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300Y1 -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 Google Patents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300Y1
KR200469300Y1 KR2020120000188U KR20120000188U KR200469300Y1 KR 200469300 Y1 KR200469300 Y1 KR 200469300Y1 KR 2020120000188 U KR2020120000188 U KR 2020120000188U KR 20120000188 U KR20120000188 U KR 20120000188U KR 200469300 Y1 KR200469300 Y1 KR 200469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art
paint
partition
primary col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418U (ko
Inventor
황명환
류제철
이진우
최선우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20000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30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4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3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6Cases for drawing or like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02Pal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나 청소년들이 주로 학교에서 미술을 배운다. 하지만, 미술작업을 위해 많은 종류의 물감과 파레트, 물통, 붓, 도화지와 같은 미술작업시 기본적인 준비물이 많이 필요하고 때로는 부피가 너무 커서 들고다니기가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의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은 상기와 같은 붓, 물감, 파레트, 물통, 도화지 보관 구멍을 하나의 수납함에 형성하여 편리하게 구성했다. 또한, 삼원색 원리를 이용하여 원하는 색을 만들어 유아나 청소년들의 두뇌 발달로 미술에 흥미를 느끼게 해준다.

Description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MULTIPURPOSE COLLECTION BOX FOR ART INSTRUMENT}
본 고안은 물감 및 붓과 파레트, 물통, 도화지 보관함을 원통형으로 구성한 하나의 수납함에 넣도록 하기 위해 수납함 몸체를 내부 몸체, 외부 몸체의 이중으로 형성하여 도화지를 넣고 내부 몸체는 길이 방향으로 칸막이를 이용해 3등분으로 분리하고 상기 3등분으로 분리된 칸막이에 각각 삼원색 물감을 넣고 미술 작업시 주사기 피스톤 원리로 칸막이 뒤 판을 밀어, 칸막이 앞 판의 물감 입구를 통해 물감을 직접 짜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특히 색의 삼원색 원리를 이용하여 물감을 미세하게 조절 혼합하여 원하는 색상을 얻고, 동시에 상기 몸체에 끼워지는 수납함 상부 뚜껑은 물통으로, 하부 뚜껑은 파레트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술 작업을 하는 데는 많은 준비물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미술 작업시 필요한 필수 준비물로서, 도화지, 스케치 연필, 물통, 이젤, 물감, 파레트, 다양한 모양을 표현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붓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준비물 외에도 물감 보관함, 붓 보관 구멍, 도화지 보관함 등 부수적인 준비물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준비물은 별도로 수납함에 넣어 다니던가 직접 가방에 넣어 다녀야 하는데, 어린 아이들의 경우는 책과 함께 상기 준비물 들을 가방에 넣어 다녀야 하므로 부피가 커져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부담 외에도 모든 준비물이 이동하면서 가방 내의 공간에서 서로 부딪치게 되어 어떤 경우에는 준비물이 파손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또한, 어린 아이들에게는 상기와 같은 미술 작업시 필요한 도구를 빠뜨리지 않고 준비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부모님들이 준비해주지 않으면 실제 미술 수업에서는 준비물을 빠뜨려 제대로 미술 수업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어린 아이들이 들고다니기에는 준비물 각각의 부피도 만만치 않아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미술 도구의 부피를 줄이고 준비물을 빠뜨리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하는 생각에서 미술 도구 수납함을 착안하게 되었는데, 본 고안의 수납함은 미술도구를 상기 수납함에 모두 함께 넣어 전체적인 부피를 줄이고 사용하는 재료를 줄여서 환경보존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삼원색 원리 즉, 사용한 삼원색 물감의 양에 따라 혼합하면 혼합 양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만들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어린 학생들의 두뇌 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술 작업시 사용하는 물감들은 관리를 잘 못하여 뚜껑을 장시간 열여두면 물감이 굳는 문제가 있지만, 뚜껑을 잘 닫기만 한다면 물감이 굳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는 해결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어린 아이들이 부주의로 인해 일부 몇 가지 색이 굳어져 물감 전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생겼다. 