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91Y1 - 충전형 진동퍼프 - Google Patents

충전형 진동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91Y1
KR200469991Y1 KR2020120007950U KR20120007950U KR200469991Y1 KR 200469991 Y1 KR200469991 Y1 KR 200469991Y1 KR 2020120007950 U KR2020120007950 U KR 2020120007950U KR 20120007950 U KR20120007950 U KR 20120007950U KR 200469991 Y1 KR200469991 Y1 KR 200469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uff
pcb
battery
vib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668U (ko
Inventor
김대은
Original Assignee
맥스타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스타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맥스타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7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9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자의 진동력을 이용, 퍼프를 진동하게하여 분말 파운데이션, 액상 파운데이션, 크림 등의 화장품이나 세안크림을 안면에 고르게 바르기위해 사용되는 진동퍼프에 관한 것으로,
진동자를 구동하는 전원에 있어서 코인형 충전용 Li-Ion 전지를 사용함으로서 저렴한 직류전원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 할수 있음은 물론 직류전원 장치로 부터 공급 받는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 중에도 사용자가 본 고안을 사용할수 있도록 구성하고 충전용 전지를 사용함에 있어 전지홀더를 이용하여 충전지가 방전되어 재충전 할수 없을 때에는 일반 Li-Ion 코인전지를 끼워 사용 할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며,
진동력을 전달하는 진동부재에 있어서 타원기둥의 형상을 함으로 진동력을 타원단면으로 볼때 폭이 좁은 쪽의 진동이 폭이 넓은 쪽의 진동 보다 크게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의 피부에 조건에 따라 진동이 큰 방향으로 사용하거나 진동이 작은 쪽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서 편리한 진동퍼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형 진동퍼프 {Charging function vibrating puff}
본 고안은 진동자의 진동력을 이용, 퍼프를 진동하게하여 분말 파운데이션, 액상 파운데이션, 크림 등의 화장품이나 세안크림을 안면에 고르게 바르기위해 사용되는 진동퍼프에 관한 것으로, 전원공급용으로 설치된 전지를 충전용 코인전지를 사용하고, 이를 충전 하기위한 충전기는 가격이 저렴한 직류전원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 할수 있도록 하며, 마이크로 스위치 내지 마이콤 및 텍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강.약을 조절하게하고, 진동력을 전달하는 진동부재에 있어서 타원기둥의 형상을 함으로 진동력을 타원단면으로 볼때 폭이 좁은 쪽의 진동이 폭이 넓은 쪽의 진동 보다 크게하여 사용자가 진동력이 큰 방향을 선택하여 이용할수 있도록 한 진동 퍼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 또는 세안을 위하여 사용되는 화장품 및 크랜징 크림을 피부에 바를 때에는 고무재질의 퍼프 등을 이용하여 피부에 문질러 바르는 방식으로 이용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퍼프를 이용하여 문지를 경우 피부에 일정하고 고른 도포가 어려우며, 상당한 시간이 소비되는 것이 기존의 퍼프를 이용한 화장법이다. 이런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진동모터 또는 진동자를 사용한 진동 퍼프를 이용하여 파운데이션 또는 크렌징 크림을 바르고 있다.
이렇듯 많은 사용자가 진동을 이용한 퍼프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진동퍼프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은 AAA 또는 AA의 1.5V 알카라인 전지나 1.5V 소형의 Ni-Cd 코인 전지(LR44)를 직렬로 연결하거나, 3V의 Li-Ion (CR2032) 코인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현재 진동퍼프의 전원공급 방식이다.
하지만 AAA, AA 전지는 용량이 크나 크기가 크코 무겁다는 단점이 있으며, 소형 Ni-Cd 코인전지 및 Li-Ion 코인전지는 크기는 작으나 용량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AA 전지의 경우 약 1000mAh, 소형 Ni-Cd 코인전지(LR44)는 약 100mAh, Li-Ion 코인전지(CR2032)는 약 230mAh 정도 이다.
