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61Y1 -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261Y1
KR200470261Y1 KR2020120008220U KR20120008220U KR200470261Y1 KR 200470261 Y1 KR200470261 Y1 KR 200470261Y1 KR 2020120008220 U KR2020120008220 U KR 2020120008220U KR 20120008220 U KR20120008220 U KR 20120008220U KR 200470261 Y1 KR200470261 Y1 KR 200470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support frame
roller support
packag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8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5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expelling contents, e.g. by squeezing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포장재에 잔존하는 점성 물질을 포장재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는, 일 단부가 개방된 포장재 내에 잔존하는 점성 물질을 상기 포장재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 장치로서, 프레임; 상기 포장재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권상부 및 상기 포장재의 상기 일 단부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포장재가 관통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압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권상부에 의하여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압착부의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이동하고, 상기 포장재에 잔존하되,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한 상기 점성 물질이 상기 일 단부를 통하여 상기 포장재의 하측 방향으로 분리 배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분리 장치{A SEPARATOR}
본 고안은 포장재에 잔존하는 점성 물질을 포장재로부터 분리 배출하기 위한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LNG선박의 화물창 내벽에 설치되는 단열 보드를 시공하기 위하여 접착재료로서 매스틱 글루(Mastic Glue)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매스틱 글루는 주재(Resin)와 경화재(Hardener)가 믹싱(Mixing)된 상태를 지칭하며, 주재와 경화재는 일정한 비율로 섞여야 그 접착재료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드럼 펌프(Drum Pump)로 주재와 경화재를 토출하고, 디스펜서(Dispenser)를 이용하여 이를 믹싱하여 단열 보드에 도포하게 된다.
이때, 주재와 경화재를 토출하는 드럼 펌프의 형상적인 한계 혹은 공정상의 문제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사용할 수 없는 주재 혹은 경화재의 양은 드럼당 약 5 내지 10kg으로, 원가절감 차원에서 잔량을 재사용하고자 작업자가 손으로 포장지를 짜서 회수하고 있으나 재료 자체의 무게를 제어하기 힘들고, 재료의 점성이 커서 회수율 또한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포장재 내에 잔존하는 점성 물질을 포장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단부가 개방된 포장재 내에 잔존하는 점성 물질을 상기 포장재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 장치로서, 프레임; 상기 포장재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권상부 및 상기 포장재의 상기 일 단부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포장재가 관통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압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권상부에 의하여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압착부의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이동하고, 상기 포장재에 잔존하되,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한 상기 점성 물질이 상기 일 단부를 통하여 상기 포장재의 하측 방향으로 분리 배출되는, 분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압착부는 제 1 롤러 및 상기 제 1 롤러의 측부에 상기 제 1 롤러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롤러의 일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 2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 사이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부는 롤러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 1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에 힌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의 일 단부는 상기 제 1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의 힌지축은 상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의 일 단부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은 스토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핑부는 상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의 타 단부에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의 타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에 결합될 수 있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의 타 단부에 힌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결합 봉 부재, 상기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의 타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롤러가 상기 제 1 롤러와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봉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 봉 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봉 부재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 봉 부재에 설치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는 포장재 내에 잔존하는 점성 물질을 포장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는 포장재에 내장된 점성 물질의 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압착부의 스토핑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압착부의 스토핑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압착부의 스토핑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압착부의 타 단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압착부의 결합 봉 부재 및 결합 부재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압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압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포장재로부터 점성 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압착부(400)의 스토핑부(432)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압착부(400)의 스토핑부(432)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압착부(400)의 스토핑부(432)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압착부(400)의 타 단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압착부(400)의 결합 봉 부재(413) 및 결합 부재(414)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는 포장재(10) 내에 잔존하는 점성 물질을 포장재(10)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 장치이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재(10)는 단열 보드를 화물창 내벽에 시공하고 남은 주재 및 경화재를 포함하는 포장재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를 이용하여 포장재(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점성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는 프레임(100), 결합부(200), 권상부(300) 및 압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프레임(100)은 후술하는 결합부(200), 권상부(300) 및 압착부(4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분리 장치(1)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프레임(110)과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상부 측에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2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110)과 제 2 프레임(120)은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프레임(100)과 같이 각각 분리된 형태의 프레임이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고, 'ㄱ' 형태의 일체형 프레임일 수도 있다.
