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858Y1 - 탁상용 카렌다 - Google Patents

탁상용 카렌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858Y1
KR200470858Y1 KR2020120006435U KR20120006435U KR200470858Y1 KR 200470858 Y1 KR200470858 Y1 KR 200470858Y1 KR 2020120006435 U KR2020120006435 U KR 2020120006435U KR 20120006435 U KR20120006435 U KR 20120006435U KR 200470858 Y1 KR200470858 Y1 KR 200470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lendar
back plate
hole
in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호
Original Assignee
박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호 filed Critical 박선호
Priority to KR2020120006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8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8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1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1Calendar blocks with means for engaging calendar sheet perforations or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6Attachment means of coi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낱장의 달력 속지를 코일 와이어로 묶어서 낱장의 달력 속지가 좌우로 넘겨지도록 된 탁상용 카렌다에 관한 것으로, 좌우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낱장 달력 속지; 상기 좌우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달력 속지들의 배면에 배치되고, 중앙의 다수의 체결공들에 장착된 코일 와이어를 통하여 달력 속지들을 좌우로 넘기도록 장착한 앞판; 상기 앞판에 대해 상부 모서리에서 접음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뒷판; 상기 뒷판의 하부 모서리에 접음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앞,뒷판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밑판; 및 상기 뒷판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밑판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앞판의 체결공들에 연결되어 앞,뒷판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낱장 달력 속지의 경사도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조절하도록 된 연결 끈;을 포함하여 삼각 측단면 형태로 탁자상에 세워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져도 상기 앞,뒷판, 밑판과 연결 끈이 상호작용하여 외력에 저항함으로써 앞판과 뒷판은 그 세움 각도에 무관하게 안정된 상태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탁자 상에 안정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탁상용 카렌다{STANDING CALENDER}
본 고안은 낱장의 달력 속지를 코일 와이어로 묶어서 낱장의 달력 속지가 좌우로 넘겨지도록 된 탁상용 카렌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달력 속지의 배면에 하드 보드지로 이루어진 앞판과 뒷판을 배치하고, 연결 끈과 밑판을 이용하여 앞판과 뒷판을 삼각 측단면으로 탁자상에 세울 수 있음으로서, 세움 각도에 무관하게 안정된 상태로 탁자 상에 거치할 수 있고, 뒷판의 배면으로 코일 와이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면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탁자에 눕혀 놓고 달력 속지에 메모하는 경우, 달력 속지가 평편하게 유지되어 메모하기 편리하도록 개선된 탁상용 카렌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상용 카렌다는 하드 보드지를 합지시켜 성형한 받침판 상부에 낱장의 달력 속지를 코일 와이어로 묶어서 고정하고, 낱장의 달력 속지를 뒤로 넘겨서 사용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탁상용 카렌다는 전,후방 지지판의 하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바닥면이 탁상용 카렌다를 세워 놓을 때에는 펼쳐진 상태이고, 탁상용 카렌다를 보관하거나 접을 때에는 연결면의 중앙에 형성된 절곡부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탁상용 카렌다는 제본 달력 속지를 지지하는 받침판 구조가 4장의 하드 보드지를 지크로지를 이용하여 접착 합지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탁상용 카렌다는 달력 속지를 보기 위하여 세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달력 속지에 메모 등을 위해서 접혀지고 탁자에 놓여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탁상용 카렌다는 받침판을 제조할 경우에는 일단 4장의 하드 보드지를 지크로지로 합지(合紙)시켜야 하기 때문에, 합지 공정등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져서 제조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탁상용 카렌다를 탁자에 눕혀 놓고, 달력 속지에 메모하는 경우, 이중으로 접혀지는 바닥판으로 인하여 달력 속지의 하부면이 높아지고, 상부면은 낮아져서 달력 속지가 평편하게 유지되지 못함으로써 사용자가 달력 속지에 필기구(미 도시)를 이용하여 메모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는 다른 구조의 종래의 탁상용 카렌다는 달력 속지의 배면에 위치된 지지판이 더블형 합지판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지지판은 직사각형상의 합지 2조각이 서로 1:1로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결되어, 좌우로 배치된 양면 달력 속지들의 배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은 양면 달력 속지들을 그 중앙에서 코일 와이어로서 체결시켜 지지하고, 양면 달력 속지의 앞면판, 바닥판, 눈높이 조절용 지지판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더블형 합지판의 탁상용 카렌다는 뒷판의 배면으로 코일 와이어가 노출됨으로써 지지판 배면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탁자상의 세움 각도에 따라서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하지 못하여, 종종 탁자상에서 쓰러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탁상용 카렌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2-0003135호의 "탁상용 카렌다"를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탁상용 카렌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달력 속지(10)들의 배면에 배치되는 앞판(20)과, 상기 앞판(2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뒷판(30)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앞판(20)과 뒷판(30)은 1장의 하드 보드지로 형성되고, 그 상부 모서리는 홈(미 도시)이 형성되어 접혀져서 앞판(20)과 뒷판(30)으로 구획된 것이다.