그래서 소비전력이 적은 진동자를 이용하는 진동퍼프의 경우 소형 Ni-Cd 코인전지 또는 Li-Ion 코인전지를 이용하며 소비전력이 높은 진동모터를 이용한 진통퍼프는 AAA또는 AA의 알카라인 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진동자를 이용한 진동퍼프의 경우 진동자의 소비전력이 대략 60~70mAh 이므로 소형 Ni-Cd 코인전지의 경우 1시간20분 정도 사용하며, Li-Ion 코인전지는 3시~4시간 정도 사용할수 있다. 사용자가 1회 1일 사용 10~15분을 감안하면, 소형 Ni-Cd 코인전지는 약 7~8일, Li-Ion 코인전지 약20~25일 사용하면 전지를 교환하여야 한다.
이렇듯 사용자가 전지를 자주 교환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여분의 전지기 없을 경우 사용치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 일반적으로 진동자에서 퍼프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재의 경우 원기둥 또는 원뿔형 구조로 되어 있다. 이처럼 원기둥, 원뿔형 구조의 경우 진동자의 진동이 발생할때 원을 중심으로 그 진폭이 상하좌우가 동일 하게 된다. 하진만 사람의 얼굴은 부위에따라 피부 상태가 다 틀리며, 큰 진폭을 이용하여 파운데이션등을 바를 부위와 작은 진폭으로 파운데이션을 바를 부위는 분명 사용자 마다 틀릴 것이다. 하지만 기존 방식은 동일한 진폭으로만 상용하게함으로서 진폭 변화를 주는것에 만족하지 못한 결과를 주고 있는 것이 현 진동퍼프들의 문제점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기술한것과 같은 문제점인 잦은 전기교환의 불편함과 여분의 전지기 없을 경우 사용자가 사용치 못하는 문제점, 또한 원기둥 또는 원뿔형의 진동전달 부재를 상용함으로서 원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동일한 진폭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따라 작은 진폭 또는 큰 진폭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전원을 충전지를 이용하여 전지교환없이 사용토록 하고, 전지가 다 방전되었을때에도 충전용 아답터를 이용하여 충전하면서 사용 할수 있도록 하며,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부재를 타원으로 하여 상하 및 좌우의 진폭의 크기를 달리하게 함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맞는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퍼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아답터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잭이 P.C.B에 결합되며, 입력전류를 낮추는 저항과 전원잭이 연결되고 저항 다른일측은 과충과방전IC가 연결 되고, 과충과방전IC의 전지 "+,-"핀이 전지홀더 각각의 "+,-"극에 연결되며, 전지홀더에는 충전지가 안착며, 과충과방전IC의 전원 "+" 핀은 추가로 스위치의 전원 입력부에, 과충과방전IC의 전원 "-" 핀은 추가로 진동자의 "-" 극 측에 연결되고, 스위치와 진동자의 "+" 극과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한 P.C.B 와
P.C.B 가이드의 상측 단면에 맞닿게 하여 피스볼트를 고정홀에 관통시키고 P.C.B 가이드사이의 홈에 끼워 체결 한후 고무버튼을 고무버튼 홀에 안착되도록 조립된 본체로 이뤄지며
연질의 진동부재가 고정몸체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동부재 홀을 통과하게 되고, 진동부재외곽을 따라 형성된 진동부재 고정홈이 진동부재홀을 따라 타원형으로 형성된 진동부재 걸림턱에 끼워지도록 된 진동부재 및 고정몸체로 구성되며,
진동자는 진동자 고정홈에 세로 방향으로 끼워지고, 고정몸체 고정홈 안쪽에 고정몸체 고정턱이 끼워저 고정하게하고,
퍼프의 이면과 퍼프가이드의 평평한 부분을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결합하고, 원형으로 이뤄진 진동부재 연결홈 안쪽에 퍼프고정부가 억지 끼워맞춤으로 끼워저 고정하게 하고, 고정몸체(20)외부를 덮어 씌운 캡(3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자를 구동하는 전원에 있어서 코인형 충전용 Li-Ion 전지를 사용함으로서 저렴한 직류전원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 할수 있음은 물론 직류전원 장치로 부터 공급 받는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 중에도 사용자가 본 고안을 사용할수 있도록 구성하고 충전용 전지를 사용함에 있어 전지홀더를 이용하여 충전지가 방전되어 재충전 할수 없을 때에는 일반 Li-Ion 코인전지를 끼워 사용 할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며,
