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461Y1 - Parking brake lever - Google Patents

Parking brake le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461Y1
KR200471461Y1 KR2020120003554U KR20120003554U KR200471461Y1 KR 200471461 Y1 KR200471461 Y1 KR 200471461Y1 KR 2020120003554 U KR2020120003554 U KR 2020120003554U KR 20120003554 U KR20120003554 U KR 20120003554U KR 200471461 Y1 KR200471461 Y1 KR 200471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p
tension
parking brake
butt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55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6460U (en
Inventor
김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to KR2020120003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61Y1/en
Publication of KR201300064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46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6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B60T7/104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 B60T7/105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the lock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push 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6Equalis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제 버튼의 조작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의 회동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에서 버튼 및 버튼 캡의 결합시 발생되는 유격으로 인하여 조작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격을 감소시키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레버는,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는 해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 버튼은, 버튼; 일면이 개방된 개방면을 가지며, 상기 개방면을 통해 상기 버튼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버튼 캡; 및 상기 버튼 및 상기 버튼 캡 결합시, 상기 버튼 및 상기 버튼 캡 사이에 위치하여 일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키는 장력 발생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brake lever capable of preventing a deterioration of the operation feeling of a release butt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brake lever capable of releasing rotation restraint of a lever, To a parking brake lever which reduces the clearance.
A parking brake l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rotatably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release butt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ver, the release button including: a button; A button cap having an open side opened on one side and inserted and coupled with one side of the button through the open side; And a tension generator position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cap when the button and the cap are coupled to generate tension in one direction.

Figure R2020120003554
Figure R2020120003554

Description

주차 브레이크 레버 {Parking brake lever}Parking brake lever {Parking brake lever}

본 고안은 해제 버튼의 조작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의 회동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에서 버튼 및 버튼 캡의 결합시 발생되는 유격으로 인하여 조작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격을 감소시키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brake lever capable of preventing a deterioration of the operation feeling of a release butt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brake lever capable of releasing rotation restraint of a lever, To a parking brake lever which reduces the clearance.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량을 정지시키거나 감속시키는 풋 브레이크 외에 차량을 정차 또는 주차시킬 때 사용하는 핸드 브레이크 또는 사이드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이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라 한다.Generally, the automobile includes a foot brake for stopping or decelerating the vehicle, a hand brake or a side brake for stopping or parking the vehicle, which is called a parking brake device.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차량의 주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 등을 제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주차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드럼, 슈우 및 스프링 등을 구비하여 주차 브레이크 슈우를 주차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시켜 차량의 바퀴를 제동시킬 수 있다.The parking brake device performs a function of keeping the vehicle in a stopped state and performs a function of braking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to maintain the parking state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parking brake may include a brake drum, a shoe, and a spring so that the parking brake sho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arking brake drum to brak the wheels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은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의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의 레버를 잡아 당김으로써 주차 브레이크의 케이블이 당겨지게 되어 차량의 바퀴를 제동시키며, 이와 반대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풀어주면 주차 브레이크의 케이블이 이완되면서 차량의 바퀴에 대한 제동을 해제시킬 수 있다.Generally,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brake device can be achieved by the driver rotating the lever of the parking brake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driver pulls the lever of the parking brake, the cable of the parking brake is pulled to brake the vehicle's wheel. On the contrary, if the parking brake lever is released, the cable of the parking brake is released, Can be released.

주차 브레이크 레버의 일단에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가 해제 버튼을 누르게 되면 주차 브레이크 레버의 회동 구속이 해제되어 주차 브레이크 레버가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운전자가 해제 버튼을 놓으면 주차 브레이크 레버의 회동이 구속된다.One end of the parking brake lever may be provided with a release button for releasing rotational restraint of the parking brake lever. When the driver presses the release button, the restraint of the parking brake lever is canceled and the parking brake lever is allow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When the driver releases the release button, the rotation of the parking brake lever is restrained.

