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914Y1 - 아기 띠 - Google Patents

아기 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914Y1
KR200471914Y1 KR2020120005824U KR20120005824U KR200471914Y1 KR 200471914 Y1 KR200471914 Y1 KR 200471914Y1 KR 2020120005824 U KR2020120005824 U KR 2020120005824U KR 20120005824 U KR20120005824 U KR 20120005824U KR 200471914 Y1 KR200471914 Y1 KR 200471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band
shoulder straps
coupled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287U (ko
Inventor
이지숙
Original Assignee
브리톳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톳 엘티디 filed Critical 브리톳 엘티디
Priority to KR2020120005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91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2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2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9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착력과 착용감을 향상시킨 아기 띠에 관한 것으로, 허리에 두르는 밴드(2); 일측에 숫버클(5)이 구비되고 타측에 암버클(6)이 구비되며 상기 밴드(2) 표면에 결합되어 체결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벨트(3); 반원의 링 형상으로 상기 허리벨트(3) 상단에 복수로 고정 결합된 한 쌍의 고리(7); 및 상기 밴드(2)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일정 폭 및 길이로 형성된 한 쌍의 어깨 띠(9, 10);가 포함되고, 상기 어깨 띠(9, 10)는 고리(7)에 끼워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아기 띠는 의류와 같은 천으로 이루어져 보모가 아기를 간편하게 안거나 업을 수 있는 구조이고, 보모와 아기 사이의 밀착력을 높여 아기를 편안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 휴대성이 좋고, 보모에게 아기의 중량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는 등 아기 띠의 사용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아기 띠{Baby Carrier}
본 고안은 아기 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착력과 착용감을 향상시킨 아기 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 띠는 아기 운반용 도구로 보모가 갓난아기나 유아를 안거나 업고 다니기 쉽고 안전을 위한 것으로, 긴 끈이 연결된 천을 이용하는 육아용품의 하나이다.
아기 띠는 어깨 끈과 허리벨트 및 엉덩이와 허리를 감쌀 수 있는 모양이나 형상 등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다양한 기능을 조합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킨 것이 많다.
종래에 아기 띠는 배낭에 적용된 것과 같은 대략 5cm 안팎의 어깨 끈이 구비되어 있다. 통상 어깨 끈에 두꺼운 쿠션을 넣어 보모의 어깨에 가해지는 아기의 체중을 최소화하고자 하지만, 일정 체중이상의 아기를 두 어깨로 부담하기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쿠션 재질의 어깨 끈이 적용된 아기 띠는 어깨에 무리한 부담을 주게 되어 보모와 더불어 아기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 베이비 랩(Baby Wrap)의 경우에는 대략 50cm의 폭에 5m 길이의 천으로 아기를 몸에 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베이비 랩은 체중이 보모의 어깨 전체 및 등허리에 분산되어 보모에게 부담을 덜어주고 아기도 천에 싸여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5m 길이의 긴 천을 몸에 감는 것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매는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8884호(2001.12.28.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0237호(2004.08.31. 공고)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허리에 결합할 수 있는 허리벨트가 결합된 밴드와 양쪽 어깨에 넓게 펼쳐 맬 수 있는 넓은 천을 이용하여 아기를 보모의 품이나 등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기 띠가 옷과 같이 보모와 아기에게 편안함과 착용감을 제공하고, 부피가 작아 휴대성이 좋고 아기를 매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기 띠에 있어서, 허리에 두르는 밴드; 일측에 숫버클이 구비되고 타측에 암버클이 구비되며 상기 밴드 표면에 결합되어 체결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벨트; 반원의 링 형상으로 상기 허리벨트 상단에 복수로 고정 결합된 한 쌍의 고리; 및 상기 밴드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일정 폭 및 길이로 형성된 한 쌍의 어깨 띠가 포함되고, 상기 어깨 띠는 고리에 끼워 고정시키는 아기 띠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밴드에 하단이 고정 결합되고 양측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포대기가 더 포함되고, 포대기 내측에 어깨 띠가 결합되며, 포대기는 양측을 묶어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어깨 띠와 포대기는 순면 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지고, 어깨 띠는 각각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지만, 일단으로 갈수록 폭이 다소 줄어드는 모양이며, 어깨 띠는 아기의 중량을 지탱해야 하는 세로방향으로는 늘어나지 않도록 형성되고, 포대기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지만, 양측으로 갈수록 폭이 다소 줄어드는 모양이며, 포대기는 가로방향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아기 띠는 의류와 같은 천으로 이루어져 보모가 아기를 간편하게 안거나 업을 수 있는 구조이고, 보모와 아기 사이의 밀착력을 높여 아기를 편안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 휴대성이 좋고, 보모에게 아기의 중량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는 등 아기 띠의 사용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제고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띠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띠의 정면과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띠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띠의 배면과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띠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띠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띠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띠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아기 띠(1)는 밴드(2)에 폭이 넓고 길이가 긴 천 재질로 이루어진 포대기(8) 및 어깨 띠(9, 10)가 일체 구성된 것이다. 