진동력을 전달하는 진동부재에 있어서 타원기둥의 형상을 함으로서 진동력을 타원단면으로 볼때 폭이 좁은 쪽의 진동이 폭이 넓은 쪽의 진동 보다 크게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의 피부에 조건에 따라 진동이 큰 방향으로 사용하거나 진동이 작은 방향 쪽으로 사용하게 함으로 조금더 편리한 진동퍼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 진동퍼프 조립완성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부품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P.C.B 조립 상세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본체와 P.C.B 조립 상세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고무 버튼 조립 상세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1차 조립 완성도 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진동부재의 조립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고정몸체와 본체의 부분단면 조립 상세도 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퍼프 조립 상세도 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최종 조립도 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 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진동폭을 나타낸 상세도 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실시예를 기술하면,
먼저 도 3은 P.C.B 조립 상세도로서, P.C.B(60)에는 충전을 위한 아답터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잭(62)이 P.C.B(60)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며, 충전지(90)의 용량을 100mA로 감한하면, 아답터로 부터 들오는 전류를 충전에 적합한 전류인 약 40~100mA로 낮추기 위하여 아답터 용량을 4.2~5V로 할때 약 22~70옴의 저항 1(64)의 일측이 전원잭(62)의 "+" 극과 연결되며,
Li-Ion계 충전지(90)의 과충전(최대충전 4.2V) 및 과방전(최대방전 2V)을 방지 하기 위하여 과충과방전IC(63)의 5개의 핀중 전원 "+" 핀이 저항 1(64)의 다른 일측과 연결되어 진다. 또한 전원잭(62)의 "-" 극과 과충과방전IC(63)의 핀중 전원 "-" 핀이 연결되어 진다. 이후 과충과방전IC(63)의 핀중 전지 "+" 핀은 전지홀더(68)의 "+" 극에 과충과방전IC(63)의 핀중 전지 "-" 핀은 전지홀더(68)의 "-" 극에 연결되어 진다. 전지홀더(68)에는 충전지(90)가 안착된다.
또 과충과방전IC(63)의 전원 "+" 핀은 추가로 스위치(61)의 전원 입력부에, 과충과방전IC(63)의 전원 "-" 핀은 추가로 진동자(67)의 "-" 극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스위치(61)는 3단 마이크로 스위치로 버튼을 누를 때마다 "1번 On" ,"2번 On", "Off"를 순환한다. 스위치(61)와 진동자(67)의 "+" 극을 연결함에 있어 스위치(61)"1번 On" 또는 "2번 On"중 한곳은 직접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저항 2(65)를 연결하여 둘 중 하나에 공급되는 전류는 낮춰 "강", "약"으로 조정 할수 있도록 한다.
스위치(61)를 사용함에 있어 마이크로 스위치 대신 텍트 스위치와 마이콤을 이용하여 이를 대체할수도 있을 것이다.
부품이 결합된 P.C.B(60)는 본체(10)에 장착되는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원잭(62)의 돌출된 원형 부분이 본체(10)의 아답터홀(11)에 끼워지게 되고 P.C.B(60)의 외곽중 도 4에 타원으로 표시 한 2곳이 본체(10)의 P.C.B 가이드(13)의 상측 단면에 맏다아 결합하게 하여 도 5의 형상이 되도록 한다.
이후 P.C.B(60)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피스볼트를 P.C.B(60)의 고정홀(66)을 관통시키고 본체(10)의 P.C.B 가이드(13)사이의 홈에 끼워 단단히 체결하게 한다.
고무버튼(50)은 본체(10)의 고무버튼 홀(12)에 안착되도록 하여 도 6과 같이 1차조립을 완성 한다.