한편, 제 1 프레임(110)의 하부 측에는 상기 프레임(100)을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휠(5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휠(500)은 제 1 프레임(11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는 휠 지지 프레임(50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휠 지지 프레임(505)은 제 1 프레임(110)에 제 2 프레임(120)이 설치된 방향으로, 제 2 프레임(120)과 나란하게 제 1 프레임(110)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휠 지지 프레임(505)은 예를 들어, 'ㄷ' 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 측 연장부가 제 1 프레임(110)에 대하여 결합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ㄷ' 형태의 휠 지지 프레임(505)의 양 측 연장부 사이에는 포장재로부터 분리된 점성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가 포장재(10)로부터 점성 물질을 분리하는 동안, 분리 장치가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포장재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분리 장치(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 1 프레임의 측부 또는 휠 지지 프레임(505)에는 손잡이(111) 등이 더 부가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결합부(200)는 제 2 프레임(120)의 하측부에 제 2 프레임(12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포장재(10)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결합부(200)는 클램프나 집게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포장재(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재(10)의 일측에 결합된 결합부(200)를 공중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권상부(300)가 제공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권상부(300)는 윈치(310) 및 상기 윈치(310)에 감긴 와이어(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치(310)는 제 1 프레임(110)의 일측, 예를 들어 제 1 프레임의 중앙측에 설치될 수 있다. 윈치에는 와이어(311)가 감기도록 형성된다. 윈치에 감긴 와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결합되는 제 1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제 2 프레임측으로 연장되고, 제 2 프레임의 중앙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와이어의 단부에는 결합부가 결합된다.
한편, 제 2 프레임(120)에는 와이어(311)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 2 프레임의 단부 및 중앙부에 가이드 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윈치(310)는 반드시 제 1 프레임(110)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 2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와이어(311)가 제 2 프레임(120)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윈치(310)는 와이어(311)를 감거나 풀 때, 정방향에 반하여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턱의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톱니를 갖는 톱니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압착부(400)는 결합부(200)에 그 일측이 결합된 포장재(10)를 압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압착부(400)는 제 1 롤러(410),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 제 2 롤러(420) 및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은 제 1 롤러를 회전가능 하도록 지지하며,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은 제 2 롤러를 회전가능 하도록 지지한다.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은 제 1 프레임에 수직하게, 수평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의 일 단부가 제 1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의 일 단부 측에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의 일 단부가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때,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의 회전축(C1)은 제 1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는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과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의 타 단부 측에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과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이 어긋남 없이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핑부(432)를 구비한다.
더욱 상세하게,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토핑부(432)는 수용홈(412)과 돌기(4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412)은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의 타 단부, 돌기(422)는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의 타 단부에 형성되어,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과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이 나란하게 배열될 때, 수용홈(412)에 돌기(4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용홈(412) 및 돌기(422)의 형태는 브라켓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는 수용홈(412)에 돌기(422)가 삽입될 때,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이 임의로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과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의 타 단부에 로킹부(433)가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로킹부(433)는 결합 봉 부재(413), 결합홈(423) 및 결합 부재(41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봉 부재(413)는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의 타 단부에 힌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결합 봉 부재(413)의 회전축(C2)은 제 1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배열된다.
결합홈(423)은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의 타 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과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이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결합 봉 부재(413)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결합홈(423)의 측면은 중앙부가 주변부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의 너비는 결합 봉 부재(413)의 너비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또한, 결합 부재(414)는 결합 봉 부재(413)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 봉 부재(413)가 결합홈(423)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이 임의로 회전하여 결합 봉 부재(413)가 결합홈(423)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게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로킹부(433)를 설치하여 구현하였지만, 로킹부(433)를 구비하지 않고 실현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5에서 결합 부재(414)는 상기 결합홈(423)의 너비보다 다소 큰 노브(Knob)를 설치하도록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변형예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한편, 결합 봉 부재(413)의 길이는 결합홈(423)의 길이와 같거나 길게 구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414)는 결합 봉 부재(413)에 설치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결합 봉 부재(41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재(10)의 너비나 부피에 따라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이 회전하여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 개구부(401)의 영역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여야 하는데, 개구부(401)를 확장하여야 할 경우에는 결합 부재(414)를 결합 봉 부재(413)의 중심부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결합홈(423)의 외부로 결합 봉 부재(413)가 돌출되게 함으로써, 돌출된 길이 내에서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이 역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이 회전한 영역만큼 개구부가 확장된다.
