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461Y1 -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 - Google Patents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461Y1
KR200469461Y1 KR2020120007268U KR20120007268U KR200469461Y1 KR 200469461 Y1 KR200469461 Y1 KR 200469461Y1 KR 2020120007268 U KR2020120007268 U KR 2020120007268U KR 20120007268 U KR20120007268 U KR 20120007268U KR 200469461 Y1 KR200469461 Y1 KR 200469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natural stone
pile
earth
loss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김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찬 filed Critical 김성찬
Priority to KR2020120007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4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4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평탄한 자연석 재질인 판상의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일측부분에 상하로 마련되어 말뚝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과, 상기 블록몸체 타측부분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이웃한 다른 블록몸체의 관통공에 삽입된 말뚝의 상부 끝부분을 수용하여 말뚝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시멘트나 폐타이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석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이며 조경학적으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간단한 설계의 변경으로 계단, 토사유실 방지 블록, 식생이 가능한 토사유실 방지 블록 등으로 확장이 용이하여, 활용성과 적용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Natural stone structures to prevent soil erosion}
본 고안은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석을 가공하여 경사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면서도 자연석이 주는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는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로에는 목재, 자연석 또는 철재로 계단을 만들어 미끄러짐 등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등산로의 계단 구조물은 산 위로 자재를 옮기기 어려운 문제점과 아울러 지면에 견고하게 설치하기 어려워 우천시 토사가 유실되면서 그 계단 구조물들이 쉽게 유실되어 보기 흉하게 손상될 수 있다.
자연석 돌계단이 목재 계단의 경우 등산객들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우천시 토사가 유실되어 계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손상될 수 있지만 이를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자재를 산위로 옮기기가 어렵고 유실된 토사에 의해 원상태로의 보수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등산로의 계단의 사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계단의 턱 부분만을 돌이나 목재로 만들어 두고, 계단의 발판면은 흙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이며, 따라서 우천과 등산객들에 의해 토사가 흘러 유실되어 보기 흉하게 파이고, 돌이나 목재의 하부 토사까지 유실되어 보기에 흉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산사태나 재방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이나 재방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종래의 구조물들이 다양한 형태로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물들은 공개특허 10-2012-0064873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대면적을 가지는 격자형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716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간단한 사각형 구조의 블록 구조물을 사용하는 두 가지 예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대면적의 격자형 구조물의 경우에는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말뚝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말뚝의 수량이 격자형 구조물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블록형의 구조물은 적은 면적의 구조물을 사용하며, 각 구조물의 네 귀퉁이마다 말뚝을 박을 수 있게 설계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보일 수 있으나, 적은 면적의 구조물을 넓은 경사면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계단 구조물이나 토사 유실 방지물은 각기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어 용도별로 전혀 다른 구조로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재질이 시멘트 등의 인공 구조물로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환경친화적이며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계단,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및 식생이 가능한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말뚝으로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어 토사유실을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말뚝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은, 상면이 평탄한 자연석 재질인 판상의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일측부분에 상하로 마련되어 말뚝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과, 상기 블록몸체 타측부분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이웃한 다른 블록몸체의 관통공에 삽입된 말뚝의 상부 끝부분을 수용하여 말뚝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한다.
