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761Y1 - 액상물질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물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761Y1
KR200471761Y1 KR2020120008790U KR20120008790U KR200471761Y1 KR 200471761 Y1 KR200471761 Y1 KR 200471761Y1 KR 2020120008790 U KR2020120008790 U KR 2020120008790U KR 20120008790 U KR20120008790 U KR 20120008790U KR 200471761 Y1 KR200471761 Y1 KR 200471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circumferential surface
discharge
container body
hand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원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8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7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7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65D25/2838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65D25/285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fixed by means of one or more co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로부터 상기 배출부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부는 내주면에서 상단에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속 돌기들과, 내주면에서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속편들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 돌기들과 결속편들이 각각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맞물리는 액상물질 용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액상물질 용기 {CONTAINER FOR LIQUID MATERIAL}
본 고안은 차 등의 음료, 간장이나 식초 등의 액상 양념류 등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공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용기 본체에 손잡이 부재가 제공된 형태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제 용기는 주방 용품으로부터 각종 음료, 주류, 조미료 등의 단위 포장 용기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각종 음료나 주류, 간장, 식초와 같은 액상 양념 등은 대체로 병 형태의 용기에 보관되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필요한 양만큼 부어 섭취하거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액상물질의 용기, 특히, 병 형태의 용기는 중공 성형 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한편, 병 형태의 용기들 중, 1.5L, 2.0L 이상의 대형 용기들은 별도로 손잡이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 부재는 중공 성형 과정에서 용기 본체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다만, 일반적인 병 형태의 용기들의 본체는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데,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합성수지는 비교적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손잡이 부재의 용도로 부적합하다. 따라서 용기 본체와는 별도로, 손잡이 부재는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합성수지로 성형하기도 한다. 용기 본체와 별도로 손잡이 부분을 성형하는 경우, 이중 사출 또는 별도의 조립 과정을 통해 손잡이 부재를 용기 본체에 결합하게 된다. '이중 사출'은 손잡이 부재를 먼저 성형한 후, 용기 본체를 중공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이미 성형된 손잡이 부재를 배치한 상태로 용기 본체를 성형하는 성형 방법이다. 이러한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용기 본체의 성형과 동시에 금형에 이미 배치된 손잡이 부재가 용기 본체에 결합하게 된다.
이중 사출에 의해 용기 본체의 성형과 동시에 손잡이 부재를 용기 본체에 결합하는 구조는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성형 설비와의 호환성이 낮고, 외관 디자인을 다양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용기 본체에 별도로 조립되는 구조의 손잡이 부재는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적용하기는 용이하지만, 유통 및 취급 과정에서 용기 본체의 내용물 무게나 외부 충격으로 인해 손잡이 부재가 용기 본체에서 쉽게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외관 디자인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는 손잡이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적용 가능하면서도 용기 본체에 견고하게 결속되는 손잡이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로부터 상기 배출부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부는 내주면에서 상단에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속 돌기들과, 내주면에서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속편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돌기들과 결속편들이 각각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맞물리는 액상물질 용기를 개시한다.
상기 결속편은, 상기 결속부 내주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결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에 결합하기 전,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결속 부재를 상기 결속부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상기 용기는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속홈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 돌기들과 결속 부재들은 각각 상기 결속홈들 중 하나에 맞물려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결속 부재를 상기 결속홈 내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결속부를 관통하게 감싸지는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배출부가 삽입되는 동안 상기 결속 부재가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는 상기 결속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회피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가 삽입되는 동안 상기 결속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피홈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속부는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결합 튜브; 및 상기 결합 튜브의 둘레를 감싸게 위치되면서 상기 결합 튜브의 상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외연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결속편은 상기 결속부의 내주면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4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상물질 용기는 손잡이 부재를 용기 본체에 결합함에 있어, 손잡이 부재의 결속부 내주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속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조립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용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더 많이 이동하는 결속편은 손잡이 부재의 내부에서 회피 가능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용기 본체, 더 구체적으로는 결속홈에 밀착되는 성향이 있어, 더 안정된 결속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상물질 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손잡이 부재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손잡이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손잡이 부재가 용기 본체에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상물질 용기(100)는 용기 본체(101)와 손잡이 부재(102)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101)와 손잡이 부재(102)는 별도의 과정을 통해 각각 성형된 후 조립된다.
