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749Y1 -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 - Google Patents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749Y1
KR200470749Y1 KR2020120007067U KR20120007067U KR200470749Y1 KR 200470749 Y1 KR200470749 Y1 KR 200470749Y1 KR 2020120007067 U KR2020120007067 U KR 2020120007067U KR 20120007067 U KR20120007067 U KR 20120007067U KR 200470749 Y1 KR200470749 Y1 KR 200470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ody
magnetic
outer tube
presen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룡
Original Assignee
이경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룡 filed Critical 이경룡
Priority to KR2020120007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7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12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된 구조로 형성되고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다수의 베어링(211)이 마련되고, 양측면에 한쌍의 표시눈금(212)이 구비된 외통관(21)와 상기 외통관(21)의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고정핀(22)으로 이루어진 지지부(20)와 상기 외통관(21)에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211)에 체결되어 회전되고, 관통되게 중공부(31)를 갖는 내통관(30)과 상기 내통관(30)의 중공부(31)에 끼움되고 양측면에 한쌍의 극성표시눈금(41)이 구비된 자성체(40)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손쉽게 피판별물의 극성을 판별함과 아울러 피판별물이 지닌 자기력(척력 : 밀어내려는 힘)또한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피판별물(자성체)의 취급 및 보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 { Polarity distinction for material }
본 고안은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손쉽게 피판별물의 극성을 판별함과 아울러 피판별물이 지닌 자기력(척력 : 밀어내려는 힘)또한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피판별물(자성체)의 취급 및 보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기력계측판을 구비한 자성체 조정판별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성체는 철가루를 끌어당기는 자기력을 지닌 물체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자성체는 N극과 S극으로 나뉘어지는데, N극과 N극 또는 S극과 S극간에는 척력(반발력)이 작용하고, 다른 극간에는 인력(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이에, 상기한 자성체는 다양한 산업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써 자성체의 인력을 이용하는 예로는 냉장고 문에 고무자성체, 또는 가구의 문에 페라이트자성체을 부착하여 밀폐를 좋게 하거나, 사무실 강철판에 자성체로 종이(서류·메모지등)를 고정시키거나, 고속열차를 자성체의 반발력으로 부상(浮上)시켜 달리게 하는 자기부상식철도를 들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을 위한 자성체로는 계기·발전기·모터·픽업·스피커·전자 레인지 등 여러 가지 전기기기에 장착된 자성체를 들 수 있다.
또 다르게, 전자석의 경우에는 전류의 크기로 자기장의 세기를 바꿈으로써 수 톤에서 수 그램의 버저나 릴레이(繼電氣)까지 만들고 있고, 그 밖에 일시자석의 자심으로 이용하는 것으로는 전원트랜스·필터·안테나·레코드헤드 등이 있다. 아울러, 자기기록 매체로써 잔류자화의 변화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테이프·카드·차표·자기디스크 등은 정보시대를 반영하여 해마다 그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산업상 여러분야에 걸쳐 사용하고 있는 자성체는 각종 산업부재로 사용할 때 작업자가 자성체의 극성을 정확하게 인지한 후 자성체를 배열설치하거나 조립해야하는데, 지금까지는 자성체자체에 새겨져 있는 N극, S극 표시기호 또는 N극, S극을 적색과 청색으로 식별하도록 한 색상을 통해서만 자성체의 극성을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한 표시기호 또는 색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자성체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극성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다수의 자성체들을 관리할 때 극성을 판별하지 않은 상태로 관리할 경우에는 자성체의 자력이 감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가 손쉽게 피판별물의 극성을 판별함과 아울러 피판별물이 지닌 자기력(척력 : 밀어내려는 힘)또한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피판별물(자성체)의 취급 및 보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중공된 구조로 형성되고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다수의 베어링(211)이 마련되고, 양측면에 한쌍의 표시눈금(212)이 구비된 외통관(21)와 상기 외통관(21)의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고정핀(22)으로 이루어진 지지부(20)와, 상기 외통관(21)에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211)에 체결되어 회전되고, 관통되게 중공부(31)를 갖는 내통관(30)과, 상기 내통관(30)의 중공부(31)에 끼움되고 양측면에 한쌍의 극성표시눈금(41)이 구비된 자성체(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성체(40)는 긴 봉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중앙에 공구가 체결되도록 십자홈(42)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는 상면에 다수의 체결공(51)을 갖는 고정패드(50)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20)의 고정핀(22)은 상기 체결공(51)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는 작업자가 손쉽게 피판별물의 극성을 판별함과 아울러 피판별물이 지닌 자기력(척력 : 밀어내려는 힘)또한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피판별물(자성체)의 취급 및 보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10)(이하 설명의 편의상 조정판별부재라 명명함)는 배치되는 자성을 갖는 피판별물체들의 극성을 판별하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조정판별부재(10)는 지지부(20)와 내통관(30)과 자성체(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20)는 중공된 구조로 형성되고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다수의 베어링(211)이 마련되고, 양측면에 한쌍의 표시눈금(212)이 구비된 외통관(21)와 상기 외통관(21)의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고정핀(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통관(30)은 상기 외통관(21)에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211)에 체결되어 회전되고, 관통되게 중공부(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통관(21) 및 상기 내통관(30)을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자성을 갖는 피판별물체에 자성에 의해 외통관(21) 및 내통관(30)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성체(40)는 상기 내통관(30)의 중공부(31)에 끼움되고 양측면에 한쌍의 극성표시눈금(41)이 구비된다.
상기한 자성체(40)는 도면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N극 및 S극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40)는 상기 중공부(31)에 억지끼움되거나 끼움된 후 접착고정된다.
즉, 자성을 갖는 피판별물체에 근접되게 상기 조정판별부재(10)를 배치하면, 상기 피판별물체의 자기력 또는 청력에 의해 상기 자성체가 회전하게 되고, 작업자가 이를 인지하여 피판별물체의 극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에는 표시눈금(212)이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40)에는 극성표시눈금(41)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자성체의 회전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정판별부재(10)는 지면에 고정핀(22)을 꽂아 세울 수 있고, 고정핀(22)을 작업자가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22)을 후술될 고정패드(50)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자성체(40)는 긴 봉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중앙에 공구가 체결되어 회전여부를 점검하도록 십자홈(42)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는 상면에 다수의 체결공(51)을 갖는 고정패드(50)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20)의 고정핀(22)은 상기 체결공(51)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고정패드(5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22)은 상기 체결공(51)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된다.
10 : 조정판별부재 20 : 지지부
30 : 내통관 40 : 자성체
21 : 외통관 211 : 베어링
212 : 표시눈금 22 : 고정핀
31 : 중공부 41 : 극성표시눈금
42 : 십자홈