한편, 주차 브레이크 레버의 해제 버튼은 버튼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될 경우 파손이나 이물질 유입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버튼 캡이 씌워지게 되는데, 버튼과 버튼 캡 사이의 제조 공정 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공차가 존재하게 되면 버튼과 버튼 캡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utton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the release button of the parking brake lever causes a problem such as breakage or foreign matter inflow, which causes the button cap to be covered. Due to a manufacturing process problem between the button and the button cap, In some cases, a ga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button cap.

이와 같이 버튼과 버튼 캡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소음이나 떨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버튼과 버튼 캡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When a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button cap, a problem such as noise or vibration may occur.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capable of reducing the clearance generat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button cap.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 레버의 해제 버튼을 조작할 때 버튼과 버튼 캡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조작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버튼 및 버튼 캡 사이에서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brake apparatus and a parking brake apparatus which generate a tension between a button and a button cap so as to prevent a deterioration in operation feeling due to a clearance between a button and a button cap when a driver operates a release button of the parking brake lever Lever.

또한, 버튼 및 버튼 캡 사이의 유격이 변하는 경우에도 그에 대응되는 장력이 버튼과 버튼 캡 사이에 발생되도록 하여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도 손쉽게 유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even when the clearance between the button and the button cap changes, a tension corresponding to the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button cap, so that the clearance can be easily reduced without any additional structural change.

또한, 버튼 및 버튼 캡 사이에서 장력을 발생시키는 장력 발생부를 버튼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공정이 감소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rking brake lever in which a tens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tension between a button and a button cap is integrally formed with a button so that the process can be reduced.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레버는,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는 해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 버튼은, 버튼; 일면이 개방된 개방면을 가지며, 상기 개방면을 통해 상기 버튼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버튼 캡; 및 상기 버튼 및 상기 버튼 캡 결합시, 상기 버튼 및 상기 버튼 캡 사이에 위치하여 일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키는 장력 발생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brake lever comprising: a lever rotatably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release butt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ver, the release button including: a button; A button cap having an open side opened on one side and inserted and coupled with one side of the button through the open side; And a tension generator position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cap when the button and the cap are coupled to generate tension in one direction.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주차 브레이크 레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parking brake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버튼 및 버튼 캡 결합시에 버튼 캡에 의해 가해지는 힘만큼 상기 버튼 캡을 향하여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버튼 및 버튼 캡 결합시에 유격으로 인한 조작감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tension is generated toward the button cap by a force exerted by the button cap when the button and the button cap are engaged,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ion feeling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the clearance when the button and the button cap are engaged.

또한, 버튼 및 버튼 캡 결합시 발생되는 유격이 변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장력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구조 변경없이도 유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clearance generated when the button and the button cap are combined is changed, a tension can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clearance, so that the clearance can be reduced without any additional structural change.

또한, 버튼 형성시에 버튼 캡을 향하여 장력을 발생시키는 장력 발생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 tens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tension toward the button cap at the time of button formation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레버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캡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이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캡 결합 이전의 장력 발생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캡 결합 이후의 장력 발생부가 도시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king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rking brake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ension generating unit before the button cap coupl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a tension generating unit after the button cap coupl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the person having the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e are used in a generic sense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ther than the stat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It is used not to exclude.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schematic drawing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form that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drawings, th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parking brake l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king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1)는 브레이크 케이블(100), 구동 케이블(200), 이퀼라이저(300) 및 주차 브레이크 레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king brake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rake cable 100, a drive cable 200, an equalizer 300, and a parking brake lever 400. As shown in FIG.

브레이크 케이블(100)은 이퀼라이저(300)와 차량 바퀴의 브레이크 드럼에 연결되어, 이퀼라이저(300)의 이동에 따른 브레이크 조작력을 브레이크 드럼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brake cable 100 is connected to the equalizer 300 and the brake drum of the vehicle wheel so as to transmit the brake operation force to the brake drum as the equalizer 300 moves.

