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27Y1 -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 - Google Patents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27Y1
KR200470127Y1 KR2020120004624U KR20120004624U KR200470127Y1 KR 200470127 Y1 KR200470127 Y1 KR 200470127Y1 KR 2020120004624 U KR2020120004624 U KR 2020120004624U KR 20120004624 U KR20120004624 U KR 20120004624U KR 200470127 Y1 KR200470127 Y1 KR 200470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plate
present
conversion
human rights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만
신보배
Original Assignee
김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만 filed Critical 김용만
Priority to KR2020120004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1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ymbol bearing or form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91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modul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정 장소에 따라 사용자의 이름을 보이게 하여 사용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고 또는 다른 장소에서는 사용자의 이름을 보이지 않게 하여 인권침해를 예방하는 기능을 가진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좌명찰부(11), 우명찰부(12) 및 전환명찰부(20)로 이루어진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좌명찰부, 우명찰부 및 전환명찰부에 일시부착수단(30)이 부가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명찰을 교체할 수 있는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환명찰부가 2개 이상으로 구성된 인권침해 방지 기능성 명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the functional name tag with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본 고안은 특정 장소에 따라 사용자의 이름을 보이게 하여 사용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고 또는 다른 장소에서는 사용자의 이름을 보이지 않게 하여 인권침해를 예방하는 기능을 가진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에 관한 것이다.
2009년 국가인권위원회는 "교복에 명찰을 고정하게 해서 학교 밖에서도 불특정 다수에게 이름이 드러나게 하는 것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지나치게 제한하는 조치일 뿐 해당 학생을 각종 범죄에 노출될 우려마저 있어 인권침해 행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상기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지적과는 반대로 학생들에겐 자신을 드러내지 않을 권리가 없다. 대부분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명찰 달기를 의무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에 대한 감시 통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지적에도 이름표 강요는 여전히 강고하다.
이와 같이 '인권'은 교문 앞에서 멈춘다. 최근에 이러한 이름표가 탈부착 형에서 교복에 바느질로 박아넣도록 하는 고정형으로 바뀌고 있어 학생들의 인권은 더욱 후퇴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학교 밖에서도 학생들의 이름이 타인에게 공개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대부분 이름표가 학년별로 색깔이 다르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어느 학교 몇 학년 아무개라는 개인 정보를 알 수 있게 되는 셈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분실의 위험이 적다"는 이유로 고정형 명찰로 바꾸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이름표(또는 명찰)는 학생들의 의복에 부착되어 신분이 노출되기 때문에 학생의 개인적 사생활 및 인권침해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 20-0442263(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은 옷에 고정되는 개폐형 명찰을 선보인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옷에 고정되는 개폐형 명찰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티셔츠와 같은 옷이나 교복,유아복, 단체복 등에 성명이나 각종 인적사항 등을 표기함은 물론 옷을 착용하는 사람이 자기의 인적사항을 나타내고자 하지 않을 경우에는 명찰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자기의 신분이나 인적사항 등이 노출되어 입는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자신의 인적사항을 감출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장점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옷에 고정되는 개폐형 명찰은 윗단추와 아래 단추를 옷의 앞면에 구비하여 고정해야 하고 덮개천을 열 경우에도 옷에 구비된 단추에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과 구조적인 복잡함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은 개인의 신상정보를 하나만 보여주는 구조로 되어 있어 효율적인 다양한 명찰의 기능을 구비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인권침해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명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하나의 명찰로 여러 개의 명찰을 부착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명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장소에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에 의하여 쉽게 명찰을 바꿀 수 있는 기능성 명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비용이 적게 들며 제조가 간편한 기능성 명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좌명찰부(11), 우명찰부(12) 및 전환명찰부(20)로 이루어진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좌명찰부, 우명찰부 및 전환명찰부에 일시부착수단(30)이 부가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명찰을 교체할 수 있는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환명찰부가 2개 이상으로 구성된 인권침해 방지 기능성 명찰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명찰은 하나의 명찰로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고 간편하게 다양한 명찰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명찰은 장소에 따라 사용자의 신분을 노출시키지 않아 인권침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명찰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조가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명찰의 일실시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명찰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명찰의 또 다른 실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환명찰부가 2개로 구성된 기능성 명찰 개념도.