Claims (3)

  1. 중공된 구조로 형성되고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다수의 베어링(211)이 마련되고, 양측면에 한쌍의 표시눈금(212)이 구비된 외통관(21)와 상기 외통관(21)의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고정핀(22)으로 이루어진 지지부(20)와 상기 외통관(21)에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211)에 체결되어 회전되고, 관통되게 중공부(31)를 갖는 내통관(30)와 상기 내통관(30)의 중공부(31)에 끼움되고 양측면에 한쌍의 극성표시눈금(41)이 구비된 자성체(40)로 이루어진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40)는 긴 봉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중앙에 공구가 체결되도록 십자홈(42)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는 상면에 다수의 체결공(51)을 갖는 고정패드(50)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20)의 고정핀(22)은 상기 체결공(51)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


KR2020120007067U 2012-08-08 2012-08-08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 KR200470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67U KR200470749Y1 (ko) 2012-08-08 2012-08-08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67U KR200470749Y1 (ko) 2012-08-08 2012-08-08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749Y1 true KR200470749Y1 (ko) 2014-01-07

Family

ID=5140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067U KR200470749Y1 (ko) 2012-08-08 2012-08-08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74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914Y1 (ko) * 2005-07-15 2005-10-10 이경룡 자성체의 극성판별기
KR20090100175A (ko) * 2008-03-19 2009-09-23 이경룡 수맥탐지봉용 회전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914Y1 (ko) * 2005-07-15 2005-10-10 이경룡 자성체의 극성판별기
KR20090100175A (ko) * 2008-03-19 2009-09-23 이경룡 수맥탐지봉용 회전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3900B2 (en) Magnetic clamp holder
US5152035A (en) Magnetic fastener
US7921524B2 (en) Release mechanism for releasing magnetically releasable anti-theft devices
EP29404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ner defects of steel plate
WO2007123358A1 (en) Magnetic chuck
WO2017069091A1 (ja) 磁気マーカ及び磁気マーカ検出システム
WO2005087512A2 (en) Combination square
ATE525645T1 (de) Vorrichtung zur detektion von schädigungen eines prüfkörpers aus ferromagnetischem material
KR200470749Y1 (ko) 자성체 회전형 조정판별부재
JP6328139B2 (ja) 自身の周辺の磁気的な特性を測定するための測定装置
WO2006066529A3 (de) Anordnung und verfahren zur ortung von magnetischen oder magnetisierbaren objekten
KR200419339Y1 (ko) 자성체의 극성판별기
KR200397914Y1 (ko) 자성체의 극성판별기
US8305177B2 (en) Multi function magnetic decoupler
KR200419578Y1 (ko) 자성체의 극성판별기
JP6483069B2 (ja) キャリアを含むセンサデバイス
ES2352700A1 (es) Uso de un dispositivo para union de las piezas de una maqueta diseñada para someterse a pruebas en un tunel aerodinamico y el correspondiente dispositivo.
KR101180568B1 (ko) 자성체 극성판별기 고정용 부재
JP5070673B2 (ja) 磁気測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407111Y1 (ko) 자기력계측판을 구비한 자성체 극성판별기
US9116190B2 (en) Turn-twist apparatus revealing curvature and torsion of the magnetic field
Araujo et al. Characterization of magnetic nanoparticles by a modular Hall magnetometer
KR101527435B1 (ko) 두원 자석 각도기
FI129595B (fi) Luukunkiinnitysmenetelmä
WO2001013383A1 (en) High energy magnetizer/demagnetizer for tool hol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