force again will be delivered to the deck lower plate 200. 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and the second inclined frame 320 form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n inverted triangle and a triangle may form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330.

수직프레임(33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부는 제1 경사프레임(310)의 접합면(311)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경사프레임(320)의 접합면(321)과 각각 연결되어 제1 경사프레임(310) 및 제2 경사프레임(320)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데크상판(100) 및 데크하판(200)에 가해지는 외력은 각각 제1 경사프레임(310) 및 제2 경사프레임(320)을 통해 수직프레임(330)으로 집중될 수 있으므로, 수직프레임(330)은 이를 견디기 충분한 정도의 경도 및 탄성을 가져야 한다. 수직프레임(330)의 두께가 증가되거나, 수직프레임(330)의 수직방향 길이가 감소하는 경우 경도가 상승될 수 있으며, 반대로 수직프레임(330)의 두께가 감소하거나, 수직방향 길이가 증가하는 경우 탄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프레임(330)의 두께 및 길이는 경도와 탄성이 조화되도록 적절히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The vertical frame 330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joint surface 311 of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joint surface 321 of the second inclined frame 320, respectively. Thus,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and the second inclined frame 320 are vertically supported. Sinc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eck upper plate 100 and the deck lower plate 200 may be concentrated to the vertical frame 330 through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and the second inclined frame 320, respectively, the vertical frame 330 Should have sufficient hardness and elasticity to withstand it. When the thickness of the vertical frame 330 is increased or the vertical length of the vertical frame 330 decreases, the hardness may be increased.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vertical frame 330 is reduced or the vertical length is increased. Elasticity may increase. Therefore,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vertical frame 330 should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match the hardness and elasticity.

또한, 지주프레임(300)의 양 측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프레임(340)을 설치하여 지주프레임(300)을 보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직프레임(3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조프레임(3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또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데크하판(200)을 향해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데크상판(100)과 데크하판(200) 사이를 직접 연결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auxiliary frame 34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300 to reinforce the support frame 300, thereby improving the support force of the vertical frame 330. As shown, the auxiliary frame 340 is disposed in an inclined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deck lower plate 200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relatively narrow width, and directly between the deck upper plate 100 and the deck lower plate 200. It can be formed to connect.

이러한 제1 경사프레임(310), 제2 경사프레임(320), 및 수직프레임(330)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1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the second inclined frame 320, and the vertical frame 330,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helicopter deck 10 in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is formed can be improved.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상부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구조를 갖는 헬리콥터 데크에 가해진 외력에 의한 각 부위의 변형량(Displacement)이 밀리미터 단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의 하부에는 종래의 헬리콥터 데크에 가해진 외력에 의한 각 부위의 변형량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은 동일한 중량조건에서 동일한 하중을 적용한 것이며, 각각의 색상은 변형량의 최대값으로부터 최소값(0)까지 변형의 정도를 연속적으로 표현한다. 변형량의 최대값이 다른 경우, 동일한 색상이 서로 다른 변형량의 측정값에 대응될 수 있다.5, the upper portion of Figure 5 shows the displacement (Displacement) of each part by the millimeter unit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of Figure 5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each part due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ventional helicopter deck is shown. Each applies the same load under the same weight conditions, and each color continuously represents the degree of deformation from the maximum value to the minimum value (0) of the deformation amount. If the maximum value of the deformation amount is different, the same color may correspond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different deformation amount.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의 경우 변형량의 최대값이 3.91로 나타나며, 나머지 부분들의 변형량은 그 이하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종래의 헬리콥터 데크의 경우에는 최대 변형량이 5.43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데크상판의 나머지 부분들 중에도 본 고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의 최대 변형량에 근접하거나 이를 넘어서는 변형량을 가지는 영역들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는 제1 경사프레임, 제2 경사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조합된 지주프레임 구조를 통해 데크상판에 가해진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데크상판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Looking specifically at this, in the case of the helicopter deck formed with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value of the deformation amount is shown as 3.91, it can be seen that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remaining portions are formed below.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elicopter deck, the maximum deformation amount is relatively high as 5.43, and among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deck deck, areas having a deformation amount approaching or exceeding the maximum deformation amount of the helicopter deck in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re 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refore, the helicopter deck having the drainage structure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dispers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eck top plate and minimize deformation of the deck top plate through the holding fram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inclined frame, the second inclined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combined. .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1 경사프레임(310) 및 제2 경사프레임(320)의 횡단면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3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이루되, 종단면 형상(도면상의 y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3 and 4,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and the second inclined frame 320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with the vertical frame 330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3. Although,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cross-sectional shape cut along the y-axis direction on the drawing)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form as shown in FIG.