본 고안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은, 시멘트나 폐타이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석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이며 조경학적으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한 설계의 변경으로 계단, 토사유실 방지 블록, 식생이 가능한 토사유실 방지 블록 등으로 확장이 용이하여, 활용성과 적용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말뚝으로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토사의 유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구조물의 모든 가장자리를 말뚝으로 고정하지 않고 일부는 이웃한 구조물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보다 용이하며,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말뚝을 사용하여 고정하되 그 말뚝이 종래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등산객이나 작업자가 말뚝에 발이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등산로에 설치된 계단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을 이용하여 계단을 설치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10)은, 상면은 평탄하고, 바닥면이 경사면인 자연석 재질의 판상 블록몸체(11)와, 상기 블록몸체(11)의 두께가 얇은 일측부분에 상하로 마련되어 말뚝(100)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12)과, 상기 블록몸체(12)의 두께가 두꺼운 타측부분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이웃한 다른 블록몸체(21)의 관통공(22)에 삽입된 말뚝(100)의 상부 끝부분을 수용하여 말뚝(10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용홈(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들(10,20,30,40,50)은 모두 블록몸체(11)와, 그 블록몸체(11)에 마련된 관통공(12) 및 수용홈(13)을 가지는 구조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도 3에서는 5개의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들(10,20,30,40,50)을 도시하였으나 지면(1)을 따라 상하로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들(10,20)의 연결관계만을 설명하며, 이와 같은 연결관계는 다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들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10)을 이루는 블록몸체(11)는 판상의 자연석을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원판 또는 사각 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블록몸체(11)의 상면은 평탄하여 계단의 발판으로 사용되며, 바닥면은 지면의 경사 정도를 따라 경사면을 이룬다. 이때 바닥면은 상기 수용홈(13)의 주변에서 평탄한 접촉면(14)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면(14)은 이웃한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20)의 상면에 접하며,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10)의 수용홈(13)과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20)의 관통공(22)이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설치면인 경사면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블록몸체(11)의 수용홈(13) 형성부분은 그 하부에 위치하는 블록몸체(21)의 관통공(22)과 일치하는 하도록 그 블록몸체(21)의 상면에 중첩되어 설치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블록몸체(21)를 포함하는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20)을 그 하부측의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20)의 상부일부에 중첩되어 설치된다. 이는 물고기의 비늘과 같은 형상으로 각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10,20,30,40,50)들이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20)의 관통공(22)에는 말뚝(100)이 관통하여 시공부분의 암반이나 지표에 소정의 깊이로 박혀 그 블록몸체(21)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2)을 관통하는 말뚝(100)의 상부는 그 블록몸체(21)의 상면에 비하여 돌출된다.
상기 블록몸체(21)의 재질이 자연석이기 때문에 상기 말뚝(100)의 상부를 상기 블록몸체(2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말뚝(100)을 박을 경우 블록몸체(21)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말뚝(100)이 블록몸체(21)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하는 다른 이유는 그 블록몸체(21)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블록몸체(11)와의 견고한 결합을 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블록몸체(21)의 상면 상부로 돌출된 말뚝(100)의 상부 끝단은 블록몸체(11)의 수용홈(13)에 수용되어지며, 따라서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말뚝(100)의 상부를 수용홈(13)에 수용함으로써 말뚝(100)의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미려한 설치상태를 제공하며, 말뚝(100)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말뚝(100)은 지면이 단단한 경우에는 짧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지면이 약한 경우에는 암반까지 박힐 수 있도록 충분히 긴 것을 사용한다. 말뚝(100)은 하나의 블록몸체(21)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사용하게 되며, 그 위치에 따라 상기 블록몸체(21)의 설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어 굽은 계단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들(10,20,30,40,50)을 경사진 지면(1)의 아래에서부터 설치하게 되면, 그 지면(1)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과 같이 계단식으로 다수의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들(10,20,30,40,50)을 설치하여 등산로의 계단을 만든 경우 말뚝(100)으로 고정된 각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들은 등산객이나 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다른 유지 보수 없이도 종래의 계단에 비하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자연석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심미감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을 계단식으로 설치한 설치상태의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은 사각판형의 블록몸체들이 상하로 일부 중첩되어 적층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보다 자연 친화적이며 조경학적으로 뚜렷한 심미감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을 사용하여 제방이나 절개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경사가 더욱 급한 제방이나 절개면에도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설치에 의해 제방이나 절개면에서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몸체(11)의 바닥면은 평탄한 것일 수 있다.