반면, 개구부(401)를 축소하여야 할 경우, 결합 부재(414)를 결합 봉 부재(413)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이동시켜 결합홈(423)과 결합 봉 부재(413)를 밀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개구부(401)를 축소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 봉 부재(413)의 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 부재(414)는 나사산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너트로 구성되어, 나사산과 너트가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결합 봉 부재(41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압착부(4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압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압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압착부(400)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관통홀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을 개구부(401)로 하여 포장재(10)가 관통될 수 있다.
압착부(400)의 일 단부는 제 1 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포장재(10)의 너비에 따라 개구부(401)를 확장 또는 수축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압착부(400)는 박스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의 압착부(40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 1 롤러(410)와 제 2 롤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롤러(410)와 제 2 롤러(420)는 제 1 롤러(410)의 측부에 제 1 롤러(410)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일 단부가 힌지 결합된다.
제 1 롤러(410)는 제 1 프레임(110)에 고정되며,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포장재(10)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40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롤러(410)와 제 2 롤러(420)의 회전축(C3)은 제 1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제 1 롤러(410)는 제 1 프레임(1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프레임(110)이 수직 방향, 제 2 프레임(120)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부(200)에 결합된 포장재(10)를 권상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다면 다양한 변형도 가능하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분리 장치(1)의 작동을 도면을 달리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를 이용하여 포장재로부터 점성 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에서 포장재(10)로부터 점성 물질을 분리하는 공정을 준비한다.
먼저, 압착부(400)의 하측에 포장재(10)가 내장된 폐 용기(51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10과 같이, 압착부(400)에 포장재(10)가 통과될 수 있도록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을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의 타측으로 회전시켜 개구부(401)를 형성한다.
또한, 결합부(200)가 개구부(401)를 통과하여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권상부(300)를 구동시키며,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 결합부(200)에 포장재(10)가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권상부(300)는 윈치(310)로부터 와이어(311)를 풀리도록 하여 결합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한다.
그 후, 도 11과 같이, 결합부(200)가 개구부(401)를 통과하여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권상부(300)를 구동시킨다.
이때, 압착부(400)가 결합부(200)의 하측 및 포장재(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권상부(300)는 윈치(310)에 와이어(311)를 감아 결합부(20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한다.
그리고 나서, 도 12와 같이, 압착부(400)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421)을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411)의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폐 용기(510)를 제거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폐 용기(510)가 제거된 자리에 포장재(10)로부터 배출된 점성 물질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 용기(511)를 삽입한다.
그리고, 도 14와 같이, 결합부(200)를 상측 방향으로 더 이동시켜, 포장재(10)에 잔존하되 압착부(400)를 통과하지 못한 점성 물질이 포장재(10)의 개방된 일 단부를 통하여 저장 용기(511)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는 포장재(10) 내에 잔존하는 점성 물질을 포장재(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포장재(10)에 내장된 점성 물질의 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 분리 장치 10 : 포장재
100 : 프레임 110 : 제 1 프레임
111 : 손잡이 120 : 제 2 프레임
200 : 결합부 300 : 권상부
310 : 윈치 311 : 와이어
400 : 압착부 401 : 개구부
410 : 제 1 롤러 420 : 제 2 롤러
411 :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 412 : 수용홈
413 : 결합 봉 부재 414 : 결합 부재
421 :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 422 : 돌기
423 : 결합홈 432 ; 스토핑부
433 : 로킹부 500 : 휠
505 : 휠 지지 프레임 510 : 폐 용기
511 : 저장 용기

Claims (8)

  1. 일 단부가 개방된 포장재 내에 잔존하는 점성 물질을 상기 포장재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 장치로서,
    프레임;
    상기 포장재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권상부 및
    상기 포장재의 상기 일 단부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포장재가 관통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압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권상부에 의하여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압착부의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이동하고, 상기 포장재에 잔존하되,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한 상기 점성 물질이 상기 일 단부를 통하여 상기 포장재의 하측 방향으로 분리 배출되는,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상부측에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2 프레임을 포함하는, 분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부는 상기 제 1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고, 일 단부에 상기 결합부가 결합된 와이어가 감긴 윈치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의 연장부 일측은 상기 제 2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일 단부가 상기 제 2 프레임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분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제 1 롤러 및
    상기 제 1 롤러의 측부에 상기 제 1 롤러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롤러의 일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 2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 사이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분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롤러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 1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에 힌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분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의 일 단부는 상기 제 1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의 힌지축은 상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의 일 단부측에 위치되는, 분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은 스토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핑부는
    상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의 타 단부에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의 타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에 결합될 수 있는 돌기를 포함하는, 분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의 타 단부에 힌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결합 봉 부재;
    상기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의 타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롤러가 상기 제 1 롤러와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봉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 봉 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봉 부재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 봉 부재에 설치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분리 장치.