재질이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연질인 진동부재(40)와 고정몸체(20)를 결합함에 있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 하면, 진동부재(40)가 고정몸체(2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동부재 홀(21)을 통과하게 되고, 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의 각각 양측면 타원 직경이 다르며 진동부재(40)외곽을 따라 형성된 진동부재 고정홈(43)이 고정몸체(20)의 진동부재홀(21)을 따라 타원형으로 형성된 진동부재 걸림턱(22)에 끼워지게 된다.
진동부재 고정홈(43)에있어서 진동부재 걸림턱(22)에 끼워지기 위한 양측면 중 진동부재 걸림턱(22)을 통과하는 측면의 외경의 크기보다 진동부재 걸림턱(22)을 통과하지 않는 측면의 외경 크기를 크게하여 진동부재(40)가 고정몸체(20)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도 11의 "B" 같은 결합 구조를 형상화 한다.
P.B.C(60)가 안착된 본체(10)와 진동부재(40)가 안착된 고정몸체(20)를 결합함에 있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P.C.B(60)의 진동자(67)는 진동부재(40)의 진동자 고정홈(42)에 세로 방향으로 끼워지는데 진동자(67)의 진동력이 진동부재(40)에 잘 전달되기 위하여 접촉면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하며 진동자 고정홈(42)의 폭은 진동자(67)의 두께보다 작게 하여 억지 끼워 맞춤으로 끼워 지도록 한다.
또, 본체(10)의 고정몸체 고정홈(14) 안쪽에 고정몸체(20)의 고정몸체 고정 턱(23)이 끼워저 도 11의 "A"와 같은 형상으로 고정하게 된다.
퍼프(80)와 퍼프가이드(70)를 결합함에 있어서 퍼프(80)의 이면과 퍼프가이드(70)의 평평한 부분을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결합하고, 원형으로 이뤄진 퍼프가이드(70)의 진동부재 연결홈(71) 안쪽에 진동부재(40)의 퍼프고정부(41)가 억지 끼워맞춤으로 끼워저 고정하게 한다.
이로서 도 11의 단면형상과 같이 되도록 하며, 이후 캡(30)을 고정몸체(20)외부를 덮어 씌어 고안을 완성한다.
본 고안을 사용자가 사용하면 먼저 캡(30)을 분리한 후 퍼프(80)에 화장품을 뭍히고 고무버튼(50)을 을 눌러 "강" 또는 "약"을 설정 하게 한후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진동력 분포를 보면 도 12의 (가)와 같이 진동을 전달 하는 진동부재(40)의 형상이 타원으로 이뤄져 있음으로 진동반경이 도 12 (가)의 "F"와 같이 D-D'의 진동폭이 E-E'의 진동폭보다 넓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 및 사용 부위에 따라 D-D'의 진동폭을 이용하거나 E-E'의 진동폭을 이용할 수 있으며, 퍼프고정부(41)에 끼워진 타원 형태의 퍼프(80) 및 퍼프가이드(70)를 일정 각도를 틀면 퍼프를 진폭에 맞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사용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2 (나)는 본 고안외 진동퍼프의 진동전달 부재의 형상으로 진폭 D-D' 와 E-E'의 진폭이 같다.
P.C.B(60)에는 충전지(90)를 끼워넣은 전지홀더(68)가 장착 되어 있는데 전지홀더(68)는 충전지 외 일반 Li-Ion 코인 전지가 장착할수 있는 전지홀더(68)를 사용 함으로서 충전지(90)가 방전 한 상태에서 충전할수 없는 경우 일반 Li-Ion 코인 전지를 사용할수 있도록 하며, 충전시에도 일반아답터 3.7~5V를 사용함으로서 충전중에도 본 고안을 사용 할수 있도록 한다.