도 5의 설치 상태는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설치상태와 동일하게 경사면의 아래쪽부터 위로가면서 설치가 이루어지며, 말뚝(100)을 관통공을 통해 박고, 상부측 블록몸체의 수용홈에 그 말뚝(100)의 상부가 수용될 수 있게 하여 종래의 블록형 구조물에 비하여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은, 판상의 자연석인 블록몸체(11)와, 상기 블록몸체(11)의 일측부에 상하로 마련되어 말뚝(1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12)과, 상기 관통공(12)의 반대편 블록몸체(11)의 타측 바닥면에 위치하여 이웃한 블록몸체를 고정하는 말뚝의 상부 끝을 수용하는 수용홈(13)과, 상기 블록몸체(11)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지면(1)을 노출시켜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생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6의 식생구(15)를 가지는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은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식생구(15)를 통해 노출되는 지면(1)에 식물을 식생하여 그 식물들의 뿌리에 의하여 토사유실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생구(1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블록몸체(11)에 하나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식생구(15)를 다수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식생구(15)가 마련된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은 자연석이 주는 자연스러운 심미감을 더할 수 있어, 제방이나 절개면을 보다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외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말뚝(100)은 그 길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표층의 상태와 암반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그 길이를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타공 위치에 말뚝을 박거나, 타공되지 않은 설치면에 말뚝을 해머로 박아서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20,30,40,50: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
11,21:블록몸체 12,22:관통공
13,23:수용홈 14:접촉면
15:식생구 100:말뚝

Claims (3)

  1. 상면이 평탄하고, 바닥면이 경사면인 자연석 재질인 판상의 블록몸체;
    상기 블록몸체의 일측부분에 상하로 마련되어 말뚝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 및
    상기 블록몸체 타측부분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이웃한 다른 블록몸체의 관통공에 삽입된 말뚝의 상부 끝부분을 수용하여 말뚝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몸체는 상기 관통공이 위치하는 측의 두께가 상기 수용홈이 위치하는 측보다 얇으며, 상기 수용홈이 상기 이웃한 다른 블록몸체의 관통공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하 중첩되도록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는,
    중앙에 상하로 식생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
KR2020120007268U 2012-08-16 2012-08-16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 KR200469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268U KR200469461Y1 (ko) 2012-08-16 2012-08-16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268U KR200469461Y1 (ko) 2012-08-16 2012-08-16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461Y1 true KR200469461Y1 (ko) 2013-10-17

Family

ID=5073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268U KR200469461Y1 (ko) 2012-08-16 2012-08-16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46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0523U (ko) * 1979-12-28 1981-08-07
JPH02176008A (ja) * 1988-12-27 1990-07-09 Doumon Kensetsu:Kk 護岸壁の構築方法
KR100538186B1 (ko) 2003-10-13 2005-12-22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KR20110009351A (ko) * 2009-07-22 2011-01-28 장성근 조적식 옹벽 축조용 호안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0523U (ko) * 1979-12-28 1981-08-07
JPH02176008A (ja) * 1988-12-27 1990-07-09 Doumon Kensetsu:Kk 護岸壁の構築方法
KR100538186B1 (ko) 2003-10-13 2005-12-22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KR20110009351A (ko) * 2009-07-22 2011-01-28 장성근 조적식 옹벽 축조용 호안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6031B1 (ja) ハニカム擁壁
US20060147275A1 (en) Textured geocell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4238092U (zh) 建筑用临时可拆卸道路板
JP2017036592A (ja) 受圧板
KR200469461Y1 (ko) 토사유실 방지 자연석 구조물
Childe Doonmore, A castle mound near Fair Head, Co. Antrim
JP6240625B2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KR102107751B1 (ko) 식생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15514B1 (ko) 자연 축경식 명산 구조체
KR101582865B1 (ko)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JP2018199898A (ja) 河川構造
KR20030086233A (ko) 발파석을 이용한 절개지의 조경시설물 시공방법 및 그조경시설물 구조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JP6304728B1 (ja) 歩道
KR101625652B1 (ko) 산책로 지반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0150764A (ja) 緑化路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敷設した緑化路面
CN202850047U (zh) 一种景观挡土块及挡土块干垒砌筑挡土墙
KR102238975B1 (ko)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JP3169889U (ja) 登山道浸食防止用鉄柵段構造
KR100537957B1 (ko) 건축단지내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CN210766807U (zh) 嵌套装配式边坡护面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