상기 용기 본체(101)는 실질적으로 액상물질을 수용하는 몸체부(111)와, 상기 몸체부(11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출부(113)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부(113)의 상단(115)을 통해 상기 몸체부(111)에 수용된 액상물질이 배출된다. 상기 배출부(113)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결속홈(117a, 117b)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홈(117a, 117b)들은 상기 배출부(113)의 상단에 인접하게 적어도 한 쌍이, 상기 몸체부(111)와 배출부(113)의 경계에 인접하게 적어도 두 쌍이 배치된다. 하기에서 설명되겠지만,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측의 결속홈(117a)들은 한 쌍이, 하측의 결속홈(117b)들은 7개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 부재(102)는 결속부(121)와 손잡이부(129)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129)는 상기 결속부(121)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손잡이 부재(102)가 상기 용기 본체(101)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129)는 상기 배출부(115),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용기 본체(10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결속부(121)는 상기 배출부(115)를 감싸게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손잡이 부재(102)를 상기 용기 본체(101)에 결속시키게 된다. 즉, 상기 결속부(121)와 배출부(113) 사이의 결속 구조가 상기 손잡이 부재(102)와 용기 본체(101)의 결속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속부(121)는 상기 배출부(113)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결합 튜브(121a)와, 상기 결합 튜브(121a)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결합 튜브(121a)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외연 튜브(121b)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부(121)가 상기 배출부(113)에 결합하면, 상기 외연 튜브(121b)는 곡면 형태를 가지는 상기 용기(100)의 외관 형상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결속부(121)의 내주면에는 결속 돌기(123)와 결속편(125)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속홈(117a, 117b)들 중 하나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결속 돌기(123)는 상기 결속부(121)의 내주면에서 상단에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결속부(121)의 상부를 향하게 형성된 단차면(123a)과 상기 단차면(123a)에 연결되면서 상기 결속부(121)의 하부를 향하는 경사면(123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 돌기(123)의 경사면(123b)은 상기 결속부(121)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부(113)가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반면에, 상기 결속 돌기(123)의 단차면(123a)은 상측의 상기 결속홈(117a)의 내벽에 맞물려, 상기 결속부(121)가 상기 배출부(113)의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속편(125)은 상기 결속부(121), 더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튜브(121a)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부재(125a)와, 상기 연결 부재(125a)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결속 부재(125b)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125a)는 상기 결속 부재(125b)를 상기 결속부(121)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113)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결속 부재(125b)는 상기 결속부(121)의 내주면으로부터 대략 90도 각도 위치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배출부(113)가 상기 결속부(121)로 삽입되면, 상기 결속편(125), 구체적으로, 상기 결속 부재(125b)가 상기 배출부(113)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 부재(125b)는 상기 결속부(121)의 내주면에 근접하는 형태로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부(121)의 내주면에 회피홈(125c)을 형성하여 상기 결속 부재(125b)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면, 상기 배출부(113)는 더 원활하게 상기 결속부(121)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 튜브(121a)가 상기 배출부(113)의 외주면에 밀착하게 결합하므로, 상기 결속 부재(125b)가 상기 결합 튜브(121a)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배출부(113)의 외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결속부(121)와 배출부(113)의 결합이 어렵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속부(121)의 내주면에 상기 회피홈(125c)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출부(113)가 상기 결속부(121)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결속 부재(125b)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손잡이 부재(102)가 상기 용기 본체(101)에 결합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배출부(113)가 상기 결속부(121)에 완전히 결합하면, 상기 결속부(121)의 하단은 상기 몸체부(111)에 닿게 된다. 이로써, 상기 결속부(121)는 상기 용기 본체(101) 상에서 더 이상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 돌기(123)는 상기 배출부(113)의 상측에 위치된 결속홈(117a)에 각각 맞물리며, 상기 결속편(125)이 상기 배출부(113)의 하측에 위치된 결속홈(117b)과 마주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 부재(125a)는 상기 결속 부재(125b)를 상기 결속부(121)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위치시키려는 성향이 있으므로, 상기 결속 부재(125b)는 마주하는 결속홈(117b)의 내부로 진입하여 맞물리게 된다. 상기 결속 돌기(123)들과 상기 결속편(125)들 각각이 상기 결속홈(117a, 117b)들 중 하나와 맞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 돌기(123)들과 결속편(125)들이 상기 결속홈(117a, 117b)들과 각각 맞물려, 상기 결속부(121)는 상기 용기 본체(101) 상에서 더 이상 위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결국, 상기 결속부(121)가 상기 몸체부(111)에 닿는 위치까지 상기 배출부(113) 상에서 이동하여 결합하면, 상기 손잡이 부재(102)는 상기 용기 본체(111)에 결속되어 유동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속편(125)들은 상기 결속부(121)의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결속편(125)들은 7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배출부(113)의 하측에 형성된 결속홈(117b)들 또한 7개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질 용기는, 용기 본체와 손잡이 부재를 별도로 성형하되, 손잡이 부재의 결속부에 형성되는 결속 돌기들과 결속편들은 손잡이 부재와 용기 본체의 결합은 용이하게 하면서 충분한 결속력을 제공하여 손잡이 부재가 용기 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손잡이 부재에 형성된 결속편들은, 손잡이 부재가 용기 본체에 결합하는 동안에는 회피홈 내에 위치되어 손잡이 부재와 용기 본체의 결합은 용이하게 한다. 또한, 손잡이 부재와 용기 본체가 결합한 상태에서 결속편들은 용기 본체에 형성된 결합홈에 맞물려, 손잡이 부재와 용기 본체 사이에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용기 101: 용기 본체