또한, 나이가 어린 아이들 특성상 붓과 파레트, 물감, 물통, 도화지 등의 준비물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잃어버리거나 훼손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물감과 붓, 파레트, 물통, 도화지를 한곳에 모아 수납한다면, 이러한 문제에서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납함 몸체를 내부, 외부 이중으로 구성하여 상기 내부 외부 사이의 공간에 도화지를 보관하고, 내부에는 칸막이를 형성하여 물감을 넣어 짜서 사용하고, 붓도 보관하고 동시에 파레트, 물통으로도 수납함을 이용한다면 물감, 붓, 파레트, 물통, 도화지를 포함하는 준비물에 따른 전체적인 부피가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붓, 물감, 파레트, 물통, 도화지를 하나의 수납함에 모아 각각의 준비물 부피를 줄이고 색의 삼원색 원리를 이용할 수 있게 수납함에 채워져 있는 삼원색 물감의 양을 주사기 피스톤 원리에 의해 미세 조절하여 원하는 색상을 만들어 어린 아이들에게 미술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수납함은 도화지 보관, 물감, 붓 보관, 파레트, 물통의 기능을 동시에 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플라스틱 재질로 상부뚜껑, 하부뚜껑, 몸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에서, 상기 몸체를 내부, 외부의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사이에 도화지를 보관하며 상부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몸체 내부를 3등분으로 구분하도록 몸체 길이 방향으로 칸막이를 설치하고, 3등분 된 각 칸막이 내에는 색의 삼원색인 빨강, 파랑, 노랑 물감을 넣어, 몸체 상부에 형성된 물감 입구를 통해 상기 삼원색 물감을 방출하며, 3등분 된 칸막이 뒤 판에는 색을 짜는데 편리하도록 붓으로 밀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그 중심에는 붓을 보관할 수 있는 붓 보관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부 뚜껑은 물통으로, 하부 뚜껑은 파레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삼원색 물감들은 몸체 내의 칸막이 하부 판에 형성된 상기 홈을 붓으로 밀어 주사기 피스톤 원리에 의해 칸막이 상부 판에 형성된 물감 입구를 통해 물감의 양을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하부 뚜껑은 파레트로 이용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칸막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효과는 미세하게 물감의 양을 조절하여 삼원색 원리를 이용하여 색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물감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술도구 수납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술 도구 수납함의 하부에서 하부 뚜껑을 분리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술도구 수납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상부 뚜껑(10)이 몸체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상부 뚜껑(10)은 3 등분된 몸체 내부를 덮을 수 있도록 3등분 되어 있다. 몸체 상부에 부착된 상부 뚜껑(10)을 열면 몸체 내부에는 원통형 몸체 길이 방향으로 칸막이(14)가 3등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각 3등분 된 부분 내부에는 색의 삼원색인 파랑, 노랑, 빨강 물감을 채워져 있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 각각의 칸막이(14) 상부 입구 쪽에 물감이 나오는 물감 입구(13)를 각각 형성하여 수납함의 몸체 하부 즉, 칸막이(14) 하부에서 주사기 피스톤 형태로 밀어서 물감 입구(13)를 통해 물감을 방출한다.
다시 말하면 수납함 몸체에서 3등분 된 칸막이(14) 내부에 채워진 삼원색 물감은 주사기 피스톤의 원리에 의해 몸체 하부의 칸막이 뒤 판을 서서히 밀어 방출하므로 물감의 미세한 양을 조절할 수도 있어, 원하는 색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미세량 조절이 가능하므로 실제로는 사용하는 물감도 절약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미세하게 방출된 물감은 몸체 하부에서 뚜껑을 열어 파레트로 사용하는 하부 뚜껑(31)에 넣어 혼합하여 원하는 색상을 얻는데 미술 작업이 끝난 후에는 몸체 하부의 중심에 형성된 붓 보관 구멍(21)에 붓(23)을 넣고 다시 하부 뚜껑(30)을 몸체에 조립한다.
