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002Y1 - 테이프 컷팅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컷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002Y1
KR200472002Y1 KR2020120007776U KR20120007776U KR200472002Y1 KR 200472002 Y1 KR200472002 Y1 KR 200472002Y1 KR 2020120007776 U KR2020120007776 U KR 2020120007776U KR 20120007776 U KR20120007776 U KR 20120007776U KR 200472002 Y1 KR200472002 Y1 KR 200472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ape
housing
fixing pin
wiring har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451U (ko
Inventor
김태준
이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20007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00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4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0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 B65H2402/41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with means for mounting the apparatus on the user body, e.g. arm, wr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Abstract

테이프 컷팅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목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 상부에 마련되며, 테이핑 작업이 완료된 와이어링 하네스의 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절단부를 수납하는 수납홀이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절단부 일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절단부를 상기 수납부에서 선택적으로 수납 또는 노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컷팅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와이어링 하네스 테이핑 작업 후 테이프 절단이 보다 용이하며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와이어링 하네스 테이핑 작업 후 테이프 절단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상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컷팅 장치{Cutting device of the tape}
본 고안은 테이프 컷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테이핑 작업에 사용된 테이프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테이프 컷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와이어링 하네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테이핑 작업을 통해 와이어링 하네스를 제조한다. 이때, 와이어링 하네스의 테이핑 작업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와이어링 하네스 표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테이핑 작업이 완료된 와이어링 하네스는 테이프를 절단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와이어링 하네스의 테이핑 작업 시 사용되는 테이프를 절단하는 장치는 예시적으로, 작업자가 별도로 컷팅칼을 구비하여 작업 시 구비된 컷팅칼을 이용하여 와이어링 하네스의 테이프를 절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절단 장치의 경우 작업자의 임의대로 절단 장치를 휴대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고, 사용자가 절단 장치를 항시 구비하며 절단 과정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수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절단 장치가 반지형으로 형성되어 반지와 같은 고리 내에 칼날을 장착하고, 테이프 절단 작업 시 작업자가 칼날을 외부로 노출시켜 노출된 칼날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절단하는 방식의 절단 장치가 마련되기도 한다.
상기 반지형의 절단 장치는 작업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다는 점에서 작업과정의 공수가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지만, 컷팅 칼날을 교체하기 어려워 칼날 교체 필요 시 새로운 장치를 사용해야 하며, 칼날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칼날에 의하여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칼날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가 칼날에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링 하네스 테이핑 작업 후에 테이프 절단이 보다 용이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테이프 컷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와이어링 하네스 테이핑 작업 후 테이프 절단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상해가 발생하지 않는 테이프 컷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은 와이어링 하네스 테이핑 작업 후 테이프 절단 과정에서 와이어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테이프 컷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테이프 컷팅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목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 상부에 마련되며, 테이핑 작업이 완료된 와이어링 하네스의 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절단부를 수납하는 수납홀이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절단부 일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절단부를 상기 수납부에서 선택적으로 수납 또는 노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와이어링 하네스 테이핑 작업 후 테이프 절단이 보다 용이하며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와이어링 하네스 테이핑 작업 후 테이프 절단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상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내부에 와이어링 하네스의 테이프를 절단하는 컷팅칼이 마련된 하우징과, 일단이 하우징 저면에 접하고 하단이 수납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1 탄성부재 및 일단은 컷팅칼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 내면에 고정되어 컷팅칼을 하우징 내부로 수납시키는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부 외부로 노출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 상에 마련되어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절단부를 상기 수납홀에서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절단부를 수납부의 수납홀에서 선택적으로 노출시켜 순차적으로 컷팅칼을 하우징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은, 상기 고정핀과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핸들이 상기 수납홀에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홈; 및 상기 고정핀의 단부와 상기 컷팅칼이 면접하도록 상기 고정핀의 단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수납홀에 수납된 절단부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컷팅칼을 보다 용이하게 하우징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는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와이어링 하네스 테이핑 작업 후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장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목에 상시 휴대 가능하다. 따라서, 테이프 컷팅 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로 장치를 사용자의 신체에서 탈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하여 작업 시간이 감소하게 되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와이어링 하네스 테이핑 작업 후 테이프르 절단하기 위한 테이프 컷팅 장치의 컷팅칼이 장치 본체에서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치를 반 영구적으로 테이프 컷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와이어링 하네스의 테이핑 작업 사용된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컷팅칼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은 와이어링 하네스 테이핑 작업 후 컷팅칼에 의하여 와이어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컷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절단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고안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의 설명에 앞서, 와이어링 하네스(미도시)는 전기 공급을 비롯하여 신호 전달 등을 위해 복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를 의미한다.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린(Polyethylene)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 테이프를 이용하여 테이핑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렇게 테이핑 작업이 완료된 와이어링 하네스는 테이프를 절단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테이프 컷팅 장치(100)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테이프 컷팅 장치(10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컷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절단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컷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목에 장착되는 장착부(120)와, 상기 장착부(120) 상부에 마련되며, 테이핑 작업이 완료된 와이어의 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부(160)와, 상기 절단부(160)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절단부(160)를 수납하되, 상기 테이프 절단 시 상기 절단부(160)를 노출시키는 수납부(140) 및 절단부(160) 일 측면에 마련되어 절단부(160)를 수납부(140)에서 선택적으로 수납 또는 노출시키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120)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영역이다. 