즉, 제1 경사프레임(310)은 접합면(311)과 데크상판(100)과의 수직거리가 증가 또는 감소하여 집수홀(110)이 일렬로 배열된 방향인 종단방향(도면상의 y축 방향)을 따라서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집수홀(110)의 하부에서 배수로의 역할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제1 경사프레임(310)의 접합면(311)과 데크상판(100)과의 수직거리는 제1 경사프레임(310)의 횡단면 형상이 이루는 역삼각형의 높이(h1, h2, h3)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높이는 제1 경사프레임(310) 내부에서 데크상판(10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향하는 종단방향을 따라 점차 높아지거나 또는 낮아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has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joint surface 311 and the deck top plate 100 increases or decrea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n the drawing) in which the collecting holes 110 are arranged in a line. It is form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along the, it is to be able to facilitate the role of the drainag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hole (110). At this time,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joint surface 311 of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and the deck top plate 100 is the height (h1, h2, h3) of the inverted triangle form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It may be defined, such height may be gradually increased or lowe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of the deck top plate 100 in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프레임(310)의 횡단면 형상인 역삼각형이 이루는 높이가 데크상판(100)의 끝단부(h1)에서 가장 높고, 데크상판(100)의 중앙부(h2)에서 가장 낮으며, 상기 끝단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h3)에서 그 사이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면, 각각의 집수홀(110) 직하방에는 데크상판(100)의 끝단부를 향해 점차로 낮아지는 경사진 배수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 때, 각각의 높이(h1, h2, h3)는 필요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경사프레임(310)의 접합면(311)과 데크상판(100)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집수홀(110)로 유입된 빗물 또는 오염물질 등이 더욱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height of the inverted triangle, which i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is the highest at the end h1 of the deck upper plate 100, and the center portion h2 of the deck upper plate 100. ) Is the lowest, and when formed between the end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h3) to have a height therebetween, the lower gradually toward the end of the deck top plate 100 directly below each collection hole (110) Photo drainage is formed. At this time, each of the height (h1, h2, h3) can be changed as necessary, through this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joint surface 311 and the deck top plate 100 of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Rainwater or pollutants introduced into the 110 may be more easily discharged.

도 6은 도 2의 헬리콥터 데크의 배수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drainage process of the helicopter deck of FIG. 2.

도 6을 참조하면, 해양에서 운항중인 선박이 폭우와 같은 악천후에 직면한 경우, 데크상판(100)을 향해 과량의 빗물(A)이 낙하하게 된다. 이 때, 데크상판(100)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집수홀(110)은 낙하한 빗물(A)을 데크상판(100)의 하부로 유입시킨다. 따라서, 데크상판(100)의 상부에 빗물(A)이 고이지 않는다. 이 때, 집수홀(110)은 크기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각각의 집수홀(110)들은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직경이 감소 또는 증가하도록 형성되거나, 빗물(A)이 자주 고이는 데크상판(100)의 특정 부위 주변에만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집수홀(110)의 개수 역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빗물(A)이 자주 고이거나 그러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데크상판(100)의 특정 부위 주변에는 그 수를 늘려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6, when a ship operating in the sea faces bad weather such as heavy rain, an excessive amount of rain water A falls toward the deck top plate 10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ollecting holes 110 formed through the deck upper plate 100 flows the rain water A that has fallen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deck upper plate 100. Therefore, the rain water A does not accumulate on the deck upper plate 100. At this time, the collecting holes 110 are shown to be the same in size, but is not limited thereto, each of the collecting holes 110, for example, is formed to sequentially decrease or increase the diameter, or rain water (A) This frequent hook may be formed to maintain a relatively large diameter only around a specific portion of the deck top plate 100.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collecting holes 110 may also be increased or decreased,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number around the specific portion of the deck top plate 100 that the rain water (A) is often accumulated or is considered to be possible. It can also be deployed intensively.