또한, 물통으로 사용하는 몸체 상부뚜껑(10)은 몸체 내부와 마찬가지로, 3등분 되어 각각의 부분은 물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 하부 뚜껑(30)은 6등분 되어 파레트로도 이용되는데, 미술작업 후에는 몸체 상부의 상부 뚜껑(10)과 몸체 하부의 하부 뚜껑(30)을 몸체의 상 하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함의 파레트 역할을 하는 하부 뚜껑(30)을 개방하면 상기 수납함 몸체 하부 중앙에는 다수개의 붓(23)을 보관할 수 있는 붓 보관 구멍(21)이 몸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붓 보관 구멍(21)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미술도구 수납함의 하부 뚜껑(30)인 파레트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처럼 몸체 하부에는 하부 뚜껑(30)인 파레트가 몸체 하부에 돌려서 끼우는 구조로 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하부 뚜껑(30)은 다양한 색상을 혼합할 수 있는 파레트로 이용할 수 있도록 6등분으로 칸막이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상기 몸체 하부의 칸막이 뒤에 형성된 홈(22)은 하부 뚜껑이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주사기 피스톤 원리에 의해 물감을 짤 때 붓과 같은 도구로 편리하게 밀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이다. 상기 홈(22)은 상기 붓의 직경과 유사하게 형성하여 힘을 조절하면서 붓을 걸쳐 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붓으로 밀기 위해 형성된 3개의 홈(22) 외에도 몸체 하부 면의 중앙에 형성된 붓 보관 구멍(21)은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붓을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 상부 쪽으로 붓의 길이만큼 형성한 구멍으로서, 미술작업 후 다수개의 붓(23)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다수개의 붓을 중앙의 붓 보관 구멍에 보관하고 파레트인 하부 뚜껑(30)을 몸체에 돌려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뚜껑은 도시처럼 여기서는 6개의 칸을 형성하여 파레트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몸체 상부의 물감 입구(13)를 통해 방출되는 물감을 몸체에서 분리된 하부 뚜껑(30)인 파레트와 상부 뚜껑(10)인 물통을 이용하여 원하는 색상을 만들어 미술 작업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6칸으로 나누어진 파레트와 3칸으로 나누어진 물통을 도시 하였지만 증가시킬 수도 있다.
상기 미술 작업이 끝난 후에는 먼저 몸체 내부(11)와 외부(12) 사이의 공간에 도화지를 보관하고, 작업한 붓을 깨끗이 빨아 중심부에 형성된 붓 보관 구멍에 넣고 하부 뚜껑(30) 및 상부 뚜껑(10)을 돌려서 몸체에 죄면 하나의 수납함이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미술도구 수납함은 물감, 붓, 파레트, 물통을 한꺼번에 수납하고 도화지를 보관하는 기능도 하여, 각각의 준비물을 별도로 들고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어린아이들이 준비물을 잃어버릴 염려도 없고, 미술 작업시 필요한 미술도구의 전체적 부피를 상당히 줄일 수 있어 어린이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붓, 물감, 파레트, 물통을 한곳에 수납하며 도화지를 보관하는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

  1. 플라스틱 재질로 상부뚜껑, 하부뚜껑, 몸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내부, 외부의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사이에 도화지를 보관하며 상부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몸체 내부를 3등분으로 구분하도록 몸체 길이 방향으로 칸막이를 설치하고, 3등분 된 각 칸막이 내에는 색의 삼원색인 빨강, 파랑, 노랑 물감을 넣어, 몸체 상부에 형성된 물감 입구를 통해 상기 삼원색 물감을 방출하며,