브레이크 케이블(10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소정의 길이로 차량의 양 바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오른쪽 및 왼쪽 바퀴의 드럼에 주차 브레이크 슈우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이퀼라이저(300) 양단에 하나씩 브레이크 케이블(100)이 연결될 수 있다.The brake cables 100 may be formed as a pair, and may be connected to both wheels of the vehicle in a predetermined length, respectively. For example, one brake cable 10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qualizer 300 so that the parking brake sho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rums of the right and left wheels of the vehicle.

구동 케이블(200)은 이퀼라이저(300) 및 주차 브레이크 레버(400) 사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구동 케이블(200)은 주차 브레이크 레버(400)의 동작에 따라 당겨지거나 이완되어 이퀼라이저(3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 케이블(200)은 이퀄라이저(300)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주차 브레이크 레버(400)에 공지의 결합 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driving cable 200 serves to connect between the equalizer 300 and the parking brake lever 400. The driving cable 200 is pulled or loose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brake lever 400 to move the equalizer 300 forward or backward. One end of the driving cable 200 is fixed to the equalizer 300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cable 200 can be fixed to the parking brake lever 400 by a known engaging means.

주차 브레이크 레버(400)는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410) 및 레버(410) 회동시에 발생되는 조작력을 구동 케이블(200)로 전달하는 마운팅부(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운팅부(420)는 브레이크 폴 및 래치 기어 등으로 이루어져 레버(410)의 회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arking brake lever 400 may include a lever 410 rotatably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a mounting portion 420 transmitting operation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410 to the driving cable 200, The lever 420 may include a brake pawl, a latch gear, or the like, and may restrict rotation of the lever 410.

레버(410)의 일단에는 해제 버튼(430)이 설치되며, 해제 버튼(430)은 마운팅부(420)와 연결되어 운전자가 해제 버튼(430)을 누른 상태에서는 레버(410)의 회동 구속이 해제되고, 해제 버튼(430)을 놓으면 레버(410)의 회동이 구속될 수 있다.The releasing button 43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lever 410 and the releasing button 430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420 so that when the driver releases the releasing button 430, When the releasing button 430 is released, the rotation of the lever 410 can be restrained.

예를 들어, 운전자가 레버(410)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구동 케이블(200)이 당겨진 상태에서 정지되어 주차 브레이크 동작 상태가 될 수 있고, 운전자가 해제 버튼(430)을 누른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회동시키면 구동 케이블(200)이 이완되면서 주차 브레이크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driver rotates the lever 410 in one direction, the driving cable 200 is stopped in a pulled-up state to be brought into a parking brake operation state. When the driver pushes the release button 430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driving cable 200 is loosened and the parking brake can be released.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가 도시된 단면도이다.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410)는 레버 하우징(411) 일단에 해제 버튼(4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해제 버튼(430)은 레버 하우징(411) 내부를 따라 해제 로드(412)를 통해 마운팅부(420)와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ever 4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release button 430 at one end of the lever housing 411, and the release button 430 may be released along the inside of the lever housing 41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420 through the rod 412.

해제 버튼(430)은 일측이 하우징(411)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위치하는 버튼(431) 및 버튼(431)의 노출된 일측에 결합되는 버튼 캡(4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튼(431) 및 버튼 캡(432) 사이에는 버튼(431) 및 버튼 캡(432) 결합시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장력 발생부(433)가 형성될 수 있다.The release button 430 may include a button 431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411 so as to be exposed from one end of the housing 411 and a button cap 432 coupled to an exposed side of the button 431. Between 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ap 432, a tension generating part 433 for generating a tension when 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ap 432 are coupled may be formed.