집수홀(110)을 통해 유입된 빗물(A)은 제1 경사프레임(310)을 따라 흐르게 된다. 제1 경사프레임(310)은 집수홀(110)의 직하방에서 데크상판(100)의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유입된 빗물(A)은 제1 경사프레임(310)은 종단방향(도 4의 y방향 참조)으로 형성된 경사를 따라 데크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이 때, 제1 경사프레임(310)은 데크상판(1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어 데크상판(100)의 양 단부를 향해 각각 하향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Rainwater A introduced through the collecting hole 110 flows along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Since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is formed to have a downward slope toward the end of the deck top plate 100 directly below the collection hole 110, the rainwater A introduced is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ck along the inclination formed in (y direction in Fig. 4). In this case,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form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eck upper plate 100 to form downward slopes toward both ends of the deck upper plate 100, respectively.

따라서, 집수홀(110)을 통해 유입된 빗물은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10)의 상부 또는 내부에 유지되는 일 없이 데크의 외부로 신속히 배출된다. 이러한 배출작용을 통해 과량의 빗물 유입으로 인한 데크 전체의 중량 상승을 억제하고, 결국, 데크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collecting hole 110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ck without being maintained on the inside or inside the helicopter deck 10 in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is formed. Through this discharge a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weight increase of the entire deck due to the excessive inflow of rainwater, and ultimately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deck.

한편, 헬리콥터로부터 유출된 기름연료 등의 오염물질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신속히 배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10)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contaminants such as oil fuel leaked from the helicopter can also be quickly discharged in the same manner, so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helicopter deck 10 in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is formed can be prevented.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실시예들에 있어서, 데크상판(100)의 형상변화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은 전술한 최초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언급되지 않은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사항으로 대신한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In each of the embodiments,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shape change of the deck top plate 10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fore, only the difference is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that are not mentioned in place of the above descrip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10)는 집수홀(110)의 주위에, 데크상판(100)이 집수홀(110)을 향하여 오목하게 만입되어 형성된 집수홈(120-1)을 포함한다. 따라서, 집수홀(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홈(120-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집수홀(110)의 위치는 데크상판(100)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helicopter deck 10 having the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essed around the collection hole 110 so that the deck top plate 100 is recessed toward the collection hole 110. And includes a collecting groove 120-1. Therefore, the collecting hole 110 is located inside the collecting groove 120-1 as shown, and the position of the collecting hole 110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deck top plate 100.

이러한 경우, 평평한 데크상판(100)에 고인 빗물은 일차적으로 집수홈(120-1)을 따라 하강하고, 집수홈(120-1)의 내측에 도달하면, 다시 집수홀(110)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빗물 및 오염물질 등이 더욱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집수홀(110)은 집수홈(120-1)의 내측 최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집수홈(120-1)은 집수홀(110)의 주위로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집수홀(110)과 집수홈(120-1)사이의 오목한 연결면은 유연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집수홀(110)을 향해 적절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rainwater accumulated on the flat deck top plate 100 firstly descends along the catchment groove 120-1 and reaches the inside of the catchment groove 120-1,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catchment hole 110. As a result, rainwater and pollutants can be discharged more smoothly. Preferably, the collecting hole 110 may be formed at the innermost bottom of the collecting groove 120-1, and the collecting groove 120-1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shape around the collecting hole 110. In addition, the concav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collecting hole 110 and the collecting groove 120-1 may be formed to have a flexible curved surface to form an appropriate downward slope toward the collecting hole 110.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10)는 집수홀(110) 주위에 데크상판(100)이 변형되어 형성된 집수홈(120-2)을 포함하되, 집수홈(120-2)은 제1 경사프레임(310)의 연장방향 즉, 본 명세서 상의 종단방향을 따라 골(Ditch)을 형성하며, 집수홀(110)은 집수홈(120-2)의 내측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8, the helicopter deck 10 having the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llecting groove 120-2 formed by deforming the deck top plate 100 around the collecting hole 110. Including, but the collecting groove (120-2) is form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inclined frame 310,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tch), the collecting hole 110 is the collecting groove (120-2) A plurality of the inside may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이와 같이 골 형태의 집수홈(120-2)이 형성되면, 집수홀(110)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도 일정한 경사가 생겨 데크상판(100)에 고인 빗물이 더욱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즉, 데크상판(100)에 고인 빗물은 일차적으로 골 형태의 집수홈(120-2)내측으로 흘러 모이게 되고, 집수홈(120-2)을 따라 종단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집수홈(120-2) 내측에 배열된 집수홀(110)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역시 빗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집수홀(110)은 집수홈(120-2)의 내측 최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집수홈(120-2)과 데크상판(100)의 연결부위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데크상판(100)으로부터 집수홈(120-2)을 향해 적절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groove-shaped collecting groove 120-2 is formed, a predetermined slope is generated even in a portion where the collecting hole 110 is not located, and rainwater accumulated on the deck top plate 100 can be discharged more easily. That is, the rainwater accumulated on the deck top plate 100 flows inwardly into the collecting grooves 120-2 having a bone shape, an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collecting grooves 120-2, and collects the collecting grooves 120-2. It is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hole 110 arranged inside. Through this process, rainwater can also be easily discharged. Even in this case, the collecting hole 110 is preferably formed at the innermost bottom of the collecting groove 120-2,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llecting groove 120-2 and the deck top plate 100 is formed with a smooth curved surface. From the top plate 100 can be made an appropriate downward slope toward the catchment groove (120-2).