도 4a, 4b, 4c, 4d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명찰의 실시 태양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시부착수단으로 벨크로를 이용한 기능성 명찰의 제조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시부착수단으로 자석을 이용한 기능성 명찰의 제조도.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도 1a에서 보는 것처럼 주명찰부(10)와 전환명찰부(20)로 이루어진 기능성 명찰을 제공한다. 상기 주명찰부(10)는 좌명찰부(11)와 우명찰부(1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명찰부(11), 우명찰부(12) 및 전환명찰부(20)는 일시부착수단(30)이 부가되어 있어 전환명찰부는 좌명찰부와 우명찰부를 선택적으로 일시 부착하고 탈착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 주명찰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좌명찰부와 우명찰부로 구분되며 이는 전환명찰부에 의하여 구분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주명찰부와 전환명찰부의 재질은 제약은 없으며 통상 명찰로 사용하는 천, 플라스틱, 종이, 고분자물질 또는 이들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주명찰부는 부착부(13)와 표시부(14)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좌명찰부 및 우명찰부도 부착부와 표시부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착부는 명찰이 의복 등에 접촉되어 부착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착부는 의복 등에 접촉하여 부착되며 실,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을 이용하여 의복 등에 부착되게 된다.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서는 부착부에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의복 등에 쉽게 부착하게 할 수 있다.
접착수단은 접착테이프, 벨크로 등과 같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본 고안의 명찰을 의복 등에 접착하게 하는 수단 또는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표시부는 사람의 성명, 주소, 소속기관, 학년, 학교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부분을 말한다.
따라서 표시부는 개인정보를 직접 실로 새기거나 펜, 인쇄 등으로 기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또한 표시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좋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아무런 개인정보표시 없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전환명찰부(20)는 양면이 모두 표시부(21)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한 바처럼 사람의 성명, 주소, 소속기관, 학년, 학교 등의 개인정보가 표시된다.
전환명찰부는 상기한 좌명찰부 또는 우명찰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접혀져서 일시접착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 수단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환명찰부는 주명찰부에 결합되어 있되 그 결합된 부분이 전환명찰부의 범위 내에 포함된 점에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환명찰부의 표시부도 상기한 바와 같은 주명찰부의 표시부처럼 사람의 성명, 주소, 소속기관, 학년, 학교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부분을 말한다.
따라서 표시부는 개인정보를 직접 실로 새기거나 펜, 인쇄 등으로 기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또한 표시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좋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아무런 개인정보표시 없이 사용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따라서 도 1a에서 보는 것처럼 본 고안에서 전환명찰부는 주명찰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좌명찰부 및 우명찰부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전환명찰부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좌명찰부, 우명찰부 및 전환명찰부는 각각 그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전환명찰부는 1개일수도 있으나 2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환명찰부(20, 20')가 2개인 경우를 볼 수 있다.
전환명찰부가 2개 이상인 경우에 전환명찰부가 좌명찰부 또는 우명찰부 방향으로 모두 접혀져서 부착된다고 하여도 전환명찰부의 두께를 조절하여 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환명찰부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다양한 개인정보를 본 고안의 기능성 명찰로 달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한 좌명찰부, 우명찰부 및 전환명찰부에 구성되는 일시부착수단(30)은 어떤 물체를 일시적으로 부착시켰다가 탈착시키는 기능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단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사용되는 일시부착수단은 벨크로, 자석, 일시접착테이프 또는 단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벨크로는 일명 찍찍이라고 하며 두 조각의 나일론 섬유로 이루어지는 데, 한 조각에는 강력한 갈고리가 빽빽하게 위치해 있으며 다른 조각에는 작은 원형 고리들을 포함하고 있다. 함께 붙이면 두 조각의 나일론 섬유가 서로 강력하게 접착되며 다시 떼는 기능을 수행하는 접착수단을 의미한다.
자석은 인력이 작용하는 N극과 S극을 서로 마주보게 하는 형태로 하여 일시접착수단으로 채용할 수 있다.
일시접착테이프는 접착력이 있는 고분자물질화합물을 포함한 것으로서 일시적으로 접착하고 탈착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의미한다.
단추는 통상의 단추를 의미하며 전환명찰부와 좌명찰부 또는 우명찰부를 일시적으로 결합하고 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4b, 4c, 4d는 본 고안의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의 제작 후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은 좌명찰부의 표시부와 전환명찰부의 왼쪽면 표시부가 하나의 명찰면이 형성된다. 이를 도 4a, 4c에서 보는 것처럼 "명찰면 A"라 한다.
또한 우명찰부의 표시부와 전환명찰부의 오른쪽면 표시부가 합쳐져서 명찰면이 형성된다. 이를 도 4b, 4d에서 보는 것처럼 "명찰면 B"라 한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전환명찰부가 2개인 경우 전환명찰부의 표시부가 합쳐진 명찰면을 "명찰면 C"라고 한다.
상기의 경우 하나의 명찰면을 형성하는 경우 명찰면 전체에 하나의 완성된 개인정보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도 4c, 도 4d에서 보는 것처럼 명찰면 A에 "中천북중" 또는 명찰면 B에 "中홍길동"이라는 완성된 문장의 형태로 쓰여지는 것이 좋다.
