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74Y1 - 유아용 약병 - Google Patents

유아용 약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74Y1
KR200470174Y1 KR2020120001631U KR20120001631U KR200470174Y1 KR 200470174 Y1 KR200470174 Y1 KR 200470174Y1 KR 2020120001631 U KR2020120001631 U KR 2020120001631U KR 20120001631 U KR20120001631 U KR 20120001631U KR 200470174 Y1 KR200470174 Y1 KR 200470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ottleneck
infant
po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339U (ko
Inventor
박동철
Original Assignee
박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철 filed Critical 박동철
Priority to KR2020120001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7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3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46Cups, bottles or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약병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112)와 병목(114)으로 이루어진 약병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병목(114)의 입구를 개폐하는 병뚜껑(120)으로 이루어져서 유아용 물약을 보관하는 유아용 약병에 있어서: 보관 중인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는 경우 가루약을 흘리지 않고 본체(110) 내부로 원활하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130)가 상기 병목(114)의 상단(141a)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약병에 보관 중인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고자 하는 경우 약병 내부로 투입되는 가루약을 흘리지 않고 원활하게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약병{A Medicine Bottle for Small Children}
본 고안은 유아용 약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병에 보관 중인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고자 하는 경우 약병 내부로 투입되는 가루약을 흘리지 않고 손쉽게 넣을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유아용 약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약 복용이 쉽지 않아서 주로 물약을 복용하거나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여 투약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유아용 물약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아용 약병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유아용 약병은 물약의 복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이 형성되어 있고 투약이 편리하도록 끝이 뾰족하게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유아용 약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유아용 약병은 유아에게 투약이 용이하도록 그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뾰족한 형태 때문에 가루약을 약병으로 넣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약병의 입구가 좁기 때문에 약병 입구로 넣고자 하는 가루약이 약병 입구로 제대로 들어가지 못하고 밖으로 흘리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07106 호(공고일: 2006.01.24)
2.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97289 호(공고일: 2005.09.2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약병의 목적은,
첫째, 약병에 보관 중인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고자 하는 경우, 약병 내부로 투입되는 가루약을 흘리지 않고 손쉽게 넣을 수 있도록 하고,
둘째, 보관 중인 물약을 유아에게 투약하는 경우 물약을 흘리지 않고 유아의 입으로 원활하게 투약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본 고안에 의한 가이드에도 나사를 형성함으로써 병뚜껑의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병뚜껑의 체결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약병 내부의 물약이 병뚜껑 쪽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 약병의 보관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유아용 약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유아용 약병은, 몸체와 병목으로 이루어진 약병 본체와, 상기 본체의 병목의 입구를 개폐하는 병뚜껑으로 이루어져서 유아용 물약을 보관하는 유아용 약병에 있어서: 보관 중인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는 경우 가루약을 흘리지 않고 본체 내부로 원활하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가 상기 병목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인 유아용 약병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약병에 보관 중인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고자 하는 경우 약병 내부로 투입되는 가루약을 흘리지 않고 원활하게 넣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보관 중인 물약을 유아에게 투약하는 경우 물약을 흘리지 않고 유아의 입으로 원활하게 투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약병에 있는 약을 별도의 투약기에 옮겨 넣은 후에 투약할 필요가 없어서 유아에 대한 투약이 한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가이드에도 나사를 형성함으로써 병뚜껑의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병뚜껑의 체결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약병 내부의 물약이 병뚜껑 쪽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약병의 보관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약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약병에 있어서 가이드에 가이드 나사를 형성한 변형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약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약병의 요부 단면 분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약병의 요부 단면 분해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6의 결합도이다.
다음은 본 고안인 유아용 약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약병(100)은, 복용량의 눈금이 새겨져 있는 몸체(112)와 병목(114)으로 이루어진 약병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병목(114)의 입구를 개폐하는 병뚜껑(120)으로 이루어져서 유아용 물약을 보관하는 유아용 약병에 있어서, 보관 중인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는 경우 가루약을 흘리지 않고 본체(110) 내부로 원활하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130)가 상기 병목(114)의 상단(141a)[즉, 병목(114) 입구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30)는 본체(110)에 들어 있는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기 용이하도록 전체적인 입구의 면적은 넓게 형성하면서, 유아에게 투약이 편리하도록 그 끝은 뾰족하게 형성되도록 입구의 단면이 사선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보관 중인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는 경우 입구가 넓은 가이드(130)를 통해서 가루약을 흘리지 않고 본체(110) 내부로 원활하게 넣을 수 있다.