이상,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이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선박 10: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
10a: 데크본체 10b: 지지부
100: 데크상판 110: 집수홀
120-1, 120-2: 집수홈 130: 연결부
200: 데크하판 300: 지주프레임
310: 제1 경사프레임 311, 321: 접합면
320: 제2 경사프레임 330: 수직프레임
340: 보조프레임 410: 가로빔
420: 세로빔 430: 연결판
A: 빗물 h1, h2, h3: 높이
1: Vessel 10: Helicopter deck with drainage structure
10a: deck body 10b: support
100: deck top 110: catchment hall
120-1, 120-2: catchment groove 130: connection part
200: deck deck 300: holding frame
310: first inclined frame 311, 321: bonding surface
320: second inclined frame 330: vertical frame
340: auxiliary frame 410: horizontal beam
420: vertical beam 430: connecting plate
A: rainwater h1, h2, h3: height

Claims (6)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데크상판;
상기 데크상판의 하부에 상기 데크상판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데크하판;
상기 데크상판과 상기 데크하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데크상판을 지지하는 지주프레임; 및
상기 데크상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집수홀을 포함하되,
상기 지주프레임은, 상기 집수홀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집수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데크상판으로부터 각각 비스듬히 연장되어 일면이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제1 경사 프레임,
상기 데크하판으로부터 상기 데크상판을 향하여 각각 비스듬히 연장되어 일면이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제2 경사 프레임,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접합면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경사프레임의 접합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경사프레임과 상기 제2 경사프레임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데크상판을 밑변으로 하고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접합면을 이에 대향하는 꼭지점으로 하는 역삼각형 형상이고, 상기 제2 경사프레임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데크하판을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 형상이되,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횡단면 형상이 이루는 역삼각형은, 상기 데크상판으로부터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접합면까지의 수직거리인 높이가, 상기 데크상판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향하는 종단 방향으로 점차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
Deck top plat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deck lower plat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eck upper plate at a lower portion of the deck upper plate;
A support frame interposed between the deck upper plate and the deck lower plate to support the deck upper plate; And
Including at least one collecting hole formed through the deck top plate,
The holding frame is a pair of first inclined frame which is located below the water collecting hole and extends obliquely from the deck top plate with the water collecting hol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one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pair of second inclined frames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deck lower plate toward the deck upper plate and havi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second inclined frame, and includes a vertical frame for vertically supporting the first inclined frame and the second inclined fram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is an inverted triangle shape having the deck upper plate as the bottom side and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as the vertex opposite thereto,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cond inclined frame is the bottom side under the deck. It's a triangular shape
The inverted triangle form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has a height, which is a vertical distance from the deck top plate to the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gradually increas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deck top plate to the other side. Helicopter deck with lower drainage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상판, 상기 데크하판 및 상기 지주프레임은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갖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ck upper plate, the deck lower plate and the strut frame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nd a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의 횡단면 형상이 이루는 역삼각형은 상기 높이가 중앙부에서 가장 낮고 양단으로 향할수록 점차 높아지는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verted triangle form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is a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is formed as the height is the lowest in the center portion and gradually toward both en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상판이 상기 집수홀을 향하여 오목하게 만입되어 형성된 집수홈을 더 포함하는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Helicopter deck having a drainag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water collecting groove formed by the deck top plate is recessed toward the water collecting hol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홈은 상기 제1 경사프레임을 따라 골을 형성하며, 상기 집수홀은 상기 집수홈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된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atchment groove is formed in the valley along the first inclined frame, the collecting hole is a helicopter deck formed with a drainage structure forme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catchment groove.
KR2020120006707U 2012-07-26 2012-07-26 Heli-deck having water draining structure KR2004720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07U KR200472004Y1 (en) 2012-07-26 2012-07-26 Heli-deck having water drain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07U KR200472004Y1 (en) 2012-07-26 2012-07-26 Heli-deck having water drain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71U KR20140000871U (en) 2014-02-07
KR200472004Y1 true KR200472004Y1 (en) 2014-04-03