또한, 버튼(431)에서 레버 하우징(411) 내부에 위치하는 일측에는 해제 버튼(43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었을 때 해제 버튼(43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 스프링(413)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제 로드(412)는 버튼(431)에서 레버 하우징(4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A restoring spring 413 for restoring the release button 430 to its original position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utton 431 located inside the lever housing 411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release button 430 is removed And the above-described release rod 412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utton 431 located inside the lever housing 411. [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캡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이 도시된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캡(432)은 일면이 개방된 개방면(432a)을 가지며, 개방면(432a)을 통해 버튼(431)의 일측이 삽입되어 버튼(431)과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utton cap 432 has an open side 432a with one side open, and one side of the button 431 can b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432a and coupled with the button 431. [

버튼 캡(432)의 내측 둘레에는 걸림 홈(432b)이 형성되어 버튼 캡(432)의 개방면(432a)을 통해 버튼(431)의 일측이 삽입된 경우 버튼(431)에 형성된 걸림 돌기(431a)가 걸리게 되어 버튼(431) 및 버튼 캡(432)이 결합될 수 있다.A hook 432b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tton cap 432 so that when one side of the button 431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432a of the button cap 432, 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ap 432 can be engaged.

버튼 캡(432)은 해제 버튼(430)에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 버튼(431)이 파손되거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utton cap 432 can prevent the button 431 from being damaged or insert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elease button 430, and the button cap 432 can serve to enhance the appearance.

이러한 버튼(431) 및 버튼 캡(432)은 사출 공정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데, 원래의 규격과 다르게 공차가 존재하는 경우 버튼(431) 및 버튼 캡(432)의 결합시 유격이 발생되어 해제 버튼(430)의 조작감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431)과 버튼 캡(432)의 결합시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가 해제 버튼(430)을 누르는 경우 소음이나 떨림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ap 432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n injection process or the like. When there is a toleranc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pecification, a clearance is generated when 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ap 432 are engaged,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button 430 may be deteriorated. For example, if a clearance is generated when 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ap 432 are engaged, noise or vibration may occur when the driver presses the release button 430.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버튼(431)과 버튼 캡(432)이 결합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유격을 감소시켜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버튼(431)과 버튼 캡(432)이 결합되었을 때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장력 발생부(433)가 버튼(431)에서 버튼 캡(432)의 개방면(432a)을 향하는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utton 431 is combined with the button cap 432 so as to reduce the clearance that can be generated when the button 431 is combined with the button cap 432, A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for generating a tens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utton 431 toward the opening 432a of the button cap 432. [

장력 발생부(433)는 버튼(431) 및 버튼 캡(432)이 걸림 돌기(431a) 및 걸림 홈(432b)을 통해 결합될 때 버튼 캡(432)의 개방면(432a)을 향하는 버튼(43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is provided with a button 431 which faces the opening 432a of the button cap 432 when 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ap 432 are coupled through the latching protrusion 431a and the latching groove 432b, As shown in Fig.

장력 발생부(433)는 버튼(431) 및 버튼 캡(432)의 결합시에 버튼 캡(432)의 내측면에 의해 힘을 받게 되고, 그에 대응하는 장력을 버튼 캡(432)의 내측면을 향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력 발생부(433)에 의해 발생된 장력으로 인해 버튼(431) 및 버튼 캡(432) 사이의 유격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소음이나 떨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is urg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cap 432 when 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ap 432 are engaged and the corresponding tension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cap 432 Lt; / RTI > Therefore, the clearance between 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ap 432 can be reduced due to the tension generated by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so that noise or vibratio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다시 말해서, 버튼(431) 및 버튼 캡(432)은 걸림 돌기(431a) 및 걸림 홈(432b)에 의해 결합되어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장력 발생부(433)는 버튼 캡(432)의 내측면을 향하여 장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유격으로 인한 소음이나 떨림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ap 432 are coupled by the latching protrusion 431a and the latching groove 432b so that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is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cap 432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or vibration caused by the clearance.