KR2020120008220U 2012-09-14 2012-09-14 분리 장치 KR200470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20U KR200470261Y1 (ko) 2012-09-14 2012-09-14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20U KR200470261Y1 (ko) 2012-09-14 2012-09-14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261Y1 true KR200470261Y1 (ko) 2013-12-05

Family

ID=5075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220U KR200470261Y1 (ko) 2012-09-14 2012-09-14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025B1 (ko) * 2019-10-10 2020-02-28 장인재 장류 비닐 포장지의 내용물 압착 배출장치 및 그 압착 배출장치를 이용한 내용물 압착 배출 방법
WO2022012451A1 (zh) * 2020-07-16 2022-01-20 上海箱箱智能科技有限公司 流体排放系统及其辅助排放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312A (ko) * 2002-11-14 2004-05-20 주식회사 포스코 롤 이송장치
KR20110020320A (ko) * 2005-05-31 2011-03-0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분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312A (ko) * 2002-11-14 2004-05-20 주식회사 포스코 롤 이송장치
KR20110020320A (ko) * 2005-05-31 2011-03-0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분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025B1 (ko) * 2019-10-10 2020-02-28 장인재 장류 비닐 포장지의 내용물 압착 배출장치 및 그 압착 배출장치를 이용한 내용물 압착 배출 방법
WO2022012451A1 (zh) * 2020-07-16 2022-01-20 上海箱箱智能科技有限公司 流体排放系统及其辅助排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6586B1 (en) Inertia braking payout device and package system
JP6014703B2 (ja) 車両のグレージングパネル切取り用ワイヤ処理装置
US20070075171A1 (en) Adapter for wire dispensing carton
CN103842279B (zh) 用于将柔性构件安装在电梯中的方法和配置件以及该柔性构件的安装包
KR200470261Y1 (ko) 분리 장치
ITBO980472A1 (it) Dispositivo e metodo per il caricamento di film su macchine per l' avv olgimento di prodotti .
JP4371969B2 (ja) 帯状板結束体の形成方法及び帯状板結束体の解き出し方法
US10414622B2 (en) Fiber reel-in-box cable packaging arrangement
KR101867676B1 (ko) 수동식 비닐 포장기
CN109466840A (zh) 可快速填装的盒式包装设备
US20100000686A1 (en) Roll holder for tape dispenser and Tape Dispenser Assembly Therewith
US9950894B2 (en) Device for receiving an elastomer strand and for feeding the elastomer strand to a processing device
KR200453013Y1 (ko) 벽지용 풀 도포 및 재단장치
ITTO20110117A1 (it) Unita' per il supporto e lo svolgimento di una bobina di materiale in nastro per una macchina di lavorazione nastri
KR20110104692A (ko) 회전되는 선재용 밴딩장치
KR101690307B1 (ko) 적재와 운반이 용이한 케이블 드럼
KR20130007039U (ko) 드럼통 이동용 지지장치
JP4563298B2 (ja) 帯状の荷造ひもを用いた結束方法
KR20190069272A (ko)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CN217674223U (zh) 一种新型手提式包装纸盒
KR20170143233A (ko) 헤드폰 케이블 자동 결속장치
JP3101415U (ja) キャップタイヤの巻取り収納装置
KR20220137849A (ko) 랩핑기
US20040262444A1 (en) Tape dispenser/package
KR20220000123U (ko) 개선된 백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