아기 띠(1)는 보모의 품이나 등에 아기를 묶어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더욱이 아기 띠(1)는 베이비 랩(Baby wrap)의 장점을 부여하되, 매는 방법을 간소화시키고 매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어깨 띠(9, 10)의 길이 조절과 더불어 보모와 아기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밴드(2)는 허리에 두르는 것으로, 밴드(2)는 일정한 폭과 길이로 이루어진 외피 내에 푹신한 솜이나 스펀지 등의 쿠션재가 포함되어 재봉된 것이다. 밴드(2)는 보모의 허리를 감싸면서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중앙부에는 양측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허리벨트(3)는 밴드(2) 표면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허리벨트(3)에는 밴드(2)를 허리에 맨 후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있다. 즉 체결수단으로 허리벨트(3) 일측에는 숫버클(5)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암버클(6)이 구비되어 있다. 허리벨트(3)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길이 조절을 위한 허리벨트(3)는 밴드(2)에 결합되지 않은 여분의 벨트가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여분의 벨트에는 숫버클(5)이 끼워져 있다. 여분의 벨트는 허리벨트(3) 위에 구성된 클램프(4)에 내에 삽입되어 허리벨트(3)와 중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리(7)는 허리벨트(3) 상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결합된 것이다. 고리(7)는 반원형의 링 형상으로 한 쌍이 결합되어 있다. 즉 고리(7)의 직선 부분은 허리벨트(3)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호 형상 부분은 노출되어 있다. 한 쌍의 고리(7)는 어깨 띠(9, 10)를 묶거나 끼워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고리(7)를 이용하여 보모의 신체 크기와 무관하게 어깨 띠(9, 10)의 조절이 용이한 것이다. 즉 한 쌍의 고리(7) 사이에 끼워진 어깨 띠(9, 10)는 마찰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죄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략 20kg 내외의 아기 중량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포대기(8)는 순면 재질의 천으로, 밴드(2)에 하단이 고정 결합되고 양측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것이다. 포대기(8)는 대략 직사각형이지만 밴드(2)와 결합을 위하여 하단이 돌출되어 있다. 포대기(8)는 아기의 엉덩이와 허리 또는 가랑이와 배를 감싸고 받쳐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양측을 묶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포대기(8)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지만, 양측으로 갈수록 폭이 다소 줄어드는 모양이다. 이는 포대기(8)를 용이하게 묶을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한 것이다. 아기 띠에는 포대기(8)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어깨 띠(9, 10)는 한 쌍으로 밴드(2)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일정 폭 및 길이로 형성된 것이다. 어깨 띠(9, 10)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타단은 고리(7)에 묶거나 끼워 고정된다. 어깨 띠(9, 10)는 순면 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어깨 띠(9, 10)는 각각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지만, 일단으로 갈수록 폭이 다소 줄어드는 모양이다. 이는 어깨 띠(9, 10)를 고리(7)에 용이하게 묶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한 것이다.
포대기(8)와 어깨 띠(9, 10)에 적용된 순면 재질의 천은 한쪽으로만 신축성이 제공되는 것이다. 즉 어깨 띠(9, 10)는 아기의 중량을 지탱해야 하는 세로방향으로는 잘 늘어나지 않도록 하고, 포대기(8)는 가로방향으로 잘 늘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아기를 가로 및 세로방향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반면에 어깨 띠(9, 10)의 가로방향과 포대기(8)의 세로방향은 신축적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아기의 신체 크기나 형상에 따라 신축성이 부여되도록 하여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좋다.
도 2에서, 밴드(2) 상단에 고정 결합된 포대기(8) 내측에는 한 쌍의 어깨 띠(9, 10)가 고정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3에서, 포대기(8)와 한 쌍의 어깨 띠(9, 10)가 고정 결합된 형상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밴드(2)에 결합된 허리벨트(3)는 숫버클(5)과 암버클(6)이 체결되어 고정되고, 어깨 띠(9, 10)는 고리(7)에 묶거나 끼워 결합되며, 포대기(8)는 양측이 묶여 결합된다.
도 6에서, 보모 앞으로 체결된 아기 띠(1)에 아기가 앞을 향하도록 착용된 것이다. 보모는 아기를 보모 쪽을 향하도록 안은 상태에서 아기 띠(1)를 착용할 수 있고, 아기를 등에 업은 상태에서 아기 띠(1)를 착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어깨 띠(9, 10)는 보모의 양쪽 어깨를 넘어 등을 지나 밴드(2)의 고리(7)에 끼워 결합되는데, 어깨 띠(9, 10)는 폭을 넓게 펼쳐 보모의 어깨에 두를 수 있어 아기의 체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어깨 띠(9, 10)의 폭이 작을 경우에는 어깨에 중압감이 가해져 아기를 오랫동안 안고 있으면 통증을 유발하게 되지만, 어깨 띠(9, 10)를 보모의 어깨 및 팔 상단부에 걸쳐 펼친 상태로 두르는 경우에는 아기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을 것이다.
아기 띠(1)는 밴드(2)에서 어깨 띠(9, 10)와 포대기(8)가 결합되는 부분에 아기의 가랑이 사이와 엉덩이가 위치되고, 아기의 몸체는 어깨 띠(9, 10)와 포대기(8)가 감싸 안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아기의 머리는 포대기(8) 위쪽 및 어깨 띠(9, 10) 사이에 위치되고, 아기의 팔은 양 어깨 띠(9, 10) 사이에 위치될 것이다. 따라서 아기 띠의 착용으로 아기의 신체 모양에 따라 신축적으로 당기고 모아질 수 있도록 하여 아기의 다리 벌어짐이 아기에 따라 적절하게 자동 조절되고, 아기의 신체 크기와 무관하게 아기 옷과 같은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서, 보모가 아기를 앞쪽으로 안은 상태에서 아기 띠(1)를 착용한 뒷모습으로 밴드(2)의 허리벨트(3), 어깨 띠(9, 10) 및 포대기(8)는 모두 뒤에서 묶거나 끼움 처리되어 아기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아기 띠(1)는 밴드(2)를 제외하고 어깨 띠(9, 10)와 포대기(8)는 폭이 넓은 천으로 이루어져 있어 아기를 보모 쪽으로 단단히 밀착시킬 수 있고, 특히 의류와 같은 느낌으로 보모와 아기에서 모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아기 띠 2: 밴드 3: 허리벨트 4: 클램프 5: 숫버클 6: 암버클 7: 고리 8: 포대기 9, 10: 어깨 띠