10 : 본체 ; 11 : 아답터 홀 ; 12 : 고무버튼 홀 ; 13 : P.C.B 가이드; 14 : 고정몸체 고정홈 ;
20 : 고정몸체 ; 21 : 진동부재 홀 ; 22 : 진동부재 걸림턱 ; 23 : 고정몸체 고정턱 ;
30 : 캡 ;
40 : 진동부재 ; 41 : 퍼프고정부 ; 42 : 진동자 고정홈 ; 43: 진동부재 고정홈 ;
50 : 고무버튼 ;
60 : P.C.B ; 61 : 스위치 ; 62 : 전원잭 ; 63 : 과충과방전IC ; 64 : 저항 1 ; 65: 자항 2 ; 66 : 고정홀 ; 67 : 진동자 ; 68 : 전지홀더 ;
70 : 퍼프가이드 ; 71 : 진동부재 연결홈 ;
80 : 퍼프 ;
90 : 충전지 ;

Claims (4)

  1. 전원잭(62)이 P.C.B(60)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며, 입력전류를 낮추는 저항 1(64)의 일측이 전원잭(62)과 연결되고 저항 1(64)의 다른일측은 과충과방전IC(63)의 전원 "+"핀과 연결되며, 전원잭(62)의 "-" 극과 과충과방전IC(63)의 전원 "-" 핀이 연결되고, 과충과방전IC(63)의 전지 "+,-"핀이 전지 홀더(68)의 각각의 "+,-"극에 연결되고, 전지홀더(68)에는 충전지(90)가 안착며, 과충과방전IC(63)의 전원 "+" 핀은 추가로 스위치(61)의 전원 입력부에, 과충과방전IC(63)의 전원 "-" 핀은 추가로 진동자(67)의 "-" 극측에 연결되고, 스위치(61)와 진동자(67)의 "+" 극과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한 P.C.B(60) ;
    상기 P.C.B(60)는 전원잭(62)의 돌출된 원형 부분이 아답터홀(11)에 끼워지게 되고 P.C.B(60)의 외곽중 2곳이 P.C.B 가이드(13)의 상측 단면에 맞닿게 하여 피스볼트로 고정홀(66)을 관통시키고 P.C.B 가이드(13)사이의 홈에 끼워 체결 한후 고무버튼(50)을 고무버튼 홀(12)에 안착되도록 조립된 본체(10) ;
    연질의 진동부재(40)가 고정몸체(2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동부재 홀(21)을 통과하게 되고, 진동부재(40)외곽을 따라 형성된 진동부재 고정홈(43)이 진동부재홀(21)을 따라 타원형으로 형성된 진동부재 걸림턱(22)에 끼워지도록 된 진동부재(40) 및 고정몸체(20) ;
    진동자(67)는 진동자 고정홈(42)에 세로 방향으로 끼워지고, 고정몸체 고정홈(14) 안쪽에 고정몸체 고정턱(23)이 끼워저 고정하게한 본체(10) 와 고정몸체(20) ;
    퍼프(80)의 이면과 퍼프가이드(70)의 평평한 부분을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결합하고, 원형으로 이뤄진 진동부재 연결홈(71) 안쪽에 퍼프고정부(41)가 억지 끼워맞춤으로 끼워저 고정하게 한 퍼프(80) 와 퍼프가이드(70) ;
    고정몸체(20)외부를 덮어 씌운 캡(3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진동퍼프.
  2. 제 1항에 있어서,
    P.C.B(60)의 회로를 구성함에 있어 4.2V ~ 5V의 직류전원 장치를 사용할때 공급전원을 40~100mA로 맞추기 위하여 22~70옴의 저항 1(64)이 설치되고, 직류 전원 장치의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중에도 사용자가 사용 할수 있도록 구성한 회로 ;
    충전지(90)의 과충전및 과방전을 방지 하기 위하여 과충과방전IC(63)을 장착하며, 충전지(90) 와 일반전지를 혼용하여 장착할수 있는 전지홀더(68)가 장착된 회로구성 ;
    스위치(61)는 3단 마이크로 스위치로 버튼을 누를 때마다 "1번 On" ,"2번 On", "Off"를 순환하며 스위치(61)의 "1번 On" 또는 "2번 On"중 한곳은 진동자(67)와직접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저항 2(65)를 연결하여 둘 중 하나에 공급되는 전류는 낮춰 "강", "약"으로 조정 할수 있도록 한 회로를 구성한 P.C.B(60)를 특징으로 한 진동퍼프.