다르게는, 상기 앞판(20)과 뒷판(30)은 2장의 별개의 하드 보드지로 형성되고, 그 하드 보드지의 외면에는 종래의 지크로스(미 도시)를 통하여 합지(合紙)되어 1장으로 연결되며, 그 상부 모서리의 연결 부분(22)에서 접혀져서 앞판(20)과 뒷판(3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앞판(20)과 뒷판(30)은 연결 끈(40)을 통하여 탁자상에 세워지는데, 이와 같은 연결 끈(40)은 종종 고무 밴드와 같은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연결 끈(40)은 그 일측 단부가 앞판(20)의 후방으로 돌출된 코일 와이어(50)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뒷판(30)의 체결공(32)들을 따라서 끼워져서 탁자(T) 위에서 상하로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탁상용 카렌다(1)는 상기 연결 끈(40)의 타측 단부가 상기 뒷판(30)의 체결공(32)의 하부측에 고정될수록 상기 달력 속지(10)의 세움 각도(θ)가 낮아지고, 상기 연결 끈(40)의 타측 단부가 상기 뒷판(30)의 체결공(32)의 상부측에 고정될수록 상기 달력 속지(10)의 세움 각도(θ)가 커져서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도록 달력 속지(10)의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탁상용 카렌다(1)는 앞판(20)과 뒷판(30)이 고무밴드만으로 이루어진 연결 끈(40)을 통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하부 측에 힘이 가해질 경우, 연결 끈(40)이 외력에 대해서 제대로 지지되지 않고, 세워진 형태가 변형되어 카렌다가 넘어지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즉, 종래의 탁상용 카렌다(1)는 그 세움 자세가 불안정하여 탁상에서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결 끈과 밑판을 이용하여 앞판과 뒷판을 삼각 측단면으로 탁자상에 세울 수 있음으로서, 세움 각도에 무관하게 안정된 상태로 탁자 상에 거치할 수 있고, 뒷판의 배면으로 코일 와이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면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탁자에 눕혀 놓고 달력 속지에 메모하는 경우, 달력 속지가 평편하게 유지되어 메모하기 편리하도록 개선된 탁상용 카렌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탁자상에 세워 놓고 사용하는 탁상용 카렌다에 있어서,
좌우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낱장 달력 속지;
상기 좌우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달력 속지들의 배면에 배치되고, 중앙의 다수의 체결공들에 장착된 코일 와이어를 통하여 달력 속지들을 좌우로 넘기도록 장착한 앞판;
상기 앞판에 대해 상부 모서리에서 접음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뒷판;
상기 뒷판의 하부 모서리에 접음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앞,뒷판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밑판; 및
상기 뒷판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밑판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앞판의 체결공들에 연결되어 앞,뒷판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낱장 달력 속지의 경사도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조절하도록 된 연결 끈;을 포함하여 삼각 측단면 형태로 탁자상에 세워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탁상용 카렌다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뒷판은 연결끈의 고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각도 조절공 쌍들이 중앙에 상하로 일정간격 다수 형성되고, 상기 연결 끈은 일측 단부가 상기 다수의 각도 조절공 쌍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밑판의 관통공을 통해서 앞판의 체결공들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 끈의 일측 단부가 상기 각도 조절공 의 하부측에 고정될수록 앞,뒷판 사이가 멀어져서 달력 속지의 세움 각도가 낮아지고, 상기 각도 조절공의 상부측에 고정될수록 앞,뒷판 사이가 좁아져서 달력 속지의 세움 각도가 커지게 되어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도록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탁상용 카렌다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끈은 양측 단부가 폐쇄된 루프형 고무 밴드로 이루어지고, 그 타측 단부의 끝단에는 상기 밑판의 관통공과, 앞판의 체결공으로 삽입 가능한 체결봉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체결봉은 뒷판의 각도 조절공 쌍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삽입된 다음, 