장력 발생부(433)는 일단(433a)이 버튼(431)과 연결되며, 일단(433a)으로부터 연장된 타단(433b)이 버튼(431)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력 발생부(433)은 버튼(431)의 사출 공정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장력 발생부(433)의 형성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433a is connected to the button 431 and the other end 433b extending from the one end 433a is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431 at regular intervals. Since the tension generating unit 433 can be integrally formed in the injection process of the button 431, a separate process for forming the tension generating unit 433 can be omitted.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장력 발생부(433)의 양 단중 버튼(431)과 연결된 일단(433a)은 "연결단"이라 칭하고, 버튼(431)과 이격된 타단(433b)은 "이격단"이라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433a of the tension generating part 433 connected to the button 431 is referred to as a "connection end", and the other end 433b of the tension generating part 433 is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431, Quot;

장력 발생부(433)는 연결단(433a)이 버튼(431)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버튼 캡(432)이 결합될 때 버튼 캡(432)의 내측면에 의하여 힘을 받게 되고, 그와 반대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버튼 캡(432)이 버튼(431)에 결합되었을 때 유격으로 인한 조작감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connecting end 433a of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is connected to the button 431, the tension is genera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cap 432 when the button cap 432 is enga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operation feeling due to the clearance when the button cap 432 is coupled to the button 431. [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장력 발생부(433)는 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가운데 부분이 버튼 캡(432)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33c)를 가지는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요철 형상 등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may have a curved shape having a protruding portion 433c protruding in the inner side direction of the button cap 432 in the middle portion in order to more efficiently generate the tens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s well as a linear shape, a curved shape, a concavo-convex shape, and the like.

또한, 장력 발생부(433)의 이격단(433b)과 버튼(431) 사이의 이격 간격는 해제 버튼(430)의 크기나 형상 또는 원하는 장력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pacing between the spacing 433b of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and the button 431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r shape of the release button 430 or the desired tension.

한편, 장력 발생부(433)는 버튼 캡(432)을 통해 과도한 힘이 가해져 장력 발생부(433)의 이격단(433b)이 버튼(431)을 벗어나 이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튼(431)에 일측에 형성되어 장력 발생부(43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이동 제한 돌기(433d)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nsion generating unit 433 is provided with a button 431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separation 433b of the tension generating unit 433 due to excessive force applied through the button cap 432, And a movement restricting projection 433d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1 and restricts the movement range of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1. [

이러한 이동 제한 돌기(433d)는 버튼 캡(432)을 통해 외부 힘이 가해져 장력 발생부(433)의 이격단(433b)과 버튼(431)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movement restricting projection 433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via the button cap 432 so that the spacing end 433b of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and the button 431 are close to each other.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장력 발생부(433)에 의해 발생되는 장력을 초과하는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 장력 발생부(433)가 파손되는 경우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nsion generating unit 433 from being damaged when an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tension generated by the tension generating unit 433 is applied.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캡 결합 이전 및 이후의 장력 발생부가 도시된 단면도로서, 도 5는 버튼 캡(432)이 결합되기 이전의 장력 발생부(433)를 나타내고, 도 6은 버튼 캡(432)이 결합된 이후의 장력 발생부(433)를 나타내는 경우의 일 예이다.5 and 6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tension generating unit before and after the button cap engag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tension generating unit 433 before the button cap 432 is engaged, 6 is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after the button cap 432 is engaged.

도 5를 살펴보면, 장력 발생부(433)의 연결단(433a)은 버튼(432)에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431) 일측과 돌출부(433c)의 최상단점까지의 거리는 외부 힘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라면 변하지 않게 되며, 도 5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버튼 캡(432)의 개방면(432a)을 통해 버튼(431)이 결합될 수 있다.5, the connecting end 433a of the tension generating part 433 is connected to the button 432. The distance between one side of the button 431 and the highest end point of the protruding part 433c is a distance The button 431 can be coupled through the opening 432a of the button cap 432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도 6을 살펴보면, 전술한 도 5와는 달리 버튼 캡(432)이 버튼(431)에 결합된 상태로서, 버튼 캡(432)의 개방면(432a)을 통해 버튼(431) 일측이 삽입되고, 버튼 캡(432)의 내측면이 장력 발생부(433)에 힘을 가하면서 버튼(431)의 걸림 돌기(431a)가 버튼 캡(432)의 걸림 홈(432b)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6, the button cap 432 is coupled to the button 431, and one side of the button 431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432a of the button cap 432, The engagement protrusion 431a of the button 431 can b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 432b of the button cap 432 while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432 applies a force to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