예시적으로 장착부(1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목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120)는 벨크로 타입의 테이프로 형성되어, 테이프 컷팅 장치(100)의 탈착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즉, 장착부(120)를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관계없이 장착 활용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둘레에 관계없이 테이프 컷팅 장치(100)의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수납부(140)는 상기 절단부(160)를 수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절단부(160)를 사용하고자 할 때 수납부(140)에서 절단부(160)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절단부(160)를 수납부(140)에서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절단부(160)의 예리한 영역이 외부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테이프 컷팅 장치(100)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부(140)는 상기 절단부(16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홀(142)은 절단부(160)의 형상에 따라 사각,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160)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테이핑한 테이프를 절단하는 부재로 내부에 테이프를 절단하는 컷팅칼(164)이 마련된 하우징(162)과, 하우징(162) 저면에 접하고, 하단이 수납부(140)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1 탄성부재(165)와, 일 단은 컷팅칼(164)에 고정되고, 타 단은 하우징(162) 내면에 고정되어 컷팅칼(164)을 하우징(162) 내부로 수납시키는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16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절단부(160)의 위치, 상태를 변경하여 컷팅칼(164)을 상기 하우징(162)에서 노출시키고, 이로 인하여 와이어링 하네스를 테이핑한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140) 외부로 노출된 고정핀(182)과 고정핀(182) 상에 마련되어 탄성복원력에 의해 절단부(160)를 수납홀(142)에서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탄성스프링(18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16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162)은 내부에 컷팅칼(164)이 마련되는 장착스페이스(163)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스페이스(163)는 컷팅칼(164)이 수납되되 장착스페이스(163) 내부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62)은 상기 고정핀(182)과 체결되어 절단부(160)가 수납홀(142)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160)가 수납홀(142)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핀(182)이 체결홈(161)에 체결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고정핀(182)을 좌측 방향으로 당기면, 고정핀(182)과 체결홈(161)의 체결이 해제되면서 하우징(162) 저면에 마련된 제1 탄성부재(165)가 신장(伸長)된다. 그 결과, 절단부(160)가 수납홀(142)에서 자동 노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62)은 고정핀(182)의 단부와 컷팅칼(164)이 면접하도록 고정핀(182)의 단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169)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69)은 제1 탄성부재(165)가 신장되어 절단부(160)가 수납홀(142)에서 노출된 뒤에 하우징(162) 내에 마련된 컷팅칼(164)을 하우징(162)에서 노출되도록 컷팅칼(164)에 압력을 가하도록 고정핀(182)의 단부가 관통하도록 관통홀(169)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홀(169)은 장착스페이스(163) 상에 형성되어 컷팅칼(164)을 우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장착스페이스(163) 내부에서 외부로 컷팅칼(164)을 노출시켜 와이어링 하네스를 테이핑한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하우징(162)은 상기 수납홀(14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162)에 의하여 하우징(162)에서 컷팅칼(164)이 노출되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테이프 컷팅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컷팅칼(164)을 직접 접촉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컷팅칼(164)에 의하여 상해를 입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납홀(14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162)은 테이프 절단 작업이 완료된 후에 절단부(160)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밀어 하우징(162)을 수납홀(142)에 삽입시킬 수 있는 핸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165)는 하우징(162)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우징(162)이 수납홀(142)에서 수납홀(142)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한다. 즉, 고정핀(182)이 체결홈(161)에 체결되면 하우징(162)이 압착하는 압착력에 의하여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정핀(182)과 체결홈(161)의 체결이 해제되면 신장되어 절단부(160)를 수납홀(142)에서 노출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어부(180)의 탄성스프링(184)가 탄성에 의해 변형되면서 고정핀(182)이 관통홀(169)을 따라 컷팅칼(164)을 가압하면 컷팅칼(164)의 몸체가 가압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탄성부재(166)가 상기 하우징(162) 내면을 향해 가압될 수 있다. 이때, 탄성스프링(184)의 탄성 변형력은 제2 탄성부재(166)의 압착력보다 큰 힘으로 탄성 변형되어 고정핀(182)이 제2 탄성부재(166)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고정핀(182)이 제2 탄성부재(166)를 가압하여 컷팅칼(164)가 하우징(162) 외부로 충분히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166)는 컷팅칼(164)이 테이프 절단을 완료한 후 하우징(162) 내로 재 위치할 때 컷팅칼(164)을 초기 위치로 위치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핀(182)이 상기 컷팅칼(164)의 가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컷팅칼(164)은 역방향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컷팅칼(164)은 테이프를 절단하는 칼날(164a)과 칼날(164a)을 지지 및 고정하는 칼날몸체(164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칼날몸체(164b)는 역방향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어부(180)의 고정핀(182)과 상기 관통홀(169)을 통해 대향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3b 내지 도 3d를 참고하면, 하우징(162)이 수납홀(142)에서 노출되면, 고정핀(182)을 관통홀(169)을 따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고정핀(182)은 칼날몸체(164b)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압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칼날(164a)이 하우징(162)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칼날몸체(164b)가 고정핀(182)의 압력을 충분이 수용할 수 있도록 역방향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고안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정 방향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컷팅칼(164)의 형상은 본 고안을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어부(180)는 칼날(164a)이 하우징(162)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18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걸쇠(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컷팅칼(164)은 테이프 컷팅 장치(100)의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컷팅칼(164)은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칼날의 예리함이 저하되기도 하고, 이 경우 새로운 컷팅칼이 요구된다. 이때, 컷팅칼(164)이 장치 사용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방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컷팅칼(164)의 칼날(164a)을 직접 접촉하여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테이프를 절단하는 테이프 컷팅 장치(100)를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가락에 장착함으로써, 장치를 상시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절단 작업에 필요한 시간 및 장치 사용 시간을 줄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부(160)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로 수납부(140)에서 노출시킬 수 있고, 테이프 컷팅 장치(100) 사용시 절단부(160)의 컷팅칼(164)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작업 도중 사용자의 상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테이프를 절단하는 컷팅칼(164)이 와이어링 하네스를 직접 절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와이어링 하네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테이프 컷팅 장치 120: 장착부
140: 수납부 142: 수납홀
160: 절단부 161: 체결홈
162: 하우징 163: 장착스페이스
164: 컷팅칼 164a: 칼날
164b: 칼날몸체 165: 제1 탄성부재
166: 제2 탄성부재 169: 관통홀
180; 제어부 182: 고정핀
184: 탄성스프링