111:몸체부 113: 배출부
117a, 117b: 결속홈 102: 손잡이 부재
121: 결속부 123: 결속 돌기
125: 결속편 129: 손잡이부

Claims (8)

  1. 합성수지제 액상물질 용기에 있어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로부터 상기 배출부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부는 내주면에서 상단에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속 돌기들과, 내주면에서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속편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편은, 상기 결속부 내주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결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에 결합하기 전,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결속 부재를 상기 결속부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결속 돌기들과 결속편들이 각각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용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속홈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 돌기들과 결속 부재들은 각각 상기 결속홈들 중 하나에 맞물려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결속 부재를 상기 결속홈 내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용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결속부를 관통하게 감싸지는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배출부가 삽입되는 동안 상기 결속 부재가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용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회피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가 삽입되는 동안 상기 결속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피홈 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용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결합 튜브; 및
    상기 결합 튜브의 둘레를 감싸게 위치되면서 상기 결합 튜브의 상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외연 튜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용기.
  8. 제1 항 및 제3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편은 상기 결속부의 내주면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4개소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용기.
KR2020120008790U 2012-09-28 2012-09-28 액상물질 용기 KR200471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90U KR200471761Y1 (ko) 2012-09-28 2012-09-28 액상물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90U KR200471761Y1 (ko) 2012-09-28 2012-09-28 액상물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761Y1 true KR200471761Y1 (ko) 2014-03-12

Family

ID=5148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790U KR200471761Y1 (ko) 2012-09-28 2012-09-28 액상물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7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0981B2 (en) 2006-06-20 2014-05-20 Harri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pression based quality of ser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582A (ko) * 2006-08-09 2008-02-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손잡이가 구비된 광구 pet용기
KR20090009477U (ko) * 2008-03-17 2009-09-22 이일수 페트병 손잡이 결합구조
KR101107726B1 (ko) 2009-06-22 2012-01-20 대원기계공업주식회사 결합식 손잡이 구조를 갖는 페트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582A (ko) * 2006-08-09 2008-02-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손잡이가 구비된 광구 pet용기
KR20090009477U (ko) * 2008-03-17 2009-09-22 이일수 페트병 손잡이 결합구조
KR101107726B1 (ko) 2009-06-22 2012-01-20 대원기계공업주식회사 결합식 손잡이 구조를 갖는 페트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0981B2 (en) 2006-06-20 2014-05-20 Harri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pression based quality of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761Y1 (ko) 액상물질 용기
KR101126112B1 (ko) 와인 포장용 케이스
KR20120066334A (ko) 와인병 포장 케이스
KR200451631Y1 (ko) 이중 구조의 저장용기
KR20140001528U (ko) 혼합수단이 내장된 포장박스
KR101499152B1 (ko) 포장박스
KR20130080195A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CN207467176U (zh) 一种带护角的物流包装箱
KR200455187Y1 (ko) 이탈방지형 내부케이스를 갖는 포장 박스조립체
KR101997678B1 (ko) 음식물 포장상자
KR101308006B1 (ko)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USD501996S1 (en) Multi-stack bead storage container
KR102007200B1 (ko) 이중 튜브 뚜껑
KR200485662Y1 (ko) 포장용 종이 박스
KR20080001059U (ko) 포장용 종이 상자
KR200471762Y1 (ko) 밀봉 필름을 구비하는 식품 용기
KR20110008511U (ko) 종량제봉투가 내장되는 압착식 쓰레기통
CN210942690U (zh) 一种纸餐盒
KR101014931B1 (ko) 음료수 용기
JP2007022607A (ja)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含む容器
CN206813682U (zh) 一种通用包装盒吸塑内托
KR101280406B1 (ko) 저장 용기
KR20200000599U (ko) 물품 케이스
KR20130000548U (ko) 수저 포장케이스
CN205203602U (zh)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