    3등분 된 칸막이 뒤 판에는 색을 짜는데 편리하도록 붓으로 밀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그 중심에는 붓을 보관할 수 있는 붓 보관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부 뚜껑은 물통으로, 하부 뚜껑은 파레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원색 물감들은 몸체 내의 칸막이 하부 판에 형성된 상기 홈을 붓으로 밀어 주사기 피스톤 원리에 의해 칸막이 상부 판에 형성된 물감 입구를 통해 물감의 양을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뚜껑은 파레트로 이용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칸막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KR2020120000188U 2012-01-09 2012-01-09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KR200469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188U KR200469300Y1 (ko) 2012-01-09 2012-01-09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188U KR200469300Y1 (ko) 2012-01-09 2012-01-09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418U KR20130004418U (ko) 2013-07-17
KR200469300Y1 true KR200469300Y1 (ko) 2013-10-14

Family

ID=5073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188U KR200469300Y1 (ko) 2012-01-09 2012-01-09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3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495A (ko) * 2017-11-20 2019-05-29 유정민 휴대용 아트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38Y1 (ko) * 2016-12-01 2019-07-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도구
CN115056601B (zh) * 2022-06-16 2023-10-24 江苏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环境艺术设计用自动精确调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160Y1 (ko) * 1994-04-07 1997-05-24 최만일 그림물감용 물통
KR20000001426U (ko) * 1998-06-25 2000-01-25 김성규 다용도 회화용 물통
KR20000012293A (ko) * 1999-11-19 2000-03-06 김성수 컴팩트형 화구통
KR200442662Y1 (ko) 2007-08-22 2008-12-01 주식회사 한솔교육 유아용 미술 교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160Y1 (ko) * 1994-04-07 1997-05-24 최만일 그림물감용 물통
KR20000001426U (ko) * 1998-06-25 2000-01-25 김성규 다용도 회화용 물통
KR20000012293A (ko) * 1999-11-19 2000-03-06 김성수 컴팩트형 화구통
KR200442662Y1 (ko) 2007-08-22 2008-12-01 주식회사 한솔교육 유아용 미술 교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495A (ko) * 2017-11-20 2019-05-29 유정민 휴대용 아트 박스
KR102028562B1 (ko) * 2017-11-20 2019-10-04 유정민 휴대용 아트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418U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300Y1 (ko) 다용도 미술도구 수납함
US20160338470A1 (en) Cosmetic applicators for applying cosmetics of different colors
WO2015067944A1 (en) Storage case
KR101006908B1 (ko) 다단 결합식 아이새도우용 브러시 용구
US3186539A (en) Artist's compact palette
KR20130113872A (ko) 캡슐형 팔레트
EP3912829A1 (de) Malsystem sowie basisprodukt und ergänzungsprodukt für malsystem
KR200432214Y1 (ko) 팔레트가 결합된 물통
KR101918480B1 (ko) 다단 색조화장품 용기
KR200466939Y1 (ko) 디아이와이 화장품 용기
KR101057510B1 (ko) 색상별 헹굼용 물통을 구비한 그림그리기 세트
CN215970913U (zh) 一种多功能调色盘
CN205674760U (zh) 简易四色调色训练颜料盒
CN205468258U (zh) 一种方便携带的颜料盒
CN1972733A (zh) 用于玩具的折叠型纸制梳妆台
CN213799062U (zh) 一种视觉传达平面设计专业用工具包
KR200147335Y1 (ko) 학습용 흙공작용구세트
CN203832132U (zh) 调色盒
KR200440971Y1 (ko) 물통이 결합된 팔레트
CN209852788U (zh) 一种储物盒
KR0129600Y1 (ko) 파렛트
KR200345568Y1 (ko) 점토교재 보관함
KR102369558B1 (ko) 바인더형 팔레트
KR100865888B1 (ko) 다층적재구조를 사용한 동물사육통
CN203318010U (zh) 绘画工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