뒷판의 각도 조절공 쌍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재삽입되어 루프형 고무 밴드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뒷판의 각도 조절공에 연결되고, 상기 밑판의 관통공 상부로부터 하부로 통과한 다음, 앞판의 체결공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앞판의 전면에 걸리도록 구성된 탁상용 카렌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에 의하면, 달력 속지들이 장착된 앞판과, 상기 앞판에 대해 상부 모서리에서 접음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뒷판 사이에서 상기 뒷판에 대해서 접음이 가능한 밑판과, 연결 끈이 배치되고, 연결 끈을 뒷판의 각도 조절공 쌍들로부터 밑판의 관통공을 통하여 앞판의 체결공에 결합시킴으로써 연결 끈과 밑판을 이용하여 앞판과 뒷판을 삼각 측단면으로 탁자상에 세울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져도 상기 앞,뒷판, 밑판과 연결 끈이 상호작용하여 외력에 저항함으로써 앞판과 뒷판은 그 세움 각도에 무관하게 안정된 상태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탁자 상에 안정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뒷판의 배면으로 코일 와이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면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탁자에 눕혀 놓고 달력 속지에 메모하는 경우, 달력 속지가 평편하게 유지되어 메모하기 편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를 도시한 분해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에서 연결 끈의 체결봉이 뒷판으로부터 밑판을 거쳐서 앞판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를 펼친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100)는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낱장 달력 속지(110)가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달력 속지(110)들의 배면에는 앞판(120)이 배치되며, 상기 앞판(120)의 중앙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22)들과, 코일 와이어(150)를 통하여 달력 속지(110)들이 앞판(120) 상에서 좌우로 넘기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앞판(120)에 대해 상부 모서리에서 접음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뒷판(130)과, 상기 뒷판(130)의 하부 모서리에 접음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앞,뒷판(120,13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밑판(160)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앞판(120)과, 뒷판(130) 및 밑판(160)들은 하나의 하드 보드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 접음선을 통하여 접하지는 구조이거나, 또는 3장의 하드 보드지를 지크로지를 이용하여 접착 합지하여 제작되고, 각각의 하드 보드지의 연결부분에서 접음선을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앞판(120)은 그 중앙에 다수의 체결공(122)들이 상기 낱장 달력 속지(110)의 체결공(112)들에 대응되어 상하로 다수 형성되어 코일 와이어(150)를 통하여 낱장 달력 속지(110)들이 끼워져서 장착된 것이고, 상기 뒷판(130)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결 끈(17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각도 조절공(132) 쌍들이 중앙에 상하로 일정간격 다수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밑판(160)은 그 전방 모서리에 인접한 일측에 관통공(162)이 형성되고, 이후에 설명되는 연결 끈(170)이 관통하여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100)는 상기 앞판(120)과 뒷판(130)을 연결하도록 연결 끈(17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연결 끈(170)은 뒷판(130)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밑판(160)의 관통공(162)을 통과하여 앞판(120)의 체결공(122)들에 연결되어 앞,뒷판(120,130)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 끈(170)은 그 양측 단부가 폐쇄된 루프형 고무 밴드로 이루어지며, 그 끝단에는 체결봉(172)이 일체로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100)는 앞판(120)과 뒷판(130)이 상부 접음선(P1)을 통하여 접혀지고, 밑판(160)은 뒷판(130)에 대해서 하부 접음선(P2)을 통하여 내측으로 접혀져서 앞판(120)과 뒷판(130) 사이에서 하부에 위치된다(도 2 참조).