  3. 제 1항에 있어서,
    진동부재(40)가 고정몸체(20)를 결합함에 있어 진동부재(40) 타원의 외곽을 따라 형성된 진동부재 고정홈(43)을 형성하기 위한 홈의 각각 양측면 타원 직경이 크기가 다르며, 진동부재 걸림턱(22)을 통과하는 진동부재 고정홈(43) 측면의 크기보다 진동부재 걸림턱(22)을 통과하지 않는 진동부재 고정홈(43)측면의 크기를 크게하여 진동부재(40)가 고정몸체(20)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형상화 하며,
    진동부재(40)의 단면 형상을 타원으로 함으로써 단면의 직경이 짧은 쪽의 진동폭을 크게하고, 단면 직경이 긴쪽의 진동폭을 작게 한것을 특징으로 한 진동부재(40)를 설치한 진동퍼프.
  4.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와 P.C.B(60)를 결합함에 있어 피스볼트를 P.C.B(60)의 고정홀(66)을 관동시키고 본체(10)의 P.C.B 가이드(13)사이의 홈에 끼워 단단히 체결하게 할수 있도록 P.C.B 가이드(13)의 형상이 설치된 본체(10)를 특징으로 한 진동퍼프.
KR2020120007950U 2012-09-06 2012-09-06 충전형 진동퍼프 KR200469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950U KR200469991Y1 (ko) 2012-09-06 2012-09-06 충전형 진동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950U KR200469991Y1 (ko) 2012-09-06 2012-09-06 충전형 진동퍼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68U KR20120006668U (ko) 2012-09-26
KR200469991Y1 true KR200469991Y1 (ko) 2013-11-26

Family

ID=4750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950U KR200469991Y1 (ko) 2012-09-06 2012-09-06 충전형 진동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9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376B1 (ko) * 2014-01-08 2015-05-15 (주)아모레퍼시픽 스윙타입 개폐커버를 가진 미용기기
WO2017128209A1 (zh) * 2016-01-28 2017-08-03 邢皓宇 一种粉扑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929Y1 (ko) * 2005-08-12 2005-11-01 주식회사 태평양 전동퍼프
KR20110078516A (ko) * 2009-12-31 2011-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동퍼프
KR101162603B1 (ko) * 2010-08-27 2012-07-04 한경희 전동퍼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929Y1 (ko) * 2005-08-12 2005-11-01 주식회사 태평양 전동퍼프
KR20110078516A (ko) * 2009-12-31 2011-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동퍼프
KR101162603B1 (ko) * 2010-08-27 2012-07-04 한경희 전동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68U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008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ing an electric hand-held power tool device
US20170364038A1 (en) Kinetic Powered Smartwatch
US20150133833A1 (en) Vibrator
KR101437948B1 (ko)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KR200469991Y1 (ko) 충전형 진동퍼프
US7956753B2 (en) Tether apparatus
JPWO2013015207A1 (ja)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充電方法
US20130342969A1 (en) Apparatus for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to the body of a user
KR101945842B1 (ko)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US20200038285A1 (en) Massage toy having two energy sources
JP2009039841A (ja) 充電式電動工具の電気接続装置
KR200325398Y1 (ko) 휴대 가능한 다이어트용 진동 벨트
KR100672444B1 (ko) 왓치 폰 장치
CN205385892U (zh) 智能皮带
EP1971008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recharging and discharging in a portable terminal
US10468582B2 (en) Basketball with piezo elements to produce charging current
CN207504612U (zh) Usb充电电池
CN207719846U (zh) 充电舱
CN109378880A (zh) 一种带开关快速充电电源
CN204981142U (zh) 无线美颜臭氧产生器改良结构
CN217427744U (zh) 充电装置和穿戴设备
CN207184133U (zh) 一种卷轴式太阳能充电器
CN210327106U (zh) 一种可调压型多用充电器
CN206434548U (zh) 可操控导盲杖
CN213341669U (zh) 一种多功能太阳能共享充电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