Family

ID=5148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707U KR200472004Y1 (en) 2012-07-26 2012-07-26 Heli-deck having water drain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004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675A (en) 2015-05-28 2016-12-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Recycling rainwater catch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rainwater catchment system for heli-deck
KR101738344B1 (en) * 2016-03-29 2017-05-22 (주)비오씨앤티 Heliport
KR101930490B1 (en) 2017-05-29 2018-12-19 세보테크주식회사 Plank for helide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260B1 (en) * 2014-08-29 2016-1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Helideck having gutter
KR102227887B1 (en) 2014-10-02 2021-03-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rainage of Helicopter Deck and Drain Method Thereof
KR101981735B1 (en) * 2018-07-20 2019-05-23 세보테크 주식회사 Anti-freezing Helideck Plank Using Heating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99Y1 (en) * 1999-08-12 2000-02-15 이재환 Plank structure of heli-deck
JP2006169873A (en) * 2004-12-17 2006-06-29 Sanyo Industries Ltd Outdoor deck structure
KR20090098762A (en) * 2008-10-18 2009-09-17 주식회사 리노이엔지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of brid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99Y1 (en) * 1999-08-12 2000-02-15 이재환 Plank structure of heli-deck
JP2006169873A (en) * 2004-12-17 2006-06-29 Sanyo Industries Ltd Outdoor deck structure
KR20090098762A (en) * 2008-10-18 2009-09-17 주식회사 리노이엔지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of brid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675A (en) 2015-05-28 2016-12-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Recycling rainwater catch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rainwater catchment system for heli-deck
KR101738344B1 (en) * 2016-03-29 2017-05-22 (주)비오씨앤티 Heliport
KR101930490B1 (en) 2017-05-29 2018-12-19 세보테크주식회사 Plank for helide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71U (en)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004Y1 (en) Heli-deck having water draining structure
US11052971B2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US6503023B2 (en)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8220407B2 (en) Battered column semi-submersible offshore platform
US6899492B1 (en) Jacket frame floating structures with buoyancy capsules
CN101171172B (en) On-board cargo binding device
AU2013281122B2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and centralized open keel plate
US20100074693A1 (en) Battered column offshore platform
KR20130075829A (en) Heli-deck for a offshore structures
CN113135262A (en) Anchor chain cabin and ship
CN108438140B (en) Variable cross-section trough-shaped wall assembly and ship comprising same
WO2008048164A1 (en) A method of breaking ice located on a water surface around a semisubmersible ship and a semisubmersible ship
CN106061830B (en) The hull support structure and liquid gas carry vessel of tank for liquefied gas
JP5546598B2 (en) Floating body unit, floating body structure assembled by floating body unit, and assembling method of floating body structure
US3831538A (en) Floating structure for the mooring of yachts and other similar craft
CN113602431A (en) Hull bearing structure of double-deck train landing stage
EP3490883B1 (en) Marine wind turbine comprising a wind turbine and a floating support
US20110044764A1 (en) Strake system for submerged or partially submerged structures
JP2007050814A (en) High-speed container ship
CA2880629C (en) Ice resistant jackup leg
RU2286914C1 (en) Hull of tanker for liquid cargoes in bulk
KR101995467B1 (en) Floating body
DE102012022567B4 (en) Watercraft with payload capacity for accommodating at least one payload and/or utility device
KR100956131B1 (en) A floating bridge for working vehicles
WO2023135164A1 (en) Hull structure for a semi-submersible wind power turbine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