그리고, 연결 끈(170)을 뒷판(130)으로부터 밑판(160)을 통하여 앞판(120)에 연결시킴으로써 앞판(120), 뒷판(130) 및 밑판(16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측단면 형태로 탁자상에 세우고, 상기 앞판(120)에 코일 와이어(150)를 통하여 장착된 낱장 달력 속지(110)의 경사도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연결 끈(170)을 이용하여 앞판(120), 뒷판(130) 및 밑판(160)을 삼각 측단면 형태로 탁자(T) 상에 세우고자 하는 경우,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봉(172)을 뒷판(130)의 각도 조절공(132) 쌍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삽입하고, 뒷판(130)의 각도 조절공(132) 쌍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재삽입시켜서 루프형 고무 밴드의 연결 끈(170)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뒷판(130)의 각도 조절공(132)에 일측 단부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봉(172)을 밑판(160)의 관통공(162)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통과시킨 다음, 앞판(120)의 체결공(122)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삽입시켜서 상기 앞판(120)의 전면에 걸리도록 하면, 앞판(120), 뒷판(130) 및 밑판(160)을 삼각 측단면 형태로 세워서 낱장 달력 속지(110)의 경사도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탁상용 카렌다(100)는 앞판(120)과 뒷판(130)을 연결시키는 고무 밴드 형태의 연결 끈(170)이 밑판(160)의 관통공(162)을 통과하여 앞,뒷판(120,130)을 연결시키기 때문에, 밑판(160)은 연결 끈(170)에 의해서 앞,뒷판(120,130)에 일체로 연결되는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져도 상기 앞,뒷판(120,130), 밑판(160)과 연결 끈(170)들은 상호작용하여 외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결합 구조에서 상기 뒷판(130)은 연결 끈(17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각도 조절공(132) 쌍들이 중앙에 상하로 일정간격 다수 형성되고, 상기 연결 끈(170)은 그 일측 단부가 상기 다수의 각도 조절공(132) 쌍중의 어느 하나에 걸고리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 끈(170)의 일측 단부는 상기 각도 조절공(132)의 하부측에 고정될수록 앞,뒷판(120,130) 사이가 멀어져서 달력 속지(110)의 세움 각도(θ)가 낮아지고, 상기 각도 조절공(132)의 상부측에 고정될수록 앞,뒷판(120,130) 사이가 좁아져서 달력 속지(110)의 세움 각도(θ)가 커지게 되어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도록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100)는 달력 속지(110)들이 장착된 앞판(120)과, 상기 앞판(120)에 대해 상부 모서리에서 접음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뒷판(130) 사이에서 상기 뒷판(130)에 대해서 접음이 가능한 밑판(160)과, 연결 끈(170)이 배치되고, 연결 끈(170)을 뒷판(130)의 각도 조절공(132) 쌍들로부터 밑판(160)의 관통공(162)을 통하여 앞판(120)의 체결공(122)에 결합시킴으로써 연결 끈(170)과 밑판(160)을 이용하여 앞판(120)과 뒷판(130)을 삼각 측단면으로 탁자상에 세울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카렌다(100)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져도 상기 앞,뒷판(120,130), 밑판(160)과 연결 끈(170)이 상호작용하여 외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함으로써 상기 앞판(120)과 뒷판(130)은 그 세움 각도(θ)에 무관하게 안정된 상태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탁자 상에 안정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뒷판(130)의 배면으로 코일 와이어(15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면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탁자에 눕혀 놓고 달력 속지(110)에 메모하는 경우, 달력 속지(110)가 평편하게 유지되어 메모하기 편리한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연결 끈(170)은 고무 밴드가 아닌 비탄성적 재료의 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구조 또는 재질의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 종래의 탁상용 카렌다 10,110: 달력 속지
20,120: 앞판 22: 연결 부분
30,130: 뒷판 32: 체결공
40,170: 연결 끈 50,150: 코일 와이어
100: 본 고안의 탁상용 카렌다
112,122: 체결공 160: 밑판
132: 각도 조절공 162: 관통공
172: 체결봉 P1: 상부 접음선
P2: 하부 접음선 T: 탁자
θ: 세움 각도

Claims (3)

  1. 탁자상에 세워 놓고 사용하는 탁상용 카렌다에 있어서,
    좌우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낱장 달력 속지;
    상기 좌우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달력 속지들의 배면에 배치되고, 중앙의 다수의 체결공들에 장착된 코일 와이어를 통하여 달력 속지들을 좌우로 넘기도록 장착한 앞판;
    상기 앞판에 대해 상부 모서리에서 접음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뒷판;
    상기 뒷판의 하부 모서리에 접음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앞,뒷판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밑판; 및