또한, 보관 중인 물약을 유아에게 투약하는 경우 끝이 뾰족한 가이드(130)를 통해서 물약을 투약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입으로 물약을 흘리지 않고 원활하게 투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결과 약병에 있는 약을 별도의 투약기에 넣어서 투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아에 대한 투약이 한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약병(100)에 있어서, 상기 병목(114)의 외주면에는 병목 나사(14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병목 나사(141a)에 나합하도록 상기 병뚜껑(120)의 내주면에는 하부 나사홈(14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병뚜껑(120)이 본체(110)에 나사식으로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되어서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체결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약병(100)에 있어서, 상기 병목 나사(141a)와 동일한 나선형으로 상기 가이드(130)의 외주면(130a)에는 가이드 나사(14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나사(141b)와 나합하도록 상기 병뚜껑(120)의 내주면에는 상부 나사홈(14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약병(100)은, 상기 본체(110)에 보관 중인 물약이 병뚜껑(120)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병목(114)의 입구를 막는 막음부재(150, 160, 17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체(110) 내부의 물약이 병뚜껑(120) 쪽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그 결과 약병의 보관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약병(100)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재는 본체(110)에 보관 중인 물약이 병뚜껑(120)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병목(114)에 부분적으로 내삽되어서 병목(114)을 막을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1 마개(1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병목(114)을 막아서 물약이 본체(110) 밖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약병(100)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120)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뚜껑홀(121)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막음부재는 상기 가이드(130) 입구의 가장자리(130b)에 밀착되어서 가이드(130)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제2 마개 바디(161)와, 상기 제2 마개 바디(161)의 상면에서 상기 뚜껑홀(121)을 관통하여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마개 축편(162)과, 상기 제2 마개 축편(162)으로부터 수평으로 단차 형성되어서 제2 마개(160)가 병뚜껑(120)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 마개 걸림쇠(163)로 이루어지는 제2 마개(16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마개 바디(161)의 하면(161a)은, 상기 가이드(130)의 입구의 가장자리(130b)[엄밀하게는 가이드(130) 입구의 가장자리(130b)와 병목(114)의 상단(141a)]와 형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마개(160)가 가이드(130) 입구의 가장자리(130b)에 밀착되어서 막고 있으므로 본체(110)의 물약이 밖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제2 마개(160)가 병뚜껑(120)의 내부에 항상 함께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2 마개(160)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서 보관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약병(100)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120)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뚜껑홀(121)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막음부재는 본체(110)에 보관 중인 물약이 새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병목(114)에 부분적으로 내삽되어서 병목(114)의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의 제3 마개 바디(171)와, 상기 제3 마개 바디(171)의 상면에서 상기 뚜껑홀(121)을 관통하여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3 마개 축편(172)과, 상기 제3 마개 축편(172)으로부터 수평으로 단차 형성되어서 제3 마개(170)가 병뚜껑(120)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3 마개 걸림쇠(173)로 이루어지는 제3 마개(1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3 마개(170)가 병목(114)의 내삽되어서 입구를 막고 있으므로 본체(110)의 물약이 밖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제3 마개(170)가 병뚜껑(120)의 내부에 항상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3 마개(170)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서 보관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마개(150), 제2 마개(160) 및 제3 마개(170)는 예컨대 연질 플라스틱, 고무, 러버 등과 같이 신축성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물약의 실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약병의 작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2에 되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가이드(130)에도 가이드 나사(141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병뚜껑(120)을 더욱더 견고하게 본체(110)에 나사식으로 착탈할 수 있어서 물약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 동작을 더욱더 자연스럽고도 부드럽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병뚜껑(120)을 돌려서 병뚜껑(120)을 병목(114)에 체결하여 닫는 경우 병뚜껑(120)이 하방으로 내려감에 따라서 제2 마개(160)도 함께 내려가고, 제2 마개(160)는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가이드(130)의 입구 가장자리(130b)와 병목의 상단(114a)에 밀착되면서 가이드(130)의 입구를 막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제2 마개(160)는 병뚜껑(120)에 이탈되지 못하도록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면서도 본체(110)의 개폐를 위해서 병뚜껑(120)을 돌리는 경우 병뚜껑(120)이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병뚜껑(120)을 돌려서 병뚜껑(120)을 병목(114)에 체결하여 닫는 경우 병뚜껑(120)이 하방으로 내려감에 따라서 제3 마개(170)도 함께 내려가고, 제3 마개(170)가 계속하여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병목(114) 내부로 들어가면서 병목(114)을 왼전히 밀착하면서 막는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마개(170)는 병뚜껑(120)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병뚜껑(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면서도 본체(110)의 개폐를 위해서 병뚜껑(120)을 돌리는 경우 병뚜껑(120)이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약병
110 : 약병 본체 112 : 몸체
114 : 병목 114a: 병목의 상단
120 : 병뚜껑 130 : 가이드
130a: 가이드의 외주면 130b: 가이드의 입구 가장자리
141a: 병목 나사 141b: 가이드 나사
142a: 하부 나사홈 142b: 상부 나사홈
150 : 제1 마개 160 : 제2 마개
161 : 제2 마개 바디 161a: 제2 마개 바디의 하면
162 : 제2 마개 축편 163 : 제2 마개 걸림쇠
170 : 제3 마개 171 : 제3 마개 바디
172 : 제3 마개 축편 173 : 제3 마개 걸림쇠