Claims (5)

  1.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목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 상부에 마련되며, 테이핑 작업이 완료된 와이어링 하네스의 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절단부를 수납하는 수납홀이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절단부 일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절단부를 상기 수납부에서 선택적으로 수납 또는 노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부 외부로 노출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 상에 마련되어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절단부를 상기 수납홀에서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컷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내부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테이프를 절단하는 컷팅칼이 마련된 하우징;
    일단이 상기 하우징 저면에 접하고, 하단이 상기 수납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1 탄성부재; 및
    일 단은 상기 컷팅칼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하우징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컷팅칼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시키는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컷팅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핀과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납홀에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홈; 및
    상기 고정핀의 단부와 상기 컷팅칼이 면접하도록 상기 고정핀의 단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컷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컷팅 장치.
KR2020120007776U 2012-08-31 2012-08-31 테이프 컷팅 장치 KR200472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776U KR200472002Y1 (ko) 2012-08-31 2012-08-31 테이프 컷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776U KR200472002Y1 (ko) 2012-08-31 2012-08-31 테이프 컷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51U KR20140001451U (ko) 2014-03-10
KR200472002Y1 true KR200472002Y1 (ko) 2014-03-28

Family

ID=5148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776U KR200472002Y1 (ko) 2012-08-31 2012-08-31 테이프 컷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00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371A (ja) * 1993-12-24 1995-08-0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指輪状テープカッタ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371A (ja) * 1993-12-24 1995-08-0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指輪状テープカッ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51U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5886B2 (ja) 切断工具及び切断工具を操作する方法
KR200472092Y1 (ko) 공구 캐리어
JP6210675B2 (ja) 巻尺ホルダ
KR200472002Y1 (ko) 테이프 컷팅 장치
JP7104212B2 (ja) ロボット用操作装置
US20170125985A1 (en) Cutting structures of wire stripper
CN208230912U (zh) 一种建筑监测标志辅助安装设备
KR200486207Y1 (ko) 케이블 피복제거용 전공칼
JP5833072B2 (ja) 間接活線作業用の先端工具
KR20140022643A (ko) 볼 고정식 케이블 타이
US8956175B2 (en) Extension cord retention device
CN206812031U (zh) 收纳壳
KR200486210Y1 (ko) 전선피복 탈피기
CN211550167U (zh) 一种杆状消防工具固定用卡扣
KR101648692B1 (ko) 물체와 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구
KR20180001709U (ko) 전공칼
JP5851466B2 (ja) 間接活線作業用の先端工具
KR200476199Y1 (ko) 전동공구
KR20130029312A (ko) 칼 관리가 편리한 도마
KR200453249Y1 (ko) 탁구라켓 러버 절단장치
JP7273620B2 (ja) 結束バンドカッター
CN112894890A (zh) 手持式急救切割装置
US9821448B2 (en) Ergonomic thermoluminescent dosimeter adapter
JP3152396U (ja) 替刃式刃物の収納具
JP3210006U (ja) 切断刃保護スティック及び切断刃保護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