    상기 뒷판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밑판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앞판의 체결공들에 연결되어 앞,뒷판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낱장 달력 속지의 경사도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조절하도록 된 연결 끈;을 포함하여 삼각 측단면 형태로 탁자상에 세워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카렌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판은 연결끈의 고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각도 조절공 쌍들이 중앙에 상하로 일정간격 다수 형성되고, 상기 연결 끈은 일측 단부가 상기 다수의 각도 조절공 쌍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밑판의 관통공을 통해서 앞판의 체결공들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 끈의 일측 단부가 상기 각도 조절공 의 하부측에 고정될수록 앞,뒷판 사이가 멀어져서 달력 속지의 세움 각도가 낮아지고, 상기 각도 조절공의 상부측에 고정될수록 앞,뒷판 사이가 좁아져서 달력 속지의 세움 각도가 커지게 되어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도록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카렌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끈은 양측 단부가 폐쇄된 루프형 고무 밴드로 이루어지고, 그 타측 단부의 끝단에는 상기 밑판의 관통공과, 앞판의 체결공으로 삽입 가능한 체결봉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체결봉은 뒷판의 각도 조절공 쌍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삽입된 다음, 뒷판의 각도 조절공 쌍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재삽입되어 루프형 고무 밴드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뒷판의 각도 조절공에 연결되고, 상기 밑판의 관통공 상부로부터 하부로 통과한 다음, 앞판의 체결공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앞판의 전면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카렌다.


KR2020120006435U 2012-07-19 2012-07-19 탁상용 카렌다 KR200470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35U KR200470858Y1 (ko) 2012-07-19 2012-07-19 탁상용 카렌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35U KR200470858Y1 (ko) 2012-07-19 2012-07-19 탁상용 카렌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858Y1 true KR200470858Y1 (ko) 2014-01-13

Family

ID=5141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435U KR200470858Y1 (ko) 2012-07-19 2012-07-19 탁상용 카렌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8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58Y1 (ko) * 2014-01-22 2015-06-09 박선호 탁상용 및 휴대용 플래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524Y1 (ko) 2006-09-07 2006-12-05 (재)아침편지 문화재단 탁상용 달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524Y1 (ko) 2006-09-07 2006-12-05 (재)아침편지 문화재단 탁상용 달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58Y1 (ko) * 2014-01-22 2015-06-09 박선호 탁상용 및 휴대용 플래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050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TWM260278U (en) treadmill with board
KR200470858Y1 (ko) 탁상용 카렌다
KR101186301B1 (ko) 책표지를 이용한 일체형 독서대
JP5419552B2 (ja) ユニット本棚
KR200431756Y1 (ko) 사용이 자유로운 독서대
US11660901B2 (en) Self-supporting book
KR101392421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200470414Y1 (ko) 탁상용 카렌다
US10682876B2 (en) Self-supporting book
US20130292933A1 (en) Self-supporting book
KR200409716Y1 (ko) 휴대용 접철식 보면대
US9895920B2 (en) Self-supporting book
TWM579496U (zh) Folding rack stand stand positioning structure
KR200440960Y1 (ko) 독서용 가변 받침대
US20100201113A1 (en) Multipurpose cover supporter
TWI707644B (zh) 摺疊式置物架之腳架展立定位結構
KR200443619Y1 (ko) 탁상용 지지대
KR200476622Y1 (ko) 독서대 및 캘린더 겸용 독서대
EP3538376A2 (en) Self-supporting book
KR200486002Y1 (ko)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CN206006444U (zh) 一种多功能合页式书靠
KR200448902Y1 (ko) 직립 보조체를 가지는 액자
KR20160000415U (ko) 간편 독서대
TWM580043U (zh) Integrated multi-functional stereo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