Claims (3)

  1. 아기 띠에 있어서,
    허리에 두르는 밴드(2);
    일측에 숫버클(5)이 구비되고 타측에 암버클(6)이 구비되며 상기 밴드(2) 표면에 결합되어 체결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벨트(3);
    반원의 링 형상으로 상기 허리벨트(3) 상단에 복수로 고정 결합된 한 쌍의 고리(7); 및
    상기 밴드(2)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일정 폭 및 길이로 형성된 한 쌍의 어깨 띠(9, 10);가 포함되고,
    상기 어깨 띠(9, 10)는 고리(7)에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밴드(2)에 하단이 고정 결합되고 양측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포대기(8)가 더 포함되고, 포대기(8) 내측에 어깨 띠(9, 10)가 결합되며, 포대기(8)는 양측을 묶어 고정시키는 아기 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띠(9, 10)와 포대기(8)는 순면 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지고, 어깨 띠(9, 10)는 각각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지만, 일단으로 갈수록 폭이 다소 줄어드는 모양이며, 어깨 띠(9, 10)는 아기의 중량을 지탱해야 하는 세로방향으로는 늘어나지 않도록 형성되고, 포대기(8)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지만, 양측으로 갈수록 폭이 다소 줄어드는 모양이며, 포대기(8)는 가로방향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형성된 아기 띠.
KR2020120005824U 2012-07-04 2012-07-04 아기 띠 KR200471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824U KR200471914Y1 (ko) 2012-07-04 2012-07-04 아기 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824U KR200471914Y1 (ko) 2012-07-04 2012-07-04 아기 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287U KR20140000287U (ko) 2014-01-15
KR200471914Y1 true KR200471914Y1 (ko) 2014-03-20

Family

ID=5244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824U KR200471914Y1 (ko) 2012-07-04 2012-07-04 아기 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91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674Y1 (ko) 1999-06-21 2000-02-15 이범주 유아용 포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674Y1 (ko) 1999-06-21 2000-02-15 이범주 유아용 포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287U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868B2 (en) Twin baby carrier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200473013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US20100200626A1 (en) Baby carrier
US20120199619A1 (en) Easy wrap carrier with lumbar support
KR200459659Y1 (ko) 유아용 힙시트
US20080087694A1 (en) Hands-free baby carrier
CA2843564A1 (en) Baby carrier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0481152Y1 (ko) 유아용 캐리어
KR20130092942A (ko) 아기 캐리어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KR20130003372U (ko) 유아용 아기띠
JP3161851U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460001Y1 (ko) 휴대용 아기띠
KR200471914Y1 (ko) 아기 띠
KR20090010149U (ko) 하방 받침 기능을 가지는 아기띠
TW201309239A (zh) 多功能嬰兒背乘載具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110125903A (ko) 유아용 운반구
KR20090007123U (ko) 양손이 편리한 유아용포대기
KR101493030B1 (ko) 쌍둥이용 캐리어
KR200375383Y1 (ko) 포대기
KR20190041209A (ko) 사용편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KR200456391Y1 (ko) 휴대용 아기 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