Claims (4)

  1. 몸체(112)와 병목(114)으로 이루어진 약병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병목(114)의 입구를 개폐하는 병뚜껑(120)으로 이루어져서 유아용 물약을 보관하는 유아용 약병에 있어서:
    보관 중인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는 경우 가루약을 흘리지 않고 본체(110) 내부로 원활하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130)가 상기 병목(114)의 상단(141a)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0)에 보관 중인 물약이 병뚜껑(120)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병목(114)의 입구를 막는 막음부재(150, 160, 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약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병목(114)의 외주면에는 병목 나사(14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병목 나사(141a)에 나합하도록 상기 병뚜껑(120)의 내주면에는 하부 나사홈(14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약병.
  3. 몸체(112)와 병목(114)으로 이루어진 약병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병목(114)의 입구를 개폐하는 병뚜껑(120)으로 이루어져서 유아용 물약을 보관하는 유아용 약병에 있어서:
    보관 중인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는 경우 가루약을 흘리지 않고 본체(110) 내부로 원활하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130)가 상기 병목(114)의 상단(141a)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병목(114)의 외주면에는 병목 나사(14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병목 나사(141a)에 나합하도록 상기 병뚜껑(120)의 내주면에는 하부 나사홈(1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병목 나사(141a)의 동일한 나선형으로 상기 가이드(130)의 외주면(130a)에는 가이드 나사(14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나사(141b)와 나합하도록 상기 병뚜껑(120)의 내주면에는 상부 나사홈(14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약병.
  4. 삭제
KR2020120001631U 2012-03-02 2012-03-02 유아용 약병 KR200470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631U KR200470174Y1 (ko) 2012-03-02 2012-03-02 유아용 약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631U KR200470174Y1 (ko) 2012-03-02 2012-03-02 유아용 약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339U KR20130005339U (ko) 2013-09-11
KR200470174Y1 true KR200470174Y1 (ko) 2013-12-03

Family

ID=5074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631U KR200470174Y1 (ko) 2012-03-02 2012-03-02 유아용 약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8924A (zh) * 2019-05-05 2019-07-12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儿童医院 婴幼儿喂药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027A (ko) * 1993-03-25 1994-10-17 백인기 투명 약액용기의 약품투입 확인장치
KR200397289Y1 (ko) 2005-07-13 2005-09-29 신동우 뚜껑이 구비된 스푼형 투약기
KR200407106Y1 (ko) 2005-11-16 2006-01-24 김정수 뚜껑이 구비된 유아용 투약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027A (ko) * 1993-03-25 1994-10-17 백인기 투명 약액용기의 약품투입 확인장치
KR200397289Y1 (ko) 2005-07-13 2005-09-29 신동우 뚜껑이 구비된 스푼형 투약기
KR200407106Y1 (ko) 2005-11-16 2006-01-24 김정수 뚜껑이 구비된 유아용 투약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339U (ko)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4895C (en) Press in bottle adapter
WO2016015372A1 (zh) 喷液瓶及喷液瓶盖
US2673661A (en) Container
KR101317556B1 (ko)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US9283363B1 (en) Composition delivery device and methods of use
US20120103468A1 (en) Fluid safety dispenser system
US8813987B2 (en) Container cap with inner and outer part
CN206239732U (zh) 取药方便、压旋式锁盖的防污染安全药液瓶
KR200470174Y1 (ko) 유아용 약병
US8651305B1 (en) Reclosable container closure
KR101373476B1 (ko) 유아용 투약주사기
KR101675989B1 (ko) 점안액 용기 및 이의 조립방법
ES1281455U (es) Tapón de cierre para envases
KR200397289Y1 (ko) 뚜껑이 구비된 스푼형 투약기
BR112017005584B1 (pt) aparelho e distribuidor para distribuição dosada de um líquido
BRMU8500295Y1 (pt) Disposição construtiva em embalagem de medicamentos e cosméticos
KR200244825Y1 (ko) 의료용 용기
RU2803517C2 (ru) Диспенсер с запирающим механизмом с защитой от детей и запирающий механизм с защитой от детей
KR101159638B1 (ko) 깔때기가 구비된 시럽용기
KR200378019Y1 (ko) 투약용기
US20200113363A1 (en) Pre-filled drinking straw with a cross-slit valve closure on both ends
KR200407106Y1 (ko) 뚜껑이 구비된 유아용 투약기
KR100684881B1 (ko) 투약용기
KR19980017602U (ko) 유아용 투약용기
BR102017009535B1 (pt) Ampola de armazenagem para produtos concentrad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