이때, 버튼 캡(432)의 내측면은 장력 발생부(433)의 돌출부(433c)를 누르게 되고, 그에 따라 버튼(431) 일측으로부터 돌출부(433c)의 최상단점인 P2까지의 거리가 버튼(431)과 버튼 캡(432)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431) 일측으로부터 돌출부(433c)의 최상단점인 P1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지게 되고, 짧아진 거리만큼 도 6의 화살표 방향, 즉 버튼 캡(432)의 내측면 방향을 향해 장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 점선은 전술한 도 5에서의 장력 발생부(433)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과의 비교를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cap 432 presses the protruding portion 433c of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so that the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button 431 to the P2, which is the uppermost point of the protruding portion 433c, And the button cap 432 are not engaged with each other, the distance from the one side of the button 431 to the maximum end point P1 of the protruding portion 433c is shortened, A tensile force can be generated toward the inner side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432 and 432. In this case, the dotted line in FIG. 6 shows the tension generator 433 in FIG. 5 described above and is shown for comparison with FIG. 6.

전술한 바와 같은 장력 발생부(433)는 버튼 캡(432)의 내측면에 의해 힘을 받게 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버튼(431)과 버튼 캡(432) 사이의 유격이 점차적으로 증가한다고 하여도 버튼(431) 일측으로부터 돌출부(433c)의 최상단점까지의 거리가 변하면서 버튼 캡(432)의 내측면으로 장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도 유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유격 감소를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Since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described above has a property of restoring the original position when a force is appli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cap 432, the clearance between 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ap 432 The distance from the one side of the button 431 to the uppermost point of the protrusion 433c is changed and the tension is gener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cap 432 so that the clearance can be reduced So that no additional cost is incurred to reduce the play.

또한, 장력 발생부(433)는 버튼(431)과 동시에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아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도 있다.Also, since the tension generating unit 433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utton 431 through the injection process, a separate process is not required,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버튼(431)에 장력 발생부(43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버튼 캡(432)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되어 버튼(431) 및 버튼 캡(432)의 결합시 조립될 수도 있다. 이때, 장력 발생부(433)가 버튼 캡(43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버튼 캡(432)과 동시에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ase where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utton 431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cap 432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assembled when 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ap 432 are coupled. At this time, even when the tension generating part 43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cap 432,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utton cap 432 through an injection process.

또한, 장력 발생부(433)는 버튼(431)의 일측 및 버튼 캡(432)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433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utton 431 or on the inner side of the button cap 432 or on both sides thereof.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modifications 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 scope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100: 브레이크 케이블
200: 구동 케이블
300: 이퀼라이저
400: 주차 브레이크 레버
410: 레버
420: 마운팅부
430: 해제 버튼
431: 버튼
431a: 걸림 돌기
432: 버튼 캡
432a: 개방면
432b: 걸림홈
433: 장력 발생부
100: Brake cable
200: Driving cable
300: equalizer
400: Parking brake lever
410: lever
420: mounting portion
430: release button
431: Button
431a:
432: Button cap
432a: opening face
432b:
433:

Claims (7)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는 해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 버튼은,
버튼;
일면이 개방된 개방면을 가지며, 상기 개방면을 통해 상기 버튼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버튼 캡; 및
상기 버튼 및 상기 버튼 캡 결합시, 상기 버튼 및 상기 버튼 캡 사이에 위치하여 일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키는 장력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발생부는,
상기 개방면을 향하는 상기 버튼의 일측 또는 상기 버튼 캡의 내측면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타단이 상기 버튼의 일측 또는 상기 버튼 캡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버튼 캡의 내측면 또는 상기 버튼의 일측으로 장력을 발생시키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
A lever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And a release butt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ver,
The release button
button;
A button cap having an open side opened on one side and inserted and coupled with one side of the button through the open side; And
And a tension generator position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cap when the button and the button cap are coupled to generate a tension in one direction,
The tension generating unit may include:
The other en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utton facing the open side or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cap is spaced apart from the one side of the button or the inner side of the button ca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tension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butt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발생부는,
상기 버튼 캡의 내측면 또는 상기 버튼의 일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nsion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an inner side of the button cap or one side of the butt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발생부는,
상기 버튼 캡의 내측면 또는 상기 버튼의 일측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이격된 타단이 상기 버튼의 일측 또는 상기 버튼 캡의 내측면에 근접하도록 이동되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nsion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nd the other end is moved to approach one side of the button or the inner side of the button cap according to a force applied by the inner side of the button cap or one side of the butt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발생부는,
상기 버튼의 일측 또는 상기 버튼 캡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장력 발생부의 타단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이동 제한 돌기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ension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nd a movement restricting projec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utton or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button cap to restrict a movement range of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발생부는,
상기 버튼의 일측 또는 상기 버튼 캡의 내측면과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nsion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one side of the button or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cap through injection molding.
KR2020120003554U 2012-04-30 2012-04-30 Parking brake lever KR20047146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554U KR200471461Y1 (en) 2012-04-30 2012-04-30 Parking brake le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554U KR200471461Y1 (en) 2012-04-30 2012-04-30 Parking brake le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60U KR20130006460U (en) 2013-11-07
KR200471461Y1 true KR200471461Y1 (en) 2014-02-25

Family

ID=5141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554U KR200471461Y1 (en) 2012-04-30 2012-04-30 Parking brake le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61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784A (en) * 1996-10-28 1998-07-25 김영귀 Parking rod structure of parking brake
KR20020040333A (en) * 2000-11-24 2002-05-30 이계안 a parking brake lever of vehicle
KR20040027207A (en) * 2002-09-27 2004-04-01 경창산업주식회사 Button locking device of parking lever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784A (en) * 1996-10-28 1998-07-25 김영귀 Parking rod structure of parking brake
KR20020040333A (en) * 2000-11-24 2002-05-30 이계안 a parking brake lever of vehicle
KR20040027207A (en) * 2002-09-27 2004-04-01 경창산업주식회사 Button locking device of parking lever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60U (en)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49494B (en) Adjusting device for a bicycle brake control device
KR101810896B1 (en) Electric parking brake in vehicle
JP5805243B2 (en) Wheel direction determination device
EP3015327B1 (en) Fixing device for fixing an actuator element to a pedal for a motor vehicle, and pedal incorporating said device
US9909635B2 (en) Parking brake actuator
WO2013114656A1 (en) Parking brake device
KR200471461Y1 (en) Parking brake lever
JP2016002909A (en) Foot-operated parking brake device
JP2015060426A (en) Operation pedal for vehicle
JP6765112B2 (en) Foot-operated parking brake device
KR101919060B1 (en) Combination of buttons for parking brake
KR101669633B1 (en) Mountain brackets for monobloc foot parking brake
KR101200532B1 (en) Parking brake apparatus
KR100805637B1 (en) Parking brake device
CN206734283U (en) A kind of braking mechanism for drawing flatcar
KR101241929B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CN209739263U (en) Roller brake, braking system and vehicle
US9340079B2 (en) Brake actuator hitch for a towed vehicle
KR101859934B1 (en) Connecting device of parking cable for electronic parking brake
JP2012091672A (en) Parking brake device of vehicle
JP2017072203A (en) Vehicular parking device, and parking shaft support structure
JP5766575B2 (en) Parking brake
JP5352398B2 (en) Control cable end structure and latch device
JP4719007B2 (en) Vehicle tongue retaining structure
JP2010255796A (en) Drum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