또한 도 4e에서 보는 것처럼 명찰면 A에 아무런 표시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어떤 특정장소에서는 개인정보를 노출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어떤 특정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자신의 개인정보를 노출시키지 않고 활동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한 실시예는 명찰의 크기 및 문자의 배열을 고려한 것으로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한 명찰면 A를 사용할 경우 명찰면 B 및 명찰 면 C의 내용이 보이지 않고 또한 B명찰면을 사용할 경우 명찰면 A 및 명찰면 C의 내용이 보이지 않으며 명찰면 C를 사용할 경우 명찰면 A 및 명찰면 B의 내용이 보이지 않는 태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명찰을 가지고 여러 가지 명찰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을 제작하는 실시예를 보여 준다.
도 5는 일시부착수단인 벨크로를 이용한 경우로서, 천으로 제조된 명찰 원판 2개를 각각 반으로 접어 접착제로 부착하여 좌명찰부, 우명찰부, 전환명찰부를 형성한 경우이다.
이 경우 좌명찰부, 우명찰부의 주변에 벨크로를 부가하고 전환명찰부의 양면에도 벨크로를 부가하여 선택적으로 일시부착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게 한다.
도 6은 일시부착수단인 자석을 이용한 경우로서, 천으로 제조된 명찰 원판 2개를 각각 반으로 접어 자석을 넣어 접착제로 부착하여 좌명찰부, 우명찰부, 전환명찰부를 형성한 경우이다.
이 경우 좌명찰부 및 우명찰부의 단부에도 자석을 삽입하여 선택적으로 일시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예는 벨크로를 이용하는 경우 미관상, 세탁상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일시부착수단으로 자석을 활용한 경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명찰의 제조 실시예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본 고안의 기술적 내용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의 명찰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2개 이상의 다른 명찰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성 명찰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각종 명찰을 생산, 제조, 판매, 가공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각종 명찰을 패용해야하는 학교, 군대, 경찰, 공무원 등의 명찰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신분 노출을 방지하여 인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는 분야에도 널리 적용된다.
10 : 주명찰부 11 : 좌명찰부
12 : 우명찰부 13 : 부착부
14 : 명찰부 표시부
20, 20' : 전환명찰부 21 : 전환명찰부 표시부
30 : 일시부착수단
A, B, C : 명찰면

Claims (3)

  1. 삭제
  2. 좌명찰부(11), 우명찰부(12) 및 전환명찰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명찰부, 우명찰부 및 전환명찰부에 일시부착수단(30)이 부가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명찰을 교체할 수 있는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명찰부가 2개 이상으로 구성된 인권침해 방지 기능성 명찰.
KR2020120004624U 2012-06-01 2012-06-01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 KR200470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24U KR200470127Y1 (ko) 2012-06-01 2012-06-01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24U KR200470127Y1 (ko) 2012-06-01 2012-06-01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127Y1 true KR200470127Y1 (ko) 2013-11-29

Family

ID=5074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624U KR200470127Y1 (ko) 2012-06-01 2012-06-01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2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810A (ja) * 2007-08-28 2007-12-27 Shingakusha Co Ltd バッ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810A (ja) * 2007-08-28 2007-12-27 Shingakusha Co Ltd バッ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5963B1 (en) Attire having magnetically affixed emblems
US63398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movable nametag or insignia
US20120005809A1 (en) Indicia Systems and Methods
US20100017932A1 (en) Clothing with detachable symbols
US20070130813A1 (en) Photo wrist band
US20220157200A1 (en) Single Ply Wristband With Printable Coating
JP2006523852A (ja) ビルボード衣類
US20070157358A1 (en) Garment with discrete medical tags
US9392848B2 (en) Magnetically coupling adornment assembly for improving aesthetic appeal of an item
US8893418B1 (en) Sports fashion memorabilia and construction process
US20140090151A1 (en) Multi-Purposed Pocket Square/Handkerchief Holding Device
US9936752B2 (en) Clothing personalization technologies
KR200470127Y1 (ko) 인권침해방지 기능성 명찰
JP5540237B2 (ja) リストバンド
US20110083348A1 (en) Sign system for conveying meaning between members of a community
US20080163527A1 (en) Fashion talk sticker
US4262393A (en) Advertising cravat holder
KR101463449B1 (ko) 메모지 삽입이 가능한 포켓 형식의 가죽 소재 펜던트
JP2013015802A (ja) ゼッケン
US10453358B2 (en) Buttons, beads, and removable clips bearing braille indicia for fabric
CN209895731U (zh) 一种新型校标
JP3165187U (ja) 貴石製家紋の表示具
AU2012100383A4 (en) Allergen identifier
GB2529262A (en) Insignia
Eberst ETA SIGMA GAM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